[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5203B1 -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203B1
KR101335203B1 KR1020100027374A KR20100027374A KR101335203B1 KR 101335203 B1 KR101335203 B1 KR 101335203B1 KR 1020100027374 A KR1020100027374 A KR 1020100027374A KR 20100027374 A KR20100027374 A KR 20100027374A KR 101335203 B1 KR101335203 B1 KR 10133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ngiogenesis
present
composition
amino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080A (ko
Inventor
조대호
방사익
박정민
윤선영
김상윤
이하름
박유림
손주아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일양약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2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03B1/ko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일양약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1/002081 priority patent/WO2011119009A2/en
Priority to CN201410332373.9A priority patent/CN104072584B/zh
Priority to EP16171438.1A priority patent/EP3087994A1/en
Priority to EP16171437.3A priority patent/EP3085379A1/en
Priority to JP2013502459A priority patent/JP5701375B2/ja
Priority to US13/637,602 priority patent/US9610318B2/en
Priority to CN201180021591.5A priority patent/CN102883736B/zh
Priority to CN201410332375.8A priority patent/CN104072580B/zh
Priority to EP11759758.3A priority patent/EP2552470B1/en
Publication of KR2011010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03B1/ko
Priority to US15/434,309 priority patent/US9938320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1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2 to 4 carbon atoms, e.g. Val, Ile, Le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5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protease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및 이식용 혈관 제조를 위한 혈관신생촉진 조성물 및 혈관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혈관 신생 촉진작용을 하는 신규한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관신생촉진 효과가 탁월하며, 본 발병의 약학적 조성물은 VEGF와 비교하여 그 혈관신생촉진 효능이 우수하며, 분자량이 월등히 작아 혈관 및 조직내 침투가 VEGF에 비하여 용이하여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며, 본 발명의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은 혈관신생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및 이식용 혈관 제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Peptides for Promotion of Angiogenesis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및 이식용 혈관 제조를 위한 혈관신생촉진 조성물 및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 공급의 발달은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 과정의 기본 요건이다. 활발하게 성장하는 조직, 예를 들어 배아 및 종양은 적절한 혈액 공급을 필요로 한다. 이들은 혈관신생으로 불리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전혈관신생 인자를 생산함으로써 상기 필요를 만족시킨다. 혈관 형성은 하기 단계를 모두 또는 대부분 포함하는 복잡하지만 규칙적인 생물학적사건이다: a) 내피 세포(EC)가 기존 EC로부터 증식하거나 기원 세포로부터 분화하고; b) EC가 이동하고 융합하여 코드(cord) 유사 구조를 형성하고; c) 이어서 혈관 코드는 관생성을 거쳐 중심 관강 (lumen)을 갖는 관을 형성하고; d) 기존 코드 또는 관이 싹을 내밀어 2차 관을 형성하고; e) 원시 혈관총은 추가의 재형성 및 재성형을 거치고; f) 주변-내피 세포가 모집되어 내피관을 둘러싸 관에 유지 및 조절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세포는 작은 모세혈관에 대한 혈관주위세포, 보다 큰 혈관에 대해 평활근 세포, 심장에서 심근 세포를 포함한다(Hanahan, D., Science, 1997, 277, 48; Hogan, B. L. & Kolodziej, P. A. Nature Reviews Genetics., 2002, 3, 513).
혈관 발달의 과정은 엄밀하게 조절된다. 지금까지, 대부분 주변 세포에 의해 생산된 분비형 인자인 상당한 수의 분자가 EC분화, 증식, 이동 및 코드 유사 구조로의 융합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보고된 혈관신생 촉진인자는 크게 몇 가지로 분리되는데, 세포성장을 유도하는 유도인자, 면역활성을 가지는 사이토카인, 호르몬 및 지질 산물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Bussolino F et al., Trends. Biochem. Sci., 22(7), pp251-256,1997).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는 혈관 신생을 자극하고 혈관 투과성을 유도하는데 관여하는 핵심 인자로서 확인되었다(Ferrara et al., Endocr. Rev. 18:4-25, 1997). 쥐의 VEGF 유전자의 성상이 확인되었으며 이의 배형성에서의 발현 패턴이 분석되었다. 창 모양의 내피에 인접한 상피 세포, 예를 들면, 맥락총 및 신장 사구체에서 지속적인 VEGF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이 데이터는 내피 세포 성장과 분화의 다기능성 조절인자로서의 VEGF의 역할과 일치된다(Breier, G. et al., Development, 1992, 114, 521).
