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33666B1 - 안테나 모듈 - Google Patents

안테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666B1
KR101333666B1 KR1020130094932A KR20130094932A KR101333666B1 KR 101333666 B1 KR101333666 B1 KR 101333666B1 KR 1020130094932 A KR1020130094932 A KR 1020130094932A KR 20130094932 A KR20130094932 A KR 20130094932A KR 101333666 B1 KR101333666 B1 KR 10133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lot
mobile terminal
cover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성
정호철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텍 filed Critical (주)드림텍
Priority to KR1020130094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66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모듈은 도체 부재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을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커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커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상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자기장의 영향으로 상기 안테나에 발생한 전자파는 상기 슬랏을 통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커버에 특정 무늬 패턴으로 슬랏을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에 의해 안테나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을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하여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모듈{ANTENNA MODU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전자파를 투과할 수 없다고 알려진 도전성을 가진 금속판에서 전자파가 투과하여 무선통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제품 차별화가 날로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여전히 애플이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압도하고 있으나, 지속적인 안드로이드 OS의 진화를 바탕으로 최근 신규 스마트폰 제품 간 차별점은 찾아보기 힘들다. 스마트폰에서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다 보니 이제 디자인에서 변화를 주는 것도 매우 제한적이다. 그나마 최근 가장 눈에 띄는 차이는 디스플레이 사양인데, 삼성전자의 슈퍼아몰레드와 아이폰의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들 수 있다.
그렇지만 경쟁사들이 이러한 핵심 부품을 확보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보니 결국 차별화를 줄 수 있는 것은 외관, 즉 케이스이다. 아이폰은 메탈 뒷 케이스 적용으로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으며, 그 이후 금속 케이스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금속 케이스 적용 시 전자파가 금속 케이스를 투과할 수 없는 성질 때문에 금속 케이스에 안테나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의 커버에 특정 무늬 패턴으로 슬랏을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에 의해 안테나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을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하여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도체 부재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을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커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커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상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자기장의 영향으로 상기 안테나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상기 슬랏을 통과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커버에 특정 무늬 패턴으로 슬랏을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에 의해 안테나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을 통해 통과할 수 있게 하여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1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이동단말의 커버(100)에 형성된 슬랏(111)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의 형상 및 패턴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슬랏(111)은 격자 무늬 패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격자들 사이의 폭은 안테나(200)의 사양에 따른 동작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슬랏(111)은 비균일 격자 무늬 패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균일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도면의 격자는 비균일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슬랏(111)은 사선 무늬 패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선들 사이의 폭은 안테나(200)의 사양에 따른 동작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슬랏(111)은 비균일 선폭의 사선 무늬 패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균일 선폭의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도 1(b)에 도시된 도면의 선폭은 비균일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슬랏(111)은 회전 격자 무늬 패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선들 사이의 폭은 안테나(200)의 사양에 따른 동작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슬랏(111)은 비균일 회전 격자 무늬 패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균일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도면의 격자는 비균일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지는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1에서 안테나(200)를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200)의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0)는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슬랏(111)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성되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과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200)의 크기를 슬랏(111)의 단면적보다 작게 구성하여 도 1(a) 내지 도 1(c)과 같이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111)사이의 공간과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200)는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 1턴 이상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에 의해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111)사이의 공간을 통해 안테나(200)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1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슬랏(111)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의 형상 및 패턴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슬랏(111)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즉, 도 2(a)와 같이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2(b)와 같이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2(c)와 같이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지는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안테나(200)를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200)의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0)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성되어 슬랏(111)이 가지는 패턴 사이의 공간과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200)의 크기를 슬랏(111)의 단면적보다 크게 구성하여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패턴 사이의 공간과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200)는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 1턴 이상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에 의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을 통해 안테나(200)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을 가지는 슬랏(1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슬랏(111)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의 형상 및 패턴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슬랏(111)은 복수의 기역(ㄱ)자 모양들로 형성되어 각각 회전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3(b)와 같이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3(c)와 같이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복수의 기역(ㄱ)자 모양의 슬랏(111a 내지 111d)의 무늬 패턴은 모두 동일한 무늬 패턴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무늬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지는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안테나(200)를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200)의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역(ㄱ)자 모양의 슬랏(111)과 적어도 