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473B1 - Solar generating apparatus with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 generating apparatus with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7473B1 KR101327473B1 KR1020130013728A KR20130013728A KR101327473B1 KR 101327473 B1 KR101327473 B1 KR 101327473B1 KR 1020130013728 A KR1020130013728 A KR 1020130013728A KR 20130013728 A KR20130013728 A KR 20130013728A KR 101327473 B1 KR101327473 B1 KR 1013274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output line
- unit
- power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셀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셀모듈이 생산하는 전력량을 측정한 뒤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출력감지모듈 및 상기 출력감지모듈을 통해 각각의 셀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한 출력감지모듈 및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provided in each cell module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by each cell module and transm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each of the cell module through the output detection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apable of monitoring a state and an output sensing modu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셀어레이를 구성하는 다수의 셀모듈 각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셀모듈이 생산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모듈 및 상기 출력감지모듈을 이용하여 각 셀모듈의 상태(정상상태, 수리가 필요한 상태, 청소가 필요상태)를 판단하는 출력감지모듈 및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 modules constituting the cell array of the solar cell, the output detection modul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by each cell module and the state of each cell module using the output detection module (norm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and an output sensing module for determining a state, a state requiring repair, and a state requiring cleaning.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빛에너지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셀(전기를 일으키는 최소단위), 상기 셀의 조합이며 각 셀에서 발생된 전기를 외부로 송출하는 셀모듈(전기를 꺼내는 최소단위), 상기 셀모듈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셀어레이로 구성된다.Solar cells are devices that convert light energy from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 solar cell is a cell that generates electricity from light energy of sunlight (minimum unit for generating electricity), a combination of the cells and a cell module (minimal unit for discharging electricity) which sends electricity generated from each cell to the outside, the cell module It consists of a cell array defined by the combination of.
여기서, 본원발명의 배경이 되는 태양광발전장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5250호(2004.10.22), 10-1028159호(2011,04,01) 및 제10-1049786호(2011,07,11)에 기재되어 있다. 즉, 태양광발전장치는 상기와 같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에 태양전지로 구성된 모듈과 축전지 및 전력변환 인버터 등을 더 포함하면 태양광발전장치를 구성하게 된다.Here, the technology of the photovoltaic device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455250 (2004.10.22), 10-1028159 (2011,04,01) and 10-1049786 (2011, 07,11). That is, the photovoltaic device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olar cell module, a storage battery, and a power conversion inverter in the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olar cell generating electricity as described above.
한편, 종래 태양전지는 각각의 셀모듈을 모니터링하여 어느 셀모듈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olar cel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any cell module is abnormal by monitoring each cell module.
즉, 특정 셀모듈이 오물에 의해 오염되어 생산전력량이 감소하게 되거나 특정 셀모듈이 고장나 생산전력량이 감소하게 되더라도 관리자는 어떤 셀모듈이 이상이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In other words, even if a particular cell module is contaminated by dirt and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is reduced, or a specific cell module fails or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is reduced, the administrator has no way of checking which cell module is abnormal.
본 발명은 각각의 셀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셀모듈이 생산하는 전력량을 측정한 뒤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출력감지모듈 및 상기 출력감지모듈을 통해 각각의 셀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한 출력감지모듈 및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provided in each cell module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by each cell module and transm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each of the cell module through the output detection modu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apable of monitoring a state and an output sensing modul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제1출력선과 제2출력선을 통해 전력을 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셀모듈이 하나 이상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셀어레이;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한 접지부,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출력감지모듈; 상기 송신부가 제공하는 전력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력량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해당 셀모듈의 이상을 감지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ne or more cell module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solar rays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ting power through first and second output lines are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and columns. One or more cell arrays; A grounding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 output sens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d transmitting an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sensing unit to the outside An output sensing module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monitor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corresponding cell module when the amount of pow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by the transmitte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o provide.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에 고정되는 제1착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에 고정되는 제2착탈부가 구비된 출력선 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핀이 구비된 침투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핀과 상기 출력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단자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핀과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단자대;를 포함할 수 있다.A housing in which the ground part forms an exterior and the output sensing part is accommodated therein; An output line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an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penetration pin having a first pin penetrating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pin penetrating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first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to connect the first pin to the output sensing unit; And a second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in and the output sensing unit.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출력선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출력선 수용홈; 상기 바디의 일면이 절개되어 구비되며 상기 출력선 수용홈을 상기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절개부;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출력선 수용홈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침투핀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tachable portion is a body fixed to the housing; An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provided through the body and accommoda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utput line; A cutout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that is cut and provided to communicate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And a penetration pin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ody to communicate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with the housing and into which the first pin is inserted.
