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9962B1 -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962B1
KR101329962B1 KR1020070044086A KR20070044086A KR101329962B1 KR 101329962 B1 KR101329962 B1 KR 101329962B1 KR 1020070044086 A KR1020070044086 A KR 1020070044086A KR 20070044086 A KR20070044086 A KR 20070044086A KR 101329962 B1 KR101329962 B1 KR 101329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display panel
image
parallax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8788A (ko
Inventor
임희진
홍형기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962B1/ko
Priority to US12/116,477 priority patent/US8254026B2/en
Publication of KR2008009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7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slanted parallax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소행 방향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 를 개선함과 아울러 색분리 현상을 개선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n개(n은 자연수)의 시차영상이 표시되고 동일한 시차영상이 동일 색의 서브픽셀들에 분산 표시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앞에 비스듬히 배치된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들을 이용하여 상기 시차 영상들의 진행 경로를 분리하는 렌티큘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은 상기 동일한 시차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서브픽셀들간의 연장선과 나란하다.

Description

입체영상 표시장치{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도 1은 렌티큘러 시트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2-뷰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다수의 시차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종래 영상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시차영상(즉, 동일한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을 서브 픽셀에 배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차영상이 서브픽셀에 배치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60-뷰(view)의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목성이 표시되도록 하고 카메라를 이동하여 촬영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표시패널 61 : 서브픽셀
53 : 렌티큘러 시트 63 : 렌티큘러 렌즈
x : 표시패널의 화소행 방향
y : 표시패널의 화소열 방향
L :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
α: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과 표시패널의 화소열 방향 사이의 각
본 발명은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소행 방향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개선함과 아울러 색분리 현상을 개선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은 사물을 두 눈에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영상이 인지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 현상이다. 양쪽 눈에 인지된 각각 다른 2차원 영상은 뇌에서 합성되어 3차원으로 인식된다.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이러한 양안시차 현상을 이용하여 관찰자에게 입체감있는 영상이 인식되게 한다. 즉,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좌안과 우안에 다른 시차의 영상이 보이도록 하여 관찰자에게 입체감있는 영상이 인식되게 한다.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구현을 위하여 관찰자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이 표 시되게 하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렌티큘러 렌즈 타입(Lenticular lens type)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렌티큘러 렌즈 타입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1)에 렌티큘러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시트(21)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된다. 표시패널(11)에서 표시되는 2차원 영상은 렌티큘러 시트(21)의 렌즈를 통과하면서 경로가 분리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렌티큘러 시트(21)의 볼록렌즈 왼쪽에 입사되는 영상은 렌즈를 통과하면서 오른쪽으로 굴절되어 관찰자의 우안에 보이게 되고, 볼록렌즈 오른쪽에 입사되는 영상은 렌즈를 통과하면서 왼쪽으로 굴절되어 관찰자의 좌안에 보이게 된다. 좌안과 우안에 각각 인지된 2차원 영상은 관찰자에게 3차원으로 인식된다.
렌티큘러 시트(21)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화상 및 우안 화상으로 구분되는 2개의 화상을 표시패널(11)의 화소행 방향(x)으로 교번되게 배열한 2-뷰(view) 방식이다. 2-뷰 방식에서 좌안 화상은 렌즈를 통과하여 관찰자의 좌안에 보이게 되고, 우안 화상은 렌즈를 통과하여 우안에 보이게 됨으로써 관찰자는 입체영상을 인식한다. 실제 관찰자의 눈으로 보는 시차영상의 수는 무한대라는 점에서 볼 때, 상술한 2-뷰 방식은 2개의 시차 영상만을 보여줌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므로 입체감이 부자연스러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보다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차영상의 수를 늘려 4-뷰, 9-뷰, 36-뷰, 60-뷰, 72-뷰 등의 멀티-뷰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 다.
