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9022B1 -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022B1
KR101329022B1 KR1020110094210A KR20110094210A KR101329022B1 KR 101329022 B1 KR101329022 B1 KR 101329022B1 KR 1020110094210 A KR1020110094210 A KR 1020110094210A KR 20110094210 A KR20110094210 A KR 20110094210A KR 101329022 B1 KR101329022 B1 KR 10132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sensor
sensor signal
alarm signal
ident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615A (ko
Inventor
서성보
홍각표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주)터보소프트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본정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터보소프트, 주식회사 보아스에스이, 본정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터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1009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0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축사 내부에 제1 높이 이상의 각 지점마다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센서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신호 송출기; 상기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의 제1 부위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센서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축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센서신호 수신기; 및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상기 가축의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축의 승가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축사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DOMESTIC ANIMAL MOUN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 내의 일정 높이에 센서신호 송출기를 설치하고, 가축의 특정부위에 센서신호 수신기를 설치하여 상기 특정부위가 상기 일정 높이 수준에 도달할 때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가 센서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며, 센서신호 수신 시 서버나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에서도 가축의 승가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번식관리는 낙동가의 핵심경영사항이다. 낙동가의 수입원은 원유 판매, 송아지 판매, 늙은소 판매 수익금이다. 따라서, 수태(임신)는 낙동가의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소의 발정 주기는 21일이며 발정을 발견하지 못하면 공태기가 길어져서 1마리당 하루에 1~2만원, 최소 40만원 이상의 경비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번식관리의 핵심인 소의 발정 상태를 빠짐없이 체크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낙동가의 소득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기존에는 자동화된 시스템의 부재로 CCTV로 녹화하여 확인하거나 발정 체크기를 이용하여 일일이 확인하거나 크레파스를 이용하여 크레파스 자국이 지워졌는지 확인하는 등 수동적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정 확인율이 농업진흥청 자료에 의하면 50%이하이다. 24시간 사람이 관찰하게 되면 매우 높은 발정 확인율을 확보할 수 있지만, 사실상 인력으로 24시간 매일 확인한다는 것은 비용측면이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으므로 농가에서는 발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는 발정 상태가 되면 발정행동을 보이는데 외음부 냄새 맡기, 턱 비빔, 승가행위, 및 승가허용행위 등을 보인다. 그 중에 승가행위와 승가허용행위가 가장 확실한 발정 징후이며 실제로 현장에서도 승가행위를 통하여 발정여부를 확인한다. 발정 상태의 소가 근처 소의 등에 올라타는 형태의 동작을 승가라고 하며 발정 상태가 되면 승가를 하기도 하고 승가를 허용하기도 하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목장주는 승가 행위를 목격하여 발정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소를 인공 수정한다. 기존에 승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뒷 발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카운트하여 승가여부를 확인하는 방식, 소의 등에 크레파스 칠하고 지워졌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 24시간 CCTV 녹화 영상을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고가의 비용소모 등 현실적으로 농가에 보편적으로 보급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보다 간편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가축의 승가 행위를 검출해 낼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축사 내의 일정 높이에 센서신호 송출기를 설치하고, 가축의 특정부위에 센서신호 수신기를 설치하여 상기 특정부위가 상기 일정 높이 수준에 도달할 때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가 센서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며, 센서신호 수신 시 서버나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에서도 가축의 승가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축사 내부에 제1 높이 이상의 각 지점마다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센서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신호 송출기; 상기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의 제1 부위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센서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축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센서신호 수신기; 및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상기 가축의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축의 승가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축사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축사 내부에 제1 높이 이상의 각 지점마다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센서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신호 송출기; 상기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의 제1 부위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센서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축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센서신호 수신기; 상기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의 제2 부위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축에 임계값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가축의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충격감지 센서기; 및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와, 상기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통해 승가행위 가축 및 승가허용행위 가축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승가행위 가축정보 및 승가행위허용 가축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축사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축사 관리자가 축사 내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보다 간편하면서 보다 정확한 축사 내 가축의 승가행위에 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센서신호 수신기 및 충격감지 센서기의 운용을 통해 승가행위를 시도하는 가축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동시에 승가허용행위를 시도하는 가축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가축의 승가정보를 관리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중 센서신호 수신기 및 충격감지 센서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승가정보 수집기에 디스플레이되는 가축의 승가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송출기(131 내지 133),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 축사관리 서버(140), 승가정보 수집기(150), 및 관리자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송출기(131 내지 133)는 축사(100) 내부에 제1 높이 이상의 각 지점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는 제1 가축(110)의 승가행위 시 제1 가축(110)의 제1 부위에 설치된 센서신호 수신기(111)가 센서신호 송출기(131)로부터 