상기 절개부는 상기 출력선 수용홈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의 최대폭은 상기 제1출력선의 지름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의 최소폭은 상기 출력선의 지름 미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cutout may be narrower in width toward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the maximum width of the cutou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minimum width of the cutout may be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output line.
상기 제1착탈부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출력선 수용홈에 삽입된 제1출력선을 상기 제1핀 방향으로 가압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tachable portion may be fixed to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body cover for pressing the first output line inserted in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in; have.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제1착탈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detachable part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detachable part.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1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볼트; 일단은 상기 제1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2착탈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볼트; 일단은 상기 제2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 housing in which the ground part forms an exterior and the output sensing part is accommodated therein;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attachable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body to fix the first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first bolt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through a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 first connector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bolt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output sensing unit;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second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provided on the fixed body to fix the second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second bol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through the fix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l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sensing unit; may include.
이 경우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tation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rotation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또한,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와 고정바디는 상기 제1출력선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회전바디 수용홈과 고정바디 수용홈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와 고정바디는 상기 제2출력선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회전바디 수용홈과 고정바디 수용홈을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and the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body accommodating groove and a fixed body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utput line. It may further comprise a rotation body receiving groove and the fixed body receiving groove is respectively accommodat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put line.
일단은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결합하는 제1커버; 일단은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결합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cov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to couple the rotating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to the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 second cov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xed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to couple the rotat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to the fixed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출력감지부는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이 유입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전압 측정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을 상기 출력전원 측정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sensing unit includes a power input unit to which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flows; An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And a regulator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for converting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into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output power measurement module.
상기 송신부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송신부와 지그비(Zigbee) 통신을 하는 코디네이터; 상기 코디네이터와 상기 모니터링부를 연결하는 인터넷; 상기 코디네이터로 전송된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를 인터넷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A transmitter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transmitter to transmit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detector to the monitoring unit, wherein the transmitter comprises a coordinator performing Zigbee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An internet connection between the coordinator and the monitoring unit; And a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data on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coordinator into data in a form capable of internet transmission.
상기 모니터링부는 계절별, 시간대별 일조량에 따라 상기 셀모듈이 생산 가능한 기준 전력량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기준 전력량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전송부가 제공하는 전력량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전송부가 제공하는 전력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전력량 데이터 이하이면 해당 셀모듈의 이상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includes a database that stores the reference power amount data that can be produced by the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shine for each seas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reference power amount data from the database, compare the power amount data provided by the transmitter, and detect an abnormality of the corresponding cell module when the power amount data provided by the transmitt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data. .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제1출력선과 제2출력선을 통해 전력을 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셀모듈이 하나 이상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셀어레이에 구비되어 각 셀모듈의 전력량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한 접지부;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에 고정되는 제1착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에 고정되는 제2착탈부가 구비된 출력선 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핀이 구비된 침투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핀과 상기 출력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단자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핀과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단자대;를 포함하는 출력감지모듈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한다.One or more cell module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solar rays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ting power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re provided in a cell array formed by arranging one or more rows and columns. An output sensing module for sensing, comprising: a grounding portion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 output sens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detection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grounding unit forms an exterior and houses the output detection unit therein; An output line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an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penetration pin having a first pin penetrating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pin penetrating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first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to connect the first pin to the output sensing unit; And a second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in and the output sensing unit.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제1출력선과 제2출력선을 통해 전력을 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셀모듈이 하나 이상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셀어레이에 구비되어 각 셀모듈의 전력량을 감지하는 출력감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한 접지부;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1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볼트; 일단은 상기 제1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2착탈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볼트; 일단은 상기 제2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출력감지모듈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한다.One or more cell module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solar rays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ting power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re provided in a cell array formed by arranging one or more rows and columns. An output sensing module for sensing, comprising: a grounding portion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 output sens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detection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grounding unit forms an exterior and houses the output detection unit therein;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attachable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body to fix the first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first bolt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through a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 first connector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bolt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output sensing unit;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second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provided on the fixed body to fix the second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second bol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through the fix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l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sensing unit; provides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omprising a.
