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6234B1 -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234B1
KR101326234B1 KR1020120046582A KR20120046582A KR101326234B1 KR 101326234 B1 KR101326234 B1 KR 101326234B1 KR 1020120046582 A KR1020120046582 A KR 1020120046582A KR 20120046582 A KR20120046582 A KR 20120046582A KR 101326234 B1 KR101326234 B1 KR 101326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battery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엠앤에코
Priority to KR102012004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234B1/ko
Priority to PCT/KR2012/005453 priority patent/WO20131650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2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사용이 어려운 장소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는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구조로 구성됨으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고,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60)에 전원이 충전된 후, 컨트롤러(50)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값에 의해 다양한 커넥터(74, 76)가 적용되는 커넥팅 유니트(70)를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24)에 설치되는 집광판(40)과 함께 커버(24)에 절첩되는 보조 커버(32)에 설치되는 보조 집광판(42)의 적용을 통해 충전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커버(24)의 뒷면(25)에 결합되는 레버(120)를 통해 커버(24)의 펼침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태양의 고도 및 위치에 따라 집광판(40) 및 보조 집광판(4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효과적인 집광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PORTABLE SUNLIGHT CHARGE TYPE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사용이 어려운 장소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외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테블릿 PC, MP3 플레이어,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증가와 더불어 충전지(Battery)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외부 활동이 증가하면서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미비한 야외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필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3745호 "휴대용 다중 전원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방법 및 장치"는 다수의 태양전지가 직·병렬로 정렬되어 몰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 상기 태양전지판 표면에 태양광 반사를 줄이기 위해 표면개질된 필름;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얻어진 전력을 부하측의 요구전압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공급하는 전력조정부; 및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전력조정부를 내장하고 휴대용 전자제품과 복합화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19911호 "접이식 휴대용 충전장치"는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개의 태양전지셀이 겹쳐지게 접을 수 있도록 플렉시블 와이어로 연결되고 유연한 필름으로 감싸진 모듈과, 상기 모듈에 연결되거나 일체화 되어 적절한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과, 상기 변환기에서 변환된 전류 및 전압이 전자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변환기와 전자제품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3021호 "이동통신 단말기용 태양광 충전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고리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그리고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넥터에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상용전원을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도를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활용성 및 휴대성에 있어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즉,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기기는 다양한 종류의 전원과 연결 커넥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부분 하나의 기기를 위한 전원용량을 제공하고 있어 상용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장소에서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에 있어서 용이하게 집광판의 각도를 설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용성과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전원용량을 제공하고, 다양한 종류의 연결 커넥터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의 충전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충전 및 배터리의 사용을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태양광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때 집광판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체(22)에 힌지(26)로 결합되는 커버(24)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커버(4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하는 집광판(40)과 상기 본체(22)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판(40)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60)와 상기 배터리(60)와 접속되어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74, 76)가 설치되는 커넥팅 유니트(70) 및 상기 집광판(40), 배터리(60) 및 커넥팅 유니트(70)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60)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커넥팅 유니트(70)로 공급되는 전원값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가방형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커버(24)를 상기 본체(22)로부터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집광판(40)을 통해 상기 배터리(6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커넥팅 유니트(7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커버(24)의 뒷면(25)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커버(24)가 상기 본체(22)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24)로부터 펼쳐졌을 때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레버(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버(120)는 