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4070B1 -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070B1
KR101334070B1 KR1020120102219A KR20120102219A KR101334070B1 KR 101334070 B1 KR101334070 B1 KR 101334070B1 KR 1020120102219 A KR1020120102219 A KR 1020120102219A KR 20120102219 A KR20120102219 A KR 20120102219A KR 101334070 B1 KR101334070 B1 KR 10133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onnector
pin
ro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응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201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0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07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는 서로 상대회전되어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의 하우징(21,31)에는 원형의 접촉패턴(23)과 상기 접촉패턴(23)에 접촉되는 접촉핀(33)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사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원형의 접촉패턴(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선이나 신호선이 꼬이지 않도록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등에서 디스플레이부나 회전부를 360도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a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constituting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360 degrees. To this end, the housings 21 and 31 of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provided with a circular contact pattern 23 and a contact pin 33 contacting the contact pattern 23. The contact pin 33 maintains the contact state while moving along the circular contact pattern 23 by the rot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isplay unit or the rotating unit to rotate 360 degrees in a monitor, a camera, a camcorder or the like so that the power line or the signal line is not twisted.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회전장치{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a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커넥터조립체는 제1 및 제2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원 및 신호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넥터조립체는 예를 들면 전원과 부하, 제어부와 피제어부 사이의 전원 및 신호의 연결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In the connector assemb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a power and signal connection. The connector assembly, for example, facilitates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power source and the load, the power source and the signal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led part.

한편, 기존의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등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나 신호를 획득하는 부분이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등의 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신호를 획득하는 부분이 몸체에 대해 360도 회전하게 되면 전원 및 신호연결선이 감겨져서 꼬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체로는 디스플레이부나 신호를 획득하는 부분이 몸체에 대해 360도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불편한 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isting monitors, cameras, camcorders, notebooks,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or the part acquiring the signal is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body of the monitor, camera, camcorder, notebook, and the like. However, when the display unit or the part acquiring the signal rotates about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the power and signal connection lines are wound to cause twisting. Therefore, in general,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display unit or the part acquiring the signal is not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여기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모니터를 참고하여 위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모니터(1)는 몸체(2)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판(3)과 상기 받침판(3) 상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으로 구성된다.Here, the above probl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onitor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nitor 1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3 on which the body 2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column 5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3.

상기 지지기둥(5)에는 연결부(6)를 통해 디스플레이부(7)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6)는 상기 지지기둥(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기 연결부(6)는 상기 지지기둥(5)에 일체로 되고, 상기 지지기둥(5)이 상기 받침판(3)에 대해 회전하거나, 지지기둥(5)중에서 상기 받침판(3)쪽에 연결된 부분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부(7)측에 연결된 부분이 상대 회전되도록 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7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olumn 5 through the connection unit 6. The connecting portion 6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5. Of course, the connecting portion 6 is integral to the support pillar 5, the support pillar 5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3, or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3 side of the support pillar (5)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7 side may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디스플레이부(7)에는 전원선(9)와 신호선(9')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선(9)은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선(9')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선(9)과 신호선(9')은 모니터(1)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A power line 9 and a signal line 9 'ar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7, and the power line 9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the signal line 9' is connected to a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example, a computer) to provide. The power supply line 9 and the signal line 9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7 in the monitor 1.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에 상기 전원선(9)과 신호선(9')이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7)가 상기 몸체(2)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선(9)과 신호선(9')이 상기 지지기둥(5)에 감아지게 된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부(7)가 상기 몸체(2)에 대해 360도 회전가능하여 한 방향으로 360도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원선(9)과 신호선(9')이 상기 지지기둥(5)에 감겨진다. 따라서,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7)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원선(9)과 신호선(9')이 상기 지지기둥(5)에 감겨져 꼬이게 되고, 더 이상 그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In this structure, since the power line 9 and the signal line 9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7, when the display unit 7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ody 2, FIG. As indicated, the power supply line 9 and the signal line 9 'are wound around the support pillar 5. If the display unit 7 is rotatabl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2 and rotates 360 degrees in one direction, the power line 9 and the signal line 9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illar 5. It is wound. Therefore, when the display unit 7 continues to rotate in one direction, the power line 9 and the signal line 9 'are wound around the support pillar 5 and twisted, and thus no longer rotate in that direction. May be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계속하여 이루어지면서도 전원 및 신호전달이 가능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and signals while continuously rotating 360 degrees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커넥터조립체를 사용하여 몸체나 제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부나 피제어부가 360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tating device which can rotate the display unit or the controlled unit by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or the control unit using th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하우징을 관통해서 전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결라인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하우징을 관통해서 전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결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해 360도 회전되며 연결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서로 결합시 마주보는 각각의 선단면에는 원형으로 된 접촉패턴과 이에 접촉되는 접촉핀이 구비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first housing,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second housing. A second connection line is provided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or which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or, and is connected to each front end 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n coupled to each other. A pattern and a contact pin in contact therewith are provided.