송출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최소 높이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신호 송출기(131 내지 133)는 각각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신호 송출기(131 내지 133)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축사 내부의 반대편으로 직진성이 강한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는 가축(110 및 120)의 제1 부위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센서신호 송출기(131 내지 133)로부터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또는 레이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위는 가축의 승가행위 시 센서신호 송출기(131 내지 133)가 설치된 상기 제1 높이에 도달할 수 있는 상기 가축의 부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위는 가축의 목덜미, 뿔, 코뚜레, 머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는 축사(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110 및 120)의 제2 부위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는 압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위는 제2 가축(120)이 제1 가축(110)의 승가행위에 대해 승가허용행위를 취할 시 제1 가축(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부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부위는 가축의 다리, 엉덩이, 꼬리, 등, 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는 상술한 이유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가축의 다양한 부위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부위가 가축의 목덜미 부위로 구현되고, 상기 제2 부위가 가축의 엉덩이 꼬리 부위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 및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는 선정된 로직(logic)에 따라 가축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축사관리 서버(140)나 승가정보 수집기(150)로 전송한다.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 및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가 가축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14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상기 로직(logic)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축사관리 서버(140)는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 및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로부터 수신하는 가축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통해 가축의 승가행위나 승가허용행위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160)로 전송할 수 있다.
승가정보 수집기(150)는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 및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로부터 수신하는 가축 식별자 및 알람신호를 통해 가축의 승가행위나 승가허용행위에 대한 정보를 전광판 등을 통해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통신망은 Wi-Fi 네트워크, 지그비(ZigBee) 네트워크, UWB 네트워크 등의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신호 수신기(111 및 121), 충격감지 센서기(112 및 122), 축사관리 서버(140), 및 승가정보 수집기(15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한 무선통신을 위하여, 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UWB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중 센서신호 수신기 및 충격감지 센서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신호 수신기(210)는 센서신호 수신부(211), 제1 알람신호 제어부(121), 및 무선통신부(213)를 포함한다. 충격감지 센서기(220)는 충격감지센서(221), 제2 알람신호 제어부(222), 무선통신부(2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충격감지 센서기(220)의 포함여부에 따라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센서신호 수신기(210)만을 포함하는 경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은 센서신호 수신기(210) 및 충격감지 센서기(22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구성 및 승가정보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후,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승가정보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축(120)에 대하여 승가행위를 시도하는 제1 가축(110)에 설치되는 센서신호 수신기(210)의 센서신호 수신부(211)는 상기 승가행위 시 센서신호 송출기(131)로부터 송출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센서신호 수신기(210)가 설치되는 제1 가축(110)의 제1 부위가 센서신호 송출기(131)가 설치되는 제1 높이 이상인 경우, 센서신호 수신부(211)는 상기 센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알람신호 제어부(212)는 센서신호 수신부(211)의 상기 센서신호 수신여부를 감지한다. 제1 알람신호 제어부(212)는 상기 센서신호의 수신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신호 수신기(210)가 설치된 제1 가축(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부(213)는 제1 알람신호 제어부(212)의 상기 제어에 따라 제1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230) 또는 승가정보 수집기(240)로 전송할 수 있다.
축사관리 서버(230)는 센서신호 수신기(21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를 통해 제1 가축(110)이 승가행위를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축사관리 서버(230)는 제1 가축(110)의 승가행위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50)로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축사관리 서버(230)는 제1 가축(110)에 대하여 상기 제1 알람신호를 선정된 회수나 선정된 시간 동안 지속하여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1 가축(110)이 승가행위를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5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승가정보 수집기(240)는 축사(100)의 내부 또는 축사의 외부에 설치되고, 센서신호 수신기(210)로부터 상기 제1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를 통해 제1 가축에 대한 승가회수정보 및 승가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가정보 수집기(240)는 전광판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축사(100)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 각각에 대한 승가회수정보 및 승가시각정보를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승가정보 수집기(240)는 센서신호 수신기(210) 및 축사관리 서버(230) 간의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센서신호 수신기(210)가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승가정보 수집기(240)로 전송하면, 승가정보 수집기(240)는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를 통해 승가회수정보 및 승가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23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축(120)에 대하여 승가행위를 시도하는 제1 가축(110)의 제1 부위에 설치되는 센서신호 수신기(210)의 센서신호 수신부(211)는 상기 승가행위 시 센서신호 송출기(131)로부터 송출되는 센서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신호 수신기(210)는 상기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가축(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230) 또는 승가정보 수집기(2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축(120)의 제2 부위에 설치되는 충격감지 센서기(220)는 제1 가축(110)의 승가행위에 따라 전달받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충격감지 센서기(220)의 충격감지센서(221)가 상기 충격을 감지하면, 제2 알람신호 제어부(222)는 상기 충격량을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충격감지센서(221)의 민감도는 가축의 승가행위와 승가허용행위 시 가해지는 충격량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알람신호 제어부(222)는 상기 충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제2 가축(120)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2 가축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의 전송을 제어한다. 무선통신부(223)는 제2 알람신호 제어부(22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230) 또는 승가정보 수집기(240)로 전송할 수 있다.
