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796B1 -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1796B1 KR101331796B1 KR1020120064554A KR20120064554A KR101331796B1 KR 101331796 B1 KR101331796 B1 KR 101331796B1 KR 1020120064554 A KR1020120064554 A KR 1020120064554A KR 20120064554 A KR20120064554 A KR 20120064554A KR 101331796 B1 KR101331796 B1 KR 1013317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ensing
- cover member
- antenna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5—Outer pan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도어의 외면에 설치되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근접 배치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에 인가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동차 원격제어장치의 신호를 수신받는 안테나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감지부와 제 2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의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을 따라 금속재질의 신호수신체가 패터닝되는 패턴 안테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일정 시간동안 제 1 감지부 또는 안테나로부터 도어의 잠금수단 해제에 대한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문인식 수단 및 접촉감지 수단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는 키 및 자동차의 원격제어장치가 없어도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으며, 그 외의 사용자는 도어를 원천적으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의 표면에 광촉매코팅층을 형성하고, 파지부를 덮는 파지부커버부재 내면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 부분의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커버부재의 외면에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중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of an automobile door, which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automobile door, and a gripping portion for opening the door; A first sensing unit arranged to proximate the holding unit and recognize a fingerprint of a registered user; A second sensing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holding unit and detecting whether an object or a human body applied to the hold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holding unit; An antenna install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receiving a signal from a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controlling a locking means of the door by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firs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sensing part and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including titanium dioxide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antenna is provided as a pattern antenna in which a metallic signal receiver is pattern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After receiving, if the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ing means of the door from the first sensing unit or antenna for a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is kept locked.
Accordingly, the user registe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eans and the contact detection means can easily open the door without the key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car, and other users can not open the door at the source to prevent theft of the car. It can exert the effect of preventing.
In addition, by forming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and by installing an ultraviolet lam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cover member covering the gripp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lean state of the handle portion continuously.
In addition, by installing a lamp that emits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direction indicator li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cover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of an automobile doo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특정 사용자 외의 타인이 도어를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설치된 록킹 장치와 록킹 장치를 풀 수 있는 키로 구성되는 기계식 도어 록킹 장치가 주로 채택되고 있다.In general, the door of the vehicle is to prevent anyone other than a specific user to open the door arbitrarily, the mechanical door locking device is mainly composed of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door and a key for unlocking the locking device.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식 도어 록킹 장치의 경우에, 키를 분실하거나 차내에 둔 채로 도어를 잠근 경우에, 도어를 열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echanical door lock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oor is very difficult to open when the door is locked with the key lost or left in the vehicle.
특히, 키를 분실하였을 경우, 다른 사람이 이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불안한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어 록킹 장치 전체를 교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when the key is lost,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ther people can use i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door locking device must be replaced in order to solve the anxiety factor.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4386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내부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되는 광학 센서와; 인식된 손가락의 지문을 반사하기 위한 평면 거울과; 상기 평면 거울로부터 반사된 손가락의 지문의 40° 이상의 입사각도를 전반사하도록 상기 평면 거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미러와; 상기 제 1 미러로부터 반사된 손가락의 지문을 초점화하는 조리개를 가지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과한 손가락의 지문의 40°이하의 입사각도를 반사하지 않도록 상기 렌즈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 2 미러와; 상기 제 2 미러로부터 반사한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록킹 장치용 지문 인식기가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4386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cludes an optical sensor in which a light emitting diode is disposed as a light source therein; A flat mirror for reflecting the fingerprint of the recognized finger; A first mirr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planar mirror to totally reflect an incident angle of 40 ° or more of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reflected from the planar mirror; A lens having an aperture for focusing a fingerprint of a finger reflected from the first mirror; A second mirror provided adjacent to the lens such that the incident angle of 40 degrees or less of the fingerprint of the finger passing through the lens is not reflected; A fingerprint reader for a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is disclosed that includes an image sensor for sensing a fingerprint of a finger reflected from the second mirror.