이와 같이 뷰 수가 증가할수록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화소행 방향(x)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y)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가 심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렌트큘러 시트(21)에 포함된 렌즈의 장축(L)이 화소열 방향(y)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렌티큘러 시트(21)가 표시패널(11) 앞에 정렬된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9-뷰 방식을 예로 들어 뷰 수 증가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화소행 방향(x)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y) 해상도 변화율에 대해 설명한다. 9-뷰의 한 그룹(g)은 서브픽셀에 1:1로 표시되는 제1 내지 제9 시차 영상을 포함한다. 또한, 동일번호의 시차 영상은 동일한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이고 서로 인접한 번호의 시차 영상은 인접한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의 화소열 방향(y)에 동일한 시차영상이 표시되고 화소행 방향(x)에 제1 내지 제9 시차영상이 차례대로 표시됨과 아울러 렌티큘러 시트(21)에 형성된 렌즈(33)의 장축(L)이 표시패널(11)의 화소열 방향(y)에 나란하게 정렬되면, 화소열 방향(y)의 해상도 저하는 없지만 화소행 방향(x)의 해상도는 1/9로 줄어든다. 화소행 방향(x)의 해상도 저하는 시차 영상의 수가 증가할수록 심해진다. 이와 같이 화소행 방향(x)으로만 해상도의 저하가 심해짐에 따라 관찰자가 인지하는 입체영상의 화질은 저하된다.
화소행 방향(x)으로만의 해상도 저하를 막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의 화소행 방향(x) 및 화소열 방향(y)에 제1 내지 제9 시차 영상이 분산 표시되고 렌즈 장축(L)이 표시패널(11)의 화소열 방향(y)에 대하여 기울어지도 록 정렬된다. 이 때, 각 그룹(g)에 포함된 동일한 시차 영상은 컬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서로 다른 색(R, G, B)의 서브 픽셀(31)에 각각 분산되어 표시된다.
화소열 방향(y)에 대해 렌즈 장축(L)이 이루는 각은 동일한 시차 영상들이 표시하는 서로 다른 색의 서브 픽셀(31)들이 최대한 인접할 수 있도록 하는 값이다. 이러한 값으로 종래 제시된 각은 약 9.46°(=arctan(1/6))이다.
화소열 방향(y)에 대해 렌즈 장축(L)이 이루는 각이 약 9.46°(=arctan(1/6))가 되면, 화소열 방향(y) 해상도는 1/2로 저하되고, 화소행 방향(x) 해상도는 (1/n/2)(n은 뷰 수, 즉 시차영상의 수)로 저하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9-뷰 방식의 경우, 화소열 방향(y)의 해상도는 1/2로 저하되고, 화소행 방향(x)의 해상도는 1/4.5로 저하된다. 이와 같이 렌즈 장축(L)의 기울어진 정렬은 화소열 방향(y)의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행(x) 방향의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도 3a에 도시된 것에 비하여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질 저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렌즈 장축(L)은 상술한 화질 저하 현상을 최대한 개선할 수 있도록 화소열 방향(y)에 대해 9.46°(=arctan(1/6))로 기울어지게 정렬되지만, 다른 각도로도 정렬될 수 있다. 렌즈 장축(L)이 화소열 방향(y)에 대해 어떠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동일한 시차 영상이 서로 다른 색의 서브 픽셀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시차 영상들 중 서로 인접한 서로 다른 색(R, G, B)의 서브 픽셀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컬러 화상은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오버랩(overlap)을 통해 구현된다. 그러나, 동일한 시차 영상들은 각각 다른 그룹(g)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컬러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서브 픽셀이 너무 분산배치되어 오버랩(overlap) 영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찰자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컬러 화상을 인식하지 못하고 각각 분리된 색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렌티큘러 시트(21)의 렌즈 장축(L)이 화소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화소행 방향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개선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화소열 방향에 대한 종래 렌티큘러 시트(21)의 렌즈(L) 장축이 이루는 각은 색 분리 현상이라는 또 다른 화질 저하 문제를 야기시키므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소행 방향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개선함과 아울러 색분리 현상을 개선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n개(n은 자연수)의 시차영상이 표시되고 동일한 시차영상이 동일 색의 서브픽셀 들에 분산 표시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앞에 비스듬히 배치된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들을 이용하여 상기 시차 영상들의 진행 경로를 분리하는 렌티큘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은 상기 동일한 시차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서브픽셀들간의 연장선과 나란하다.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과 상기 표시패널의 화소열 방향 사이의 각은 arctan(1/5)이다.