일부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안테나(20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슬랏(11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안테나(200)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200)의 크기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된 기역(ㄱ)자 모양의 슬랏(111)과 적어도 일부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여 도 3(a) 내지 도 3(c)과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패턴 사이의 공간과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200)는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 1턴 이상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자기장에 의해 안테나(200)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3과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도 1과 도 2의 경우 뒤들림, 꺽임등의 기구적 신뢰성이 약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도 4는 이러한 도 1 및 도 2의 기구적 신뢰성을 향샹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또한 도 4는 상황에 따라 격자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각 격자마다 급전을 실시하여 멀티 밴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1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슬랏(111)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의 형상 및 패턴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슬랏(111e)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슬랏(111a 내지 111d)는 기역(ㄱ)자 모양으로 형성되며, 사각형 모양의 슬랏(111e)의 네 모서리 부분에 내부가 모서리 부분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즉, 도 4(a)와 같이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4(b)와 같이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4(c)와 같이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복수의 기역(ㄱ)자 모양의 슬랏(111a 내지 111d) 각각이 가지는 무늬 패턴은 모두 동일한 무늬 패턴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무늬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지는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안테나(200)를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200)의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0)는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사각형 모양의 슬랏(111e) 및 사각형 모양의 슬랏(111e)의 네 모서리 부분에 내부가 모서리 부분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배치된 복수의 기역(ㄱ)자 모양의 슬랏(111a 내지 111d)과 적어도 일부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안테나(200)는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슬랏(11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안테나(200)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200)의 크기를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된 기역(ㄱ)자 모양의 슬랏(111)과 적어도 일부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여 도 4(a) 내지 도 4(c)과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200)는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 1턴 이상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자기장에 의해 안테나(200)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패턴 무늬 사이의 공간(113)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4와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도 1과 도 2의 경우 뒤들림, 꺽임등의 기구적 신뢰성이 약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도 4는 이러한 도 1 및 도 2의 기구적 신뢰성을 향샹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또한 도 4는 상황에 따라 격자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각 격자마다 급전을 실시하여 멀티 밴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을 가지는 슬랏(11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슬랏(111)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의 형상 및 패턴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슬랏(111)은 사각 프레임의 내부에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즉, 도 5(a)와 같이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5(b)와 같이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5(c)와 같이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사각 프레임 모양의 슬랏(111a) 및 사각 프레임 모양의 슬랏(111a)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슬랏(111b) 각각의 무늬 패턴은 모두 동일한 무늬 패턴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무늬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지는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안테나(200)를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200)의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0)는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사각 프레임 모양의 슬랏(111a)과는 겹치지 않고 사각 프레임(111a)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모양의 슬랏(111b)과 전부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안테나(200)는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슬랏(111)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안테나(200)는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슬랏(11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200)의 크기를 슬랏(111)과 적어도 일부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여 도 5(a) 내지 도 5(c)과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200)는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 1턴 이상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자기장에 의해 안테나(200)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도 5와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도 1과 도 2의 경우 뒤들림, 꺽임등의 기구적 신뢰성이 약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도 5는 이러한 도 1 및 도 2의 기구적 신뢰성을 보안함과 동시에 안테나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또 다른 슬릿을 관통하여 지나게 함으로서 보다 넓은 영역에서 안테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멀티밴드와 광대역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주변 금속 테두리가 루프 안테나 모양으로 형성되어 안테나(20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금속 커버 주위에 전류가 형성되어 이로 인해 전자파가 발생되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안테나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멀티밴드와 광대역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을 가지는 슬랏(111)이 형성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을 가지는 슬랏(111)을 포함한다. 도 6(b)는 도 6(a)와는 달리, 슬랏(111)의 중심에서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바깥 틀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슬릿(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0)의 길이나 폭에 의해 안테나(200)의 인덕턴스 및 캐피시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슬랏(111)은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즉,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6(a) 및 도 6(b)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슬랏(111)이 가지는 무늬 패턴은 모두 동일한 무늬 패턴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무늬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안테나들(200a 내지 200e) 중 하나의 안테나(200c)는 급전부를 포함하지만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는 급전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a) 및 도 6(b)에서 하나의 안테나(200c)가 동작되면 하나의 안테나(200c)의 영향으로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이 동작하게 된다. 즉,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은 하나의 안테나(200c)가 동작되면 하나의 안테나(200c)의 영향으로 커플링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6의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안테나(200c)가 동작되면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이 동작하게 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안테나(200c) 뿐만 아니라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 중 하나의 안테나에 급전을 하여 커플링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 중 두 개 이상의 안테나에 급전하여 커플링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고, 혹은 급전된 안테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멀티 밴드 구현이 가능하다.