본 발명은 각각의 셀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 셀모듈이 생산하는 전력량을 측정한 뒤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출력감지모듈 및 상기 출력감지모듈을 통해 각각의 셀모듈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한 출력감지모듈 및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provided in each cell module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by each cell module and transmits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each of the cell module through the output detec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providing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apable of monitoring a state and an output sens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에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출력감지모듈에 구비된 접지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출력감지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출력감지모듈에 구비된 출력감지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은 출력감지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in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3 is an exploded view of a ground part provided in an output sensing modul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put sensing module.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output sensing unit provided in the output sensing modul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output sensing modul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components Indicates.
도 1은 본 발명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100)의 개념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100)는 제1출력선(13)과 제2출력선(15)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외부로 송출하는 하나 이상의 셀모듈(11)이 하나 이상의 행과 열로 배열되어 구비되는 셀어레이(1), 각 셀모듈에 구비된 제1출력선과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하며 각 셀모듈(11)이 송출하는 전력량을 측정한 뒤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전력량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출력감지모듈(3), 출력감지모듈(3)이 송출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정된 기준값(기준 전력량 데이터)과 비교하여 셀모듈의 상태(정상상태, 고장상태, 청소가 필요한 상태 등)를 판단하는 모니터링부(5)를 포함한다.1 illustrates a concept of a
상기 모니터링부(5)는 출력감지모듈(3)과 직접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부(7)를 통해 출력감지모듈(3)이 송신하는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셀어레이(1)는 하나 이상의 셀모듈(11)이 하나 이상의 행과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셀모듈(11)은 제1출력선(13)과 제2출력선(15)을 통해 충전부(C)로 전력을 송출하게 된다.The
상기 출력감지모듈(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선(13)과 제2출력선(1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접지부(31), 상기 제1출력선(13)과 제2출력선(15)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의 크기(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33, 도 4 및 도 5참고), 출력감지부(33)에서 측정된 전력량(전력량 데이터)를 전송부(7)로 송신하는 송신부(35, 도 5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3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출력감지부(33)가 수용되는 하우징(311),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제1출력선(13)에 고정되는 제1착탈부(317a)와 제2출력선(15)에 고정되는 제2착탈부(317b)로 구성된 출력선 착탈부, 제1착탈부(317a)를 관통하여 제1출력선(13)에 연결되는 제1핀(315a)과 제2착탈부(317b)를 관통하여 제2출력선(15)에 연결되는 제2핀(315b)으로 구성되는 침투핀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한편, 제1핀(315a)과 제2핀(315b)은 출력감지부(33)의 전원입력부(331, 도 5참고)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313a, 313b)를 통해 출력감지부(33)의 전원입력부(331)에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즉, 제1핀(315a)은 제1단자대(313a)를 통해 출력감지부(33)의 전원입력부(331)에 연결되고, 제2핀(315b)은 제2단자대(313b)를 통해 출력감지부(33)의 전원입력부(331)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제1출력선(13)은 제1핀(315a)과 제1단자대(313a)를 통해 출력감지부의 전원입력부(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출력선(15)은 제2핀(315b)과 제2단자대(313b)를 통해 전원입력부(3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Accordingly, the
제1출력선(13)과 제2출력선(15)에 착탈 가능한 구조인 한 제1착탈부(317a)와 제2착탈부(317b)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과 도 4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 출력선 착탈부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As long as the structure is detachable from the
제1착탈부(317a)는 하우징(31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바디(3171),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제1출력선(13)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출력선 수용홈(3175), 상기 바디(3171)를 관통하여 출력선 수용홈(3175)을 하우징(311) 내부와 연통시키는 침투핀 관통홀(3173), 일단은 바디(3171)에 고정되고 타단은 바디(317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3177)를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바디(3171)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3171)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311)을 관통하여 하우징(31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The
이 경우 상기 출력선 수용홈(3175)은 상기 바디(3171)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다만, 상기 출력선 수용홈(3175)은 바디(3171)의 일면이 절개되어 구비되는 절개부(3176)를 통해 바디(3171)의 외부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1출력선(13)은 절개부(3176)를 통해 출력선 수용홈(3175)으로 삽입되거나 출력선 수용홈(3175)에서 인출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output
한편, 상기 절개부(3176)는 바디(3171)의 일면에서 출력선 수용홈(3175)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출력선(13)이 출력선 수용홈(3175)에 억지끼움되도록 하여 출력선 수용홈(3175)에 제1출력선(13)이 삽입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절개부(3176)의 폭은 출력선 수용홈(3175)을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구비되되 절개부(3176)의 최대폭은 제1출력선(13)의 지름 이상으로 구비되고 절개부(3176)의 최소폭은 제1출력선(13)의 지름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width of the
상기 침투핀 관통홀(3173)은 제1핀(315a)이 삽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출력선 수용홈(3175)이 하우징(311)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3171)를 관통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penetration pin through hole (3173) is a space into which the first pin (315a) is inserted and is provided through the body (3171) so that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3175) can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311). desirable.