다른 예에서, 상기 접촉핀은 핀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된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act pin is supported by the pin elastic memb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attern.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촉패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핀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핀홈에 안착되도록 곡면으로 된 접촉면이 형성된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act pattern is formed with a pin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pi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ttern and seated in the pin groov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걸이볼이 볼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공간의 내면의 원주를 따라 상기 걸이볼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된다.In another example, a hook ball is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ball-elastic member so as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hook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of the second housing do.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촉패턴은 다수개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핀은 상기 각각의 접촉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In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tact patterns may be provided to form concentric circles, and the contact pins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ct patterns.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에는 서로 대응되게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구비된다.In another exampl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enter hole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axis and the rotation center axis are inser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회전장치는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선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대해 360도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몸체부 쪽에 구비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을 관통해서 상기 선과 연결되는 제1연결라인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회전부 쪽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을 관통해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라인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원형으로 된 접촉패턴과 상기 접촉패턴에 접촉되는 접촉핀이 구비된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ody portion having a line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rotating portion installed to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line through a first housing forming a frame and a second housing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 and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form a frame and the second housing. A second connector having a second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through the second connecto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face each other and have a circular contact pattern and a contact pin contacting the contact pattern; Is provided.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촉핀은 핀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된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act pin is supported by the pin elastic memb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attern.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촉패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핀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핀홈에 안착되도록 곡면으로 된 접촉면이 형성된다.In another example, the contact pattern is formed with a pin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ront end of the contact pi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curved surfa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ttern and seated in the pin groov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에는 상기 제1하우징이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걸이볼이 볼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의 원주를 따라 상기 걸이볼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된다.In another example, a coupling space into which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a hook ball is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ball-elastic member so as to protrude toward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hook groove in which the hook ball is walke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접촉패턴은 다수개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핀은 상기 각각의 접촉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In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contact patterns may be provided to form concentric circles, and the contact pins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ct patterns.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에는 서로 대응되게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구비된다.
In another exampl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with a rotation center hole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axis and the rotation center axis are inser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회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and the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그 구성품인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각각의 선단면에 있는 접촉패턴과 접촉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상대 회전하면서도 전원과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므로,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직접 전원과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전원과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which are components thereof,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tact pattern and a contact pin on each end surface thereof, so that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while power and signal can be transmitted. The power and signal can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so that power and signals can be transmitted in various environments.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에서는 제1커넥터의 접촉핀이 핀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제2커넥터의 접촉패턴에 밀착되므로 접촉핀과 접촉패턴 사이의 전원 및 신호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pin of the first connector is supported by the pin elastic memb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attern of the second connector, the power and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pin and the contact pattern is more reliably performed. .

이에 더해, 상기 접촉패턴에는 상기 접촉핀의 선단에 형성된 곡면이 안착되는 핀홈이 있어 접촉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어 전원 및 신호연결성이 더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attern has a pin groove in which the curved surface formed at the tip of the contact pin is seated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thereby improving power and signal conne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를 사용하면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등에서 몸체와 디스플레이부 또는 제어부와 피제어부 사이가 360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이들 제품의 사용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body and the display unit or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led unit can be rotated 360 degrees in a monitor, a camera, a camcorder, a notebook, and the lik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se product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니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모니터의 문제점을 보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커넥터의 접촉패턴의 구성을 보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촉핀과 접촉패턴의 접촉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를 구비하는 회전장치가 모니터에 적용된 것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monitor shown in FIG.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pattern of the second connector shown in FIG.
Figure 7 is a use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pin and the contact pattern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rotary device having a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onito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커넥터조립체를 가진 회전장치로서 모니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회전장치로는 카메라, 노트북, 캠코더 등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onitor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rotary device having a connector assembly. The rotating device may be a variety of cameras, notebooks, camcorders, and the like.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하우징(21)을 관통해서 전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결라인(25)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20)와, 상기 제1하우징(21)이 내부에 삽입되는 제2하우징(31)을 관통해서 전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결라인(43)이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20)에 대해 360도 회전되며 연결되는 제2커넥터(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31)의 서로 결합시 마주보는 각각의 단면에는 원형으로 된 접촉패턴(23)과 이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핀(33)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20 having a first connection line 25 passing through the first housing 21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an external device. A second connecting line 43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housing 31 into which the first housing 21 is inserted, and rotates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or 20. It includes a second connector 30 is connected, each of the first housing 21 and the second housing 31 facing each other when coupl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the circular contact pattern 23 in a circular shap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A contact pin 33 is provided to be connected.

