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4168B1 -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168B1
KR101334168B1 KR1020120103814A KR20120103814A KR101334168B1 KR 101334168 B1 KR101334168 B1 KR 101334168B1 KR 1020120103814 A KR1020120103814 A KR 1020120103814A KR 20120103814 A KR20120103814 A KR 20120103814A KR 101334168 B1 KR101334168 B1 KR 10133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guide
casing
led
lens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호
오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씨
Priority to KR102012010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1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61B1/2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photometry standard sources, also using luminescent or radioactive material
    • G01J2001/083Testing response of det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로서, 본 발명은 위치가 고정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고정렌즈부와, 상기 고정렌즈부의 후방에서 위치가 변위되며, LED광을 출사하는 가변LED유닛부와, 상기 고정렌즈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사된 LED광이 조사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무영등을 설계 개발함에 있어 중요한 설계인자를 편리하게 측정 시험하여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함으로써 신뢰성있는 고품질의 LED무영등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Measuring and testing apparatus for LED astral light}
본 발명은 LED무영등의 최적 설계를 위한 복합 측정시험장치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LED무영등을 설계 개발함에 있어 중요한 설계인자를 편리하게 측정 시험하여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함으로써 고품질의 LED무영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영등(無影燈)이란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조명장치”로서 주로 치과의 유니트체어나 병원의 수술실 천정 등에 설치되어 환자의 구강이나 수술 부위에 광원을 집중해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치료나 수술 시 의료진이 최적의 상태에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필수 의료기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영등은 종래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할로겐무영등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조명효율이 높고 무영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수명이 길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친환경적인 광원이라는 여러가지 장점들로 인하여 최근 들어서는 LED소자를 이용한 LED무영등이 기존 할로겐무영등을 대체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도 9에는 LED무영등을 구성하는 LED조명모듈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LED무영등은 이러한 LED조명모듈 다수 개가 무영등케이스에 배열 조합됨으로써 최종적인 LED무영등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도 9에 일 예로서 도시된 LED조명모듈은, 모듈케이스(1)의 전단에 렌즈(2)가 결합되고, 모듈케이스(2)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2)의 후단에 리플렉터(3)와, 도파로(4)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모듈케이스(1)의 후단에는 LED소자를 실장한 LED기판(도면 미도시)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LED조명모듈을 최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렌즈의 형상, 렌즈와 도파로 사이의 거리(초점거리), 도파로의 크기와 길이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인자에 대한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상기와 같이 LED조명모듈을 설계할 때 다양한 설계인자들에 대한 측정 시험을 통하여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측정시험용 장치가 전혀 개발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설계인자들에 대한 최적의 설계값들을 용이하게 측정 시험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LED무영등을 설계 개발함에 있어 중요한 설계인자인 렌즈형상, 초점거리, 도파로 형상 등을 간편하게 변경 또는 교체시켜 가면서 복합적으로 측정 시험하여 중요 설계인자에 대한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이며 신뢰성이 높은 고품질의 LED무영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LED무영등의 최적 설계를 위한 측정시험장치로서, 위치가 고정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고정렌즈부와, 상기 고정렌즈부의 후방에서 위치가 변위되며, LED광을 출사하는 가변LED유닛부와, 상기 고정렌즈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사된 LED광이 조사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렌즈부는 전후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형의 통로가 형성된 고정케이싱과, 상기 고정케이싱의 개방된 전단에 장착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LED유닛부는 상기 고정케이싱의 후단을 통해 상기 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케이싱과, 상기 이동케이싱의 전단에 장착되는 리플렉터와, 상기 이동케이싱의 후단에 구비되는 LED기판과, 상기 리플렉터와 LED기판 사이의 이동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도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싱의 전단에는 상기 렌즈의 날개단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단턱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지지된 렌즈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파로는 “ㄱ”자 형태를 가지면서 일단에는 연장부가 돌출됨과 함께 타단에는 상기 연장부의 슬라이딩 진입이 가능한 요입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칭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 상호간의 대칭적인 승강을 통해 도파로의 상하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 각각에 상하방향 대칭으로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와, 상기 이동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상하단과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치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가 연동되면서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가 상호 대칭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케이싱의 