VEGF는 혈관성 조직(예를 들면, 폐, 심장, 태반 및 충실성 종양)에서 모두 혈관형성과 상관이 있다(Binetruy-Tourniere et al., EMBO J. 2000, 19, 1525). 예를 들어, VEGF는 종양-관련된 혈관형성을 자극함으로써 고형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촉진시키는데 관계가 있다(Lu et al., J. Biol. Chem. 2003, 278, 43496). 다른 한편으로는 VEGF의 발현은 특히 혈관성 조직의 수복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VEGF는 혈관 조직 수복을 증진시키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실제로 천(Chen) 등의 미국 특허 제5,073,492호(1991. 12. 17.)에는 적당한 환경에 VEGF, 효과인자 및 혈청 유도된 인자를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러한 환경 하에서 내피 세포 성장을 상승적으로 증진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 C 아단위 DNA가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 기술에 의해 제조되었다. 이러한 DNA는 헤테로이량체 또는 호모이량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특정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이 단백질은 포유류 혈관 내피 세포 분열촉진 인자이고, 그 자체로서, 유럽 특허원 제92302750.2호(1992. 9. 3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혈관 발생과 수복를 증진시키는 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VEGF에 대한 많은 진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다른 단백질들과 마찬가지로 분자가 너무 커서 혈관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감기가 짧아 단기간에 소멸되는 단점을 드러냈다. 최근에는 혈관내피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즉 혈관형성과정에 관여하는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여 이들 유전자를 이용하여 혈관신생이 요구되는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적용하려고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별다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VEGF를 대체할 만한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여러 신규 펩타이드들을 합성하고 이들의 잔기를 치환, 추가, 제거 및 효과적인 유도체들을 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혈관신생촉진 효능이 있는 신규한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서열 일반식 (I) 또는 (I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 [N-말단 - X1 X2 X3 X4 X5 X6 - C-말단]
(II) [C-말단 - X1 X2 X3 X4 X5 X6 - N-말단]
단, X1은 없거나 라이신이고, X2는 없거나 알라닌 또는 글루타민이고, X3은 글라이신 또는 프롤린이고, X4는 없거나 염기성 아미노산이고, X5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X6은 세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서열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II) [N-말단 - X1 X2 X5 X6 - C-말단]
단, X1은 아스파라긴이고, X2는 글루타민이고, X5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X6은 세린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혈관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서열 일반식 (I) 또는 (I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I) [N-말단 - X1 X2 X3 X4 X5 X6 - C-말단]
(II) [C-말단 - X1 X2 X3 X4 X5 X6 - N-말단]
단, X1은 없거나 라이신이고, X2는 없거나 알라닌 또는 글루타민이고, X3은 글라이신 또는 프롤린이고, X4는 없거나 염기성 아미노산이고, X5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X6은 세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서열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III) [N-말단 - X1 X2 X5 X6 - C-말단]
단, X1은 아스파라긴이고, X2는 글루타민이고, X5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X6은 세린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혈관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아미노산 서열은 IUPAC-IUB 명명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기재하였다.
