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716B1 - Food waste separator for dishwasher - Google Patents
Food waste separator for dish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7716B1 KR101327716B1 KR20130039776A KR20130039776A KR101327716B1 KR 101327716 B1 KR101327716 B1 KR 101327716B1 KR 20130039776 A KR20130039776 A KR 20130039776A KR 20130039776 A KR20130039776 A KR 20130039776A KR 101327716 B1 KR101327716 B1 KR 1013277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ing
- bowl
- conveyor
- transfer
- wa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7—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 A47L15/248—Details specific to conveyor-type machines, e.g. curtains relating to the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47L15/24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 A47L15/24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the dishes moving in a horizontal plane the dishes being placed directly on the conveyors, i.e. not in dish rac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판의 그릇(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의 정밀세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그릇에서 세척된 오염수를 재활용하여 다시 그릇을 세척할 수 있도록하며, 그릇에서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을 자동으로 이루지도록하여 대량의 그릇을 신속하고 자동으로 정밀세척하도록 한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판(10)의 다수개 그릇(10a)이 투입되게 일측에 다수개로 형성된 투입부(21)와, 내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부(22)와, 타측에 그릇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부(23)로 구성된 본체(20)와; 상기 투입부(21)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a)이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30a)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상에서 이송된 그릇(10a)이 180도 회전낙하되어 상부에 안착이송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b)이 형성된 제2이송컨베이어(30b)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상부 및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다수개의 그릇(10a)을 세척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41)을 갖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부(40)에서 분사된 세척수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을 세척한 오염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하부에 설치된 오염수수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cise washing of the bowl (bowl bowl, rice bowl, cold bowl, lid, etc.) of the plate is made automatically, to recycle the contaminated water washed in the bowl to wash the bowl again, the food waste removed from the bowl This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for separating the large amount of dishes quickly and automatically by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m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input portion 21 formed on one side so that a plurality of bowls (10a) of the plate 10 is input, the space portion 22 form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owls (10a) therein, and the other side A main body 20 having a discharge part 23 formed to discharge the bowl; One side is adjacent to the other side lower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21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pace 22, a plurality of drop holes (31a) is formed at the bottom, to transfer a plurality of vessels (10a) in the upper portion A first transfer conveyor 30a; One sid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the vessel (10a) transferr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rotated 180 degrees dropping seated and transferred to the upper, a plurality of A second transfer conveyor 30b having a drop hole 31b formed therein;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30a, 30b), washing the plurality of vessels (10a) transferr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30a, 30b) A washing unit 40 hav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41 to mak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to accommodate the contaminated water that washes the bowl 10a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with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unit 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lluted water tank 50 installed in.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에 사용되는 잔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 및 와류세척기, 불림 싱크대 등 전단에 설치하여 식기의 불림기능을 갖는 갖고, 식판과 그릇(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을 이송시키는 제1,2이송컨베이어의 상부 및 중부에 세척부(노즐)를 설치하여 충분한 양의 물을 분사하여 뒤집어지지 않은 그릇에 담긴 잔반을 물과 함께 넘쳐 분리 하고 반복돤 반전(덤불링)콘베어를 다수 설치하여 잔반분리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며 그릇의 상,하부 정밀세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세척부로 통해 그릇에서 세척된 오염수를 저장하는 오염수수조에 여과기를 더 설치하여 오염수를 재활용하여 다시 그릇을 세척하여 수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하며, 그릇에서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을 자동으로 이루지도록하여 대량의 그릇과 잔반을 분리하고 자동으로 정밀세척하도록 한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separator used in the dish separator for dishwashing, and more particularly, has a soaking function of tableware by installing a dishwasher, a vortex washer, a soaking sink, and a plate and a bowl (bowl, rice bowl, Washing part (nozzle)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middle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to transfer cold bowls, lids, etc. by spraying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to separate the residue contained in the unturned bowl with water and repeating. By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inverted (conch bushing) conveyors, it effectively induces the separation of residues, and the upper and lower precision washing of the bowl is done automatically. By recycling the contaminated water, the container can be washed again to recycle water resources, and the food waste removed from the bowl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relates to a dish washer separator for separating a large number of dishes and the remaining plate and automatically fine cleaning.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호텔,병원,학교,공장,군대 등과 같이 주로 단체급식하는 대형식당에 설치된다.In general, the dishwasher is to automatically wash and dry a large number of dishes, such a dishwasher is installed in a large cafeteria mainly group meals, such as hotels, hospitals, schools, factories, military.