내부에는 상하좌우 대칭적인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공간부의 상하좌우측에 상기 도파로를 감싸 지지할 수 있는 네 개의 인서트부재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인서트부재가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의해서, 상하좌우 다양한 크기를 갖는 도파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케이싱은, 전단에 상기 리플렉터가 장착되는 메인케이싱과, 후단에 상기 LED기판이 구비되는 백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과 백케이싱 사이에 결합이 되는 다수의 중간케이싱으로 분할됨과 함께, 상기 도파로는, 상기 메인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도파로와, 상기 백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백도파로, 및 상기 중간케이싱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중간도파로로 분할되어, 상기 중간케이싱이 선택적인 갯수로 결합됨에 의해서 상기 도파로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의 렌즈를 편리하게 교체 장착할 수 있고, 교체 장착된 각 렌즈에 대한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측정시험할 수 있으므로 렌즈 형상에 따른 초점거리의 최적 설계데이터를 용이하게 측정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파로의 크기와 길이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므로 도파로의 형상에 따른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용이하게 측정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렌즈의 형상, 초점거리, 도파로의 형상 등에 대한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통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고품질의 LED무영등을 설계 개발할 수 있게 되는 최종적인 장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렌즈부와 가변LED유닛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파로의 크기 조절을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도파로의 크기 조절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파로의 길이 조절을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는 고정렌즈부(100)와, 가변LED유닛부(200)와, 광조사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렌즈부(100)는 그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정렌즈부(100)는 고정케이싱(110)과, 렌즈(120)와, 고정링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싱(110)은 위치가 고정된 케이스로서, 그 전후단은 개방이 되고, 내부에는 중공형의 통로(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케이싱(110)의 개방된 전단에는 상기 렌즈(120)의 날개단(121)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해주는 지지단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120)는 상기 고정케이싱(110)의 전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렌즈(120)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케이싱(110)의 전단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렌즈(120)의 테두리에는 그 크기와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날개단(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렌즈(120)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교체되더라도 날개단(121)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므로 상기 고정케이싱(110)의 지지단턱(112)에 동일하게 안착 지지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체(130)는 상기 지지단턱(112)에 지지된 상기 렌즈(12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고정링체(130)는 상기 렌즈(120)가 지지단턱(112)에 안착되어 지지된 상태일 때, 고정케이싱(110)의 전단에 결합되어 렌즈(120)의 날개단(121)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렌즈(120)가 고정케이싱(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링체(130)는 고정시킨 렌즈(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고정케이싱(110)의 전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한 일 예로서 상기 고정링체(130)는 고정링체 볼트(131)를 통해 고정케이싱(110)의 전단에 결합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변LED유닛부(200)는 상기 고정렌즈부(100)의 후방에 위치되며, 그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변위가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가변LED유닛부(200)는 이동케이싱(210)과, 리플렉터(220)와, LED기판(230)과, 도파로(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케이싱(210)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케이싱(210)은 상기 고정케이싱(110)의 개방된 후단을 통해 고정케이싱(110)의 통로(111) 내부로 삽입이 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하면서 변위가 된다.
이러한 이동케이싱(21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하여, 상기 이동케이싱(210)의 하부에는 직선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이동수단으로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다양한 기술구성이 적용 가능한데, 그 일 예로서는 직선구조를 갖는 레일과, 상기 레일과 볼들에 의해 접촉하면서 전후진 직선이동을 하는 블록(21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LM가이드(211, LM guide)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케이싱(210)의 전후진 이동량에 따른 변위량을 측정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케이싱(210)에는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된 변위센서(도면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220)는 상기 이동케이싱(210)의 전단에 장착된다.
상기 리플렉터(220)는 그 중앙에 투광홀(221)이 형성되어 후방의 도파로(240)를 통해 전송된 광을 통과시키고, 전방의 렌즈(120)에서 굴절되어 되돌아오는 광을 다시 렌즈(120)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리플렉터(220) 또한 다양한 크기의 투광홀(221)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투광홀(221)을 갖는 리플렉터(220)로 교체 가능하게 상기 이동케이싱(110)의 전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서, 상기 리플렉터(220)는 리플렉터 볼트(222)를 통해 이동케이싱(110)의 전단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이 될 수 있다.
상기 LED기판(230)은 상기 이동케이싱(210)의 후단에 구비된다.
상기 LED기판(230)은 LED광을 출사하는 광원으로서, LED소자가 실장된 PCB기판으로 이루어지며,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된다.
