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7596B1 -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596B1
KR101327596B1 KR1020100009880A KR20100009880A KR101327596B1 KR 101327596 B1 KR101327596 B1 KR 101327596B1 KR 1020100009880 A KR1020100009880 A KR 1020100009880A KR 20100009880 A KR20100009880 A KR 20100009880A KR 101327596 B1 KR101327596 B1 KR 10132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server
small base
cs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219A (ko
Inventor
최참아
모신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0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596B1/ko
Priority to US13/017,752 priority patent/US20110188453A1/en
Publication of KR2011009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가 개시된다.
소형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CSG(Closed Subscriber Group)을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으며, Preservation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를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거나 또는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를 CSG에 재등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Base st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station, and, CSG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CSG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제거 또는 재등록을 소형 기지국에서 관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폐쇄 가입자 그룹(CGS: Closed Subscriber Group)은 사업자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기기들 중 특정 사용자 기기만이 소형 기지국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개념이다. CGS에 가입된 특정 사용자 기기는 소형 기지국을 통해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CSG에 소속되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 많은 특정 사용자 기기가 CSG에 남아 있는 경우, HSS(Home Subscriber Server)에는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SG ID 리스트를 저장하는 서버 또는 HSS의 용량을 확장시킬 수 있으나, 이는 비용 발생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구성 요소에 HSS 기능을 삽입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이는 코어 네트워크의 부하를 증대시키며, HSS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운 프로토콜을 정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HSS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HSS의 기능이 코어 네트워크의 구성으로 이동될 경우에도 코어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을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CSG에 재등록되도록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미사용중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상기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상기 통신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임시 제거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간에 형성된 세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며,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거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사이에 형성된 세션의 종료를 상기 외부 노드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사용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카운트다운된 네트워크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 또는 코어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또는 코어 노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미사용중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상기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임시 제거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간에 형성된 세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사이에 형성된 세션의 종료를 상기 외부 노드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사용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카운트다운된 네트워크 시간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G 관리를 위한 서버는, 소형 셀의 소형 기지국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소형 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을 관리하며, 상기 소형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CSG에 등록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임시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에 재등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형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상기 소형 기지국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SG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 중 일부, 예를 들어, 제거 또는 등록을 소형 기지국이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형 기지국이 관리 서버에게 이동 단말기의 제거 또는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별도의 투자 비용 없이 간단한 메시지 추가로 상술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HSS와 같은 관리 서버의 기능이 코어 노드의 구성에 포함되는 경우, 코어 노드에 상술한 메시지를 추가함으로써 제거 또는 등록 등의 기능을 관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코어 노드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SG ID 리스트를 관리하는 서버의 경우, 비용 추가 없이 간단한 메시지를 통해 CSG의 증가에 따른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이 CSG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CSG에게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CSG에게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만료된 경우, 소형 기지국이 CSG에게 이동 단말기의 제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소형 기지국(100)은 매크로 셀(MC)의 커버리지(coverage) 내외에 설치되어, 소형 셀의 커버리지를 가지며, 소형 셀 내의 이동 단말기(10)와 통신한다. 소형 기지국(100)의 예로는 펨토 기지국을 들 수 있다. 소형 셀의 예로는 펨토 셀, 피코 셀, 홈 노드 B, 홈 EnB 등을 들 수 있다.
CSG 관리 서버(이하, '관리 서버'라 칭함)(200)는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의 ID 리스트를 이용하여 CSG를 관리한다. CSG는 소형 셀에 접근가능한 가입자 리스트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개념이며, 관리 서버(200)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또는 후술할 코어 노드(300)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가 주어진 시간동안 CSG의 임시 멤버로 동작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의 ID는 CSG ID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다.
코어 노드(300)는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노드로서, MME(Mobile Management Entity), MSC(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중 하나일 수 있다. 코어 노드(300)는 소형 기지국(10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에게 페이징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페이징 패킷은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유무선 통신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형 기지국(100)은 제1통신부(110), 제1제어부(120), 제1타이머(130) 및 제1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제1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 CSG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200) 및 코어 노드(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1제어부(120)는 이동 단말기(10)를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거나 또는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10)가 CSG에 재등록되도록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CSG 관리가 가입자 ID 리스트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제1제어부(120)는 이동 단말기(10)의 ID를 CSG ID 리스트에서 임시적으로 제거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20)는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10)의 ID를 CSG ID 리스트에 재등록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1제어부(120)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측정 제어 메시지(RRC Measurement Control)를 이동 단말기(10)에게 전송하여 현재 네트워크의 사용 여부, 즉,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사용량을 문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RRC를 측정하여 제1제어부(120)에게 보고할 수 있다.