이와 같이 대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시켜주는 식기세척기에는 식판과 그릇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되는 식판과 그릇에 세척용수 및 헹굼용수를 분사시켜주는 세척실과 헹굼실이 설치되며, 또한 세척된 식판과 그릇을 건조시키는 건조실이 설치된다.The dishwasher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large amount of tableware is provided with a conveyor for conveying the plate and the bowl, a washing chamber and a rinsing chamber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into the tray and the bowl to be conveyed, A drying chamber is installed to dry the washed dishes and the bowl.
그러나 종래에는 식판과 그릇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하나씩 세척실로 투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식판과 그릇을 따로따로 나누어서 각각 세척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과 세척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n inconvenience that workers have to manually put the dishes and the bowl into the washing room one by one by hand, and since the dishes and the dishes are separately cleaned separately, a large amount of manpower and work time are required in a structured manner, And a lot of cleaning time are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식판의 그릇(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을 이송시키는 제1,2이송컨베이어의 상부 및 중부에 세척부를 설치하여 그릇 상,하부의 정밀세척이 이루어지고, 세척부로 통해 그릇에서 세척된 오염수를 저장하는 오염수수조에 여과기를 더 설치하여 오염수를 재활용하여 다시 그릇을 세척하여 수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하며, 그릇에서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을 자동으로 이루지도록하여 대량의 그릇을 신속하고 자동으로 정밀세척하도록 한 새로운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bowl of the plate (sook bowl, rice bowl, cold bowl, lid, etc.),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wl precision Washing is done, and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contaminated water tank to store the contaminated water that has been washed in the bowl through the washing unit so that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recycled to wash the bowl again to recycle the water resour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dishwashing remnant separator that automatically discharges to the outside to quickly and automatically precisely clean a large number of vessel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식판(10)의 다수개 그릇(10a)이 투입되게 일측에 다수개로 형성된 투입부(21)와, 내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부(22)와, 타측에 그릇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부(23)로 구성된 본체(20)와; 상기 투입부(21)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a)이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30a)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상에서 이송된 그릇(10a)이 180도 회전낙하되어 상부에 안착이송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b)이 형성된 제2이송컨베이어(30b)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상부 및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다수개의 그릇(10a)을 세척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41)을 갖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부(40)에서 분사된 세척수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을 세척한 오염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하부에 설치된 오염수수조(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bowls (10a) and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 설치된 상기 세척부(40)의 분사노즐(41)은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그릇(10a)의 상부면과 마주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된 상기 세척부(40)의 분사노즐(41)은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그릇(10a)의 하부면과 마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오염수수조(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부(40)에 의해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에서 제거된 음식물찌꺼기가 낙하되는 낙하이송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op transport unit is installed on top of the contaminated water tank (50) dropping food waste removed from the vessel (10a)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30a, 30b) by the washing unit 40 ( 60)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또한, 상기 낙하이송부(60)상의 음식물찌꺼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된 음식물찌거기 이송구(71)를 구비한 음식물찌꺼기 이송컨베이어(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d
또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이송벨트(30c)는 다수개의 이송부재(32)가 수직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연결되어 다수개의 낙하공(31a,31b)이 형성된 이송연결구(33)과, 상기 이송연결구(33)의 외측면에는 그릇을 이송시키는 그릇이송구(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그릇(10a)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설치되고, 경사지도록 형성된 낙하안내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installed to guide the fall of the vessel (10a), and configured to be formed to be inclined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는 일측은 수평부(a)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a)의 타측은 경사부(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conveyor (30a)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ormed of a horizontal portion (a),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is composed of an inclined portion (b).