이와 같은 커넥터조립체를 보다 상세하게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로 구성된다. 이들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는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를 서로에 대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Such a connecto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or 20 and a second connector 30. Thes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is configured to allow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먼저, 제1커넥터(20)의 골격과 외관을 제1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21)은 원기둥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제1하우징(21)이 반드시 원기둥 형상일 필요는 없다. 즉,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31)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32)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간(32)은 원통형상으로 되는 것이 좋지만, 제1하우징(21)의 외관까지 원기둥형상일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21)의 횡단면은 원에 가까운 다각형상으로 되어도 상관없다.First, the first housing 21 forms a skeleton and an appearance of the first connector 20. The first housing 21 is cylindrical. However, the first housing 21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coupling space 32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tip of the second housing 31 to be described below, the coupling space 32 is preferably a cylindrical shape, but to the appearance of the first housing 21 is a cylinder It does not have to be a shape. 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housing 21 may have a polygonal shape close to a circle.

상기 제1하우징(21)의 선단면에는 접촉패턴(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패턴(23)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패턴(23)은 상기 제1하우징(21)에 직접 형성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형성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패턴(23)은 다수개가 동심원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A contact pattern 23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The contact pattern 23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tact pattern 23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first housing 21 or may be formed on a separate substrate. The contact patterns 23 are arranged to constitute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Such a structure is well illustrated in FIG.

한편, 상기 접촉패턴(23)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홈(23')은 상기 접촉패턴(23)이 형성된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만들어진다. 즉, 대략 반구형상으로 상기 핀홈(23')이 만들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attern 23 is formed with a fin groove (23 ')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in groove 23 ′ is made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contact pattern 23 is formed is recessed. That is, the pin groove 23 'is made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상기 제1하우징(2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1연결라인(2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라인(25)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21)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라인(25)은 일종의 전선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first connection line 25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21. The first connection line 25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21 to be integrated. The first connection line 25 may be a kind of wire.

상기 제1하우징(21)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걸이볼(27)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볼(27)은 상기 제1하우징(21)의 내부에 위치되어 그 일부만이 제1하우징(21)의 외측면으로 돌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21)에서 상기 걸이볼(27)이 외부로 돌출되는 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의 직경을 상기 걸이볼(27)의 직경보다 작게 하였다. 상기 걸이볼(27)은 상기 제1하우징(21)의 내부에서 볼탄성부재(28)에 의해 지지되어 일부가 상기 제1하우징(21)의 외측면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볼(27)이 4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Hook ball 27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The hook ball 27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housing 21, and only a part of the hook ball 27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To this end,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not show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ok ball 27 in the first housing 2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ok ball 27. The hook ball 27 is supported by the ball-elastic member 28 inside the first housing 21, and a part of the hook ball 27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In this embodiment, four hook balls 27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제2커넥터(30)는 그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31)의 내부에는 선단으로 개방되게 결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32)에는 상기 제1하우징(21)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공간(32)의 형상은 상기 제1하우징(21)의 삽입되는 부분과 대응되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되게 상기 결합공간(32)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31)의 외관형상은 상기 결합공간(32)이 상기 제1하우징(31)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형상만 된다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The second housing 30 ha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formed by the second housing 31. A coupling space 32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1 to be opened to the tip. A part of the first housing 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32. The shape of the coupling space 32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21 is inserted.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space 32 is made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housing 31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coupling space 32 has only a shape in which the first housing 31 can be inserted and rotated.