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합 해상도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지문 잔상이 제거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키 및 지문으로만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마련되어, 키의 분실 등에 의한 자동차의 도난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mplex resolution processing ability is improved and the fingerprint afterimage is removed, but is provided in a manner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only by the key and the fingerprint, thereby preventing theft of the vehicle due to the loss of the ke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preven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감지수단을 통해 도어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 부분의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clean state of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에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 및 정지 중 안전 사고와 분실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and a loss accident during driving and stopping of a vehicl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외면에 설치되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근접 배치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에 인가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동차 원격제어장치의 신호를 수신받는 안테나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감지부와 제 2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의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을 따라 금속재질의 신호수신체가 패터닝되는 패턴 안테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일정 시간동안 제 1 감지부 또는 안테나로부터 도어의 잠금수단 해제에 대한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door, the holding portion for opening the door; A first sensing unit arranged to proximate the holding unit and recognize a fingerprint of a registered user; A second sensing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holding unit and detecting whether an object or a human body is applied to the holding unit; An antenna install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receiving a signal from a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controlling a locking means of the door by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firs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sensing part and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including titanium dioxide is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antenna is provided as a pattern antenna in which a metallic signal receiver is pattern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After receiving, if the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ing means of the door from the first sensing unit or antenna for a predetermined time is not applied, it can be achieved by the handle of the car door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도어의 외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파지부커버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제 1 감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감지부커버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커버부재 및 감지부커버부재는 도어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gripping portion is installed in a portion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further includes a gripping portion cover member for protecting the gripp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sensing portion is sensing for protecting the first sensing portion An additional cover memb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and the holding part cover member and the sensing part cover member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또한, 상기 파지부커버부재와 감지부커버부재는 폐쇄 시, 외면이 자동차 도어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cover member and the detector cover member may be formed so that the outer surface thereof corresponds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automobile door when closed.
여기서, 상기 파지부커버부재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커버부재의 외면에는 자동차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가 설치된다.Here, one or more ultraviolet lamps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er cover member, and a lamp that emits light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direction indicato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er cover member.
본 발명에 의해, 지문인식 수단 및 접촉감지 수단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는 키 및 자동차의 원격제어장치가 없어도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으며, 그 외의 사용자는 도어를 원천적으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registe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eans and the contact detection means can easily open the door without the key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car, and other users can not open the door at the source to prevent theft of the car. It ca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또한, 파지부의 표면에 광촉매코팅층을 형성하고, 파지부를 덮는 파지부커버부재 내면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 부분의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and by installing an ultraviolet lam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cover member covering the gripp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lean state of the handle portion continuously.
또한, 파지부커버부재의 외면에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중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lamp that emits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direction indicator li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cover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커버부재 및 감지부커버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car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gripper cover member and the detector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in order to explain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light of the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커버부재 및 감지부커버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car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gripper cover member and the sensing unit cov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door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는, 자동차 도어(D)의 외면에 설치되며, 도어(D)를 개방시키기 위한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에 근접 배치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감지부(20)와; 상기 파지부(10)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10)에 인가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30)와; 상기 파지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동차 원격제어장치의 신호를 수신받는 안테나(40)와; 상기 파지부(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감지부(20)와 제 2 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상기 안테나(40)로 수신된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D)의 잠금수단(L)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10)의 표면에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광촉매코팅층(14)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40)는 상기 파지부(10)의 내주면을 따라 금속재질의 신호수신체가 패터닝되는 패턴 안테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 2 감지부(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일정 시간동안 제 1 감지부(20) 또는 안테나(40)로부터 도어(D)의 잠금수단(L) 해제에 대한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도어(D)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1 to 4, the handle of the automobil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utomobile door (D), the
