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651B1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9651B1 KR101329651B1 KR1020070025028A KR20070025028A KR101329651B1 KR 101329651 B1 KR101329651 B1 KR 101329651B1 KR 1020070025028 A KR1020070025028 A KR 1020070025028A KR 20070025028 A KR20070025028 A KR 20070025028A KR 101329651 B1 KR101329651 B1 KR 101329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column
- strap
- vehicle
- jacket
- shock absorb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embers, e.g. a flat strap, yielding through stretching, pulling a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브라켓에 스트랩과 가이드로 구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충격 에너지가 용이하게 흡수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스티어링 컬럼의 자켓에 설치되는 볼 슬리브를 삭제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른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력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단부에 로워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로워 자켓(Lower Jacket)과, 상기 로워 자켓의 외측에 오버랩(Overlap)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어퍼 자켓(Upper Jacket)과, 상기 어퍼 자켓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마운팅 하우징(Mounting Housing)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캡슐(Capsule)면 양 측 소정위치에 압입설치되는 서포트 볼트; 판체형상체로서, 고저차를 갖도록 단차지게 다수번 절곡형성되되, 하측에 위치하고, 그 중심부에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와, 상측에 위치하고, 그 단부에 근접되는 소정위치에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및 사각형상체로서, 그 전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 스트랩(Strap), 서포트 볼트(Support Bolt), 가이드(Guide), 높이 조절 블록(Height Block), 롤 스트랩(Roll Str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energ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is easily absorbed by installing a shock absorbing member consisting of a strap and a guide in the mounting bracket of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The driver's safety can be improved, and the ball sleeves installed on the jacket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removed, which not only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material cost, but also shortens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assembly, and improves the impact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steering column. In order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that can be improve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hollow lower jacket (Lower Jacket) having a lower mounting bracket at the end, and the overlap of the outer jacket (Overlap) (Upper Jac)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ket and a mounting hous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jacket, wherein the support is press-fitt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of a capsule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volt; Plate-shaped body, which is formed to be bent a number of times stepp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sli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shaped sliding groove that is open at one side in the center,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close to the end A strap including a fixing part through which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nd a rectangular body, the guide through which the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front;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Steering Column, Strap, Support Bolt, Guide, Height Block, Roll Strap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ap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uid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스트랩(Strap)과 가이드(Guide)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ap and a guid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스트랩(Strap) 및 가이드(Guide)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도,7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trap and a guid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에 따른 스트랩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rap according to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스티어링 컬럼, 10 : 로워 자켓,1: steering column, 10: lower jacket,
20 : 어퍼 자켓, 30 : 마운팅 하우징,20: upper jacket, 30: mounting housing,
31 : 캡슐면, 40 : 서포트 볼트,31: capsule side, 40: support bolt,
40' : 가이드 핀, 41 : 회전캡,40 ': guide pin, 41: rotating cap,
50 : 스트랩, 50' : 롤 스트랩,50: strap, 50 ': roll strap,
51 : 슬라이딩부, 53 : 슬라이딩홈,51: sliding part, 53: sliding groove,
55 : 고정부, 57 : 체결공,55: fixing part, 57: fastening hole,
60 : 가이드, 61 : 결합공,60: guide, 61: coupling hole,
70 : 높이 조절 블록.70: height adjustment block.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하우징에 스트랩과 가이드로 구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충격 에너지가 용이하게 흡수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스티어링 컬럼의 자켓에 설치되는 볼 슬리브를 삭제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른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력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shock absorbing member consisting of a strap and a guide in a mounting housing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 order to absorb impact energy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easily absorbed to promote driver safety, and can eliminate the ball sleeves installed in the jacket of the steering column, which not only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material cost, but also shortens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n automotive steering column capable of improving impact absorbing performanc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따라 운전자에 맞게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높이 및 전·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컬럼이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has a steering column that can adjust the height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driver's physical condition or driving posture.