상기 결합공간(32)의 내면에는 걸이홈(3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32')은 상기 결합공간(32)의 내면을 둘러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홈(32')에는 상기 제1하우징(21)의 걸이볼(27)이 걸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걸이홈(32')에 상기 걸이볼(27)이 걸어져서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회전은 자유롭게 가능하지만,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는 않는다.A hook groove 32 ′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32. The hook groove 32 ′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surrou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32. The hook ball 27 of the first housing 21 is hooked to the hook groove 32 ′. Whe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such a structure, the hook ball 27 is hooked to the hook groove 32 'so that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hooked up. Rotation between the 30 is freely possible, bu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is not easily released.

참고로, 상기 걸이볼(27)과 걸이홈(32')의 구조는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결합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결합되어 있도록 하는 구조는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다. 즉, 걸이볼(27) 대신에 제1하우징(21)의 외면에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돌기를 두고, 이 돌기가 상기 채널형상으로 된 걸이홈(32')에 걸어지는 구조로 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structure of the hook ball 27 and the hook groove 32 'serves to allow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may have various structures in addition to those shown. That is, instead of the hook ball 27, a protrusion capable of some elastic de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and the protrusion may be hooked to the hook groove 32 'having the channel shape. .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21)에는 그 회전중심에 회전중심축(21')이 있고, 제2하우징(31)에는 상기 회전중심축(21')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31')이 상기 결합공간(32)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21')과 상기 회전중심공(31')은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housing 21 has a center of rotation 21 'at its center of rotation, and the second center 31 has a center of rotation (rotating center hole 21') inserted therein ( 31 ')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32). The center of rotation shaft 21 ′ and the center of rotation hole 31 ′ serve to guide rot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상기 제2하우징(31)의 결합공간(32)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접촉핀(33)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각각의 접촉패턴(2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접촉패턴(23)의 갯수와 같은 갯수가 있으면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접촉패턴(23)에 2개의 접촉핀(33)이 있도록 했다. 그리고 상기 접촉핀(33)들은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A contact pin 33 is provided to protrude a tip into the coupling space 32 of the second housing 31. The contact pins 33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ct patterns 23. The number of the contact pins 33 should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contact patterns 23, but in this embodiment, two contact pins 33 are provided in one contact pattern 23. And although the contact pins 33 are arranged in a line,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상기 접촉핀(33)의 구성을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상기 접촉핀(33)의 골격을 핀몸체(35)가 형성한다. 상기 핀몸체(35)는 본 실시예에서는 봉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핀몸체(35)는 선단쪽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중간과 뒤쪽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핀몸체(35)의 선단과 중간 사이에는 단차가 있게 된다. 이 단차에 의해 지지단(35')이 만들어져 아래에서 설명될 핀탄성부재(41)의 일단부가 지지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tact pin 3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in body 35 forms a skeleton of the contact pin 33. The pin body 35 is made in the shape of a rod in this embodiment. The pin body 35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t the tip end thereof and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t the middle and back sides thereof. Therefore, there is a step between the tip and the middle of the pin body (35). By this step, the support end 35 'is made and one end of the pin elastic member 41 to be described below is supported.