상기 도파로(240)는 상기 전단의 리플렉터(220)와 후단의 LED기판(230) 사이의 이동케이싱(21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도파로(240)는 상기 LED기판(230)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해서 전방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파로(240)의 내부 표면들에는 광을 반사해서 전송할 수 있도록 반사율이 높은 금, 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반사 물질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과 같이 렌즈(120)가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케이싱(110)의 후방에서 리플렉터(220), 도파로(240), LED기판(230)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이동케이싱(210)이 삽입되어 그 위치가 변위되므로, 렌즈(120)와 도파로(240) 사이의 거리, 즉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조사부(300)는 상기 렌즈고정부(100)의 전방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광조사부(300)는 상기 가변LED유닛부(200)에서 출사되어 고정렌즈부(100)의 렌즈(120)를 통과한 광이 조사됨으로써 화망이 형성되는 수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조사부(300)에는 형성되는 화망의 크기 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십자선 형태를 이루면서 ㎜ 단위가 기재된 치수선(31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측정시험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가 고정된 고정렌즈부(100)의 고정케이싱(110)에 측정하고자 하는 렌즈(120)를 장착한다.
여기서, 렌즈(120)의 장착은 먼저 렌즈(120)의 날개단(121)을 고정케이싱(110)의 지지단턱(112)에 안착시켜 지지단턱(112)에 지지되도록 한 후에, 고정링체 볼트(131)을 이용하여 고정케이싱(110)의 선단에 고정링체(130)를 결합시켜 줌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렌즈(120)를 고정링체(13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리플렉터(220), LED기판(230), 도파로(240)가 구비된 상기 가변LED유닛부(200)의 이동케이싱(210)을 상기 고정케이싱(110)의 통로(111)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LED기판(23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광이 출사되도록 한 후에, 상기 이동케이싱(210)을 변위시켜 렌즈(120)와 도파로(240) 사이의 거리(즉,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각각의 초점거리에서 광조사부(300)에 조사된 화망의 상태, 예컨대, 조도량이나 조도의 균일도 등을 측정한다.
여기서, 광조사부(300)에 조사된 화망의 조도는 당해기술분야에서 주지된 조도측정기(도면 미도시)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조도의 균일도는 화망의 센터에서 측정한 조도량과 센터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예를 들어, 좌 70㎜ 지점, 우 좌 70㎜ 지점)에서 측정한 조도량을 상호 비교하여 조도의 분포량을 평가함으로써 측정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초점거리를 다양하게 변화시켜가면서 각 초점거리에서의 조도량, 조도의 균일도 등의 화망상태를 반복 측정함으로써 상기 렌즈(120)의 초점거리에 대한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렌즈(120)를 교체 장착하여 상기와 같은 측정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렌즈에 대한 초점거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120)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케이싱(210)에 장착되는 리플렉터(220)를 다양한 투광홀(221)을 갖는 리플렉터(220)로 교체 장착함으로써 최적의 초점거리와 함께 리플렉터(220) 투광홀(221)의 최적 크기에 대한 설계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LED무영등의 최적 설계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초점거리 뿐만 아니라 도파로의 형상에 따른 최적의 데이터도 매우 중요한 설계인자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파로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면서 화망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도파로(240)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일 실시예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도파로(240)는 “ㄱ”자 형태를 가지면서 상호 대칭으로 결합이 되는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의 일단에는 연장부(24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장부(242)의 슬라이딩 진입이 가능한 요입홈부(24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도파로(240)는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 상호간의 대칭적인 승강을 통해서 상하방향의 크기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가 대칭적인 승강을 하면서 도파로(240)의 상하방향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양단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연장부(242)와 요입홈부(243)로 인하여 그 내부는 계속적으로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도파로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도파로(240)는 로드부재(244)와, 레버부재(245)와, 기어치합부(246)로 구성된 크기조절수단을 통해 작동이 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재(244)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에 상하방향 대칭으로 나사 체결이 되고, 그 단부는 이동케이싱(210)의 외측까지 연장이 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245)는 상기 이동케이싱(210)의 외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중앙에는 회전레버(245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어치합부(246)는 상하측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부재(245)의 상하단과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244)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레버부재(245)의 회전력을 상기 로드부재(244)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회전레버(245a)를 돌려 레버부재(245)가 회전되면 그에 따라 상하측 한 쌍의 기어치합부(246)를 통하여 한 쌍의 로드부재(244)에도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한 쌍의 로드부재(244) 또한 연동 회전이 된다.