또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게 형성된 경사부(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inclined portion (b ') formed hig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하부로 순차적으로 다수개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를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의 마지막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상기 배출부(23)의 일측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음식물 찌꺼기 이송컨베이어(70)의 타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20)의 전방에 음식물 찌거기 배출부(24)와 연결설치된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food
또한, 상기 오염수수조(50)에 오염수를 흡입하여 여과시켜 상기 세척부(40)에 여과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염수수조(50)와 상기 세척부(40)와 연결된 여과순환기(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y suck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contaminated
또한, 상기 본체(20)의 일측의 상부에는 식판(10)이 다수개로 수집될 수 있도록 식판수집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배출부(24)에서 세척되어 배출되는 그릇(10a)을 수집하여 건조시키도록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설치되는 건조수집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본 발명은 식판의 그릇(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을 이송시키는 제1,2이송컨베이어의 상부 및 중부에 세척부를 설치하여 그릇 상,하부의 정밀세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세척부로 통해 그릇에서 세척된 오염수를 저장하는 오염수수조에 여과기를 더 설치하여 오염수를 재활용하여 다시 그릇을 세척하여 수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하며, 그릇에서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을 자동으로 이루지도록하여 대량의 그릇을 신속하고 자동으로 정밀세척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for transporting the bowl of the plate (sook bowl, rice bowl, cold bowl, lid, etc.), the fine cleaning of the upper and lower bowl is automatically made, Through the installation of more filters in the contaminated water tank to store the contaminated water washed in the bowl through the contaminated water can be recycled to wash the bowl again to recycle the water resources, and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food waste removed from the bowl to the outside It is effective to precisely clean a large amount of vessels quickly and automatical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건조수집부가 설치된 다른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이송컨베이어의 타측에 제2이송컨베이어를 다수설치하여 나타낸 다른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와 오염수수조와 세척부의 계통도.1 is a front schematic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and second transpor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 collector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plurality of second transport conveyor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transport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ystem diagram of the filter and contaminated water tank and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safely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면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개략도.1 is a front schematic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schematic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건조수집부가 설치된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이송컨베이어의 타측에 제2이송컨베이어를 다수설치하여 나타낸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와 오염수수조와 세척부의 계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dry collector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is show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econd conveying conveyor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according to,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filter and the contaminated water tank and the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를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과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ish-washing the dish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ose shown in Figures 1 to 7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은 본체(20)와, 제1이송컨베이어(30a)와, 제2이송컨베이어(30b)와, 세척부(40)와, 오염수수조(50)와, 낙하이송부(60)와,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와, 낙하안내부(80)와,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90)로 구성된다.The dish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본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는 식판(10)의 다수개 그릇(10a)이 투입되게 일측에 다수개로 형성된 투입부(21)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상기 그릇(10a)은 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을 말한다.The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이 수용되도록 형성된 공간부(22)로 구성된다.It is composed of a
상기 공간부(22)에 후술되는 제1이송컨베이어(30a)와, 제2이송컨베이어(30b)와, 세척부(40)와, 오염수수조(50)와, 낙하이송부(60)와,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와, 낙하안내부(80)와,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90)가 구성된다.The first conveying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그릇이 배출되게 형성된 배출부(23)로 구성된다.The other side of the
즉, 상기 배출부(23)는 후술되는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에 이송되는 다수의 상기 그릇(10a)을 세척부(40)로 세척되어진 그릇(10a)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한편, 상기 본체(20)의 일측의 상부에는 식판(10)이 다수개로 수집될 수 있도록 식판수집부(11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식판수집부(110)는 상기 투입부(21)들에 상기 식판(10)의 상기 그릇(10a)을 투입하고, 상기 식판(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수집하여 상기 식판(10)을 보다 용이하게 수집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는 상기 투입부(21)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이송벨트(32)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 plurality of falling
상기 낙하공(31a)들에는 상기 그릇(10a)에 잔재되어 있는 음식물찌거기가 후술되는 세척부(40)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된다. The food residues remaining in the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상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transfer a plurality of vessels (10a) on top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한편,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상기 이송벨트(30c)는 다수개의 이송부재(32)이 수직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연결되어 다수개의 낙하공(31a)이 형성된 이송연결구(33)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connect the
상기 이송연결구(33)의 외측면에는 그릇을 이송시키는 그릇이송구(3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outer side of the
상기 그릇이송구(34)들은 상기 제1컨베이어(30a)상에서 상기 그릇(10a)을 보다 손쉽게 이송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에 그릇(10a)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설치되고, 경사지도록 형성된 낙하안내부(8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installed to guide the fall of the bowl (10a), it is composed of a
상기 낙하안내부(80)에는 다수개의 낙하공(8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낙하안내부(80)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에서 이송되어진 상기 그릇(10a)들을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상으로 용이하게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도록 안내해준다.The drop guide 80 guides the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는 일측은 수평부(a)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a)의 타측은 경사부(b)로 구성되것이 바랍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formed of a horizontal portion (a),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inclined portion (b).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이 경사부(b)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에서 낙하되는 상기 그릇(10a)이 용이하게 180도로 회전되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formed as the inclined portion (b) is that the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이송벨트(30c)상에 상기 그릇(10a)들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일측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상에서 이송된 그릇(10a)이 180도 회전낙하되어 상부에 안착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One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configured so that the bowl (10a) transferr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rotated 180 degrees dropping seated on the upper portion.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 plurality of
상기 낙하공(31b)들에는 상기 그릇(10a)에 잔재되어 있는 음식물찌거기가 후술되는 세척부(40)에 의해 제거되어 낙하된다. The food residues remaining in the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b)의 상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transfer a plurality of vessels (10a) on top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b).