상기 렌트큘러 시트를 투과하여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입체영상의 화소행 방향 해상도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화소행 방향 2차원 해상도의 1/5배이고, 상기 렌트큘러 시트를 투과하여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입체영상의 화소열 방향 해상도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화소열 방향 2차원 해상도의 1/(n/5)배이다.
상기 n개의 시차영상들은 다수의 그룹으로 나뉘어 상기 표시패널에 분산 표시된다.
r(r은 상기 n-2 이하의 자연수)번째 시차영상, r+1번째 시차영상 및 r+2번째 시차영상 각각은 서로 다른 색의 상기 서브픽셀에 표시된다.
r(r은 상기 n-2 이하의 자연수), r+1번째 시차영상 및 r+2번째 시차영상 각각은 상기 렌티큘러 시트를 투과하여 오버랩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서브픽셀들(61)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51)과, 표시패널(51)의 앞에 배치되는 렌티큘러 시트(53)를 구비한다. 렌티큘러 시트(53)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63)들을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63)의 장축(L)은 화소행 방향(x)의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y)의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개선하기 위해 표시패널(51)의 화소열 방향(y)에 대해 소정의 각 "α" 만큼 기울어진다.
표시패널(51)로는 공지된 어떠한 표시패널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51)은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 LCD), 유기 전계 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 OLED) 및 플라즈마 표시패널 (Plasma Display Panel ; PDP)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61)에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n개의 시차 영상이 그룹별로 분산되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그룹에 분산 표시되는 동일한 시차 영상이 동일 색의 서브 픽셀(61)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63)의 장축(L)은 동일한 시차 영상들이 표시되는 동일 색의 서브 픽셀(61)들 간의 연장선에 나란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동일한 시차 영상이 동일 색을 표시하더라도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서로 다른 시차 영상들간의 오버랩(overlap)을 통해 컬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오버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시차 영상들간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r(r은 n-2 이하의 자연수)번째 시차 영상은 이와 인접한 r+1번째 시차 영상 및 r+2번째 시차 영상과 오버랩 된다.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색의 서브 픽셀에 표시된다. 뷰 수가 증가할수 록 즉 시차 영상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서로 인접한 시차 영상을 촬영하는 간격이 좁아지고, 서로 인접한 시차 영상들이 관찰자의 눈에 인지될 때 오버랩되어 인지된다. 이에 따라 멀티-뷰 방식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서로 다른 시차 영상을 통해 컬러 화상을 구현하더라도 해당 시차 영상들이 서로 인접하여 오버랩되므로 자연스러운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서로 인접한 서로 다른 색의 서로 다른 시차 영상이 오버랩되는 현상을 통해 자연스러운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버랩되는 시차 영상들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므로 색 분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다수의 시차 영상을 표시하므로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입체영상을 인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동일한 시차 영상을 서로 다른 색의 서브 픽셀(61)에 배치하지 않으므로 시차 영상 배치 방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멀티-뷰 방식에서 렌티큘러 렌즈 장축(L)은 입체영상의 해상도가 표시패널(51)의 2차원 해상도에 비해 화소행 방향(x) 변하는 비율과 화소열 방향(y) 방향으로 변하는 비율간의 차이를 개선하기 위해 화소열 방향(y)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렌티큘러 렌즈 장축(L)은 동일한 시차 영상에 대해 나란해야 한다. 이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장축(L)이 화소열 방향(y)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는 arctan(1/5)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장축(L)이 화소열 방향(y)에 대해 arctan(1/5)의 각으로 기울어지게 정렬되면, 화소열 방향(y)에서 입체영상의 해상도는 표시패널(51)의 2차원 해상도에 비해 1/5배로 감소한다. 그리고 화소행 방향(x)에서 입체영상의 해상도는 표시패널(51)의 2차원 해상도에 비해 1/(n/5)배로 감소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화소행 방향(x)의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y)의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7 및 표 1은 15.1인치의 액정표시패널(LCD)에 60-뷰의 시차영상을 표시하고,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2D LCD 크기 2D 해상도 서브픽셀 크기 렌즈의 기울기각(a) 뷰-수
15.1" 3200×2400 32×96㎛ arctan(1/5)≒11.3° 60뷰
도 7 및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한 60-뷰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60개의 시차영상을 포함하고, 각 그룹(g)의 시차영상은 표시패널(51)의 서브 픽셀(61)에 분산 표시된다. 이 때 각 그룹(g)에 포함된 동일한 시차영상은 동일한 색의 서브 픽셀(61)에 배열되고, 서로 인접한 방향을 표시하는 두 개의 시차영상은 다른 색의 서브픽셀(61)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1의 시차영상이 적색(R) 서브픽셀에 표시될 경우, 1의 시차영상에 인접한 시차영상 2는 청색(B) 서브픽셀에 표시되고, 2의 시차영상에 인접한 시차영상 3은 녹색(G) 서브픽셀에 표시된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표시패널(51)에 렌티큘러 시트(53)가 배치될 때, 렌즈(63)의 장축(L)은 표시패널(51)의 화소열 방향(y)에 대해 arctan(1/5)의 각으로 정렬된다.
