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797B1 -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6797B1 KR101326797B1 KR1020070116627A KR20070116627A KR101326797B1 KR 101326797 B1 KR101326797 B1 KR 101326797B1 KR 1020070116627 A KR1020070116627 A KR 1020070116627A KR 20070116627 A KR20070116627 A KR 20070116627A KR 101326797 B1 KR101326797 B1 KR 1013267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valve
- fuel tank
- filler pipe
- vent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72—Details of the fuel vapour pipes or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서 최근 신설된 북미의 누설 진단, 증발 가스 대기 방출 및 후방 충돌 시험에 관한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ⅰ)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ⅱ)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필러 파이프와, ⅲ)상기 필러 파이프의 상기 연료 탱크 내부측 단부와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밸브 몸체를 가지면서 상기 연료 탱크 내부에 주입된 상기 연료가 상기 필러 파이프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는 셧-오프 밸브와, ⅳ)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입하여 흡기 시스템으로 공급하기 위한 캐니스터와, ⅴ)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누설을 진단하는 누설 진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셧-오프 밸브의 밸브 몸체 상부 측에는 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상부측 공간과 상기 필러 파이프 내부의 상부측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벤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원웨이 밸브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연료, 공급, 북미, 누설 진단, 증발 가스, 후방, 충돌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simple structure, i. The fuel tank having a filler pip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fuel tank to inject fuel into the tank, and iii) a pipe-shaped valve body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fuel tank of the filler pipe. A shut-off valve which prevents the fuel injected therein from flowing back into the filler pipe, iii) a canister for sucking and supplying the evaporated gas inside the fuel tank to the intake system, iii) A leak diagnosis unit for detecting a fuel leak in the fuel supply system by detecting pressure, the valve body of the shut-off valve At least one vent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o communicate the upper space inside the fuel tank and the upper space inside the filler pipe, and a one-way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vent hole. Provided is a vehicle fuel supply device.
Fuel, supply, North America, leak diagnosis, evaporative gas, rear, collision
Descrip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서 최근 신설된 북미의 누설 진단, 증발 가스 대기 방출 및 후방 충돌 시험에 관한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vehicle fuel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simple fuel structure for a vehicle fuel that satisfies all of the latest regulations regarding leak diagnosis, evaporative gas emission, and rear collision test in North America. It relates to a supply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연료는 연료 공급 장치에 의해 연소가 일어나는 엔진의 실린더로 공급되는 바, 상기 연료 공급 장치(20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10)의 일측에 그 연료 탱크(110)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필러 파이프(120)가 연결 설치된다.In general, the fuel used in the vehicle is supplied to the cylinder of the engine in which combustion occurs by the fuel supply device, the
상기 연료 탱크(110)의 내부에는 필러 파이프(120)의 연료 탱크(110) 내부측 단부와 연결되는 셧-오프 밸브(shut off valve: 130)가 설치되는데, 이 셧-오프 밸브(130)는 연료 탱크(110)의 내부로 주입된 연료가 필러 파이프(12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A shut off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1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연료 탱크(110)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미도시)으로 회수하기 위한 캐니스터(14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이 경우 상기 캐니스터(140)는 흡입관(141)을 통해 연료 탱크(1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가스 배출관(143)을 통해 흡기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되게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캐니스터(140)에는 대기 측으로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45)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연결 파이프(145)이 단부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에어 필터(147)가 장착되어 있다.The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200)는 북미의 OBD-2(On Board Diagnosis-2: 연료 누설 자가 진단 시스템)규정을 만족하기 위해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 가스의 누설을 진단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연료 공급 장치(200)는 가스 배출관(143)에 설치된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171)를 개방하고, 연결 파이프(145)에 설치된 캐니스터 차단 밸브(Canister Close Valve: CCV)(173)를 폐쇄한 상태로 연료 공급 계통에 부압을 형성하여 흡입관(141)에 설치된 압력 센서(175)를 통해 연료 공급 계통의 압력을 감지하고, 그 압력을 기초로 전자제어유닛(ECU)(177)을 통해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 가스 누설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200)는 연료 탱크(110)의 내부에 연료가 대략 50% 이상 채워지게 되면, 셧-오프 밸브(130)의 단부가 연료에 잠기게 되어 연료 탱크(110) 내부의 부압(압력)이 필러 파이프(120)의 내부까지 전달되지 못하므로, 그 필러 파이프(120)의 연료 및 증발 가스 누설 진단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However, in the