안테나(20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과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슬랏(11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안테나(200)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들(200a 내지 200e)이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6(a) 및 도 6(b)도시된 일 실시예와는 달리 복수의 안테나들(200a 내지 200e) 중 안테나(200c)를 제외한 나머지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 중 전체 또는 일부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 안테나(200)를 사각형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200)의 모양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치된 복수의 사각형 모양의 슬랏(111a 내지 111d)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슬랏(111)과 전체적으로 겹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200)의 크기를 슬랏(111)과 전체적으로 겹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여 도 6(a) 및 도 6(b)과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지도록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200)는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에 따라 결정되며 1턴 이상의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다. 루프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며, 자기장에 의해 안테나(200)에 발생한 전자파가 슬랏(111)이 가지는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을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즉, 도 6은 복수의 안테나들(200a 내지 200e)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보다 넓은 영역에서 안테나가 동작하게 하거나 전자파가 더 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을 가지는 슬랏(111)이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슬랏(111)은 이동단말의 커버(100)에 위치한 개구부(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를 위한 개구부, 카메라 후레쉬를 위한 개구부, 스피커를 위한 개구부 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슬랏(111)은 이동단말의 커버(100)에 위치한 개구부(예를 들어, 카메라 렌즈를 위한 개구부, 카메라 후레쉬를 위한 개구부, 스피커를 위한 개구부 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즉,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8(a)는 도 7(b) 및 도 8(b)와는 달리,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개구부와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바깥 틀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슬릿(110)을 더 포함한다. 슬릿(110)의 길이나 폭에 의해 안테나(200)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안테나(20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과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슬랏(11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안테나(200)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안테나 모듈은 이동단말의 커버(100) 및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20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의 커버(100)는 도체 부재(예를 들어, 금속)로 구성되며 표면의 일부분에 특정 무늬 패턴을 가지는 슬랏(111)이 형성되고, 제1 개구부(101), 제2 개구부(102) 및 제3 개구부(103)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개구부(101), 제2 개구부(102) 및 제3 개구부(103)는 카메라 렌즈를 위한 개구부, 카메라 후레쉬를 위한 개구부, 스피커를 위한 개구부 등이 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슬랏(111)은 제1 개구부(101), 제2 개구부(102) 및 제3 개구부(10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즉,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슬랏(111)이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도 9(a) 및 도 9(b)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랏(111)이 사선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사선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고, 슬랏(111)이 회전 격자 무늬 패턴으로 구성되면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113)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슬랏(111)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다양한 무늬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원형, 마름모, 오각형, 육각형, 비균일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서 슬릿(11)이 가지는 무늬 패턴은 모두 동일한 무늬 패턴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무늬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b)는 도 9(a)와는 달리,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제1 개구부(101)와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바깥 틀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슬릿(110b), 제2 개구부(102)와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바깥 틀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슬릿(110a) 및 제3 개구부(101)와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바깥 틀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슬릿(110c)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슬릿(110)의 길이나 폭에 의해 안테나(200)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가 변경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안테나들(200a, 200b, 200c) 중 하나의 안테나(200b)는 급전부를 포함하지만 다른 안테나들(200a, 200c)는 급전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9(a) 및 도 9(b)에서, 하나의 안테나(200b)가 동작되면 하나의 안테나(200c)의 영향으로 다른 안테나들(200a, 200c)이 동작하게 된다. 