따라서, 상기 제1핀(315a)은 침투핀 관통홀(3173)을 통해 바디(3171)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1핀(315a)이 침투핀 관통홀(3173)에 삽입되면 제1핀의 일단은 출력선 수용홈(3175)에서 돌출된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자대(313a)를 통해 제1핀(315a)이 출력감지부의 전원입력부(331)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단자대(313a)는 그 일단을 하우징(311)의 바닥면에 고정시켜 제1핀(315a)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나아가 출력선 착탈부(317)는 일단은 바디(3171)에 고정되고 타단은 바디(317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출력선 수용홈(3175)에 삽입된 제1출력선(13)을 가압하는 커버(3177)을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output line attaching and detaching part 317 is fixed to the
따라서, 사용자가 제1출력선(13)을 출력선 수용홈(3175)에 삽입한 뒤 커버(3177)를 바디(3171)에 고정시키면 제1핀(315a)은 제1출력선(13)에 결합되게 되며, 상기 커버(3177)에 의해 제1핀(315a)과 제1출력선(13)의 결합부위로 물과 같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inserts th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착탈부(317b)는 제1착탈부(317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2착탈부(317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상기 출력감지부(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출력선(13)과 제2출력선(15)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331), 전원입력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출력감지부(33)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333), 전원입력부로 공급된 전력을 측정하여 셀모듈(11)이 생산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전압 측정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상기 출력감지부(33)는 PCB기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전원입력부(331), 레귤레이터(333) 및 출력전압 측정부(335)는 하나의 기판 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전원입력부(331)는 제1핀(315a) 및 제2핀(315b)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제1핀(315a)을 지지하는 제1단자대(313a) 및 제2핀(315b)을 지지하는 제2단자대(313b)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상기 레귤레이터(333)는 전원입력부(331)로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을 출력감지부(33)의 동작에 필요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수단이다.The
셀모듈(11)이 송출하는 전력은 최대 35V의 전압을 가지는데 상기 레귤레이터(333)는 6V 내지 40V의 전압을 3.3V 크기의 전압으로 낮추는 수단으로 셀모듈(11)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을 출력감지부(33)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하게 된다.The power transmitted by the
한편,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335)는 전원입력부(331)로 입력된 전력의 전압을 측정하여 셀모듈(11)이 생산한 전력량을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전력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셀모듈이 생산한 전력량을 판단할 수 있는 전력량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전압 값이 일례가 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출력전압 측정부(335)가 전압을 전력량 데이터로 생성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amount of power data to determine the amount of power produced by the cell module may be a variety of forms, the voltage value may be an example, hereinafter the output
즉, 출력전압 측정부(335)는 전원입력부(331)로 입력된 전력의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셀모듈(11)이 생산한 전력량을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That is, the output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335)는 전원입력부(331)로 35V(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최대 전압)의 전압이 입력될 경우 일정값(셀모듈 송출 전력의 최대 전압보다 낮은 값, 예: 1.2V)을 출력하도록 설계된다(정확한 전압의 측정을 위한 노이즈필터(337)를 더 포함할 수 있음).The output
따라서, 출력전압 측정부(335)는 출력전압(Y)를 측정한 뒤 비례식(35:1.2=X:Y)을 통해 셀모듈(11)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X)을 판단 가능하다.Therefore, the output
한편, 출력전압 측정부(335)가 측정한 전력량 데이터(예: X 또는 Y)은 송신부(35)를 통해 모니터링부(5)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부(7)를 거쳐 모니터링부(5)로 전송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mount of power data measured by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335 (for example, X or Y)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전송부(7)를 거쳐 전력량 데이터가 모니터링부(5)로 전송될 경우 상기 전송부(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35)와 무선 통신하는 수신부(71), 수신부(71)로 수신된 전력량 데이터를 인터넷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73), 신호변환기(73)에서 변환된 전력량 데이터를 모니터링부(5)로 전송하는 인터넷(75)으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power data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상기 송신부(35)와 수신부(71)가 지그비(Zigbee) 통신할 경우 송신부(35)는 지그비 모듈로 구비되고 수신부(71)는 코디네이터(다수의 지그비 모듈이 송신하는 데이터를 취합하여 신호변환기로 전달하는 수단)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상기 모니터링부(5)는 인터넷(75)을 통해 전력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어부(51), 계절별, 시간대별 일조량에 따라 상기 셀모듈이 생산 가능한 기준 전력량 데이터(기준값)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53)를 포함한다.The
수신부(71)로 수신되는 전력량 데이터는 셀모듈의 개수만큼 많지만 각각의 셀모듈(11)에 구비된 송신부(35)는 해당 셀모듈의 정보(셀모듈을 구분시키는 정보, 시리얼넘버 등)와 함께 전력량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제어부(51)는 특정 전력량 데이터가 어떤 셀모듈(11)의 전력량 데이터인지 인식 가능하다.The amount of power data received by the
따라서, 상기 제어부(51)는 데이터 베이스(53)가 제공하는 기준 전력량 데이터를 인터넷(75)을 통해 제어부에 전송된 전력량 데이터와 비교하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전력량 데이터가 기준 전력량 데이터 이하이면 제어부는 해당 셀모듈의 고장과 같은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나아가 상기 모니터링부(5)는 특정 셀모듈의 이상(고장, 청소가 필요한 경우 등)이 감지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표시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표시부(55)는 LCD와 같은 표시장치 또는 스피커와 같은 청각신호 출력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접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ground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부(37)는 출력선 착탈부(373a, 373b)의 구조가 도 2에 도시된 출력선 착탈부(317a, 317b)와 구별되고, 도 2의 침투핀(315a, 315b)이 침투볼트(375a, 375b)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구별된다.I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부(37)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33)가 수용되는 하우징(371),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제1출력선(13)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착탈부(373a)와 제2출력선(15)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착탈부(373b)를 포함하는 출력선 착탈부(373), 제1착탈부를 관통하여 제1출력선(13)에 연결되는 제1볼트(375a)와 제2착탈부를 관통하여 제2출력선(15)에 연결되는 제2볼트(375b)가 구비된 침투볼트, 제1볼트(375a)와 제2볼트(3775b)를 출력감지부(33)의 전원입력부(331)에 각각 연결하는 제1연결부(377a) 및 제2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된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grounding