이에,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200)에는 연료 탱크(110) 내부의 상측 공간과 필러 파이프(120) 내부의 상측 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누설 감지 튜브(181)를 구비하고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누설 감지 튜브(181)의 유로 상에는, 북미의 ORVR(On Board Refuelling Vapor Recovery)규정에 대응하여 연료 주유시 연료 탱크(110) 내부의 증발 가스가 누설 감지 튜브(181)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웨이 밸브(185)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flow path of the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 공급 장치(200)에 의하면, 상기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10)와 필러 파이프(120)를 연결하는 누설 감지 튜브(181)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최근 신설된 북미의 후방 충돌 시험 규정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즉, 차량의 후방 충돌시 누설 감지 튜브(181)가 차체에 의해 압착되면서 손상됨으로 연료가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바, 최근에 더욱 강화된 북미의 후방 충돌 시험 규정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또한 종래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10)와 필러 파이프(120)를 연결하는 누설 감지 튜브(181) 및 그 튜브(181) 상에 원웨이 밸브(185)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연결부의 과다로 인해 연료 탱크(110) 내부의 증발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는 경로가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상기한 북미의 ORVR 규정을 만족시키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더불어, 종래에서는 상기한 누설 감지 튜브(181) 및 원웨이 밸브(185)를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부품의 추가에 따른 재료비 및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전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며, 생산 라인의 조립성 및 작업성이 저감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필러 파이프의 누설 진단을 위한 누설 감지 튜브를 삭제하고, 셧-오프 밸브의 상측에 벤트홀을 형성하고 원웨이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최근 신설된 북미의 누설 진단, 증발 가스 대기 방출 및 후방 충돌 시험에 관한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structure by eliminating the leak detection tube for leak diagnosis of the filler pipe, forming a vent hole on the upper side of the shut-off valve, and installing a one-way val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supply for a vehicle that can satisfy all the regulations on leakage diagnosis, evaporative gas emission and rear collision tes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는, ⅰ)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ⅱ)상기 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필러 파이프와, ⅲ)상기 필러 파이프의 상기 연료 탱크 내부측 단부와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밸브 몸체를 가지면서 상기 연료 탱크 내부에 주입된 상기 연료가 상기 필러 파이프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는 셧-오프 밸브와, ⅳ)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입하여 흡기 시스템으로 공급하기 위한 캐니스터와, ⅴ)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누설을 진단하는 누설 진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셧-오프 밸브의 밸브 몸체 상부 측에는 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상부측 공간과 상기 필러 파이프 내부의 상부측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벤트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원웨이 밸브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i)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and ii) the fuel tank for injecting fuel into the fuel tank. A filler pip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upper one side of the filler pipe; and iii) the fuel injected into the fuel tank has a valve body in the form of a pipe connected to an inner end of the fuel tank; A shut-off valve that prevents the engine from being prevented, iii) a canister for sucking and supplying the evaporated gas inside the fuel tank to the intake system, and iii) detecting the pressure inside the fuel tank to diagnose fuel leakage of the fuel supply system. And a leakage diagnosis unit, wherein the valve body upper side of the shut-off valve has an upper space inside the fuel tank. At least one vent hole for mutually communicating an upper side space in the filler pipe is formed,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that the one-way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vent hole is installed.
상기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밸브는 상기 벤트홀의 외측에 형성되는 밸브홀을 통해 상기 밸브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탱크 내부의 부압에 의해 상기 벤트홀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vehicle fuel supply device, the one-way valve is installed in the valve body through a valve hol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vent hole, it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vent hole by the negative pressure inside the fuel tank. .
상기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밸브는 상기 벤트홀을 개폐시키는 밸브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헤드에는 상기 밸브홀에 끼워지는 밸브 스템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에는 그 밸브 스템이 상기 밸브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vehicle fuel supply device, the one-way valve has a valve hea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nt hole, the valve hea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valve stem fitted into the valve hole, the front end of the valve stem A stopper may be formed for regulating the release of the valve stem from the valve hole.