축사관리 서버(230)는 센서신호 수신기(21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1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와, 충격감지 센서기(22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제2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통해 승가행위 가축 및 승가허용행위 가축을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승가행위 가축정보 및 승가행위허용 가축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축사관리 서버(230)는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 중 제1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제1 가축에 대한 제1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만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축이 다른 가축에게 승가행위를 시도하는 것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축사관리 서버(230)는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 중 제2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제2 가축에 대한 제2 가축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축이 다른 가축의 승가행위에 대하여 승가허용행위를 취하는 것으로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축사관리 서버(230)는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 중 제1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제1 가축에 대한 제1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 중 제2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제2 가축에 대한 제2 가축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축이 상기 제2 가축에 대하여 승가행위를 시도하고 상기 제2 가축은 상기 제1 가축에 대하여 승가허용행위를 취하는 것으로 판독할 수 있다.
승가정보 수집기(240)는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축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수신하는 가축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축 각각에 대한 승가행위정보, 승가허용행위정보, 승가회수정보 및 승가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승가정보 수집기는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수집하는 상기 가축 식별자, 상기 제1 알람신호,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230)로 전송하는 중계기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축사 110: 제1 가축
111: 제1 센서신호 수신기 112: 제1 충격감지 센서기
120: 제2 가축 121: 제2 센서신호 수신기
122: 제2 충격감지 센서기 131: 제1 센서신호 송출기
132: 제2 센서신호 송출기 133: 제3 센서신호 송출기
140: 축사관리 서버 150: 승가정보 수집기
16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의 승가행위 시, 각 가축에 대한 목덜미, 뿔, 코뚜레 및 머리 중 어느 하나인 제1 부위의 최소높이 이상으로 구현되는 제1 높이 이상의 각 지점마다 하나 이상 설치되어 센서신호를 송출하는 센서신호 송출기;
    상기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축의 상기 제1 부위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센서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센서신호의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 해당 가축의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축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센서신호 수신기;
    상기 축사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가축의 다리, 엉덩이, 등, 꼬리, 및 배 중 어느 하나인 제2 부위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축에 임계값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가축의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축사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충격감지 센서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 중 제1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제1 가축에 대한 제1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 중 제2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제2 가축에 대한 제2 가축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축이 상기 제2 가축에 대하여 승가행위를 시도하고 상기 제2 가축은 상기 제1 가축에 대하여 승가허용행위를 시도하는 것으로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상기 제1 가축에 대한 승가행위 가축정보 및 상기 제2 가축에 대한 승가행위허용 가축정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축사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송출기 및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는 각각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감지 센서기는 압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는,
    상기 제1 부위가 상기 제1 높이 이상인 경우, 상기 센서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의 상기 센서신호 수신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신호의 수신을 감지하는 경우 선정된(predetermined) 가축 식별자 및 알람신호의 상기 축사관리 서버에 대한 전송을 제어하는 제1 알람신호 제어부; 및
    상기 제1 알람신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1 알람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 센서기는,
    상기 가축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충격량을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충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충격량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2 알람신호의 상기 축사관리 서버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2 알람신호 제어부; 및