이러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가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스티어링 휠을 일정 각도로 움직여 편한 위치에서 조정 및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틸트 기능 및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스티어링 샤프트로부터 인출하거나 수축시켜 운전석 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텔레스코픽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This steering column for the car has a tilt function that allows the driver to move the steering wheel at a certain angle by operating the control lever, and adjusts and adjusts it in a comfortable position and fixes the driver's steering wheel from the steering shaft to increase the driver's space. To perform a telescopic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은 운전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운전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전 자세에 맞추어 운전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스티어링 휠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may accurately position the steering wheel at a position required by the driver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r the driving posture of the driver for more comfortable and safe driving.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100)은 그 단부에 로워 마운팅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로워 자켓(Lower Jacket : 110))과 상기 로워 자켓(110)의 외측에 오버랩(Overlap)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 결되는 어퍼 자켓(Upper Jacket : 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퍼 자켓(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 미도시)가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어퍼 자켓(120)과 로워 자켓(110) 사이에 충격 하중을 조절 및 조정하기 위한 볼 슬리브(140)가 내부에 삽입된다.Here, a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자켓과 로워 자켓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 슬리브에 의하여 자동차의 충돌 시 스티어링 컬럼이 자동차의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 사고 시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the ball sleeve provided between the upper jacket and the lower jacket, the steering column absorbs the impact of the vehicle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protect the driver during a safety accident.
이러한 어퍼 자켓과 로워 자켓 사이에 볼 슬리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자켓에 정밀하게 내경을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가공 비용이 발생하며, 가공 후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install the ball sleeve between the upper jacket and the lower jacket, since the inner diameter must be precisely machined on the jacket, additional processing costs are gener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may be deformed after processing.
또한, 볼 슬리브의 압입 후 볼 베어링의 회전 시 걸림 현상 등이 발생되어 스티어링 컬럼의 전체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볼 슬리브의 볼 사이즈(Size)에 따른 충격값을 별도로 관리하여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의 불편함 및 재료비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steering column may be deteriorated due to a jamming phenomenon when the ball bearing is rotated after the ball sleeve is press-fitted, and the impact value according to the ball size of the ball sleeve must be managed separately. Therefor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in management and an increase in material cos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하우징에 스트랩과 가이드로 구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충격 에너지가 용이하게 흡수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스티어링 컬럼의 자켓에 설치되는 볼 슬리브를 삭제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른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력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is easily provided by installing a shock absorbing member consisting of a strap and a guide in the mounting housing of the steering column for the vehicle to absorb the impact energy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t can be absorbed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driver, eliminate the ball sleeves installed on the jacket of the steering column, not on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terial cost, but also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assembly, and the impact force of the steering colum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that can improve absorption performan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부에 로워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로워 자켓(Lower Jacket)과, 상기 로워 자켓의 외측에 오버랩(Overlap)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어퍼 자켓(Upper Jacket)과, 상기 어퍼 자켓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마운팅 하우징(Mounting Housing)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캡슐(Capsule)면 양 측 소정위치에 압입설치되는 서포트 볼트; 판체체로서, 고저차를 갖도록 단차지게 다수번 절곡형성되되, 하측에 위치하며, 그 중심부에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부와, 상측에 위치하며, 그 단부에 근접되는 소정위치에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및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그 전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홈이 상기 서포트 볼트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의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shaped lower jacket (Lower Jacket) is provided with a lower mounting bracket at the end, and an upper jacket that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lower jacket (Overlap) In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omprising a (Upper Jacket) and a mounting housing (Mounting Hous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upper jacket, predetermined both sides of the capsule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A support bolt press-fitted in position; Plate body, formed bent a number of times stepp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U-shaped sli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in the center, and located in the upper side, predetermined near the end A strap including a fixing part through which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And a guid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It includes, The sliding portion of the stra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olt and slide,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여기서, 상기 스트랩의 고정부의 하부면에 캡슐면과 스트랩 사이의 간격을 보정하기 위하여 높이가 가변가능한 높이 조절 블록(Height Block)이 구비된다.Here, a height block having a variable height is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of the strap to correct a gap between the capsule surface and the strap.
이때, 상기 높이 조절 블록이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ment block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a rubber material.
삭제delete
한편, 상기 스트랩의 슬라이딩홈 폐쇄측 내측면이 라운딩처리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sliding groove closing side of the strap is rounded.
더불어, 상기 스트랩의 슬라이딩홈 개방측 단부가 라운딩처리된다.In addition, the sliding groove open end of the strap is rounded.
그리고, 상기 스트랩의 고정부가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의 결합공 하부면에 상기 고정부의 하부면과 접하는 롤러가 구비된다.And, the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so that the fixing portion of the strap can be smoothly deformed.