아르기닌(Arginine) : R, 히스티딘(Histideine) : H
라이신(Lysine) : K,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 D
글루탐산(Glutamix acid) : E, 세린(Serine) : S
트레오닌(Threonine) : T, 아스파라긴(Asparagine) : N
글루타민(Glutamine) : Q, 시스테인(Cysteine) : C
글라이신(Glycine) : G, 프롤린(Proline) : P
알라닌(Alanine) : A, 이소루신(Isoleucine) : I
루신(Leucine) : L, 메티오닌(Methionine) :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 F, 프립토판(Tryptophan) : W
타이로신(Tyrosine) : Y, 발린(Valine) : V
본 발명은 다음의 서열 일반식 (I) 또는 (I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I) [N-말단 - X1 X2 X3 X4 X5 X6 - C-말단]
(II) [C-말단 - X1 X2 X3 X4 X5 X6 - N-말단]
본 발명의 상기 서열 일반식 (I) 또는 (II)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X1은 없거나 라이신이고, X2는 없거나 알라닌 또는 글루타민이고, X3은 글라이신 또는 프롤린이고, X4는 없거나 염기성 아미노산이고, X5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X6은 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비극성 아미노산-X-산성 아미노산-세린을 기본구조로 하고 선택적으로 비극성 아미노산과 산성 아미노산 사이(X)에 염기성 아미노산이 올 수 있으며, 비극성 아미노산 앞에 선택적으로 라이신 및/또는 (알라닌 또는 글루타민)이 추가된 서열(일반식 (I))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이 역으로 배열된 서열(일반식 (II))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서열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III) [N-말단 - X1 X2 X5 X6 - C-말단]
본 발명의 상기 서열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X1은 아스파라긴이고, X2는 글루타민이고, X5는 산성 아미노산이고, X6은 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서열 일반식 (III)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는 아스파리긴-글루타민-산성아미노산-세린을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서열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는 펩타이드의 혈관신생촉진 효능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밝혀진 것이다.
상기 서열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에서 염기성 아미노산은 바람직하게는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라이신일 수 있다. 상기 산성 아미노산은 바람직하게는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상기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관신생촉진의 효능이 나타나며, 상기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한 그 길이에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여 4개 내지 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여 4개 내지 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반식 (I) 내지 (III)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C-말단이 아미드화 된 펩타이드 일 수 있다.
펩타이드를 생체내의 단백질 절단 효소들로부터 보호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아미노 말단 및 카르복시 말단을 변형하거나 여러 유기단으로 보호한다.
즉, 상기 펩타이드의 C-말단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변형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OH) 또는 아미노기(-NH2)로 변형되는 것일 수 있다. C-말단이 아미드화 된 펩타이드란 펩타이드의 C-말단이 아미노기(-NH2)로 변형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변형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아세틸(Acetyl)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Fmoc)기, 포르밀(Formyl)기, 팔미토일(Palmitoyl)기, 미리스틸(Myristyl)기, 스테아릴(Stearyl)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기로 변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자동 펩타이드 합성기에 의해 합성할 수 있으며, 유전자 조작 기술에 의해 생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융합파트너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로 된 융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융합 유전자를 제조하고 그것으로 숙주 미생물을 형질전환시킨 후 숙주 미생물에서 융합 단백질 형태로 발현시킨 후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융합 단백질로부터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절단, 분리하여 원하는 펩타이드를 생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Factor Xa나 엔테로키나제와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 CNBr 또는 하이드록실아민과 같은 화합물에 의해 절단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융합파트너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전자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NBr에 의해 절단되는 자리를 부여하기 위하여, 융합 파트너의 3' 말단에 리딩 프레임이 맞는 메티오닌 코돈을 함유하는 제한효소 자리(예를 들어,AflIII, BsmI, BspHI, BspLU11I, NcoI, NdeI, NsiI, Ppu10I, SphI, StyI) 또는 이들의 아이소스키조머(isoschizomer) 자리를 삽입하여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이 제한효소에 상응(compatible)하는 말단을 생성하면서 리딩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한효소 자리를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전자의 5‘말단에 삽입하여 그 효소로 절단하고, 융합 파트너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전자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이드록실아민에 의해 절단되는 자리를 부여하기 위하여, 융합 파트너 유전자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전자 사이에 아스파라긴-글라이신을 코딩할 수 있는 DNA 서열을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유전자를 융합시킬 경우 융합 파트너 3' 말단에 리딩 프레임이 맞는 아스파라긴의 코돈을 함유하는 제한효소 자리 또는 이들의 아이소스키조머 자리를 삽입한 후 이 효소로 절단하고, 이 효소와 상응되는(compatible) 말단 또는 블런트(blunt) 말단을 생성하면서 리딩 프레임이 연결되는 글라이신의 코돈을 포함하는 제한효소 자리를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전자의 5' 말단에 삽입하고 그 제한효소로 절단한 후 융합 파트너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전자를 연결시켜 융합 파트너 유전자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융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구조물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발현벡타, 예를 들어 플라즈미드, 바이러스 또는 그 외에 구조 유전자를 삽입(insertion) 또는 병합(incorporation)할 수 있는 비히클에 삽입하여 숙주 세포에 클로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동 펩타이드 합성기를 이용하여 서열번호 1 내지 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C18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순수 분리 하였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사람 또는 동물의 혈관신생(angiogenesis)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의 혈관신생촉진 효능은 본 발명에서 최초로 밝혀진 것이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촉진 효과는 인간제대정맥내피세포(HUVECs,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를 이용한 실험에서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HUVECs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HUVECs의 증식이 촉진되는 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는 경우 HUVECs의 증식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HUVECs의 이주(migr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구멍(pore)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필터가 깔린 챔버가 있는 플레이트의 챔버 하단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넣고 챔버 상단에 HUVECs를 접종하여 배양한 후 하단으로 이동한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HUVECs의 이주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HUVECs의 맥관형성(tube form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플레이트에 Matrigel을 깔아 굳히고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HUVECs를 버퍼에 혼합하여 투여하여 HUVECs가 Matrigel 내에 혈관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HUVECs의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혈관신생 촉진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in vivo Matrigel plug assay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혼합된 Matrigel을 생쥐에 피하주사 한 후, 1주일간 사육 후 굳은 matrigel plug을 적출하여 혈관형성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주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혈관형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참조).