이 경우 상기 벤트홀은 2~3mm의 직경을 지니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vent hole is preferably formed having a diameter of 2-3 mm.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에 의하면, 종래에서와 같이 필러 파이프의 누설 진단을 위한 누설 감지 튜브를 삭제하고, 셧-오프 밸브의 상측에 벤트홀을 형성하고 원웨이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최근 신설된 북미의 누설 진단, 증발 가스 대기 방출 및 후방 충돌 시험에 관한 규정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el suppl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prior art, the leak detection tube for the leakage diagnosis of the filler pipe is deleted, and a vent hole is formed above the shut-off valve. By installing a one-way valve,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satisfy all of the latest regulations for leak diagnosis, evaporative gas emission, and back collision test in North America.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같은 누설 감지 튜브를 삭제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줄어들게 되고, 필러 파이프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생산 라인의 조립성 및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며, 전체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 되고, 생산 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deleting the leak detection tube as in the prior art, the number of work is reduced, the working space of the filler pipe can be secured, the assembly and workability of the production line is further improved, the structure of the entire apparatus Is simplified, and production cost and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100)는 최근 신설된 북미의 OBD-2(On Board Diagnosis-2: 연료 공급 시스템의 누설을 감지)규정, ORVR(On Board Refuelling Vapor Recovery: 연료 주유시 증발 가스의 대기 방출을 방지)규정, 및 후방 충돌 시험(후방 충돌시 차체의 충격에 의한 연료 누유 방지) 규정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이러한 연료 공급장치(100)는 종래에서와 같이 필러 파이프 내부의 연료 및 증발 가스 누설 감지를 위해 연료 탱크 및 필러 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된 별도의 누설 감지 튜브(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압력 전달관" 또는 "브리더 파이프" 라고도 한다)를 삭제하여 상기한 후방 충돌 시험 규정을 만족함과 동시에, OBD-2 및 ORVR 규정을 만족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This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100)의 구성은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연료 탱크(10)가 구비되고, 그 연료 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연료 탱크(10)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필러 파이프(20)(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필러 넥(filler neck)" 이라고도 한다)가 설치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상기 필러 파이프(20)는 연료 탱크(10)의 상부로 최대한 상향 조정된 상태로 연료 탱크(10)와 연결되게 장착되며, 차량의 연료 주입구에 대응하는 단부 측에는 필러 캡(21)이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필러 파이프(20)의 연료 탱크(10) 내부측 단부에는 그 연료 탱크(10)의 내부로 주입된 연료가 필러 파이프(20)로 역류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셧-오프 밸브(shut off valve: 30)가 연결되게 설치된다.A shut off valve may be provided at an inner end of the
이 경우 상기 셧-오프 밸브(3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hut-off
상기 셧-오프 밸브(30)는 도 5에서와 같이, 필러 파이프(20)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면서 연료 탱크(10)의 내부에 위치하는 파이프 형태의 밸브 몸체(31)가 구비되고, 그 밸브 몸체(31)의 자유단에는 연료의 유출을 차단하는 밸브유닛(33)이 설치된다.The shut-off
이러한 셧-오프 밸브(3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의 셧-오프 밸브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자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hut-off
또한 연료 탱크(10)의 또 다른 상측에는 연료 탱크(10) 내부의 증발 가스를 흡기 시스템(미도시)으로 회수하기 위한 캐니스터(40)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이러한 캐니스터(40)는 엔진 비구동시 연료 탱크(10)로부터 증발된 가스를 흡수 저장하였다가 엔진이 시동되어 일정한 구동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저장된 증발 가스를 흡기 부압에 의해 외기와 함께 흡기 시스템(미도시)으로 유도하는 기능 을 하게 된다.The
이러한 캐니스터(40)는 흡입관(41)을 통해 연료 탱크(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가스 배출관(43)을 통해 흡기 시스템(미도시)의 스로틀 밸브 후방에 연결되게 설치된다.The
즉, 연료 탱크(10)의 내부에서 연료의 자연 증발에 의해 발생된 연료 증발 가스는 흡입관(41)을 통해 캐니스터(40)로 흡입되고, 흡기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외기가 흡입될 때 가스 배출관(43)을 통하여 캐니스터(40)로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외기와 함께 엔진(미도시)의 실린더로 공급된다.That is, the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by the natural evaporation of the fuel in the