한편,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상기 이송벨트(30c)는 다수개의 이송부재(32)이 수직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ying
이러한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연결되어 다수개의 낙하공(31b)이 형성된 이송연결구(33)으로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dropping
상기 이송연결구(33)의 외측면에는 그릇을 이송시키는 그릇이송구(3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outer side of the
상기 그릇이송구(34)들은 상기 제2컨베이어(30b)상에서 상기 그릇(10a)을 보다 손쉽게 이송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vessel conveyance holes 34 are intended to more easily transport the
또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그릇(10a)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설치되고, 경사지도록 형성된 낙하안내부(8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installed to guide the fall of the bowl (10a), it is composed of a
상기 낙하안내부(80)에는 다수개의 낙하공(8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The
상기 낙하안내부(80)는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에서 이송되어진 상기 그릇(10a)들을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별도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가 설치된 상부에 용이하게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도록 안내해준다.The
또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일측보다 높게 타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b)로 구성되것이 바랍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0b)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inclined portion (b)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ther side higher than one side.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가 경사부(b)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별도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가 설치된 상부에 용이하게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도록 안내해주기위함이다.The second conveying
한편,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부는 상기 배출부(23)의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후방에 다수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를 더 구성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들이 이송되는 상기 그릇(10a)을 반복180도 회전시켜 상기 그릇(10a)의 상,하부면을 보다 정밀하게 상기 세척부(40)로 세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상기 세척부(40)는 도 1 내지 도 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본체(20)의 내부상부 및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7, the
이러한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다수개의 그릇(10a)을 세척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41)로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 설치된 상기 세척부(40)의 분사노즐(41)은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그릇(10a)의 상부면과 마주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된 상기 세척부(40)의 분사노즐(41)은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그릇(10a)의 하부면과 마주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세척부(40)는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상부와 중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 이송되는 그릇(10a)의 상,하부면을 보다 정밀하게 세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uch, the
상기 오염수수조(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염수수조(50)는 상기 세척부(40)에서 분사된 세척수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을 세척한 오염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taminated
한편, 상기 오염수수조(50)에 오염수를 흡입하여 여과시켜 상기 세척부(40)에 여과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염수수조(50)와 상기 세척부(40)와 연결된 여과순환기(100)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contaminated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순환기(100)를 상기 오염수수조(50)에 설치하여 상기 여과순환기(100)로 여과된 여과수를 상기 세척부(40)로 공급하여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에 이송되는 그릇(10a)들을 다시 세척하여 수자원의 낭비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shown in FIG. 7, the
상기 낙하이송부(6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낙하이송부(60)는 상기 오염수수조(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부(40)에 의해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에서 제거된 음식물찌꺼기가 낙하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상기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7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70)는 상기 낙하이송부(60)상의 음식물찌꺼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된 음식물찌거기 이송구(7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food
한편, 상기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70)의 타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20)의 전방에 음식물 찌거기 배출부(24)와 연결설치된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9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food
이와 같이, 상기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70)로 이송되는 음식물찌거기는 상기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70)와 연결된 상기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90)를 통해 상기 본체(20)의 외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As such, the food residues conveyed to the food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하부로 순차적으로 다수개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를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의 마지막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상기 배출부(23)의 일측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후방에 다수의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를 더 구성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들이 이송되는 상기 그릇(10a)을 반복180도 회전시켜 상기 그릇(10a)의 상,하부면을 보다 정밀하게 상기 세척부(40)로 세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further configured to the rear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to repeatedly rotate the vessel (10a) to which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transferred 180 degrees. This is to was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24)에서 세척되어 배출되는 그릇(10a)을 수집하여 건조시키도록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설치되는 건조수집부(1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건조수집부(120)로 수집된 상기 그릇(10a)은 건조 및 수집되어 정리된다.The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식판(10a)의 상기 그릇(10a)(국그릇,밥그릇,찬그릇,뚜껑 등)을 이송시키는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상부 및 중부에 상기 세척부(40)를 설치하여 상기 그릇(10a) 상,하의 정밀세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척부(40)로 통해 상기 그릇(10a)에서 세척된 오염수를 저장하는 상기 오염수수조(50)에 상기 여과순환기(100)를 더 설치하여 오염수를 재활용하여 다시 상기 그릇(10a)을 세척하여 수자원의 재활용할 수 있도록하며, 상기 그릇(10a)에서 제거된 음식물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을 자동으로 이루지도록하여 대량의 그릇을 신속하고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conveyors (30a, 30b) for transferring the bowl (10a) (bowl bowl, rice bowl, cup, lid, etc.)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식판 10a: 그릇