상기 핀몸체(35)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패턴(23)의 핀홈(23')에 안착되는 접촉면(37)이 곡면을 가지도록 반구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접촉면(37)이 반구형상으로 되어 상기 핀홈(23')에 안착되면 이들 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어 전원 및 신호연결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상기 접촉면(37)과 핀홈(23')의 결합은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At the tip of the pin body 35, the contact surface 37 seated in the pin groove 23 ′ of the contact pattern 23 has a hemispherical shape. When the contact surface 37 has a hemispherical shape and is seated in the pin groove 23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m becomes relatively wider, and thus the power and signal connection is more smoothly performed. Coupling of the contact surface 37 and the pin groove 23 ′ also serves to hold the shak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상기 핀몸체(35)의 후단에는 걸이단부(39)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단부(39)는 상기 핀몸체(35)의 후단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31)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공간(32)으로 상기 접촉핀(33)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단부(39)는 상기 핀몸체(35)와 별개로 만들어져 착탈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핀몸체(35)는 볼트와 같은 구성이고 상기 걸이단부(39)는 너트와 같은 구성으로 만들어서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는 상기 핀몸체(35)에서 선단의 접촉면(37)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부분을 이와 같이 만들어서 핀몸체(35)에서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pin body 35 is provided with a hook end (39). The hook end 39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rear end of the pin body 35 so that the contact pin 33 does not randomly fall into the coupling space 32 in the second housing 31. It plays a role. The hook end 39 may be made separate from the pin body 35 to be detachable. For example, the pin body 35 is a bolt-like configuration and the hook end 39 is made of a nut-like configuration to be detachable. Alternatively, a relatively large portion including the contact surface 37 at the tip end of the pin body 35 may be made to be detachable from the pin body 35.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접촉핀(33)을 상기 제2하우징(31)에 설치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면, 상기 핀몸체(35)가 상기 제2하우징(31)의 일측을 관통하고 걸이단부(39)가 상기 제2하우징(31)의 내부쪽에서 걸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핀몸체(35)가 관통하는 부분은 상기 제2하우징(31)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별개로 만들어서 제2하우징(3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부분의 표면은 상기 결합공간(3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In this way, the installation of the contact pin 33 in the second housing 31 is relatively easy. In FIG. 3, the pin body 35 penetrates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 and the hook end 39 is walked inward of the second housing 31. Here, the portion through which the pin body 35 penetrates a part of the second housing 31, but may be separately mounted and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31. The surface of this part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32.

상기 접촉핀(33)과 상기 결합공간(32)의 바닥면과의 사이에는 핀탄성부재(41)가 설치된다. 상기 핀탄성부재(41)는 원통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접촉핀(33)의 핀몸체(35)가 상기 결합공간(32)으로 돌출되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A pin elastic member 41 is installed between the contact pin 3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32. The pin elastic member 41 is a cylindrical coil spring, and provides a force for protruding the pin body 35 of the contact pin 33 into the coupling space (32).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제2하우징(31)의 내부에 있는 제2연결라인(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라인(43)은 상기 제1연결라인(25)과 같은 구성으로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제2연결라인(4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촉핀(33)과 상기 제2연결라인(43)은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걸이단부(39)의 외측면이 제2연결라인(43)과 접촉되어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제1커넥터(20)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제2연결라인(43)과 상기 접촉핀(3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걸이단부(39)의 후단면이 상기 접촉핀(33)이 후방으로 밀렸을 때, 상기 제2연결라인(43)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하면 된다.The contact pin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inside the second housing 31.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nnection line 25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The contact pin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The contact pin 33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may be alway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is e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end 39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and the contact pin 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nly when the first connector 20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0. The rear end surface of the hook end 39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line 43 when the contact pin 33 is pushed backward.

한편,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회전장치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회전장치의 예로서 모니터를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8 will be described the rotary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onitor is used as an example of the rotating device.

본 실시예의 회전장치는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선(119,119')이 구비되는 몸체부(111)와, 상기 몸체부(111)에 대해 360도 회전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인 회전부(117)와, 상기 몸체부(111) 쪽에 구비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31)을 관통해서 상기 선(119,119')과 연결되는 제1연결라인(25)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20)와, 상기 회전부(117) 쪽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21)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31)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31)을 관통해서 상기 회전부(117)와 연결되는 제2연결라인(43)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3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원형으로 된 접촉패턴(23)과 상기 접촉패턴(23)에 접촉되는 접촉핀(33)이 구비된다.The rotat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art 111 having lines 119 and 119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a rotating part 117 which is a display part installed to be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11, A first connector 20 provided at a side of the body part 111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line 25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housing 31 forming a skeleton and connected to the lines 119 and 119 '; The second connecting lin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otating part 117 and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21 forms a skeleton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housing 31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117. And a second connector 30 provided with 43, and a circular contact pattern 23 and the contact pattern 23 are formed on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21 and the second housing 31 facing each other. ) Is provided with a contact pin 33 in contact with it.

여기서는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의 것을 참조하고, 회전장치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모니터(110)인 회전장치는 몸체(11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회전부인 디스플레이부(117)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111)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판(112)에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112)에는 지지기둥(114)이 설치된다.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will be referred to the above, and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monitor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17 that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11. The body 111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112 supported on the ground, the support plate 112 is provided with a support pillar 114.

상기 지지기둥(114)에는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결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커넥터(20)는 상기 받침판(112)쪽에 해당되는 지지기둥(114)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7)쪽에 해당되는 지지기둥(114)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커넥터(20)와 결합된다.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the support pillar 114. That is, the first connector 2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pillar 114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late 112, and the second connector 30 is located in the support pillar 114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unit 117.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20.