그리고 상기 캐니스터(40)에는 대기 측으로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45)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연결 파이프(45)이 단부에는 에어 필터 어셈블리(47)가 장착되어 있다.The
이러한 에어 필터 어셈블리(47)는 엔진 비구동시 연료 탱크(10)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캐니스터(40)에 유입되고 흡착 저장된 상태에서 연결 파이프(45)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고, 엔진 구동시 흡기 부압에 의해 연결 파이프(45)를 통하여 캐니스터(4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00)에 있어, 상기 셧-오프 밸브(30)의 밸브 몸체(31) 상부 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0) 내부의 상부측 공간과 필러 파이프(20) 내부의 상부측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벤트홀들(39)이 형성되고, 이들 벤트홀(39)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원 웨이 밸브(one way valve: 50)가 설치된다.In the
상기 벤트홀들(39)은 셧-오프 밸브(30)의 밸브 몸체(31)에 있어, 연료 탱크(10)의 공칭 용량의 92% 수준 높이에 형성되며,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밸브홀(51)을 중심에 두고 이의 외측에 방사상으로서 형성된다.The
이러한 벤트홀들(39)은 연료 탱크(10) 내부의 상부측 공간과 필러 파이프(20) 내부의 상부측 공간을 상호 소통시켜 뒤에서 더욱 설명하는 누설 진단유닛(70)을 통해 연료 탱크(10) 및 필러 파이프(20)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여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se vent holes 39 communicate the upper space inside the
이 경우 상기 벤트홀들(39)은 2~3mm의 직경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vent holes 39 may be formed as a diameter of 2 to 3 mm.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웨이 밸브(50)는 연료 탱크(10) 내부의 부압 발생시 셧-오프 밸브(30)의 벤트홀들(39)을 개방시키고, 연료 탱크(10)의 내부에 정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한 정압에 의해 그 벤트홀들(39)을 폐쇄시킬 수 있는 원웨이 밸브로서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one-
이러한 원웨이 밸브(50)는 벤트홀들(39)의 외측, 즉 벤트홀들(39)의 방사상 중심부에 형성된 밸브홀(51)을 통해 셧-오프 밸브(30)의 밸브 몸체(31)에 장착된다.The one-
상기 원웨이 밸브(50)는 벤트홀들(39)을 개폐시키기 위한 돔 형태의 밸브 헤드(53)를 구비하는 바, 그 벨브 헤드(53)에는 밸브홀(51)에 끼워지는 밸브 스 템(55)이 일체로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스템(55)의 선단에는 그 밸브 스템(55)이 밸브홀(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57)가 형성되어 있다.The one-
따라서 연료 탱크(10)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그 부압에 의해 밸브 헤드(53)가 들어 올려지면서 벤트홀들(39)을 개방시키고, 연료 탱크(10)의 내부에 정압이 발생하게 되면 그 정압에 의해 상기한 밸브 헤드(53)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면서 벤트홀들(39)을 폐쇄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료 공급장치(100)는 연료 공급 계통의 부압을 감지하여 그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가스의 누설을 진단할 수 있는 누설 진단유닛(70)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누설 진단유닛(70)은 가스 배출관(43)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Purge Control Solenoid Valve: PCSV)(71)와, 캐니스터(40)와 에어 필터 어셈블리(47)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45)의 유로 상에 설치되는 캐니스터 차단 밸브(Canister Close Valve: CCV)(73)와, 흡입관(41)에 설치되어 연료 공급 계통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75)와,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 캐니스터 차단 밸브(73) 및 압력 센서(75)와 전기적인 신호 체계로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ECU)(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는 엔진 비구동시 연료 탱크(10) 내부의 증발 가스가 캐니스터(40)에 흡수 저장되는 경우, 가스 배출관(43)을 폐쇄시키며, 엔진 구동시 캐니스터(40)에 저장되어 있는 증발 가스를 외기와 함께 흡기 시스템(미도시)으로 공급하는 경우 상기 가스 배출관(43)을 개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purge
상기 캐니스터 차단 밸브(73)는 엔진 구동이나 엔진 비구동시 기본적으로는 연결 파이프(45)를 상시 개방시키고,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 가스 누설 진단 모드시에는 연료 탱크(10)의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짧은 시간(대략 30초 정도) 동안 연결 파이프(45)를 폐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유닛(77)은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 및 캐니스터 차단 밸브(73)의 작동을 제어하며, 압력 센서(75)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연료 공급 계통의 내부 압력과 기설정된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 가스의 누설을 판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우선, 엔진 비구동시,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는 전자제어유닛(77)에 의해 제어되어 가스 배출관(43)을 폐쇄시키고, 캐니스터 차단 밸브(73)는 전자제어유닛(77)에 의해 제어되어 연결 파이프(45)를 개방시킨다.First, when the engine is not driven, the purge