20: 본체 21: 투입부
22: 공간부 23: 배출부
24: 음식물찌거기 배출부 30a: 제1이송컨베이어
30b: 제2이송컨베이어 30c: 이송벨트
31a.31b: 낙하공 32: 이송부재
33: 이송연결구 34: 그릇이송구
40: 세척부 41: 분사노즐
50: 오염수수조 60: 낙하이송부
70: 음식물찌거기 이송컨베이어 71: 음식물찌거기 이송구
80: 낙하안내부 90: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
100: 여과순환기 110: 식판수집부
120: 건조수집부 a: 수평부
b.b': 경사부10:
20: main body 21: inlet
22: space portion 23: discharge portion
24: food
30b: 2nd conveying
31a.31b: drop hole 32: transfer member
33: transfer connector 34: bowl transfer port
40: washing unit 41: spray nozzle
50: contaminated water tank 60: drop transfer unit
70: food waste conveying conveyor 71: food waste conveying port
80: drop guide 90: food waste discharge conveyor
100: filter circulator 110: plate collection unit
120: dry collecting part a: horizontal part
b.b ': slope
Claims (13)
상기 투입부(21)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상기 공간부(2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a)이 형성되며, 상부에 다수개의 그릇(10a)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30a)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상에서 이송된 그릇(10a)이 180도 회전낙하되어 상부에 안착이송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낙하공(31b)이 형성된 제2이송컨베이어(30b)와;
상기 본체(20)의 내부상부 및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다수개의 그릇(10a)을 세척하도록 다수개의 분사노즐(41)을 갖는 세척부(40)와;
상기 세척부(40)에서 분사된 세척수로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을 세척한 오염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하부에 설치된 오염수수조(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A plurality of input portions 21 formed on one side so that a plurality of bowls (10a) of the food plate 10 is input, the space portion 22 form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owls (10a) therein, and the bowl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A main body 20 having a discharge part 23 formed to be formed;
One side is adjacent to the other side lower portion of the input portion 21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pace 22, a plurality of drop holes (31a) is formed at the bottom, to transfer a plurality of vessels (10a) in the upper portion A first transfer conveyor 30a;
One side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the vessel (10a) transferred on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rotated 180 degrees dropping seated and transferred to the upper, a plurality of A second transfer conveyor 30b having a drop hole 31b formed therein;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d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30a, 30b), washing the plurality of vessels (10a) transferr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30a, 30b) A washing unit 40 having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41 to mak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to accommodate the contaminated water that washes the bowl 10a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with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unit 40. Dishwasher leftover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taminated water tank (50) installed in.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 설치된 상기 세척부(40)의 분사노즐(41)은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그릇(10a)의 상부면과 마주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중부에 설치된 상기 세척부(40)의 분사노즐(41)은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에서 이송되는 그릇(10a)의 하부면과 마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nozzle 41 of the cleaning unit 40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is an upper surface of the vessel 10a to be conveyed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The injection nozzle 41 of the washing unit 4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conveyors 30a and 30b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conveyors 30a and 30b. Dish separator for dish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wl (10a).
상기 오염수수조(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부(40)에 의해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상의 그릇(10a)에서 제거된 음식물찌꺼기가 낙하되는 낙하이송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Drop transport unit 60 is installed on top of the contaminated water tank 50 to drop the food waste removed from the bowl (10a) on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 (30a, 30b) by the washing unit 40 Dishwashing dish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낙하이송부(60)상의 음식물찌꺼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부에 다수개로 설치된 음식물찌거기 이송구(71)를 구비한 음식물찌꺼기 이송컨베이어(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Residue for dish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ood waste conveying conveyor 70 having a plurality of food waste conveying port 71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to transfer the food waste on the drop conveying unit 6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eparator.