여기서, 상기 파지부(10)는 자동차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D)의 외부측 손잡이를 구성하는 몸체의 역할을 수행하며, 표면에 상기 제 2 감지부(30)가 장착되며, 내부에 안테나(40) 및 제어부(50)가 설치된다.Here, the gripping
또한, 상기 파지부(10)의 표면에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광촉매코팅층(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촉매코팅층(14)의 향균작용에 의해 파지부(10)의 청결이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여기서, 상기 광촉매코팅층(14)의 형성은 파지부(10)의 내부 부품 장착 및 외부 센서 장착이 완료된 후, 코팅용 젤을 도포하거나, 디핑 방식 등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formation of the
또한, 상기 제 1 감지부(2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광학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10)가 형성된 부분에 근접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 1 감지부(20)는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파지부(10)가 설치되는 도어(D)의 외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부분(p1)에 근접된 함몰 부분(p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지부(10)가 설치되는 함몰된 부분(p1) 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여기서, 상기 제 1 감지부(20)에 사용자가 지문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손가락를 접촉시키면, 상기 제 1 감지부(20)는 감지된 지문 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 송출하며, 상기 제어부(50)는 저장수단에 기 등록된 한명 이상의 사용자 지문 정보와 제 1 감지부(20)로부터 송출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에 따라 자동차 도어(D)의 잠금수단(L) 제어를 수행한다.Here, when the user touches the finger to the
한편, 상기 제 2 감지부(30)는 상기 파지부(10)의 표면에 장착되어 파지부(10)에 인가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써,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상기 제 2 감지부(30)는 파지부(10)에 인가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고, 해당 감지 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 송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 2 감지부(30)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에 대한 잠금수단(L)의 제어를 수행한다.Here, the
또한, 상기 안테나(40)는 상기 파지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동차 원격제어장치(원격에서 자동차의 시동, 도어 개폐, 트렁크의 개폐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의 신호를 수신받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안테나(40)는 도 1 에서와 같이, 파지부(10)의 내주면을 따라 금속재질의 신호수신체가 패터닝되는 코일형 패턴 안테나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지부(10)의 외형 설계에 따라 다양한 패턴을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제어부(50)는 전술한 제 1 감지부(20)와 제 2 감지부(30) 및 안테나(4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 도어(D)의 잠금수단(L)을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50)는 제 2 감지부(30)로부터 접촉에 대한 감지신호를 전송 받을 경우, 일정 시간(바람직하게는 3~5초) 동안 제 1 감지부(20)로부터의 지문 감지 신호 또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도어(D)의 잠금을 유지함으로써 차량 도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Here, when the
한편,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파지부(10)는 파지부(10)를 보호하기 위한 파지부커버부재(1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부(20)는 제 1 감지부(20)를 보호하기 위한 감지부커버부재(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 및 감지부커버부재(22)는 도어(D)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여기서,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 및 감지부커버부재(22)는 각각 파지부(10) 및 제 1 감지부(20)를 보호하는 구성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는 제어부(50)와 자동차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주 제어부(C)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감지부커버부재(22)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즉, 상기 제 1 감지부(20)는 등록된 사용자가 키 또는 원격제어장치를 소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 지문을 통해 도어(D)를 개방할 수 있도록 수동식 감지부커버부재(22)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파지부(10)는 상기 제 1 감지부(20)로부터 지문 인증을 통과한 사용자에 대해 파지부(1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자동식 파지부커버부재(1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가 자동 개폐식으로 마련될 경우, 하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grip
먼저,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 도어(D)가 개방되고, 주행이 시작될 경우(예를 들면, 자동차의 속도가 시속 20km 이상일 경우) 또는 주행이 완료(시동 꺼짐)되고 자동차가 정지할 경우 또는 주행 중 정지상태일 경우,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는 주 제어부(C)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First, when the door D is opened by a registered user and driving starts (e.g., when the speed of the car is 20 km per hour or more), or when the driving is completed (starting off) and the vehicle stops, or while driving In the stop state, the
이에 따라 주행 중에는 자동차에 대한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가속 및 연비에 있어서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주행 후에는 파지부(10)는 노출이 되지 않음으로써, 자동차 도난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resistance of the air to the vehicle is minimized while driving, so th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in acceleration and fuel efficiency. The
특히, 운전자가 여성일 경우, 가벼운 접촉 사고에 있어서도 시비를 가리기 위해서 상대방 운전자가 해당 자동차의 문을 강제로 열기를 시도하거나 차량 강도를 시도하는 범죄자가 파지부(10)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사고에 대한 위험 노출 가능성이 방지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driver is a female, a criminal who attempts to open the door of the car or attempts to rob the vehicle in order to cover the fertilization even in a light contact accident cannot operate the
여기서,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와 감지부커버부재(22)는,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파지부(10)와 제 1 감지부(20)가 각각 도어(D)에서 함몰된 부분(p1) 및이에 인접한 함몰 부분(p2)에 설치되므로, 폐쇄 시, 외면이 자동차 도어(D)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자동차의 주행 중 측면부분에 공기 저항이 최소화됨으로써, 가속 및 연비에 있어서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r1)가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커버부재(12)의 외면에는 자동차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r2)가 설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one or more ultraviolet lamps r1 ar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즉, 상기 파지부(10)의 표면에 코팅된 광촉매코팅층(14)과 자외선 램프(r1)에 의해 파지부(10) 부분의 청결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자동차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r2)에 의해 주행 시(특히 야간 주행 시) 방향 전환에 대한 인식력이 증대되어 차량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cleanliness of the gripp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는, 지문인식 수단 및 접촉감지 수단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는 키 및 자동차의 원격제어장치가 없어도 용이하게 도어를 열 수 있으며, 그 외의 사용자는 도어를 원천적으로 열 수 없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of the car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registe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eans and the contact detection means can easily open the door without the key and the remote control of the car, other users ca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ft of the car by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source at the source.