도 7 및 표 1에서 상술한 조건을 통해 입체영상(3D)의 해상도는 표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행 방향으로 1/12, 화소열 방향으로 1/5의 비율로 해상도를 감소시킨다.
3D 해상도
255×480
표 2의 결과는 표시패널(51)의 화소행 방향으로만 시차영상을 반복되게 배열하고 렌즈(63)의 장축(L)이 표시패널(51)의 화소열 방향(y)과 나란하게 배치한 경우 화소행 방향으로만 1/60로 해상도가 감소시켜 입체영상의 해상도가 53×2400으로 변함으로써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 2의 결과는 렌즈(63)의 장축(L)이 표시패널(51)의 화소열 방향(y)에 대해 9.46°(=arctan(1/6))을 이루도록 배치한 경우 화소행 방향으로 1/30, 화소열 방향으로 1/2의 비율로 해상도를 감소시켜 입체영상의 해상도가 106×1200으로 변화시키 것에 비해 화소행 방향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의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화소행 방향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열 방향의 해상도 변화율의 큰 차이로 기인한 입체영상의 화질 저하문제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도 7 및 표 1에서 상술한 조건대로 제작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목성을 표시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바꾸어 촬영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목성이 가지는 흑점의 위치가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 부드럽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시차영상이 동일한 색을 표시하더라도 관찰자의 눈에는 이웃하는 다른색의 시차영상이 동시에 보여지므로 색분리 현상없이 컬러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이 기울어지게 배치된 멀티-뷰 방식에 적용되어 관찰자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입체영상을 인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렌즈 장축이 화소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정렬됨에 따라 입체영상의 해상도가 표시패널의 2차원 해상도에 비해 화소행 방향 변하는 비율과 화소열 방향 방향으로 변하는 비율간의 차이에 기인한 화질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동일한 시차 영상이 동일색의 서브픽셀에 표시되게 하고 서로 인접한 서로 다른 색의 서로 다른 시차 영상이 오버랩되는 현상을 통해 자연스러운 컬러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오버랩되는 시차 영상들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여 컬러 화상을 구현하므로 색 분리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동일한 시차 영상을 서로 다른 색의 서브 픽셀에 배치하지 않으므로 시차 영상 배치 방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화소열 방향의 해상도 변화율과 화소행 방향의 해상도 변화율의 차이를 개선함과 아울러 색 분리 현상을 개선함에 따라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n개(n은 자연수)의 시차영상이 표시되고 동일한 시차영상이 동일 색의 서브픽셀들에 분산 표시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앞에 비스듬히 배치된 다수의 렌티큘러 렌즈들을 이용하여 상기 시차 영상들의 진행 경로를 분리하는 렌티큘러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은 상기 동일한 시차영상이 표시되는 상기 서브픽셀들간의 연장선과 나란하며;
    서브픽셀들은 적색의 서브픽셀, 녹색의 서브픽셀 및 청색의 서브픽셀로 구분되며;
    r(r은 n-2 이하의 자연수), r+1번째 시차영상 및 r+2번째 시차영상 각각은 상기 렌티큘러 시트를 투과하여 오버랩 되며;
    상기 r번째 시차영상은 상기 적색의 서브픽셀에 표시되고;
    상기 r+1번째 시차영상은 상기 청색의 서브픽셀에 표시되고;
    상기 r+2번째 시차영상은 상기 녹색의 서브픽셀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장축과 상기 표시패널의 화소열 방향 사이의 각은 arctan(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트큘러 시트를 투과하여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입체영상의 화소행 방향 해상도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화소행 방향 2차원 해상도의 1/5배이고,
    상기 렌트큘러 시트를 투과하여 관찰자에게 관찰되는 입체영상의 화소열 방향 해상도는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화소열 방향 2차원 해상도의 1/(n/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시차영상들은 다수의 그룹으로 나뉘어 상기 표시패널에 분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70044086A 2007-05-07 2007-05-07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329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86A KR101329962B1 (ko) 2007-05-07 2007-05-07 입체영상 표시장치
US12/116,477 US8254026B2 (en) 2007-05-07 2008-05-07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086A KR101329962B1 (ko) 2007-05-07 2007-05-07 입체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788A KR20080098788A (ko) 2008-11-12
KR101329962B1 true KR101329962B1 (ko) 2013-11-13

Family