상기 제1,2이송컨베이어(30a,30b)의 이송벨트(30c)는 다수개의 이송부재(32)가 수직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이송부재(32)와 상기 이송부재(32)의 외측면에 수평으로 다수개로 설치되어 연결되어 다수개의 낙하공(31a,31b)이 형성된 이송연결구(33)과, 상기 이송연결구(33)의 외측면에는 그릇을 이송시키는 그릇이송구(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ying belt 30c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conveyors 30a and 30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veying members 32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nveying member 32 and the conveying member 32 are mutually separated. A transfer connector 33 and a plurality of dropping holes 31a and 31b which are installed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rizont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32 and the transfer member 32 so as to connect, and the transfer connector 33 Dish separator for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of the bowl is formed to transfer the bowl conveying port (34).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과,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그릇(10a)의 낙하를 안내하도록 설치되고, 경사지도록 형성된 낙하안내부(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installed to guide the falling of the vessel (10a),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drop guide portion 80 formed to be inclined. Dishwasher.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는 일측은 수평부(a)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a)의 타측은 경사부(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nveying conveyor (30a) is one side is formed with a horizontal portion (a),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is a dish washing remaining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높게 형성된 경사부(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is a dish separator for cleaning the dish,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clined portion (b ') formed high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0a)의 타측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에 하부로 순차적으로 다수개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를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의 타측의 마지막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0b)는 상기 배출부(23)의 일측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30b installed on the other side lower portion of the first transfer conveyor 30a,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conveyors 30b are sequentially installed downward, and the second transfer conveyor is configured. The last second conveying conveyor (30b) of the other side of the 30b is dish-washing remaining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ortion (23).
상기 음식물 찌꺼기 이송컨베이어(70)의 타측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20)의 전방에 음식물 찌거기 배출부(24)와 연결설치된 음식물찌거기 배출컨베이어(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5. The method of claim 4,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other side of the food waste conveying conveyor 70, dish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ood waste discharge conveyor (90) connected to the food waste discharge portion 24 in front of the main body (20) Left separator.
상기 오염수수조(50)에 오염수를 흡입하여 여과시켜 상기 세척부(40)에 여과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염수수조(50)와 상기 세척부(40)와 연결된 여과순환기(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Contaminated water tank 50 and the filter circulator 100 connected to the water tank 50 and the washing unit 40 to supply the filtered water to the washing unit 40 by sucking the water contaminated in the polluted water tank (50). Dishwashing dish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본체(20)의 일측의 상부에는 식판(10)이 다수개로 수집될 수 있도록 식판수집부(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The method of claim 1,
Dish separator for dish was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collector 11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plate 10 is collected in plurality.
상기 배출부(23)에서 세척되어 배출되는 그릇(10a)을 수집하여 건조시키도록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설치되는 건조수집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잔반분리기.
The method of claim 1,
Dish washer for the dishwash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ry collector 12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0 to collect and dry the bowl (10a) is washed an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23).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9776A KR101327716B1 (en) | 2013-04-11 | 2013-04-11 | Food waste separator for dishwasher |
PCT/KR2014/003015 WO2014168394A1 (en) | 2013-04-11 | 2014-04-08 | Food separator for dishwash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9776A KR101327716B1 (en) | 2013-04-11 | 2013-04-11 | Food waste separator for dishw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7716B1 true KR101327716B1 (en) | 2013-11-11 |
Family