또한, 파지부의 표면에 광촉매코팅층을 형성하고, 파지부를 덮는 파지부커버부재 내면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 부분의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and by installing an ultraviolet lam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cover member covering the gripp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maintaining a clean state of the handle portion continuously.
또한, 파지부커버부재의 외면에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중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lamp that emits light in conjunction with the direction indicator li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 portion cover memb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지부 12 : 파지부커버부재
14 : 광촉매코팅층 20 : 제 1 감지부
22 : 감지부커버부재 30 : 제 2 감지부
40 : 안테나 50 : 제어부
D : 도어
p1 : 도어의 외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부분
L : 잠금수단 C : 주 제어부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grip part 12: grip part cover member
14
22: sensing unit cover member 30: second sensing unit
40: antenna 50: control unit
D: Door
p1: portion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L: Locking means C: Main control unit
Claims (4)
상기 파지부에 근접 배치되어 등록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제 1 감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파지부에 인가되는 물체 또는 인체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동차 원격제어장치의 신호를 수신받는 안테나와;
상기 파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감지부와 제 2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신호 및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전송받아 도어의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의 표면에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광촉매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파지부의 내주면을 따라 금속재질의 신호수신체가 패터닝되는 패턴 안테나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은 후, 일정 시간동안 제 1 감지부 또는 안테나로부터 도어의 잠금수단 해제에 대한 신호가 인가되지 않을 경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파지부는 도어의 외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파지부커버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지부는 상기 제 1 감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감지부커버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커버부재 및 감지부커버부재는 도어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A gripping part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r door and for opening the door;
A first sensing unit arranged to proximate the holding unit and recognize a fingerprint of a registered user;
A second sensing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holding unit and detecting whether an object or a human body applied to the hold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holding unit;
An antenna install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receiving a signal from a vehicle remote control apparatus;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gripping part and controlling a locking means of the door by receiving a signal sensed by the first sensing part and the second sensing part and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containing titanium dioxide,
The antenna is provided as a pattern antenna in which a metallic signal receiver is pattern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The control unit is provided to maintain a locked state of the door when a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ing means of the door is not applied from the first sensing unit or the antenn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The gripping part is installed at a portion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further includes a gripping part cover member for protecting the gripping part, wherein the first sensing part is a sensing part cover for protecting the first sens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member, wherein the grip unit cover member and the sensing unit cover member of the handle of the car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파지부커버부재와 감지부커버부재는 폐쇄 시, 외면이 자동차 도어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1,
The grip part cover member and the sensing part cover member, the handle of the car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car door.