이와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관세포의 증식, 이주, 분화를 촉진하여 혈관신생을 촉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관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다른 제제, 예를 들어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화합물, 다른 펩타이드 등과 같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관 내피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혈관 내피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배아 줄기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조혈 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또는 이식용 혈관 제조용일 수 있다.
상기 혈관 관련질환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혈관 이상으로 인해 혈액이나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질병을 말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나 바람직하게는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경색,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또는 허혈증일 수 있다.
심근경색, 협심증 등 심혈관질환은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지는 것이 원인으로 혈관 내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면 신체 조직 및 장기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혈관 기능 장애가 심장근육에서 발생하면 심장이 멈추어 심근경색 협심증이 발생하고, 손이나 발 끝 부분에서 발생하면 허혈성 지체질환이 된다. 이 경우 썩어들어가는 고통이 너무 심해 향정신성 진통제를 복용하고, 심하면 다리를 절단하거나 사망에 이른다.
허혈성심부전은 관이 막히거나 좁아지는 것이 원인으로 혈액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해 산소가 부족하여 발생한다.
당뇨성 신경병증(족부궤양)은 당뇨병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당뇨병 환자의 50% 이상이 발병한다. 당뇨병 환자의 혈관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혈당에 의해 세포 내 일부 기능이 손상되면서 다리 부위의 미세혈관과 신경세포가 죽는다.
당뇨 망막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모세혈관 벽의 병변(기저막의 비후, 벽세포의 감소, 내피세포의 과도한 증식)으로 모세혈관이 좁아지고 결국 폐색되어 망막 미세혈관의 순환 장애가 나타나 발생한다.
창상은 외과적 절개, 소화관 궤양, 화상, 열상 및 피부 궤양(예 : 욕창) 과 같은 피부 조직의 손상이다. 창상의 통상적인 치료란 응급처치 후 손상부위가 자연회복력에 의해 치유되기를 기다리는 것인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창상의 치유는 일반적으로 세포 증식에 의한 새로운 결합 조직 및 상피 조직의 형성에 의해 좌우된다. 창상의 치유에는 세포 증식, 분화를 촉진하거나 자극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탈모는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하나 모근이 주변 혈관을 통한 혈액으로부터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받으면 발모 및 양모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질병들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혈관 이상으로 인해 혈액이나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질병으로 혈관을 이식하거나 우회혈관을 신생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통하여 혈관을 신생시키거나 이식용 혈관을 생성하여 이러한 질병들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타이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는 주사 투여를 포함하는 소화관을 통하지 않는 모든 투여경로를 말한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국소 투여는 크림들, 연고들, 겔들 그리고 경피 패치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는 피부를 통한 모든 투여경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점안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바람직한 멸균 주사용 제제는 비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또는 희석제 중의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비히클의 예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등장성 식염수(예, 인산일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또는 염화마그네슘 등이나 또는 이의 혼합물), 링거액, 덱스트로스, 물, 멸균수,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의 혼합물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1,3-부탄디올 및 멸균 고정화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매질로서 사용된다.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역시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점안제는 수용성 안과 용액, 비수용성 안과 용액 또는 안과 에멀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제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들을 수용성 용매로 멸균된 정제수 또는 생리식염수, 비수용성 용매로 면실유, 대두유와 같은 식물유에 녹이거나 현탁시켜서 제조한다. 