상기 레버(120)의 양측에 상기 커버(24)와 힌지결합을 위한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122) 및 상기 힌지홀(122)의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4)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24)는 상기 커버(24)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120)가 수납되는 홈(110), 상기 홈(110)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120)의 회동시 걸림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 허용 리세스(112), 상기 회동 허용 리세스(112)의 양측에 형성되어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114) 및 상기 힌지홀(114)의 둘레로 상기 레버(120)의 걸림돌기(124)와 대응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는 걸림홈(116)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24)를 펼치고 상기 커버(24)에 형성된 레버(120)를 회동시킬 때 상기 걸림돌기(124)가 상기 커버(24)의 걸림홈(1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커버(24)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면에 맞출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구조로 구성됨으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다. 또한, 태양광을 통해 배터리(60)에 전원이 충전된 후, 컨트롤러(50)에 의해 조절되는 전원값에 의해 다양한 커넥터(74, 76)가 적용되는 커넥팅 유니트(70)를 통해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24)에 설치되는 집광판(40)과 함께 커버(24)에 절첩되는 보조 커버(32)에 설치되는 보조 집광판(42)의 적용을 통해 충전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24)의 뒷면(25)에 결합되는 레버(120)를 통해 커버(24)의 펼침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태양의 고도 및 위치에 따라 집광판(40) 및 보조 집광판(4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효과적인 집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뒷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집광판들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보조 집광판의 펼침과 겹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집광판의 각도 조절을 위한 레버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집광판의 각도 조절 유니트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다이어그램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가방형태로 휴대가능하도록 하고, 외부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케이스(20), 집광판(40), 배터리(60), 커넥팅 유니트(70) 및 컨트롤러(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20)는 본체(22)에 힌지(26)로 결합되는 커버(24)를 구비하여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본체(22)와 커버(24)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26)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은 경첩이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매입형 힌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힌지(26)는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2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가죽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22)와 커버(24)가 고정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에서 집광판(40)은 커버(24)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한다. 그리고, 배터리(60)는 본체(22)에 설치되고, 집광판(40)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을 저장한다. 커넥팅 유니트(70)는 배터리(60)와 접속되어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74, 7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팅 유니트(70)에는 전원 스위치(72)를 설치하여 대기전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컨트롤러(50)는 집광판(40), 배터리(60) 및 커넥팅 유니트(70)와 접속되어 배터리(60)의 충전을 제어하고, 커넥팅 유니트(70)로 공급되는 전원값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평상시에는 가방형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커버(24)를 본체(22)로부터 펼쳐지도록 하여 집광판(40)을 통해 배터리(6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커넥팅 유니트(7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가방형태로 구성되므로, 휴대의 간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전구 소켓(80)을 설치함으로써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를 사용할 때 조명기능을 부여하도록 하여 밤이나 어두운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를 설치하여 노트북, 야외용 전열기기 등의 전자 및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2)의 측면에 보조 커넥터(74')와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를 설치하여 태양광 충전없이 배터리(60)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의 편리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가방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휴대성을 높이고,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태양광을 통해 충전되는 배터리(60)를 구비하고, 이 배터리(60)에 충전된 전원을 필요한 직류 및 교류{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전원값으로 변환시켜 커넥팅 유니트(70),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를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설비가 없는 외부에서 전기 및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야외 활동시 문제시되는 모기에 의한 말라리아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모기향 등을 외부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전구, 전자 모기향 등 야외용 소형 기기를 보관할 수 있는 포켓을 일체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가방으로 제공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태양광을 받아 전원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 집광판의 구성 및 작용, 배터리의 충전제어 및 배터리로부터 전원값을 조절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기술, 힌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기술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관련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뒷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집광판들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보조 