상기 파지부커버부재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커버부재의 외면에는 자동차 방향지시등과 연동되어 발광하는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One or more ultraviolet lamps ar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ripper cover member, and a lamp for emitting light in association with a vehicle direction indicator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pper cover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4554A KR101331796B1 (en) | 2012-06-15 | 2012-06-15 |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4554A KR101331796B1 (en) | 2012-06-15 | 2012-06-15 |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1796B1 true KR101331796B1 (en) | 2013-11-21 |
Family
ID=4985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4554A KR101331796B1 (en) | 2012-06-15 | 2012-06-15 |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179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393Y1 (en) * | 2016-04-15 | 2017-05-11 | 신영환 |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s |
KR101765642B1 (en) | 2016-05-31 | 2017-08-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mposite sheet metal component and body panel |
KR20210158017A (en) * | 2020-06-23 | 2021-12-30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smart door apparatus for vehicle |
KR20230155551A (en) * | 2021-04-13 | 2023-11-10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7126A (en) * | 2003-02-26 | 2004-09-16 | Aisin Seiki Co Ltd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KR20050083454A (en) * | 2004-02-23 | 2005-08-26 | 윤상기 | A side mirror for vehicle |
JP2007270517A (en) * | 2006-03-31 | 2007-10-18 | Honda Lock Mfg Co Ltd | Door handle device |
KR20080055170A (en) * | 2006-12-14 | 2008-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door lock of vehicle using biometrics |
-
2012
- 2012-06-15 KR KR1020120064554A patent/KR1013317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57126A (en) * | 2003-02-26 | 2004-09-16 | Aisin Seiki Co Ltd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KR20050083454A (en) * | 2004-02-23 | 2005-08-26 | 윤상기 | A side mirror for vehicle |
JP2007270517A (en) * | 2006-03-31 | 2007-10-18 | Honda Lock Mfg Co Ltd | Door handle device |
KR20080055170A (en) * | 2006-12-14 | 2008-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ing door lock of vehicle using biometrics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393Y1 (en) * | 2016-04-15 | 2017-05-11 | 신영환 | Ventilation apparatus for vehicles |
KR101765642B1 (en) | 2016-05-31 | 2017-08-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mposite sheet metal component and body panel |
CN107444296A (en) * | 2016-05-31 | 2017-12-08 | 现代汽车欧洲技术中心有限公司 | Composite sheet metal component and body panel |
US10297912B2 (en) | 2016-05-31 | 2019-05-21 | Hyundai Motor Europe Technical Center Gmbh | Composite sheet metal component and body panel |
KR20210158017A (en) * | 2020-06-23 | 2021-12-30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smart door apparatus for vehicle |
KR102361150B1 (en) * | 2020-06-23 | 2022-02-10 |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 smart door apparatus for vehicle |
KR20230155551A (en) * | 2021-04-13 | 2023-11-10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s |
JP7622251B2 (en) | 2021-04-13 | 2025-01-27 | メルセデス・ベンツ グループ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
KR102782487B1 (en) * | 2021-04-13 | 2025-03-14 |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8785B1 (en) | Method for opening a movable panel of a motor vehicle | |
US8717429B2 (en) | Method of automatically unlocking an opening member of a motor vehicle for a hands-free syste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
JP4793118B2 (en) | Smart entry system | |
US10246009B2 (en) | User notification of powered system activation during non-contact human activation | |
US8091280B2 (en) | Arms full vehicle closure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 |
WO2018191894A1 (en) | Vehicle unlocking method and vehicle unlocking system | |
US10005428B2 (en) | Assembly module | |
JP3901034B2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8044768B2 (en) | Keyless entry system using communication via human body | |
US11131117B2 (en) | Electromagnetic-based sensor with cold mirror cover | |
US11433803B2 (en) |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light sensing module | |
JP4300470B2 (en) | Object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device | |
KR10153348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ctuating a closing element of a vehicle | |
KR101331796B1 (en) | Door outside handle for vehicle | |
ES2525575T3 (en) | Procedure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maneuvering a vehicle closing element | |
US20110248820A1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unlocking an openable panel of a motor vehicle | |
JP2016500775A (en) | Vehicle access system and method | |
JP2017505734A (en) | Automotive mark with sens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JP2014201966A (en) | Auto-door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 |
JP5912591B2 (en) | Object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opening / closing body control device | |
JP5206955B2 (en) | Vehicle door control system | |
US20220025682A1 (en) | Locking device for car doors | |
JPH094292A (en) | Locking/unlocking device and locking/unlocking system | |
JP2014136879A (en) | Door opening/closing device | |
JP4654235B2 (en) |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