한편, 단부에 로워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로워 자켓(Lower Jacket)과, 상기 로워 자켓의 외측에 오버랩(Overlap)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어퍼 자켓(Upper Jacket)과, 상기 어퍼 자켓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마운팅 하우징(Mounting Housing)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캡슐(Capsule)면 양 측 소정위치에 압입설치되는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핀을 중심으로 다수번 권취되는 롤 스트랩; 및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그 전면에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롤 스트랩은 일 단부가 상기 가이드의 결합공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hollow lower jacket having a lower mounting bracket at an end, an upper jacket overlapping the outer side of the lower jacket to be slidably connected, and one side of the upper jacket In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omprising a mounting housing (Mounting Housing) provided at the end, Guide pins are press-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capsule (Capsule) surface of the mounting housing; A roll strap wound around the guide pin a plurality of times; And a guide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having a coupling hole penetra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thereof, wherein the roll strap has one e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여기서, 상기 가이드 핀은 그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원통형의 회전캡이 구비된다.Here, the guide pin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rotating cap tha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스트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스트랩(Strap)과 가이드(Guide)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스트랩(Strap) 및 가이드(Guide)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ap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uid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ap and a guide of a steering column for a steering column are coupled, and FIG. 7 is a strap and a guid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schematically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which concerns on (Guide).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1)은 그 단부에 로워 마운팅 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되는 중공 형상의 로워 자켓(Lower Jacket : 10)과, 상기 로워 자켓(10)의 외측에 오버랩(Overlap)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어퍼 자켓(Upper Jacket : 20)과, 상기 어퍼 자켓(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마운팅 하우징(Mounting Housing : 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는 서포트 볼트(40)와 스트랩(50) 및 가 이드(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a
여기서, 상기 마운팅 하우징(30)의 캡슐(Capsule)면(31) 양 측 소정위치에 서포트 볼트(40)가 압입설치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서포트 볼트(4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및 이동가능하도록 판상체로서, 그 일측과 타측이 고저차를 갖도록 단차지게 다수번 절곡형성되되,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51)와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부(55)로 이루어지는 스트랩(50)이 구비된다.And, the plate is coupled to the
이때, 상기 스트랩(50)은 상기 서포트 볼트(4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51)의 중심부에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슬라이딩홈(53)이 형성되고,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부(55)는 그 단부에 근접되는 소정위치에 마운팅 하우징(30)과 고정되기 위한 볼트 등의 삽입체결되기 위한 체결공(57)이 관통형성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스트랩(50)이 삽입 및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하여 직육면체로 형성되되, 그 전면에 스트랩(50)이 삽입되기 위한 결합공(61)이 관통형성되는 가이드(60)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마운팅 하우징(30)의 캡슐면(31)에 설치되는 서포트 볼트(40)에 스트랩(50)의 슬라이딩홈(53)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랩(50)은 가이드(60)의 결합공(61)에 삽입 및 결합된다.By the structure and shape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sliding
여기서, 상기 스트랩(50)의 고정부(55)의 하부면에 캡슐면(31)과 고정부(55) 사이의 간격을 보정하기 위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블록(Height Block : 70)이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랩(50)의 고정부(55) 하부면에 높이 조절 블록(70)이 구비됨으로써 캡슐면(31)과 스트랩(50) 사이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 블록(70)은 대략 사각형상체로 형성된다.Here, a height adjustment block (Height Block: 7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높이 조절 블록(70)은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 블록(70)이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스트랩(50)과 마운팅 하우징(30)의 캡슐면(31) 사이의 간격을 보정할 수 있다면, 상기 높이 조절 블록(70)이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스트랩(50)의 절곡 형태 및 절곡 각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성능에 최적화되도록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도록 가변적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form and the bending angle of the
여기서, 상기 스트랩(50)의 원할한 변형을 위하여 스트랩(50)의 슬라이딩홈(53) 폐쇄측 내측면이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id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랩(50)의 원할한 변형을 위하여 스트랩(50)의 슬라이딩홈(53) 폐쇄측 내측면이 라운딩처리되어 있으나, 스트랩(50)의 원할한 변형이 가능하다면 상기 스트랩(50)의 슬라이딩홈(53) 개방측 단부가 라운딩처리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ide of the sliding
이때, 스트랩(50)의 고정부(55)가 원할하게 변형되도록 상기 가이드(60)의 결합공(61) 하부면에 고정부(55)의 하부면과 접하는 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60)의 결합공(61) 하부면에 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트랩(50)이 결합공(61)의 롤러 상에서 구름운동을 하면서 펼쳐지게 된다.In this case, a roller (not shown)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에 따른 스트랩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trap according to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는 상기 마운팅 하우징(30)의 캡슐(Capsule)면(31) 양 측 소정위치에 가이드 핀(40')이 압입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핀(40')을 중심으로 다수번 권취되는 롤 스트랩(50') 및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그 전면에 결합공(61)이 관통형성되는 가이드(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3, 6 and 8,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guide pi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태에 의하여 상기 마운팅 하우징(30)의 캡슐면(31)에 설치되는 서포트 볼트(40)의 외주연에 권취되는 코일형상의 롤 스트랩(50')이 설치되고, 상기 롤 스트랩(50')의 일 단부가 가이드(60)의 결합공(61)에 삽입 및 결합된다.The coil-shaped roll strap 5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롤 