제1제어부(120)는 이동 단말기(1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네트워크를 미사용 중이면, 즉,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중인 데이터량이 zero이면, 이동 단말기(10)의 상태가 PDP Preservati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10)의 임시 제거를 관리 서버(2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PDP Preservation 상태는 이동 단말기(10)가 CSG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는 연결되어 있으나 데이터 송수신은 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1제어부(120)의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를 CSG로부터 임시적으로 제거하고,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제1통신부(1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가 CSG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 시간, 즉, 앞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제1제어부(12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도록 제1타이머(130)를 제어할 수 있다. 카운트다운되는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은 제1저장부(140)에 갱신될 수 있다.
제1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네트워크 사용이 요청되면, 관리 서버(200)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재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외부 단말기(미도시) 또는 코어 노드(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제1제어부(120)는 관리 서버(200)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재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재등록 요청 시점에 대응하는 잔여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은 제1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어부(120)는 재등록 요청 시, 카운트다운된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 또는 제1저장부(140)에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된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을 관리 서버(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사용 시간이 만료되면, 제1제어부(120)는 관리 서버(200)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완전한 제거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제1제어부(120)의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를 CSG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고, 이동 단말기(10)와 외부 노드(미도시) 사이에 형성된 세션을 종료하도록 외부 노드(미도시)에게 요청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가 CSG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었음이 보고되지 않을지라도, 이동 단말기(10)는 이미 관리 서버(200)에서 임시 제거된 상태이므로, 제1제어부(120)는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리스트에서 이동 단말기(10)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제2통신부(210), 제2저장부(220), 제2타이머(230) 및 제2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제2통신부(210)는 소형 기지국(100), 코어 노드(3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2저장부(220)는 CSG에 등록된 가입자, 즉,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의 ID를 리스트로 저장할 수 있다. 소형 기지국(100)으로부터 이동 단말기(예를 들어, 10)의 임시 제거 또는 완전한 제거가 요청되면, 이동 단말기(10)의 ID는 제2저장부(220)의 CSG ID 리스트에서 제거되므로, CSG ID 리스트는 업데이트된다.
제2타이머(230)는 CSG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10)에게 할당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을 카운트다운한다.
제2제어부(240)는 소형 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된 CSG를 관리할 수 있다. CSG를 관리함은 CSG에 등록된 각 이동 단말기의 ID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제어부(240)는, 소형 기지국(100)의 요청에 따라, CSG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10)를 임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40)는, 소형 기지국(100)의 요청에 따라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10)를 CSG에 재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를 임시 제거하거나 재등록함은, 이동 단말기(10)의 ID를 임시 제거하거나 재등록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제어부(240)는 이동 단말기(10)를 CSG로부터 임시적으로 제거하였음을 소형 기지국(100)에게 보고하도록 제2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240)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소형 기지국(100)에게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가 앞으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사용 시간을 포함하며, 이 시간은 제2타이머(230)에 의해 알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40)는 이동 단말기(10)의 임시 제거 또는 재등록이 실패한 경우, 이를 소형 기지국(100)에게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의 임시 제거 또는 재등록을 재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40)는 이동 단말기(10)를 CSG로부터 임시적으로 제거한 후, 이동 단말기(10)와 외부 노드(미도시) 간에 형성된 세션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제어부(240)는 외부 노드(미도시)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제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제2제어부(240)는 이동 단말기(10)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사용 시간이 만료되면, 외부 노드(미도시)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제거를 요청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와 외부 노드(미도시) 사이에 형성된 세션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이 CSG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05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RRC 측정 제어 메시지(RRC MEASUREMENT CONTROL)를 이동 단말기(10)에게 전송하여 네트워크 사용량을 문의할 수 있다.
31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RRC 측정 보고 메시지(RRC MEASUREMENT REPORT)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사용량, 즉, 현재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사용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소형 기지국(100)에게 보고할 수 있다.
32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RRC 측정 보고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현재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사용량이 없을 경우, 무선 베어러 해제(Radio Bearer Release) 절차에 따라 코어 노드(300)에게 RAB(Radio Access Bearer)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RAB RELEASE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RAB RELEASE REQUEST 메시지는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기반의 메시지이다.
330단계에서, RAB RELEASE REQUEST 메시지를 기반으로, 코어 노드(300)는 소형 기지국(100)에게 RAB 할당을 요청하는 메시지(RAB ASSIGNMENT REQUEST)를 RANAP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34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에게 RRC 연결 해제를 요청하는 메시지(RRC CONNECTION RELEASE)를 전송할 수 있다.