이 경우에 필요한 경우에 등장제, pH 조절제, 점성화제, 현탁제, 에멀젼화제, 보존제, 및 이와 유사한 약학적 수용가능한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등장제는 염화나트륨, 보릭산, 질산나트륨, 질산칼륨, D-만니톨, 포도당 등을 포함한다 pH 조절제의 특정예는 보릭산, 무수 황산나트륨, 염산,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초산, 초산칼륨, 탄산나트륨, 보랙스 등을 포함한다. 점성화제의 특정 예는 메틸셀루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스, 폴리비닐 알콜, 콘트로이틴 황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포함한다. 현탁제의 특정한 예는 폴리솔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된 캐스터 오일 등을 포함한다. 에멀전화제의 특정한 예는 요크 레시틴, 폴리솔베이트 80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보존제의 특정한 예는 염화 벤잘코니움 염화 벤제쏘니움, 클로로부탄올, 페닐에틸 알콜, 파라옥시벤조익산 에스테르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 당 약 0.0001 ㎍ 내지 5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 내지 100 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펩타이드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혈관 신생 촉진작용을 하는 신규한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관신생촉진 효과가 탁월하며, 본 발병의 약학적 조성물은 VEGF와 비교하여 그 혈관신생촉진 효능이 우수하며, 분자량이 월등히 작아 혈관 및 조직내 침투가 VEGF에 비하여 용이하여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며, 본 발명의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은 혈관신생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및 이식용 혈관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를 측정한 비교 그래프이다(No : 음성대조군, VEGF : 양성대조군, Pep_7 내지 10 : 서열번호 1 내지 4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도 2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혈관내피세포의 이주 촉진 효과를 측정한 비교 그래프이다(No : 음성대조군, VEGF : 양성대조군, Pep_7 내지 10 : 서열번호 1 내지 4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해 혈관내피세포의 튜브 형성이 촉진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No : 음성대조군, VEGF : 양성대조군, Pep_7 내지 10 : 서열번호 1 내지 4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 제작
자동 펩타이드 합성기(Milligen 9050, Millipore, 미국)를 이용하여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합성하고, C18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Waters Associates, USA)를 이용하여 이들 합성된 펩타이드를 순수 분리하였다. 컬럼은 ACQUITY UPLC BEH300 C18 (2.1 x 100 mm, 1.7um, Waters Co, USA)을 이용하였다.
제작된 신규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배열
서열번호 펩타이드 명칭 서열
1 Pep_7 SEGQK
2 Pep_8 SDRGA
3 Pep_9 PKES
4 Pep_10 NQES
<실시예 2>
펩타이드의 HUVECs 증식 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펩타이드 4종의 혈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인 인간제대정맥내피세포(HUVECs,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고 세포 증식 여부를 측정하였다.
HUVECs는 2%의 우태아혈청을 포함하는 EBM-2(Endothelial Cell Basal Medium-2, Clonetics Co., San Diego, 미국)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시켰다. 배양된 HUVECs를 96-well plate에 well당 1000개의 세포가 주입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본 발명의 펩타이드 4종을 각 well에 첨가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양성대조군으로 본 발명의 펩타이드 대신 VEGF를 처리한 군과 음성대조군으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CyQUANTkit(invitrogen, 미국)을 이용하여 세포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2], 및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HUVECs 증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일부 펩타이드는 양성대조군인 VEGF 보다 그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신규 펩타이드의 세포증식 효과 측정 결과
펩타이드/대조군 세포증식 효과(%)
음성대조군(무 처리군) 100
양성대조군(VEGF) 166.0
Pep_7 203.3
Pep_8 209.2
Pep_9 212.5
Pep_10 146.5
< 실시예 3>
펩타이드의 HUVECs 이주( migration ) 효과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펩타이드 4종의 혈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HUVECs 이주 여부를 측정하였다.