상기 지지기둥(114)에는 연결부(116)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17)가 상기 지지기둥(114)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7)는 상기 연결부(116) 및 제2커넥터(30)와 함께 회전함에 의해 상기 몸체부(111)에 대해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상대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하다.The support pillar 114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16, so that the display unit 117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illar 114. The display unit 117 may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111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16 and the second connector 30. Such a configur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17)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부터 전원과 신호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112)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게 전원선(119)과 신호선(119')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선(119)과 신호선(119')은 상기 제1커넥터(30)의 제1연결라인(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Meanwhile, in order for the display unit 117 to perform its function, the display unit 117 must receive power and signals from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power line 119 and the signal line 119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112 to the outside. Is provided. The power line 119 and the signal line 119 ′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25 of the first connector 3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회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고 분리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커넥터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20)가 상기 제2커넥터(30)의 결합공간(32)의 입구에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볼(27)이 상기 제1하우징(21)의 외면으로 최대로 돌출된 상태이다.First, the connector assembly is coupled and separated with reference to FIG. 7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constituting the connector assembl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the first connector 20 is positioned at the inlet of the coupling space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In this state, the hook ball 27 protrud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to the maximum.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20)의 회전중심축(21')이 상기 제2커넥터(30)의 회전중심공(31')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 사이의 거리를 좁히면서 상기 제1커넥터(20)를 상기 제2커넥터(30)의 결합공간(32)으로 이동시킨다.Next,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first connector 20 in the state that the axis of rotation 21 'of the second connector 30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hole 31',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first connector 20 is moved to the coupling space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while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nnectors 30.

도 7의 (b)에는 상기 제1커넥터(20)의 선단 일부가 상기 결합공간(32)으로 들어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하우징(21)의 선단이 상기 제2하우징(31)의 결합공간(32)으로 들어갔고, 상기 회전중심축(21')이 상기 회전중심공(31')으로 일부 들어갔다. 이때, 상기 걸이볼(27)은 상기 볼탄성부재(28)를 약간 압축시킨 상태로 제1하우징(21)의 내부로 약간 들어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커넥터(20)의 접촉패턴(23)과 상기 제2커넥터(30)의 접촉핀(33)이 아직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다.FIG. 7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tip of the first connector 20 enters the coupling space 32.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21 enters the coupling space 32 of the second housing 31, and the rotation center shaft 21 ′ partially enters the rotation center hole 31 ′. At this time, the hook ball 27 is slightly enter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21 in a state in which the ball-elastic member 28 slightly compressed. In this state, the contact pattern 23 of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contact pin 33 of the second connector 30 are not in contact yet.

상기 제1커넥터(20)를 상기 제2커넥터(30)의 결합공간(32)으로 더 삽입하게 되면, 도 7의 (c)와 같은 상태로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커넥터(20)의 걸이볼(27)이 상기 제2커넥터(30)의 걸이홈(32')을 만나서 걸이홈(32')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중심축(21')은 상기 회전중심공(31')에 완전히 삽입된다.When the first connector 2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in the state shown in FIG. Are complet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hook ball 27 of the first connector 20 meets the hook groove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and is seated in the hook groove 32', and the rotation center shaft 21 '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center hole 31 '.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30)의 결합공간(32)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제1하우징(21)의 선단에 의해 밀려서 제2하우징(31)의 내부로 후퇴된다. 하지만, 상기 접촉핀(33)은 상기 핀탄성부재(41)에 의해 밀려서 상기 제1하우징(21)의 선단면, 즉 상기 접촉패턴(23)에 밀착된다.In addition, the contact pin 33 protruding into the coupling space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pushed back by the tip of the first housing 21 to be retracted into the second housing 31. . However, the contact pin 33 is pushed by the pin elastic member 4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1, that is, the contact pattern 23.