상기 제1착탈부(373a)는 하우징(371)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3731), 하우징(37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바디(3731)와 결합하여 제1출력선(13)을 고정시키는 회전바디(3737)를 포함한다.The first
상기 회전바디(3737)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하우징(37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도 6은 회전바디(3737)가 주름부(B)를 통해 하우징(371)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한편, 고정바디(3731)와 회전바디(3737)의 결합 시 제1출력선(13)의 외주면이 고정바디와 회전바디 사이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바디(3731)에는 고정바디 홈(3733)이 구비되고, 회전바디(3737)에는 회전바디 홈(3738)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ed body (3731) and the rotating body (3737)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3731) is provided with a fixed body groove (3733)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 제1볼트(375a)는 제1착탈부(373a)의 고정바디(3731)를 관통하여 고정바디 홈(3733)에 수용된 제1출력선(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이 경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3731) 내부에는 제1볼트(375a)의 고정을 위한 볼트고정부(3734)가 구비되는데 볼트고정부(3734)는 제1연결부(377a)를 통해 출력감지부의 전원입력부(3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볼트(375a), 볼트고정부(3734) 및 제1연결부(377a)는 모두 도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a
나아가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3737)에는 일단은 상기 회전바디(3737)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3731)에 착탈 가능한 커버(3739)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3737)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further includes a cover (3739),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3737) and the other end detachable to the fixed body (3731)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즉, 커버(3739)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3731)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홈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3731)와 회전바디(3737)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접지부(37)에 구비된 제2착탈부(미도시)의 구조는 상술한 제1착탈부(373a)의 구조와 동일한 바 제2착탈부(미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detachable port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grounding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1: 셀어레이
11: 셀모듈 13: 제1출력선 15: 제2출력선
3: 출력감지모듈 31: 접지부 311: 하우징
313a: 제1단자대 313b: 제2단자대 315a: 제1핀
315b: 제2핀 317a: 제1착탈부 317b: 제2착탈부
3171: 바디 3173: 침투핀 관통홀 3175: 출력선 수용홈
3177: 커버 33: 출력감지부 331: 전원입력부
333: 레귤레이터 335: 출력전압 측정부 337: 노이즈필터
35: 송신부 5: 모니터링부 51: 제어부
53: 데이터베이스 55: 표시부 7: 전송부
71: 수신부 73: 신호변환기 75: 인터넷100: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1: cell array
11: Cell module 13: First output line 15: Second output line
3: output sensing module 31: ground 311: housing
313a: first
315b:
3171
3177: cover 33: output detection unit 331: power input unit
333: regulator 335: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337: noise filter
35: transmitting unit 5: monitoring unit 51: control unit
53: database 55: display unit 7: transmission unit
71: receiver 73: signal converter 75: Internet
Claims (15)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한 접지부,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출력감지모듈;
상기 송신부가 제공하는 전력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전력량이 상기 기준값 이하이면 해당 셀모듈의 이상을 감지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감지부는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이 유입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전압 측정부;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의 정확한 전압 측정을 위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을 출력감지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는 상기 전원입력부로 35V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일정값을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출력전압(Y)을 측정한 뒤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X)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수학식 1)
35 : 일정값 = X : Y
여기서, 일정값은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 35V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하도록 설계된 일정값이고, Y는 출력전압, X는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이다. At least one cell array in which one or more cell modules configured to convert light energy of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 power through first and second output lines are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and columns;
A grounding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 output sens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d transmitting an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sensing unit to the outside An output sensing module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monitoring unit which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corresponding cell module when the amount of power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amount of power provided by the transmitter with a set reference value.
The output detection unit
A power input unit to which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flows; An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for accurate voltage measurement of the output voltage measurement unit; And a regulator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converting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into power required for an operation of an output sensing unit.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is designed to output a predetermined value when a voltage of 35 V is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es the output voltage (Y) by Equation 1 below, and then outputs the voltage (X) Photovoltaic device provided with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n output detec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1)
35: constant value = X: Y