구멍(pore)를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필터가 깔린 챔버가 있는 24웰 플레이트(Corning Costar, 미국)의 챔버 하단을 0.5mg/ml의 제1형 콜라겐(type 1 collagen) 10ml로 코팅하였다. 챔버 아래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 4종을 첨가한 EBM-2 배지를 넣고 HUVECs를 챔버 상부에 웰당 1X105개 씩 접종하였다. 37℃에서 10시간 동안 배양한 후 폴리카보네이트 필터의 하면에 침투된 세포를 메탄올로 고정하고, 헤마톡실린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그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3]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HUVECs 이주를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부 펩타이드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VEGF에 비하여서도 그 효능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제작된 신규 펩타이드의 세포이주 효과 측정 결과
펩타이드/대조군 세포이주 효과(%)
음성대조군(무 처리군) 100
양성대조군(VEGF) 146.3
Pep_7 155.4
Pep_8 147.0
Pep_9 156.4
Pep_10 173.2
< 실시예 4>
펩다이드의 HUVECs 의 맥관형성( tube formation ) 촉진 효과 측정
HUVECs의 맥관 형성에 있어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 우태아혈청(FBS)을 포함한 EGM-2배지에 배양해 둔 HUVECs를 FBS가 없는 배지에서 12시간동안 starvation 시켰다. 24-well plate에 Matrigel(BD Biosciences, 미국)을 150㎕씩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고루 깔아 굳힌 후, 1% FBS가 포함된 배지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시키고 세포를 현탁시켜서 well당 1×105cells 씩 접종하여 37℃에서 배양하였다. 18시간 후 현미경으로 맥관(tube)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HUVECs의 맥관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펩다이드의 혈관형성 촉진 효과 실험
본 발명의 펩타이드의 혈관신생 촉진 능력을 in vivo Matrigel plug assay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성장인자가 제거된 Matrigel(growth factor reduced Matrigel, BD Biosciences, 미국)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각각 혼합한 혼합물 600ul을 7주령의 수컷 C57BL/6 생쥐에 피하주사 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혈관형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인 VEGF(R&D systems, 미국)를 생쥐에 주사하였다. 1주일간 사육 후 생쥐를 희생시켜 굳은 matrigel plug을 적출하고 적출한 plug 내의 혈관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혈관형성정도 측정은 Drabkin's reagent kit (sigma, 미국)를 사용하여 hemoglobin양을 측정하여 수치화 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Matrigel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혼합하여 주사한 경우가 대조군에 비하여 혈관형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혈관 신생 촉진작용을 하는 신규한 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혈관신생촉진 효과가 탁월하며, 본 발병의 약학적 조성물은 VEGF와 비교하여 그 혈관신생촉진 효능이 우수하며, 분자량이 월등히 작아 혈관 및 조직내 침투가 VEGF에 비하여 용이하여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며, 본 발명의 혈관신생촉진 조성물은 혈관신생촉진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및 이식용 혈관 제조에 효과적이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10> IL-YANG PHARM. CO.,LT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AMSUNGN LIFE WELFARE FOUNDATION
<120> Peptides for Promotion of Angiogenesis and the use thereof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_7 : Artificial Peptide for Promotion of Angiogenesis
<400> 1
Ser Glu Gly Gln Lys
1 5
<210> 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_8 : Artificial Peptide for Promotion of Angiogenesis
<400> 2
Ser Asp Arg Gly Ala
1 5
<210> 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_9 : Artificial Peptide for Promotion of Angiogenesis
<400> 3
Pro Lys Glu Ser
1
<210> 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_10 : Artificial Peptide for Promotion of Angiogenesis
<400> 4
Asn Gln Glu Ser
1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서열번호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Ser Glu Gly Gln Lys (서열번호 1)
    Ser Asp Arg Gly Ala (서열번호 2)
    Pro Lys Glu Ser (서열번호 3).