상기 접촉패턴(23)에 상기 접촉핀(33)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접촉핀(33)의 접촉면(37)이 상기 핀홈(23')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핀홈(23')이 없는 위치에 상기 접촉핀(33)이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제2커넥터(30)를 약간 회전시켜 주면 상기 핀홈(23')에 안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핀홈(23')에 상기 접촉핀(33)의 접촉면(37)이 안착되지 않더라도 접촉패턴(23)과 접촉핀(33) 사이의 밀착에 의해 전기연결 및 신호연결이 될 수 있다.When the contact pin 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attern 23, the contact surface 37 of the contact pin 33 may be seated in the pin groove 23 ′. Of course, when the contact pin 33 is in contact with the pin groove 23 ′, the second connector 30 may be slightly rotated to be seated in the pin groove 23 ′. However, even though the contact surface 37 of the contact pin 33 is not seated in the pin groove 23 ′, electrical contact and signal connection may be performed by clos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attern 23 and the contact pin 33.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중심축(21')과 회전중심공(31')을 중심으로 상기 제1커넥터(20)와 제2커넥터(30)가 서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대 회전은 상기 회전장치(110)에서 사용되면, 상기 회전부인 디스플레이부(117)를 몸체부(111)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7)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or 20 around the rotation center axis 21 'and the rotation center hole 31'. And the second connector 30 may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relative rotation is used in the rotating device 110, the display unit 117, which is the rotating unit, can be fre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111. That is, the 360 degre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17 is possible.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7)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7)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회전시키더라도 전원선(119)이나 신호선(119')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When the 360 degre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17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17 can be rotated freely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Even if the display unit 117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line 119 or the signal line 119 'is rotated. No kinks will occu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커넥터(20)의 제1하우징(21)에 접촉패턴(23)이 형성되고, 제2커넥터(30)의 제2하우징(31)에 접촉핀(33)이 설치되었으나, 이는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1커넥터(20)에 접촉핀(33)이 설치되고 제2커넥터(30)에 접촉패턴(23)이 형성되도록 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tact pattern 23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21 of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contact pin 33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 Is installed, but it may be installed in reverse. That is, the contact pin 33 is installed on the first connector 20 and the contact pattern 23 is formed on the second connector 30.

그리고, 상기 결합공간(32)의 경우도 제1커넥터(20)에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space 32 may also be formed in the first connector 20.

또한, 상기 회전중심축(21')과 회전중심공(31')의 형성 위치도 도면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할 수 있고, 치수정밀도의 설계가 정확하게 될 수 있다면, 상기 회전중심축(21')과 회전중심공(31')은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forma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21 'and the rotation center hole 31' can also be reversed from that shown in the drawing, and if the design of the dimensional accuracy can be made accurate, the rotation center axis 21 ' And the center of rotation (31 ') is not necessarily used.

20: 제1커넥터 21: 제1하우징
21': 회전중심축 23: 접촉패턴
23': 핀홈 25: 제1연결라인
27: 걸이볼 28: 볼탄성부재
30: 제2커넥터 31: 제2하우징
32: 결합공간 32': 걸이홈
33: 접촉핀 35: 핀몸체
35': 지지단 37: 접촉면
39: 걸이단부 41: 핀탄성부재
43: 제2연결라인 110: 회전장치(모니터)
111: 몸체부 112: 받침판
114: 지지기둥 116: 연결부
117: 디스플레이부(회전부)
20: first connector 21: first housing
21 ': center of rotation 23: contact pattern
23 ': pin groove 25: first connection line
27: hanger ball 28: ball elastic member
30: 2nd connector 31: 2nd housing
32: coupling space 32 ': hanging groove
33: contact pin 35: pin body
35 ': support end 37: contact surface
39: hook end 41: pin elastic member
43: second connection line 110: a rotating device (monitor)
111: body 112: support plate
114: support pillar 116: connecting portion
117: display unit (rotation unit)

Claims (13)