    상기 제2 알람신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축 식별자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의 내부 또는 상기 축사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사 내부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축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가축 식별자 및 제1 알람신호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축에 각각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수신하는 가축 식별자 및 제2 알람신호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축 각각에 대한 승가행위정보, 승가허용행위정보, 승가회수정보 및 승가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승가정보 수집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수신기 및 상기 충격감지 센서기는 상기 가축 식별자, 상기 제1 알람신호,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상기 승가정보 수집기로 전송하고, 상기 승가정보 수집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신호 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격감지 센서기로부터 수집하는 상기 가축 식별자, 상기 제1 알람신호, 및 상기 제2 알람신호를 상기 축사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10094210A 2011-09-19 2011-09-19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32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10A KR101329022B1 (ko) 2011-09-19 2011-09-19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210A KR101329022B1 (ko) 2011-09-19 2011-09-19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15A KR20130030615A (ko) 2013-03-27
KR101329022B1 true KR101329022B1 (ko) 2013-12-20

Family

ID=4818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2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9022B1 (ko) 2011-09-19 2011-09-19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0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46B1 (ko) 2015-07-17 2017-01-10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18452B1 (ko) 2016-02-04 2017-03-21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00009700A (ko) 2018-07-19 2020-01-30 신상운 초음파 워낭장치를 이용한 가축의 객체확인 및 행동인식 시스템
KR20200057405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드림테크 사물인터넷 기반 소의 중요징후 탐지시스템
KR20200117610A (ko) * 2019-04-05 2020-10-14 권은희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74B1 (ko) * 2013-05-20 2015-02-17 대한민국 소 행동형 발정인식 시스템
KR101568979B1 (ko) * 2014-05-22 2015-1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깊이 정보를 이용한 동물의 머리 탐지 시스템 및 그 탐지 방법
KR20160027675A (ko) 2014-09-02 2016-03-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가축의 승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043765A1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886042B1 (ko) * 2017-04-05 2018-09-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 발정감지 시스템의 가축 발정감지 방법
KR102117092B1 (ko) * 2019-08-09 2020-05-29 강현철 행동 패턴 인식을 이용한 소의 발정 탐지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46B1 (ko) 2015-07-17 2017-01-10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1718452B1 (ko) 2016-02-04 2017-03-21 주식회사 씨피에스글로벌 동물 발정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00009700A (ko) 2018-07-19 2020-01-30 신상운 초음파 워낭장치를 이용한 가축의 객체확인 및 행동인식 시스템
KR102089165B1 (ko) * 2018-07-19 2020-03-13 신상운 초음파 워낭장치를 이용한 가축의 객체확인 및 행동인식 시스템
KR20200057405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드림테크 사물인터넷 기반 소의 중요징후 탐지시스템
KR102184975B1 (ko) * 2018-11-16 2020-12-03 주식회사 드림테크 사물인터넷 기반 소의 중요징후 탐지시스템
KR20200117610A (ko) * 2019-04-05 2020-10-14 권은희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KR102307327B1 (ko) 2019-04-05 2021-09-30 주)엠트리센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615A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22B1 (ko) 가축의 승가정보 제공 시스템
US11730141B2 (en) Method for matching a sensor device to an identity (ID) tag for animals and system for performing such method
EP2109358B1 (en) Animal management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including radio animal tag and additional transceiver(s)
EP186333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imal relationships
CN107711576A (zh) 一种母猪发情鉴定方法及系统
KR20200057405A (ko) 사물인터넷 기반 소의 중요징후 탐지시스템
KR20110007922A (ko) 동물의 승가 자동 알람 시스템
EP2832217A1 (en) Estrus notification method, estrus notification device, and estrus notification program
KR20200117610A (ko) 전자식 모돈 관리 장치
CN107771706A (zh) 一种母猪发情检测方法及系统
KR20130035819A (ko) 열화상 카메라 및 센서를 이용한 가축 발정 진단 시스템
KR102089165B1 (ko) 초음파 워낭장치를 이용한 가축의 객체확인 및 행동인식 시스템
US20200396962A1 (en) Smart cattle reproduction management and digital farm to market transparency metrics
CN116616952A (zh) 奶牛行为体征监测系统、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680853B1 (ko) Rfid 기반의 모돈 발정 감지 시스템
KR20130082589A (ko) 동물의 생장 및 번식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2825A (ko) 가축의 발정 관리 시스템
CN206790712U (zh) 一种动物定位装置、服务器和系统
KR101625522B1 (ko) 승가행위 판단 시스템의 승가행위 판단방법
KR102457338B1 (ko) 스마트 목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응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210243028U (zh) 一种体温检测装置及体温检测系统
WO2024180551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estrus or heat detection
Caja et al. Available sensor technologies for precision farming and welfare assessment in dairy goats
Trotter et al. Automating welfare measurements and interventions for Northern Australia beef cattle
Caja et al. Update on sensor technologies for performance recording, management and welfare in small rumin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2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