  2.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Asn Gln Glu Ser (서열번호 4).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C-말단이 아미드화 된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촉진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판 재생, 상처 및 화상치유, 인공피부이식 및 이식용 혈관 제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허혈성 심근, 허혈성 뇌질환, 심부전, 급성 후방지 국소빈혈, 욕창, 만성 궤양, 탈모 또는 백발증, 비만에 의한 심혈관 질환, 허혈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상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0027374A 2010-03-26 2010-03-26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74A KR101335203B1 (ko) 2010-03-26 2010-03-26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N201410332375.8A CN104072580B (zh) 2010-03-26 2011-03-25 用于促进血管生成的肽及其用途
EP16171438.1A EP3087994A1 (en) 2010-03-26 2011-03-25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an use thereof
EP16171437.3A EP3085379A1 (en) 2010-03-26 2011-03-25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an use thereof
JP2013502459A JP5701375B2 (ja) 2010-03-26 2011-03-25 血管新生促進用ペプチド及びその使用
US13/637,602 US9610318B2 (en) 2010-03-26 2011-03-25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use thereof
PCT/KR2011/002081 WO2011119009A2 (en) 2010-03-26 2011-03-25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an use thereof
CN201410332373.9A CN104072584B (zh) 2010-03-26 2011-03-25 用于促进血管生成的肽及其用途
EP11759758.3A EP2552470B1 (en) 2010-03-26 2011-03-25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an use thereof
CN201180021591.5A CN102883736B (zh) 2010-03-26 2011-03-25 用于促进血管生成的肽及其用途
US15/434,309 US9938320B2 (en) 2010-03-26 2017-02-16 Peptides for promoting angiogenesis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74A KR101335203B1 (ko) 2010-03-26 2010-03-26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80A KR20110108080A (ko) 2011-10-05
KR101335203B1 true KR101335203B1 (ko) 2013-11-29

Family

ID=4467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203B1 (ko) 2010-03-26 2010-03-26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610318B2 (ko)
EP (3) EP3085379A1 (ko)
JP (1) JP5701375B2 (ko)
KR (1) KR101335203B1 (ko)
CN (3) CN104072584B (ko)
WO (1) WO201111900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73A (ko) 2017-09-22 2019-04-01 (주)케어젠 혈관신생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84092T3 (es) 2011-11-05 2021-12-10 Massachusetts Inst Technology Método y aparato para una transmisión eficaz de información a múltiples nodos
KR102694658B1 (ko) * 2013-11-22 2024-08-14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혈관 신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0183055B2 (en) 2014-07-21 2019-01-2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Ang-(1-7) derivative oligo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other indications
EP3171886A4 (en) 2014-07-21 2018-01-24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Ang-(1-7) derviative oligopeptides and methods for using and producing the same
WO2016068217A1 (ja) * 2014-10-29 2016-05-06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末梢血単核球又は末梢血単核球より分泌される因子を伴う線維芽細胞を含む細胞シート
CN106046146A (zh) * 2016-06-07 2016-10-26 南京医科大学附属脑科医院 一种血管生成激动剂多肽及应用
CN105968187A (zh) * 2016-06-07 2016-09-28 南京医科大学附属脑科医院 一种血管生成激动剂多肽及应用
US20200222589A1 (en) 2017-05-30 2020-07-16 Adek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decellularized material for transplantation and graft composition consisting of biocompatible material including said material
WO2020142349A1 (en) * 2019-01-04 2020-07-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angiogenesis in the eye
TWI754324B (zh) * 2020-07-16 2022-02-01 三凡生技研發股份有限公司 促進血管增生之短鏈胜肽組合物及其於糖尿病傷口癒合之用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400B1 (ko) 1990-12-21 1999-06-15 로날드 지. 더프 맥관형성 펩티드
JP2009523787A (ja) 2006-01-19 2009-06-25 アイジ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関連疾患の治療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5404A (en) 1982-05-14 1983-07-26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ynthetic thymosin β3 and β4 analogues
CA1337731C (en) * 1986-07-18 1995-12-12 Maryse Lenfant Inhibitory tetrapeptide of entry into cycle of hemopoietic stem cells, processes for its preparation and its uses
US5073492A (en) 1987-01-09 1991-12-17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ynergistic composition for endothelial cell growth
US5322928A (en) * 1991-03-04 1994-06-21 Shionogi Seiyaku Kabushiki Kaisha Diapause hormone isolated from silkworm exhibiting improved diapause activity
US5928939A (en) * 1995-03-01 1999-07-27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b and dna coding therefor
ES2302339T3 (es) * 1996-01-24 2008-07-01 Schering Corporation Genes de quimioquina cx3c de mamifero.