ID=4985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39776A KR101327716B1 (en) | 2013-04-11 | 2013-04-11 | Food waste separator for dishwash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7716B1 (en) |
WO (1) | WO2014168394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1019A (en) * | 2019-06-05 | 2019-09-20 | 湖南洗唰唰智能洗净设备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dish-washing machine and residue filter method with residual filtering device |
KR102683323B1 (en) * | 2023-11-07 | 2024-07-09 | 배현석 | Drying apparatus for dish wash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388741A (en) * | 2016-10-10 | 2017-02-15 | 深圳市润鼎科技有限公司 | Tableware, dish, chopstick, spoon, knife and fork classification-washing dish-washing machine |
CN109157175A (en) * | 2018-09-29 | 2019-01-08 | 宁波超胜商用厨房设备有限公司 | The automatic clean and reuse system of tableware |
CN110522386B (en) * | 2019-09-29 | 2024-03-19 | 广东一欣科技有限公司 | Novel full-automatic dish washing device |
CN113086664B (en) * | 2021-03-31 | 2022-12-06 | 河南理工大学 | Restaurant food waste recovery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66016A (en) * | 1995-09-01 | 1997-03-11 | Aiho:Kk |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preprocessing for collected lunch boxes |
JPH09299310A (en) * | 1996-05-09 | 1997-11-25 | Yokogawa Denshi Kiki Kk | Dishwasher |
JP2000037336A (en) | 1998-07-24 | 2000-02-08 | Taniguchi Kogyo Kk | Tray inverting device in washer |
KR20100109224A (en) * | 2009-03-31 | 2010-10-08 | 명순승 | Dishwashing automatic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7683A (en) * | 1992-10-13 | 1994-05-10 | Aiho:Kk | Tray back device |
JP2005021220A (en) * | 2003-06-30 | 2005-01-27 | Nakanishi Mfg Co Ltd | Tray and dish separating and washing apparatus |
KR100824678B1 (en) * | 2007-06-27 | 2008-04-24 | 주식회사 대양에스티 | Tunnel dishwasher |
KR200458608Y1 (en) * | 2011-10-21 | 2012-03-07 | 주식회사 포세이돈 | Conveyor for a dishwasher |
-
2013
- 2013-04-11 KR KR20130039776A patent/KR10132771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4-08 WO PCT/KR2014/003015 patent/WO201416839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66016A (en) * | 1995-09-01 | 1997-03-11 | Aiho:Kk | Device and method for washing preprocessing for collected lunch boxes |
JPH09299310A (en) * | 1996-05-09 | 1997-11-25 | Yokogawa Denshi Kiki Kk | Dishwasher |
JP2000037336A (en) | 1998-07-24 | 2000-02-08 | Taniguchi Kogyo Kk | Tray inverting device in washer |
KR20100109224A (en) * | 2009-03-31 | 2010-10-08 | 명순승 | Dishwashing automatic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51019A (en) * | 2019-06-05 | 2019-09-20 | 湖南洗唰唰智能洗净设备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dish-washing machine and residue filter method with residual filtering device |
CN110251019B (en) * | 2019-06-05 | 2024-03-19 | 湖南洗唰唰智能洗净设备有限责任公司 | Dish washer with residue filtering device and residue filtering method |
KR102683323B1 (en) * | 2023-11-07 | 2024-07-09 | 배현석 | Drying apparatus for dish wash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168394A1 (en) | 2014-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1606B1 (en) | Dishwashing automation system | |
KR101327716B1 (en) | Food waste separator for dishwasher | |
KR100991276B1 (en) | Automatic dishwashing system | |
EP3735887B1 (en) | Conveyor dishwasher | |
KR101327580B1 (en) | Dishwasher automation systems | |
WO2010132022A2 (en) | An industrial dishwasher | |
US12048406B2 (en) | System for loading a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a system of this kind | |
CN209899302U (en) | Multifunctional dish-washing machine | |
CN103415238B (en) |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 waste discharge function and method for discharging waste from the washing machine | |
KR102138805B1 (en) | Reverse-washing system of tableware and food tray | |
CN203447253U (en) | Tableware residue automatic output device | |
KR200477139Y1 (en) | Separation devices that tray bowl | |
US12048950B2 (en) | Unloading arrangement for unloading items of washware which are arranged, in particular, on trays or tray-like objects | |
US11608233B2 (en) | System for loading different conveying tracks of at least one dishwasher, and dishwasher arrangement having such a system | |
KR100985686B1 (en) | Dishwashing automation system | |
JP2005021220A (en) | Tray and dish separating and washing apparatus | |
KR20210016693A (en) | Bubble hydraulic type dish washing system | |
CN210022888U (en) | Tableware separating slag remover | |
KR101436491B1 (en) | Cup automatic washing apparatus | |
KR101555042B1 (en) | Dishwashing automation system | |
JP6282422B2 (en) | How to handle tableware | |
JP2011206092A (en) | Washing method | |
CN111671370A (en) | Tableware cleaning system | |
JP2001046297A (en) | Method and device for leftover food disposal | |
KR20170032559A (en) | Dishwash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4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6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