35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RRC 연결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보고(RRC CONNECTION RELEASE COMPLETE)받을 수 있다.
36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코어 노드(300)에게 RAB ASSIGNMENT REQUEST에 응답하는 메시지(RAB ASSIGNMENT RESPONS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베어러 해제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370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절차가 완료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는 PDP Preservation 상태가 된다. PDP Preservation 상태는 PDP 연결은 보존되고 시그널링 연결은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38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의 상태가 PDP Preservation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CSG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메시지(DELETE REQUEST)를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39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가 CSG에서 임시 제거되었음을 보고(DELETE COMPLETE)받을 수 있다.
390단계에서, 관리 서버(200)는 메시지(DELETE REQUEST)를 수신하면, CSG로부터 이동 단말기(10)를 임시 제거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DELETE 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하여 소형 기지국(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가 앞으로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사용 시간을 포함한다. 소형 기지국(100)은 수신된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제1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제1타이머(130)를 동작시켜 네트워크 사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DELETE COMPLETE 메시지가 소형 기지국(100)에게 수신되지 않거나, 임시 제거가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소형 기지국(100)에게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10)가 CSG에서 제거되지 않았으므로, 이동 단말기(10)는 기설정된 네트워크 이용 시간이 만료된 경우 CSG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에게 임시 제거를 재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이 CSG에게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0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사용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네트워크 사용 요청(RRC CONNECTION SETUP REQUEST)을 수신할 수 있다.
41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에게 RRC 연결을 설정하도록 응답(RRC CONNECTION SETUP)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형 기지국(100)은 후술할 ADD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RRC CONNECTION SETUP을 펜딩시키고, ADD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면 410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42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로부터 RRC 연결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보고(RRC CONNECTION SETUP COMPLETE)받을 수 있다.
43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ADD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Temporal member Info.)을 ADD REQUEST 메시지에 포함시켜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이동 단말기(10)가 앞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를 CSG에 재등록하고, 제2타이머(230)를 가동하여 이동 단말기(10)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카운트다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를 제2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44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가 CSG에 재등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ADD COMPLETE)를 수신할 수 있다.
45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이 메시지(ADD COMPLETE)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는 네트워크 사용이 가능해지며, 코어 노드(300)에게 서비스를 요청(GMM SERVICE REQUEST)할 수 있다.
46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와 서비스 인증 과정(Security Setup)을 수행하고, 470단계에서, 무선 자원 할당을 설정(Radio Bearer Setup)할 수 있다.
48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는 Preservation 상태에서 해제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430단계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ADD COMPLETE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거나, 재등록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에게 CSG에서 제거되었음을 알리고, 재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기지국이 CSG에게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500단계에서, 코어 노드(300)는 이동 단말기(10)에게 페이징 요청 메시지(PAGING)을 전송할 수 있다. 페이징 요청 메시지에는 PS(Packet Switching) 도메인으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징은 예를 들어, 외부 단말기(미도시) 또는 코어 노드(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51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코어 노드(300)에게 페이징에 대한 응답메시지(PAGING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
520단계 내지 595단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400단계 내지 480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 시간이 만료된 경우, 소형 기지국이 CSG에게 이동 단말기의 제거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610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는 PDP Preservation 상태에 있다.
62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의 상태가 Preservation 상태이므로, CSG로부터 이동 단말기(10)의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메시지(DELETE REQUEST)를 관리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63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가 CSG에서 임시 제거되었음을 보고(DELETE COMPLETE)받을 수 있다. 620단계 및 630단계는 도 3의 380단계 및 390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64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소형 기지국(100)은 제1타이머(130)를 동작시켜 이동 단말기(10)의 네트워크 사용 가능 시간이 만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65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에게 이동 단말기(10)의 완전 제거를 요청하는 메시지(DELETE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소형 기지국(100)은 메시지(DELETE REQUEST)에 이동 단말기(10)의 완전 제거를 요청하는 이유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660단계에서, 소형 기지국(1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가 CSG에서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보고(DELETE COMPLETE)받을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를 CSG에서 제거한 후 소형 기지국(100)에게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관리 서버(200)는 이동 단말기(10)가 CSG에서 제거되었음을 코어 노드(300)에게 보고할 수 있다.