따라서, 한 쌍의 로드부재(244)의 회전방향에 따라 나사 체결된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는 상호 대칭적인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도파로(240)의 상하방향 크기가 증감되는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에는 상기 로드부재(244)의 회전을 통하여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가 대칭적인 승강을 하면서 도파로(240)의 상하방향 크기가 증가되는 작동이 일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도파로(240)의 상하방향의 크기 조절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241)의 방향을 상하가 아닌 좌우로 바꾸고 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로드부재(244), 레버부재(245), 한 쌍의 기어치합부(246) 또한 그 설치방향을 수평하게 변경시킴으로써 도파로(240)의 좌우방향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설계변경의 범위 내에서 당연히 가능함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파로의 크기 조절을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 6과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도파로(240)를 교체하여 이동케이싱(210)에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동케이싱(210)의 내부에는 단차공간부(250)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공간부(250)에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인서트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공간부(250)는 도 6에 일 예시로서 도시된 것처럼, 상하좌우에 대칭적인 계단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이 된다.
상기 인서트부재(260)는 상기한 형태를 갖는 단차공간부(250)의 상하좌우측에 네 개가 끼워지면서 그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도파로(240)를 감싸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상기 단차공간부(250)에 다양한 크기의 인서트부재(260) 네 개를 선택적으로 끼워주게 되면, 네 개의 인서트부재(260)에 의해 감싸져 지지되는 공간(즉, 도파로(240)의 삽입 공간)의 크기 또한 변경되므로, 그에 따라 상하좌우 다양한 크기를 갖는 도파로(240)를 상기 인서트부재(260)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a)와 (b)에는 각각 상이한 인서트부재(260)를 이용하여 상하좌우 다른 크기의 도파로(240)를 삽입 설치한 것이 일 예로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통하여 도파로(240)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 조절할 수 있으며, 그러한 도파로(240)의 크기 변화에 따른 화망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도파로(240) 크기에 대한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8에는 도파로(2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도파로(240)의 길이 조절을 위해서, 상기 이동케이싱(210)은 단일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케이싱(210a)과, 백케이싱(210b), 및 다수의 중간케이싱(210c)로 분할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케이싱(210a)에는 전단에 상기 리플렉터(220)가 장착되고, 상기 백케이싱(210b)에는 후단에 상기 LED기판(230)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중간케이싱(210c)은 상기 메인케이싱(210a)과 백케이싱(210b) 사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볼트 체결을 통해 결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파로(240) 또한 단일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동케이싱(210)이 분할 구성되는 것에 대응하여 메인도파로(240a)와, 백도파로(240b), 및 다수의 중간도파로(240c)로 분할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도파로(240a)는 상기 메인케이싱(210a)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파로 부분이고, 상기 백도파로(240b)는 상기 백케이싱(240b)의 내부에 구비되는 도파로 부분이며, 상기 다수의 중간도파로(240c)는 상기 다수의 중간케이싱(210c)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도파로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상기 메인케이싱(210a)과 백케이싱(210b) 사이에 중간케이싱(210c)의 갯수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전체적인 도파로(24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도파로(24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도파로(240)의 길이 변화에 따른 화망의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도파로(240) 길이에 대한 최적의 설계데이터를 얻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는 다양한 형상의 렌즈, 초점거리, 도파로의 형상 등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교체해 가면서 화망의 조도량이나 균일도 등을 반복 측정함으로써 중요한 설계인자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및 최적의 설계값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최적의 설계값을 통하여 LED무영등을 최적으로 설계 개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있고 안정적인 고품질의 LED무영등을 개발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고정렌즈부
110: 고정케이싱 111: 통로
112: 지지단턱 120: 렌즈
121: 날개단 130: 고정링체
200: 가변LED유닛부
210: 이동케이싱 220: 리플렉터
221: 투광홀 230: LED기판
240: 도파로 241: 분할도파로부재
242: 연장부 243: 요입홈부
244: 로드부재 245: 레버부재
246: 기어치합부 250: 단차공간부
260: 인서트부재
300: 광조사부 310: 치수선
210a: 메인케이싱 210b: 백케이싱
210c: 중간케이싱 240a: 메인도파로
240b: 백도파로 240c: 중간도파로

Claims (7)

  1. LED무영등의 최적 설계를 위한 복합 측정시험장치로서,
    위치가 고정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고정렌즈부;
    상기 고정렌즈부의 후방에서 위치가 변위되며, LED광을 출사하는 가변LED유닛부;및
    상기 고정렌즈부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사된 LED광이 조사되는 광조사부;를 포함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렌즈부는,