Here, the predetermine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designed to output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when the voltage of 35V is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Y is the output voltage, X is the voltage of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에 고정되는 제1착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에 고정되는 제2착탈부가 구비된 출력선 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핀이 구비된 침투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핀과 상기 출력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단자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핀과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단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round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accommodating the output sensing unit therein;
An output line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an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penetration pin having a first pin penetrating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pin penetrating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first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to connect the first pin to the output sensing unit;
And a second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in and the output sensing unit. The solar array apparatus including the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상기 제1착탈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바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출력선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출력선 수용홈;
상기 바디의 일면이 절개되어 구비되며 상기 출력선 수용홈을 상기 바디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절개부;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출력선 수용홈과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1핀이 삽입되는 침투핀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detachable part
A body fixed to the housing;
An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provided through the body and accommodat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output line;
A cutout portion of one side of the body that is cut and provided to communicate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The solar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omprising a; through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penetration pin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pin is inserted. Photovoltaic device.
상기 절개부는
상기 출력선 수용홈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개부의 최대폭은 상기 제1출력선의 지름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의 최소폭은 상기 출력선의 지름 미만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ut-
The width is narrower toward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the maximum width of the cutout is provided more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output line, the minimum width of the cutout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low the diameter of the output line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module.
상기 제1착탈부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출력선 수용홈에 삽입된 제1출력선을 상기 제1핀 방향으로 가압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detachable part
One end is fixed to the body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the body cover for pressing the first output line inserted in the output line receiving groov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in; output sensing further comprising a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module.
상기 제2착탈부는 상기 제1착탈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detachable par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includes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1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볼트;
일단은 상기 제1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2착탈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볼트;
일단은 상기 제2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round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nd accommodating the output sensing unit therein;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attachable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body to fix the first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first bolt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through a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 first connector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bolt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output sensing unit;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second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provided on the fixed body to fix the second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second bol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through the fix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l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sensing unit; a solar array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omprising a.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otating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is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The solar body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is provided with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와 고정바디는 상기 제1출력선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회전바디 수용홈과 고정바디 수용홈을 각각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와 고정바디는 상기 제2출력선의 외주면이 수용되는 회전바디 수용홈과 고정바디 수용홈을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rotation body and the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ortion further includes a rotation body receiving groove and the fixed body receiving groove, respective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output line is received,
The rotating body and the fixed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is provided with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body receiving groove and the fixed body receiving groo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output line is received. Photovoltaic device.