즉, 다른 안테나들(200a, 200b, 200d, 200e)은 하나의 안테나(200c)가 동작되면 하나의 안테나(200c)의 영향으로 커플링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도 9(a) 및 도 9(b)에는 복수의 안테나들(200a, 200b, 200c)가 제1 개구부(101), 제2 개구부(102) 및 제3 개구부(103)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어느 하나의 개구부(예를 들어, 제2 개구부(102))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200)는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안테나(200)는 도 9(a) 및 도 9(b)와 같이 슬랏(111)이 가지는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 (113)의 적어도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슬랏(111)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안테나(200)는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슬랏(111)보다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200)의 뒷편에 투자율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폴리머 물질, 페라이트 물질 등을 붙이면 안테나(200)가 부착되는 이동단말의 커버(100)가 단말기와 결합될 시 단말기 배터리, 또는 기판의 금속부분 혹은 유심이나 메모리 소켓의 금속에서 와류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동단말의 커버(100)의 내측면에 부착된 안테나(2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동단말의 커버
110: 슬릿
111: 슬랏
113: 패턴 사이의 공간
200: 안테나

Claims (12)

  1. 안테나 모듈에 있어서,
    도체 부재로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와 바깥 틀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슬릿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특정 무늬 패턴의 슬랏을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커버; 및
    상기 이동단말의 커버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에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은 상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안테나에 흐르는 전류의 영향에 의해 상기 안테나에 발생한 전자파는 상기 슬랏을 통과하고,
    상기 슬릿의 길이 및 상기 슬릿의 폭 각각은 상기 안테나 모듈의 인덕턴스 및 캐패시턴스에 따라 변경되는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늬 패턴은
    격자 무늬 패턴, 사선 무늬 패턴 및 회전 격자 무늬 패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공간에는
    부도체 부재가 형성되거나 빈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늬 패턴 사이의 폭은
    상기 안테나의 사양에 따른 동작 주파수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슬랏과 적어도 일부 겹쳐지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복수개로 구성된 경우 하나의 안테나에 급전하여 전류가 흘러 동작하면 나머지 안테나들은 상기 하나의 안테나의 영향으로 급전되어 전류가 흘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나머지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에 급전하여 커플링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의 커버는
    주변 테두리가 루프 안테나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측 루프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외곽에 전류가 형성되어 안테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일 측면에는
    폴리머 물질 또는 페라이트 물질 중 어느 하나의 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모듈.
KR1020130094932A 2013-08-09 2013-08-09 안테나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1333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932A KR101333666B1 (ko) 2013-08-09 2013-08-09 안테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932A KR101333666B1 (ko) 2013-08-09 2013-08-09 안테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666B1 true KR101333666B1 (ko) 2013-11-27

Family

ID=4985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9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3666B1 (ko) 2013-08-09 2013-08-09 안테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879B1 (ko) * 2015-09-17 2017-05-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282A (ja) 2001-08-30 2003-03-07 Takenaka Komuten Co Ltd 特定電磁波透過板
JP2003289355A (ja) * 2002-03-28 2003-10-10 Toshiba Corp 携帯無線機器
KR20120001458A (ko) * 2010-06-29 201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20037274A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9282A (ja) 2001-08-30 2003-03-07 Takenaka Komuten Co Ltd 特定電磁波透過板
JP2003289355A (ja) * 2002-03-28 2003-10-10 Toshiba Corp 携帯無線機器
KR20120001458A (ko) * 2010-06-29 201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20037274A (ko) * 2010-10-11 2012-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879B1 (ko) * 2015-09-17 2017-05-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8176B (zh) 金属环耦合天线与手持式通信设备
KR101908063B1 (ko) 방향 제어 안테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257741B2 (en) Directional antenna structure with dipole antenna element
CN108141252A (zh) 用于在可穿戴设备中使用的天线
JP6351760B2 (ja) 切り替え可能なπ字形アンテナ
CN205039241U (zh) 无线通信装置
CN205178010U (zh) 具有金属壳体装置的nfc天线和移动终端
CN204216213U (zh) 一种用于射频识别的交叉结构天线
CN104300208A (zh) 垂直极化全向天线
KR102189519B1 (ko) 전방향성 안테나
KR101333666B1 (ko) 안테나 모듈
US9543651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CN105556749A (zh) 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JP6599629B2 (ja) アンテナ装置
TWI523332B (zh) 通訊裝置
CN103066378B (zh) 一种蓝牙天线和一种蓝牙天线频带扩宽方法
WO2014171670A1 (ko) 도체 표면 안테나
CN102270781A (zh) 槽孔天线
US20140091970A1 (en) Antenna with frequency selective structure
CN106099390B (zh) 天线系统及无线装置
CN104953261B (zh) 一种环形多频天线
CN204271249U (zh) 天线及具有该天线的无线终端设备
JP2017139652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無線機器
CN105119035A (zh) 带金属后壳的天线结构
Henderson et al. A microstrip line-fed multi-resonant slot antenna in the 4G/LTE band for smartph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