ID=3996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086A KR101329962B1 (ko) 2007-05-07 2007-05-07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54026B2 (ko)
KR (1) KR101329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429A (ja) * 2007-02-07 2010-05-27 ヴイアール21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多重視点立体視ディスプレイ
JP4538766B2 (ja) * 2008-08-21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TWI428632B (zh) * 2010-11-30 2014-03-01 Benq Materials Corp 立體影像顯示器
US9420268B2 (en) 2011-06-23 2016-08-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US9052518B2 (en) * 2012-11-30 2015-06-09 Lumenco, Llc Slant lens interlacing with linearly arranged sets of lenses
CN103472587B (zh) * 2013-09-11 2015-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装置
US9888231B2 (en) * 2013-09-11 2018-02-0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2275064B1 (ko) * 2014-08-27 2021-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터치 보정장치
CN104570370B (zh) 2015-02-05 2017-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显示装置
WO2017188955A1 (en) * 2016-04-28 2017-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display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421A (ja) 2004-02-10 2005-09-22 Toshiba Corp 三次元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424A (en) *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GB9715397D0 (en) * 1997-07-23 1997-09-24 Philips Electronics Nv Lenticular screen adaptor
FR2876805B1 (fr) * 2004-10-18 2007-01-05 Artistic Images Sarl Dispositif et procede de visualisation autostereoscopique a base de lenticulaire, et procede de synthese d'images autostereoscopiques associe
JP5058967B2 (ja) * 2005-03-17 2012-10-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カラー・フィルタ
US8345087B2 (en) * 2006-02-27 2013-01-01 Parellel Consulting Limited Liability Company Image enhancement for three-dimensional display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8421A (ja) 2004-02-10 2005-09-22 Toshiba Corp 三次元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78483A1 (en) 2008-11-13
KR20080098788A (ko) 2008-11-12
US8254026B2 (en)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96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658545B1 (ko) 입체 화상 재생 장치
TWI407772B (zh) 自動立體顯示裝置及其濾色器
US8125513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316909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
US8711478B2 (en) Stereoscopic display
US7817339B2 (en) Display panel for 3-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3-dimensio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8553074B2 (en) Auto stereoscopic display improving brightness
CN103261946B (zh) 裸眼立体显示装置
US20130194521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utostereoscopic 3d or 2d/3d switchable pixel arrangement
US20150362740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5772688B2 (ja) 裸眼立体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115487A (ko)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0122690A1 (ja) 表示装置
CN101507287A (zh) 三维图像显示设备和三维图像显示方法
US20150237334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239058B1 (ko) 원거리용 무안경방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15026B1 (ko)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9549170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8427591B2 (en) 3D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KR102059469B1 (ko) 입체 표시 장치
KR101971994B1 (ko) 패럴랙스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표시 장치
KR10195714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100392B1 (ko)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