IL125509A0 (en) * 1996-02-01 1999-03-12 Sod Conseils Rech Applic Peptide inhibitors of hematopoietic cell proliferation
DE19728524A1 (de) * 1997-07-04 1999-01-07 Merck Patent Gmbh Cyclische Azapeptide
GB9902555D0 (en) * 1999-02-05 1999-03-24 Neutec Pharma Plc Medicament
US6673346B1 (en) * 1999-08-31 2004-01-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FR2814076B1 (fr) 2000-09-21 2002-12-20 Centre Nat Rech Scient Agent angiogenique et ses utilisations
US6902926B1 (en) * 2000-11-09 2005-06-07 University Of Vermont And State Agricultural College Toxoplasma gondii apical membrane antigen-1
US7232802B2 (en) * 2001-12-21 2007-06-19 Zimmer Orthobiolog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myocardial and peripheral angiogenesis
US20050037946A1 (en) * 2003-01-13 2005-02-17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1722, 10280, 59917, 85553, 10653, 9235, 21668, 17794, 2210, 6169, 10102, 21061, 17662, 1468, 12282, 6350, 9035, 1820, 23652, 7301, 8925, 8701, 3533, 9462, 9123, 12788, 17729, 65552, 1261, 21476, 33770, 9380, 2569654, 33556, 53656, 44143, 32612, 10671, 261, 44570, 41922, 2552, 2417, 19319, 43969, 8921, 8993, 955, 32345, 966, 1920, 17318, 1510, 14180, 26005, 554, 16408, 42028, 112091, 13886, 13942, 1673, 54946 or 2419
NZ578591A (en) * 2003-05-30 2011-01-28 Agensys Inc Prostate stem cell antigen (PSCA) variants and subsequences thereof, namely SEQ ID NO: 6554
WO2005035003A2 (en) * 2003-09-22 2005-04-21 Dihedron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drug efficiency
FR2871978B1 (fr) * 2004-06-16 2006-09-22 Alcatel Sa Procede de traitement de signaux sonores pour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et terminal de communication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GB0607798D0 (en) * 2006-04-20 2006-05-31 Alligator Bioscience Ab Novel polypeptides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400B1 (ko) 1990-12-21 1999-06-15 로날드 지. 더프 맥관형성 펩티드
JP2009523787A (ja) 2006-01-19 2009-06-25 アイジー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関連疾患の治療剤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873A (ko) 2017-09-22 2019-04-01 (주)케어젠 혈관신생 억제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11072636B2 (en) 2017-09-22 2021-07-27 Caregen Co., Ltd. Peptide for inhibiting angiogenesis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72580A (zh) 2014-10-01
EP2552470B1 (en) 2016-09-07
US20170166609A1 (en) 2017-06-15
US20130137637A1 (en) 2013-05-30
CN104072584B (zh) 2017-04-26
WO2011119009A2 (en) 2011-09-29
EP2552470A2 (en) 2013-02-06
US9610318B2 (en) 2017-04-04
EP2552470A4 (en) 2014-02-19
CN102883736A (zh) 2013-01-16
KR20110108080A (ko) 2011-10-05
EP3085379A1 (en) 2016-10-26
CN104072584A (zh) 2014-10-01
US9938320B2 (en) 2018-04-10
JP5701375B2 (ja) 2015-04-15
JP2013523720A (ja) 2013-06-17
WO2011119009A3 (en) 2012-04-05
CN102883736B (zh) 2014-08-13
EP3087994A1 (en) 2016-11-02
CN104072580B (zh)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203B1 (ko)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AU2011298556B2 (en) Use of interleukin-22 in treating viral hepatitis
WO2019200594A1 (zh) 酰化的glp-1衍生物
KR102230368B1 (ko) 아실화 옥신토모듈린 펩타이드 유사체
WO2021027704A1 (zh) 多肽或其衍生物的应用
KR101297037B1 (ko) 혈관신생촉진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40120018A (ko) 상처치료, 신생혈관유도 및 발모효능을 증식시키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0707408B1 (ko) 유로텐신-ⅱ 작용제 및 길항제
CA3182233A1 (en) Ngf variants, production, compositions, and therapeutic uses
CN102675449B (zh) 缺失型人角质细胞生长因子-ⅰ二硫键变构体及其用途
KR20130032787A (ko)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