이에 따라, 연료 탱크(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발 가스는 캐니스터(40)로 유입되어 그 캐니스터(40)에 흡착 저장되고, 캐니스터(40) 내부의 공기는 연결 파이프(45) 및 에어 필터 어셈블리(47)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Accordingly,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그리고 엔진 구동시,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는 전자제어유닛(77)에 의해 제어되어 가스 배출관(43)을 개방시키고, 캐니스터 차단 밸브(73)는 전자제어유닛(77)에 의해 제어되어 연결 파이프(45)를 개방시킨다.When the engine is driven, the purge
이에 따라, 상기 캐니스터(40)에 저장되어 있는 증발 가스는 에어 필터 어셈블리(47) 및 연결 파이프(45)를 통해 캐니스터(40)로 유입되는 신선한 외기에 의해 분리되면서 그 외기와 함께 흡기 부압에 의해 가스 배출관(43)을 통해 흡기 시스템(미도시)으로 보내진 후 연소실에서 연소된다.Accordingly, the boil-off gas stored in the
이 경우 원웨이 밸브(50)의 밸브 헤드(53)는 연료 탱크(10) 내부의 흡기 부압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서 벤트홀들(39)을 개방시키게 된다(도 6 참조).In this case, the
그러면, 필러 파이프(20) 내부의 증발 가스는 벤트홀들(39)을 통해 연료 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된다.Then, the boil-off gas in the
반대로 상기에서와 같이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에 의해 가스 배출관(43)이 폐쇄되면, 연료 탱크(10) 내부의 정압에 의해 상기 밸브 헤드(53)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오면서 상기 벤트홀들(39)을 폐쇄시키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한편, 연료 탱크(10) 내부로 연료를 주유하는 경우, 원웨이 밸브(50)의 밸브 헤드(53)가 상기한 벤트홀들(39)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연료 탱크(10) 내부의 증발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fueling the fuel into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북미의 ORVR(On Board Refuelling Vapor Recovery: 연료 주유시 증발 가스의 대기 방출을 방지) 규정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ctively respond to North American On-board Refuelling Vapor Recovery (ORVR) regulations.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주행 중 연료 공급 계통의 연료 및 증발 가스의 누설을 진단하는 누설 진단 모드시, 우선 캐니스터 차단 밸브(73)는 전자제어유닛(77)에 의해 제어되어 연결 파이프(45)를 폐쇄시킨다. 그러면 캐니스터(40)와 대기는 서로 차단된 상태에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eak diagnosis mode for diagnosing the leakage of fuel and evaporated gas of the fuel supply system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그리고 퍼지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71)는 전자제어유닛(77)에 의해 제어되어 가스 배출관(43)을 일정 시간 동안 개방시킨다.And the purge
이에 따라, 연료 탱크(10)의 내부에는 흡기 시스템(미도시)에 의해 흡기 부압을 형성하게 된다. 즉, 연료 공급 계통이 전체적으로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압력 센서(75)는 이 때의 압력을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전자제어유닛(77)으로 출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intake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그러면, 상기 전자제어유닛(77)은 연료 공급 계통의 압력과 기설정된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로 내려 가면 연료 공급 계통에 연료 및 증발 가스의 누설이 없다고 판단하며, 연료 공급 계통 내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로 내려 가지 않게 되면 연료 공급 계통에 연료 및 증발 가스의 누설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Then, the
이 경우 원웨이 밸브(50)의 밸브 헤드(53)는 도 6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0) 내부의 부압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서 벤트홀들(39)을 개방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서 필러 파이프(20)의 내부 압력을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한 누설 진단유닛(70)을 통해 필러 파이프(20)의 연료 및 증발 가스 누설 여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n, sinc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북미의 OBD-2(On Board Diagnosis-2: 연료 공급 시스템의 누설을 감지)규정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atisfy North American OBD-2 (On Board Diagnosis-2) regulation.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에서와 같이 필러 파이프(20)의 누설 감지를 위해 별도 설치된 누설 감지 튜브를 삭제하고, 셧-오프 밸브(30)의 밸브 몸체(31) 에 벤트홀(39)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에서와 같은 북미의 OBD-2 및 ORVR 규정을 만족하면서도 후방 충돌 시험 규정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leak detection tube separately installed for leak detec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와 같은 누설 감지 튜브를 삭제함에 따라, 작업 공수가 줄어 들고, 필러 파이프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생산 라인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체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 되고, 생산 