만약, 660단계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즉, 소형 기지국(100)이 DELETE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을지라도, 이동 단말기(10)는 이미 관리 서버(200)에서 임시 제거된 상태이므로, 소형 기지국(100)은 제1저장부(140)에 저장된 관리 리스트에서 이동 단말기(10)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은 관리 서버(200)의 기능이 코어 노드(300)에 포함되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의 제거 또는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이동 단말기 100 : 소형 기지국
200 : 관리 서버 300 : 코어 노드

Claims (21)

  1.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 내외에 설치된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을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가 상기 CSG에 재등록되도록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미사용중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상기 통신부에게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임시 제거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간에 형성된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며,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거를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사이에 형성된 세션의 종료를 상기 외부 노드에게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사용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카운트다운된 네트워크 시간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9.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 또는 코어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HSS(Home Subscriber Server) 또는 코어 노드인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11.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 내외에 설치된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네트워크를 미사용중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임시 제거를 CSG를 관리하는 서버에게 요청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CSG로부터 임시 제거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임시 제거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간에 형성된 세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거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CSG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와 외부 노드 사이에 형성된 세션의 종료를 상기 외부 노드에게 요청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7. 제1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가능한 네트워크 시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사용이 요청되면, 상기 서버에게 상기 임시 제거된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카운트다운된 네트워크 시간을 함께 제공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버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재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형 기지국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100009880A 2010-02-03 2010-02-03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KR101327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80A KR101327596B1 (ko) 2010-02-03 2010-02-03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US13/017,752 US20110188453A1 (en) 2010-02-03 2011-01-31 Base station, csg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880A KR101327596B1 (ko) 2010-02-03 2010-02-03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219A KR20110090219A (ko) 2011-08-10
KR101327596B1 true KR101327596B1 (ko) 2013-11-12

Family

ID=4434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880A KR101327596B1 (ko) 2010-02-03 2010-02-03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88453A1 (ko)
KR (1) KR101327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930B1 (ko) * 2010-07-05 2017-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식별자 전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GB2493714A (en) * 2011-08-12 2013-02-20 Nec Corp A base station, having a membership-based access mode and a non-membership-based access mode, manages a list of stored membership identifi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226A (ko) * 1998-10-09 2000-05-06 정선종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폐쇄 사용자 그룹 서비스 방법
KR20050080836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JP2009124671A (ja) 2007-10-25 2009-06-04 Panasonic Corp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移動管理装置、及び無線通信移動管理方法
WO2009117934A1 (zh) 2008-03-24 2009-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列表管理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3771B1 (en) * 2007-04-17 2011-04-06 Alcatel Lucent A method for interfacing a Femto-Cell equipment with a mobile core network
US20090270092A1 (en) * 2008-04-28 2009-10-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Assisting a Wireless Device to Find Closed Subscriber Group Cells
US8487516B2 (en) * 2008-12-17 2013-07-16 At&T Mobility Ii Llc Scanning of wireless environment in a femto-based home macro sector
KR20100080288A (ko) *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갱신
US8520594B2 (en) * 2009-01-30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ly including allowed closed subscriber group list in page mess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5226A (ko) * 1998-10-09 2000-05-06 정선종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폐쇄 사용자 그룹 서비스 방법
KR20050080836A (ko) * 2004-02-11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모드 제어방법
JP2009124671A (ja) 2007-10-25 2009-06-04 Panasonic Corp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移動管理装置、及び無線通信移動管理方法
WO2009117934A1 (zh) 2008-03-24 2009-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列表管理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8453A1 (en) 2011-08-04
KR20110090219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07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070288B2 (en) Method for dynamically switching mobile network, subscription manager, and user equipment
KR10177126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EP27851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ccessibility of terminal group
EP2104379A1 (en) Method for optimizing a user equipment PDN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KR102200821B1 (ko) 작은 셀 아키텍처에서 로컬 브레이크아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20130006284A (ko) 접속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101148036B1 (ko) Lte망과 무선랜망간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EP27835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ging off-line state terminals
KR101017237B1 (ko) Wimax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요소 및 qos 처리 방법
WO2011047589A1 (zh) 网络连接建立方法及装置、pcc策略制定方法及系统
EP2819455A1 (en) Off-path notification of RAN congestion information in an EPS network
KR201500453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 변경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27596B1 (ko) 이동 단말기의 관리를 위한 소형 기지국 및 그의 이동 단말기 관리를 위한 방법, 그리고, csg 관리를 위한 서버
EP27797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time control of terminal trigger message
KR20130127368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 기반 폴리싱 방법 및 장치
CN105025453B (zh) 一种邻近通信的计费方法和设备
US12267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23971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US202400155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ges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101598598B1 (ko)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기지국 장치 및 그 방법
JP608816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CN102833816A (zh) 一种认知无线电用户接入的方法及系统
JP2017152770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