스트랩(50')의 권취 횟수 등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성능에 최적화되도록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도록 가변적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roll strap 50 'is variably made to be variously adjusted to optimize th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이때, 상기 가이드 핀(40')은 그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원통형의 회전캡(41)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in 4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여기서, 상기 가이드(60)의 결합공(61)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결합되는 롤 스트랩(50')이 원할하게 변형되도록 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60)의 결합공(61)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롤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 스트랩(50')이 결합공(61)의 롤러 상에서 구름운동을 하면서 펼쳐지게 된다.Here, the roller is preferably provided such that the roll strap 50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ppropriat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이상에서 설명한 자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마운팅 브라켓에 스트랩과 가이드로 구성되는 충격 완충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자동차의 충격 에너지가 용이하게 흡수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스티어링 컬럼의 자켓에 설치되는 볼 슬리브를 삭제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에 따른 제조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력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컬럼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n impact energy of the vehicle by installing an impact buffer member consisting of a strap and a guide on a mounting bracket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 order to absorb impact energy dur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easily absorbed to promote driver safety, and can eliminate the ball sleeves installed in the jacket of the steering column, which not only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material cost, but also shortens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assembly. Not only can the impact absorbing performance be improved, but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improv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5028A KR101329651B1 (en) | 2007-03-14 | 2007-03-14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5028A KR101329651B1 (en) | 2007-03-14 | 2007-03-14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4010A KR20080084010A (en) | 2008-09-19 |
KR101329651B1 true KR101329651B1 (en) | 2013-11-14 |
Family
ID=400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50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9651B1 (en) | 2007-03-14 | 2007-03-14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96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151B1 (en) | 2013-05-02 | 2015-02-23 | 주식회사 만도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KR101579516B1 (en) * | 2014-07-10 | 2015-12-22 | 남양공업주식회사 |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damping collision type of Vehicles |
KR102101663B1 (en) * | 2014-11-26 | 2020-06-01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Impact-absorb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CN110406588B (en) * | 2018-04-28 | 2022-10-25 | 罗伯特·博世汽车转向系统有限责任公司 | Steering column assembly |
KR102282125B1 (en) * | 2020-04-21 | 2021-07-28 |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 Steering column assembling having impact absorption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1364A (en) * | 2004-04-19 | 2005-10-24 | 주식회사 만도 | Mounting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
KR20070052011A (en) * | 2005-11-16 | 2007-05-21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
KR20070052527A (en) * | 2005-11-17 | 2007-05-22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
-
2007
- 2007-03-14 KR KR1020070025028A patent/KR10132965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1364A (en) * | 2004-04-19 | 2005-10-24 | 주식회사 만도 | Mounting shock-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
KR20070052011A (en) * | 2005-11-16 | 2007-05-21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
KR20070052527A (en) * | 2005-11-17 | 2007-05-22 | 한국델파이주식회사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4010A (en) | 2008-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78872B2 (en) | Vehicle steering column including a pyrotechnic charge | |
KR101329651B1 (en)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
EP1854699B1 (en) | Tliting and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having rotatable locking member | |
KR100553962B1 (en) | Steering Column with Variable Shock Absorption Structure | |
EP1905664A2 (en) | Electrically adjustable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 |
EP1884445A2 (en) | Adjustable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eering column | |
EP3486116B1 (en) | Motor-vehicle seat | |
KR20180022289A (en) | Telescopic latch appratus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2362991B1 (en) |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 |
KR102328870B1 (en) |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CN108528518B (en) | Steering device | |
KR101190734B1 (en) | Steering column with tilt and telescopic apparatus mixed for vehicle | |
JP4905886B2 (en) | Car armrest device | |
JP2010179908A (en) | Hood hinge structure | |
KR101869086B1 (en) | Storage box of an automobile | |
KR101282683B1 (en) | Tilt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 |
KR101929551B1 (en) | Storage box of an automobile | |
JP3856610B2 (en) | Steering device | |
JP6481374B2 (en) |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 |
KR100820007B1 (en) |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Column | |
KR100860776B1 (en) | Lower bracket assembly for automotive steering column | |
US12263880B2 (en) | Steering device of vehicle | |
KR102349847B1 (en) | Semi-active stabilizer device | |
KR20230161001A (en) | A stt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JP7409018B2 (en) | stee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