일단은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부의 회전바디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결합하는 제1커버;
일단은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착탈부의 회전바디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결합하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 first cov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to couple the rotating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to the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 second cov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the other end detachably provided to the fixed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to couple the rotat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to the fixed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Photovoltaic device hav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n output sens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송신부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송신부와 지그비(Zigbee) 통신을 하는 코디네이터;
상기 코디네이터와 상기 모니터링부를 연결하는 인터넷;
상기 코디네이터로 전송된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를 인터넷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transmitter to transmit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detector to the monitoring unit.
A coordinator performing Zigbee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An internet connection between the coordinator and the monitoring unit;
And a signa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data on the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o the coordinator into data in a form capable of internet transmission. The solar cell apparatus comprising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n output sensing module.
상기 모니터링부는
계절별, 시간대별 일조량에 따라 상기 셀모듈이 생산 가능한 기준 전력량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기준 전력량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전송부가 제공하는 전력량 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전송부가 제공하는 전력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전력량 데이터 이하이면 해당 셀모듈의 이상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셀어레이 모니터링 장치가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monitoring unit
A database storing reference power amount data that can be produced by the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shine according to seasons and time periods;
And receiving a reference power amount data from the database, comparing the power amount data provided by the transmitter, and detecting the abnormality of the corresponding cell module when the power amount data provided by the transmitt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power amount data. Photovoltaic device provided with a cell array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n output sensing module.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한 접지부;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에 고정되는 제1착탈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에 고정되는 제2착탈부가 구비된 출력선 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핀과, 상기 제2착탈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핀이 구비된 침투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핀과 상기 출력감지부를 연결하는 제1단자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핀과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단자대;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감지부는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이 유입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전압 측정부;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의 정확한 전압 측정을 위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을 출력감지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는 상기 전원입력부로 35V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일정값을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출력전압(Y)을 측정한 뒤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X)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수학식 1)
35 : 일정값 = X : Y
여기서, 일정값은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 35V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하도록 설계된 일정값이고, Y는 출력전압, X는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이다. One or more cell module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solar rays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ting power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re provided in a cell array formed by arranging one or more rows and columns. In the output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grounding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 output sens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detection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grounding unit forms an exterior and houses the output detection unit therein; An output line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an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attachment / detachment portion provided at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penetration pin having a first pin penetrating the first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and a second pin penetrating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A first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to connect the first pin to the output sensing unit; A second terminal block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in and the output sensing unit;
The output detection unit
A power input unit to which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flows; An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for accurate voltage measurement of the output voltage measurement unit; And a regulator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converting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into power required for an operation of an output sensing unit.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is designed to output a predetermined value when a voltage of 35 V is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es the output voltage (Y) by Equation 1 below, and then outputs the voltage (X) Photovoltaic device with an output sens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1)
35: constant value = X: Y
Here, the predetermine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designed to output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when the voltage of 35V is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Y is the output voltage, X is the voltage of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에 착탈 가능한 접지부;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감지부;
상기 출력감지부가 측정한 전력량을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출력감지부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1착탈부; 상기 제1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1출력선에 연결되는 제1볼트; 일단은 상기 제1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고정된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출력선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시키는 회전바디가 구비된 제2착탈부; 상기 제2착탈부의 고정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제2출력선에 연결되는 제2볼트; 일단은 상기 제2볼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출력감지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감지부는
상기 제1출력선과 상기 제2출력선을 통해 송출되는 전력이 유입되는 전원입력부;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량을 측정하는 출력전압 측정부;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의 정확한 전압 측정을 위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 상기 전원입력부에 연결되어 상기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을 출력감지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는 상기 전원입력부로 35V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일정값을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출력전압(Y)을 측정한 뒤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X)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감지모듈이 구비된 태양광발전장치.