집광판의 펼침과 겹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20)를 통해 가방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휴대성을 높이고,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다양한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본체(22)와 커버(24) 및 보조 커버(32)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0), 집광판(40), 보조 집광판(42), 컨트롤러(50), 배터리(60), 커넥팅 유니트(70),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보조 커넥터(74')와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보조 배터리(100) 및 레버(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컨트롤러(50), 배터리(60), 커넥팅 유니트(70),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2)에 삽입되는 받침판(28)에 형성되는 분할된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에 따른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구성을 연결하는 배선 등은 받침판(28)내로 위치되어 외관이 미려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케이스(20)는 본체(22)에 힌지(26)로 결합되는 커버(24)를 구비하여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버(24)가 본체(22)에 접혀졌을 때 가방형태를 갖도록 한다. 본체(22)와 커버(24)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26)는 매입형 힌지구조를 적용하고, 힌지(26) 자체의 고정력에 의해 커버(24)가 본체(22)로부터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외관이 미려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케이스(2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단단한 프레임을 이루도록 한다. 본체(22)의 상면에는 손잡이(29)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본체(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팅 유니트(70) 및 교류 전원용 커넥터(90)와 별개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2)의 측면에 보조 커넥터(74')와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를 설치하여 태양광 충전없이 배터리(60)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보조 커넥터(74')와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는 본체(22)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러(50)와 접속되어 사용에 따라 조절된 전원값이 제공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커버(40)에 설치되는 집광판(40)과 보조 커버(32)에 설치되는 보조 집광판(42)을 통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집광면적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집광판(40)은 커버(24)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한다. 그리고, 보조 커버(32)는 커버(24)의 측면에 힌지(34)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보조 커버(32)는 커버(24)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커버(24)를 본체(22)로부터 펼친 후,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방향으로 펼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때, 커버(24)와 보조 커버(32)에 적용되는 힌지(34)는 전술한 본체(22)와 커버(24)의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된다. 보조 집광판(42)은 보조 커버(32)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사용시 커버(24)가 본체(22)로부터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보조 커버(32)가 커버(24)로부터 펼쳐지도록 하여 집광판(40) 및 보조 집광판(42)을 통해 배터리(6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집광면적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본체(22)에 설치되어 집광판(40)과 보조 집광판(42)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60)를 갖는다. 이와 같은 배터리(60)의 충전은 집광판(40) 및 보조 집광판(42)와 접속되는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이 배터리(60)에 충전된 전원은 컨트롤러(50)를 통해 필요한 전원값으로 조절되어 커넥팅 유니트(70)의 각 커넥터(74, 76),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보조 커넥터(74') 및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배터리(60)와 별개로 착탈가능하고 별도의 태양광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배터리(100)를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물론, 보조 배터리(100)는 일반적인 휴대형 충전배터리와 같이 특정 커넥터를 통해 접속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팅 유니트(70)는 배터리(60)와 접속되어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74, 7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팅 유니트(70)에는 전원 스위치(72)를 설치하여 대기전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74, 76)에는 스마트폰, MP3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커넥터(74)와, USB 커넥터(76) 등이 적용된다. 물론, 이와 같은 커넥터(74, 76)의 종류는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교류 전원용 커넥터(90)이 설치되어 노트북, 야외용 전열기기 등의 전자 및 전기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외부에서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22)의 측면에 보조 커넥터(74')와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를 설치하여 태양광 충전없이 배터리(60)의 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전구 소켓(80)을 설치함으로써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를 사용할 때 조명기능을 부여하도록 하여 밤이나 어두운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성을 높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에서 컨트롤러(50)는 집광판(40), 보조 집광판(42), 배터리(60), 커넥팅 유니트(70)의 각 커넥터(74, 76),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보조 커넥터(74') 및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와 접속되어 배터리(60)의 충전을 제어하고, 커넥팅 유니트(70)의 각 커넥터(74, 76),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보조 커넥터(74') 및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로 공급되는 전원값을 제어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의 컨트롤러(50)에는 GPS기능이 탑재되도록 하여 방위에 따른 집광판의 태양각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50)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충전상태, 전원소비상태 