    전후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형의 통로가 형성된 고정케이싱과, 상기 고정케이싱의 개방된 전단에 장착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LED유닛부는,
    상기 고정케이싱의 후단을 통해 상기 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되는 이동케이싱과, 상기 이동케이싱의 전단에 장착되는 리플렉터와, 상기 이동케이싱의 후단에 구비되는 LED기판과, 상기 리플렉터와 LED기판 사이의 이동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도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싱의 전단에는 상기 렌즈의 날개단이 안착 지지되는 지지단턱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지지된 렌즈를 고정시키는 고정링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는
    “ㄱ”자 형태를 가지면서 일단에는 연장부가 돌출됨과 함께 타단에는 상기 연장부의 슬라이딩 진입이 가능한 요입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칭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 상호간의 대칭적인 승강을 통해 도파로의 상하방향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 각각에 상하방향 대칭으로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와, 상기 이동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레버부재의 상하단과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기어치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가 연동되면서 한 쌍의 분할도파로부재가 상호 대칭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싱의 내부에는 상하좌우 대칭적인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공간부의 상하좌우측에 상기 도파로를 감싸 지지할 수 있는 네 개의 인서트부재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인서트부재가 선택적으로 끼워짐에 의해서, 상하좌우 다양한 크기를 갖는 도파로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싱은, 전단에 상기 리플렉터가 장착되는 메인케이싱과, 후단에 상기 LED기판이 구비되는 백케이싱과, 상기 메인케이싱과 백케이싱 사이에 결합이 되는 다수의 중간케이싱으로 분할됨과 함께,
    상기 도파로는, 상기 메인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도파로와, 상기 백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백도파로, 및 상기 중간케이싱 각각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중간도파로로 분할되어,
    상기 중간케이싱이 선택적인 갯수로 결합됨에 의해서 상기 도파로의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무영등 복합 측정시험장치.

KR1020120103814A 2012-09-19 2012-09-19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34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14A KR101334168B1 (ko) 2012-09-19 2012-09-19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14A KR101334168B1 (ko) 2012-09-19 2012-09-19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168B1 true KR101334168B1 (ko) 2013-11-29

Family

ID=4985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8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4168B1 (ko) 2012-09-19 2012-09-19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1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892A (ko) * 1990-12-19 1992-07-28 원본미기재 광학부품 특히 눈을 위한 광학부품의 검사방법 및 장치와 청정하고 투명한 검사 물체의 조명장치
JP2007088377A (ja) * 2005-09-26 2007-04-05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20080053072A (ko) * 2006-12-08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검사장치
JP4340625B2 (ja) * 2002-04-23 2009-10-07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アデレード 光学検査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2892A (ko) * 1990-12-19 1992-07-28 원본미기재 광학부품 특히 눈을 위한 광학부품의 검사방법 및 장치와 청정하고 투명한 검사 물체의 조명장치
JP4340625B2 (ja) * 2002-04-23 2009-10-07 ザ ユニバーシティー オブ アデレード 光学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2007088377A (ja) * 2005-09-26 2007-04-05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20080053072A (ko) * 2006-12-08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791B1 (ko)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 방법
JP6154153B2 (ja) 標準光源および測定方法
US10180240B2 (en) Illumination devices with adjustable optical elements
PT2019250E (pt) Disposição para iluminação da via pública
BRPI0917555B1 (pt) aparelho de iluminação
US10976013B2 (en) Elongate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system
KR20130091242A (ko) Led 조명 기구
JP2004519815A (ja) 照明器具
JP2010161033A (ja) 照明装置
JP2010272358A5 (ko)
JP2015521780A (ja) 発光装置、および光供給方法
KR101334168B1 (ko) 엘이디 무영등의 복합 측정시험장치
JP2010102891A (ja) 照明器具
JP6919860B2 (ja) 壁面照射用のラン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10288262B2 (en) Solid state lighting device with an adjustable reflector
KR20110099355A (ko) 적분구 광도계 및 그 측정방법
US20060082997A1 (en) Illumination device
KR101551312B1 (ko) 리플렉터 무영등의 멀티 싱크 포커싱 장치
JP2012081058A (ja) 医療用照明装置
CN212016048U (zh) 一种医用吊塔
KR101200812B1 (ko) 조사방향 가변형 엘이디 조명등기구
JP2021192001A (ja) 配光検査装置
KR20110076099A (ko) 빔 조절가능 벽등
JP2005129517A (ja) Led照明器具およびled非常灯
KR20180029397A (ko) 각도조절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