(수학식 1)
35 : 일정값 = X : Y
여기서, 일정값은 상기 출력전압 측정부가 상기 전원입력부로 35V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출력하도록 설계된 일정값이고, Y는 출력전압, X는 셀모듈이 송출하는 전력의 전압이다. One or more cell modules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solar rays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ting power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re provided in a cell array formed by arranging one or more rows and columns. In the output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grounding part detachable from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n output sensing unit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A transmission unit which transmits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by the output detection unit to the outside; wherein the grounding unit forms an exterior and houses the output detection unit therein;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first attachable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body to fix the first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first bolt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line through a fixed body of the first detachable part; A first connector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bolt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output sensing unit; A fixed body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 second detachable part having a rotating body detachably provided on the fixed body to fix the second output line to the fixed body; A second bolt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line through the fixing body of the second detachable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bolt at on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output sensing part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output detection unit
A power input unit to which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output line and the second output line flows; An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ing a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A noise filter for removing noise for accurate voltage measurement of the output voltage measurement unit; And a regulator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and converting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into power required for an operation of an output sensing unit.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is designed to output a predetermined value when a voltage of 35 V is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and measures the output voltage (Y) by Equation 1 below, and then outputs the voltage (X) Photovoltaic device with an output sens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1)
35: constant value = X: Y
Here, the predetermined value is a predetermined value designed to output the output voltage measuring unit when the voltage of 35V is input to the power input unit, Y is the output voltage, X is the voltage of the power transmitted by the cell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3728A KR101327473B1 (en) | 2013-02-07 | 2013-02-07 | Solar generating apparatus with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3728A KR101327473B1 (en) | 2013-02-07 | 2013-02-07 | Solar generating apparatus with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7473B1 true KR101327473B1 (en) | 2013-11-08 |
Family
ID=4985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37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7473B1 (en) | 2013-02-07 | 2013-02-07 | Solar generating apparatus with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747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33760A1 (en) * | 2014-03-06 | 2015-09-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hav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1979A (en) * | 2006-08-02 | 2008-02-11 | 대덕대학산학협력단 | On-line monitoring and diagnosis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of large-scal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
KR101066064B1 (en) | 2010-11-22 | 2011-09-20 | (주)대은 | Remo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solar module |
KR101235678B1 (en) * | 2012-05-23 | 2013-02-21 | (주)대은 |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2013
- 2013-02-07 KR KR1020130013728A patent/KR1013274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1979A (en) * | 2006-08-02 | 2008-02-11 | 대덕대학산학협력단 | On-line monitoring and diagnosis method for solar cell module of large-scal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
KR101066064B1 (en) | 2010-11-22 | 2011-09-20 | (주)대은 | Remo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solar module |
KR101235678B1 (en) * | 2012-05-23 | 2013-02-21 | (주)대은 |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33760A1 (en) * | 2014-03-06 | 2015-09-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Battery module hav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
US10497989B2 (en) | 2014-03-06 | 2019-12-03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includ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6529B1 (en) | Power battery and cell state acquisition apparatus thereof | |
KR101086005B1 (en) | Solar Module Monitoring System | |
US9689758B2 (en) | Solar battery wireless load cell | |
US9952073B2 (en) | Solar battery wireless integrated load cell and inclinometer | |
US9983076B2 (en) | Solar battery wireless load cell adapter | |
KR200457335Y1 (en) | Smart solar power system | |
CN104242701A (en) | DC-to-AC converters, micro-inverters and their solar energy systems | |
KR101083818B1 (en) | Solar module monitoring system | |
JP5273690B1 (en) | Solar power system | |
KR101598205B1 (en) | Junction box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inner heat for monitoring solar cell module and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solar cell module with said junction box and the monitoring method thereof | |
KR101327473B1 (en) | Solar generating apparatus with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014269B1 (en) | Self Diagnosis Solar Power Unit | |
KR101235678B1 (en) | Electric power sensing module and cell array monito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96211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conditions of performance in a photovoltaic array | |
KR101673961B1 (en) | Current sensor intergrated terminal stand | |
TWI423500B (en) | Lithium ion cell assembly structure integrated by pcb circuits | |
CN106208954B (en) | Junction box for photovoltaic modul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power detection device | |
CN206074594U (en) | A kind of integrated soil moisture content monitor | |
KR102298548B1 (en) | Multi-functional Controller Capable of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 |
KR101966283B1 (en) | Installation method of marine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 |
CN106471387A (en) | For determining the measuring system of battery status | |
CN212008720U (en) | Device for collecting branch current of photovoltaic combiner box | |
CN215681658U (en) | Universal signal sensing interface module and cable grounding box sensing door | |
CN110672168A (en) | Water flow detection device and system | |
CN217877820U (en) |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