비용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eliminating the leak detection tube as in the prior art, the number of work is reduced, the working space of the filler pipe can be secured, so that the assembly and workability of the production line can be further improv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production costs and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ehicle fuel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셧-오프 밸브를 나타내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hut-off valve shown in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셧-오프 밸브의 단면 구성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ut-off valv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6627A KR101326797B1 (en) | 2007-11-15 | 2007-11-15 |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6627A KR101326797B1 (en) | 2007-11-15 | 2007-11-15 |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0276A KR20090050276A (en) | 2009-05-20 |
KR101326797B1 true KR101326797B1 (en) | 2013-11-11 |
Family
ID=4085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66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6797B1 (en) | 2007-11-15 | 2007-11-15 |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679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4164A (en) * | 1996-12-06 | 1998-09-05 | 박병재 | Automotive fuel tank |
KR20030032375A (en) * | 2001-10-17 | 2003-04-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uel tank with one-way valve |
KR20030041303A (en) * | 2001-11-19 | 2003-05-2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control fuel leak of fuel-tank vihicles |
KR20060060086A (en) * | 2004-11-30 | 2006-06-05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Overcharge prevention device of fuel tank |
-
2007
- 2007-11-15 KR KR1020070116627A patent/KR1013267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4164A (en) * | 1996-12-06 | 1998-09-05 | 박병재 | Automotive fuel tank |
KR20030032375A (en) * | 2001-10-17 | 2003-04-2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Fuel tank with one-way valve |
KR20030041303A (en) * | 2001-11-19 | 2003-05-2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control fuel leak of fuel-tank vihicles |
KR20060060086A (en) * | 2004-11-30 | 2006-06-05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Overcharge prevention device of fuel tan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0276A (en) | 2009-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29635A (en) | Fuel vapor emission preventing system | |
US5850819A (en) | Fuel evaporative emission treatment system | |
JP3706785B2 (en) | Evaporative fuel processing equipment | |
KR100986062B1 (en) | Vehicle Fuel Evaporation Gas Recirculation System | |
JP380358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uel leakage in a fuel system without fuel evaporative gas | |
US20030173365A1 (en) | Fuel tank having a venting system | |
US11073112B2 (en) |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 |
JP4441498B2 (en) | Fuel tank system | |
US5829416A (en) | Fuel-vapor treating apparatus | |
US6302133B1 (en) | Fuel tank | |
KR101326797B1 (en) | Fuel supply system for vehicle | |
US6415772B1 (en) |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 |
JP4110754B2 (en) | Evaporative fuel control device for fuel tank | |
JP4163352B2 (en) | Fuel tank | |
JP2005104394A (en) | Evaporative fuel emission suppression device | |
JP2001165003A (en) | Fuel tank | |
JP2000282967A (en) | Evaporated fuel control device | |
JP3452103B2 (en) | Evaporative fuel processing equipment | |
JP4176262B2 (en) | Fuel tank | |
JP3391209B2 (en) | Evaporative fuel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9990016560A (en) | Evaporative Gas Discharge Device for Fuel Injection | |
US20240253456A1 (en) | Fuel tank venting system | |
KR100750671B1 (en) | Leak Detection System of Vehicle Fuel System | |
KR100501340B1 (en) | Fuel system | |
CN117469057A (en) | Fuel system fuel vapor recirculation system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