제1하우징을 관통해서 전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제1연결라인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제2하우징을 관통해서 전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제2연결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에 대해 360도 회전되며 연결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서로 결합시 마주보는 각각의 선단면에는 원형으로 된 접촉패턴과 이에 접촉되는 접촉핀이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A first connector having a first connection line penetrating the first housing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an external device;
A second connection line is provided through the second housing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or an external device, and includes a second connector that is rotated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ircular contact pattern and a contact pin conta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wh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face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은 핀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되는 커넥터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in is supported by the pin elastic member to closely contact the contact patter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핀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핀홈에 안착되도록 곡면으로 된 접촉면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3.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contact pattern has pin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tip of the contact pi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tter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커넥터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걸이볼이 볼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결합공간의 내면의 원주를 따라 상기 걸이볼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The hook groove of claim 4, wherein the hook ball is supported by the ball-elastic member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hook groove on which the hook ball is hu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of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Connector assembly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턴은 다수개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핀은 상기 각각의 접촉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커넥터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ontact patterns are provided to form concentric circles, and the contact pins ar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ct patter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에는 서로 대응되게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s provided with a center of rotation into which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center of rotation are insert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외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선이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대해 360도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부와,
상기 몸체부 쪽에 구비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을 관통해서 상기 선과 연결되는 제1연결라인이 구비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회전부 쪽에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하우징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을 관통해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라인이 구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원형으로 된 접촉패턴과 상기 접촉패턴에 접촉되는 접촉핀이 구비되는 회전장치.
A body part having a line for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rotating part installed to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A first connector provided on the body side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line penetrating the first housing forming a skeleton and connected to the line;
A second connector provided on the rotating part and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to form a skeleton and penetrate the second housing to include a second connecting lin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facing each other, the rotary device is provided with a circular contact pattern and a contact pin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atter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핀은 핀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되는 회전장치.
The rotating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contact pin is supported by the pin elastic member to closely contact the contact patter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핀의 선단에는 상기 접촉패턴에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핀홈에 안착되도록 곡면으로 된 접촉면이 형성되는 회전장치.
10. The rotating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a pin groove is formed in the contact patter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contact surface having a curved surfac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ontact pi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patter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atter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에는 상기 제1하우징이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걸이볼이 볼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결합공간의 내면의 원주를 따라 상기 걸이볼이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되는 회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with a coupling space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the hook ball is supported by the ball-elastic member so as to protrud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the coupling space Rotating device that the hook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bal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턴은 다수개가 동심원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접촉핀은 상기 각각의 접촉패턴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회전장치.
The rotating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a plurality of contact patterns are provided to form concentric circles, and the contact pins are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tact pattern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에는 서로 대응되게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구비되는 회전장치.The rotating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s provided with a center of rotation into which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center of rotation are inserted.
KR1020120102219A 2012-09-14 2012-09-14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1334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19A KR101334070B1 (en) 2012-09-14 2012-09-14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19A KR101334070B1 (en) 2012-09-14 2012-09-14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070B1 true KR101334070B1 (en) 2013-11-29

Family

ID=4985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4070B1 (en) 2012-09-14 2012-09-14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0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160U (en) * 1996-03-28 1997-10-13 Rotary Contact Device for Desktop Display
KR19980047775U (en)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Rotatable plug structure
JP2004531046A (en) * 2001-06-28 2004-10-07 サン−ドゥー リー, electrical plug
KR20100053548A (en) * 2007-08-08 2010-05-2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Spring-loaded contact for rotary interfa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160U (en) * 1996-03-28 1997-10-13 Rotary Contact Device for Desktop Display
KR19980047775U (en) * 1996-12-28 1998-09-25 김영환 Rotatable plug structure
JP2004531046A (en) * 2001-06-28 2004-10-07 サン−ドゥー リー, electrical plug
KR20100053548A (en) * 2007-08-08 2010-05-2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Spring-loaded contact for rotary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8086B2 (en) Data device with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TWI702361B (en) A ball joint
US9548560B2 (en) Connector
CN203690534U (en) Connecting device and portable payment device
US9841785B2 (en) Electronic device
US6814580B2 (en) Rotatable connector
US20150071590A1 (en) Rotatable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s
CN103972688B (en) swivel plug
CN105359344B (en) Plug-in connector
CN102097728A (en) Rotary connecting device
CN101849330A (en) Electric connector apparatus
US9748720B2 (en) Transmission shaft set, transmission shaft structure and metal pin connecting shaft
CN109314347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axial connector
CN219436323U (en) Plane slip ring, rotary conductive assembly and telescopic data line assembly
KR101334070B1 (en) Connector assembly and rotat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9982531A (en) Cable fixation kit
KR20200059992A (en) Floating RF connector
WO2019196599A1 (en) Vehicle-mounted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CN101615751A (en) 360 rotatory power plug of degree
JP2012164474A (en) Rotary connector
US8888523B2 (en) Extension apparatus for power outlet
KR20180000786U (en) Portable connector
JP3197062U (en) New rotary socket
CN110380300A (en) Vehicle-mounted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CN210576802U (en) Outdoor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