등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평상시에는 가방형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커버(24)를 본체(22)로부터 펼쳐지도록 하고, 보조 커버(32)가 펼쳐지도록 하여 집광판(40) 및 보조 집광판(42)을 통해 배터리(6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커넥팅 유니트(70), 전구 소켓(80), 교류 전원용 커넥터(90), 보조 커넥터(74') 및 보조 교류 전원용 커넥터(9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집광판의 각도 조절을 위한 레버가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에서 집광판의 각도 조절 유니트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10)는 커버(24)의 뒷면(25)에 결합되는 레버(120)를 통해 커버(24)의 펼침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태양의 고도 및 위치에 따라 집광판(40) 및 보조 집광판(4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효과적인 집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레버(120)는 커버(24)의 뒷면(25)에 형성되는 홈(110)에 삽입되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커버(24)가 본체(22)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커버(24)로부터 펼쳐졌을 때 지면에 닿도록 형성된다. 이 레버(120)는 사용자가 필요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래치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래치구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120)의 양끝단에 걸림돌기(124)를 형성하고, 커버(24)의 뒷면(25)에 형성되는 홈(110)에 걸림홈(116)을 형성함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레버(120)는 양측에서 핀(도시 않음)이 결합되는 힌지홀(122)의 하측에 걸림돌기(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24)의 뒷면(25)에 형성되는 홈(110)에는 레버(120)의 회동시 걸림되지 않도록 회동 허용 리세스(112)가 형성되고, 이 회동 허용 리세스(112)의 양측에는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114)의 둘레로 레버(120)의 걸림돌기(124)와 대응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걸림홈(1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124)와 걸림홈(166)의 구성을 통해 레버(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맞춤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래치구조는 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20 : 케이스 22 : 본체
24 : 커버 26, 34 : 힌지
32 : 보조 커버 40 : 집광판
43 : 보조 집광판 50 : 컨트롤러
60 : 배터리 70 : 커넥팅 유니트
74, 76 : 커넥터 120 : 레버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본체(22)에 힌지(26)로 결합되는 커버(24)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2)와 커버(24)가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커버(24)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통해 전원을 발생하는 집광판(40)과;
    상기 본체(22)에 설치되고, 상기 집광판(40)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60)와;
    상기 배터리(60)와 접속되어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74, 76)가 설치되는 커넥팅 유니트(70) 및;
    상기 집광판(40), 배터리(60) 및 커넥팅 유니트(70)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60)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커넥팅 유니트(70)로 공급되는 전원값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를 포함하여;
    평상시에는 가방형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시 상기 커버(24)를 상기 본체(22)로부터 펼쳐지도록 하여 상기 집광판(40)을 통해 상기 배터리(6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커넥팅 유니트(70)를 통해 외부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20)는 상기 커버(24)의 뒷면(25)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커버(24)가 상기 본체(22)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24)로부터 펼쳐졌을 때 지면에 닿도록 형성되는 레버(1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레버(120)는 상기 레버(120)의 양측에 상기 커버(24)와 힌지결합을 위한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122) 및,
    상기 힌지홀(122)의 하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4)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24)는 상기 커버(24)의 뒷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120)가 수납되는 홈(110),
    상기 홈(110)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120)의 회동시 걸림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 허용 리세스(112),
    상기 회동 허용 리세스(112)의 양측에 형성되어 핀이 결합되는 힌지홀(114) 및,
    상기 힌지홀(114)의 둘레로 상기 레버(120)의 걸림돌기(124)와 대응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는 걸림홈(116)를 구비하여,
    상기 커버(24)를 펼치고 상기 커버(24)에 형성된 레버(120)를 회동시킬 때 상기 걸림돌기(124)가 상기 커버(24)의 걸림홈(1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커버(24)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지면에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KR1020120046582A 2012-05-02 2012-05-02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Active KR101326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82A KR101326234B1 (ko) 2012-05-02 2012-05-02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PCT/KR2012/005453 WO2013165050A1 (ko) 2012-05-02 2012-07-10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82A KR101326234B1 (ko) 2012-05-02 2012-05-02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234B1 true KR101326234B1 (ko) 2013-11-11

Family

ID=4951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582A Active KR101326234B1 (ko) 2012-05-02 2012-05-02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6234B1 (ko)
WO (1) WO20131650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558B1 (ko) * 2015-03-17 2015-07-03 전정현 산업용 휴대충전장치
KR20160043739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비엠에너지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KR101652279B1 (ko) 2015-05-29 2016-08-3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태양전지 모듈
KR101681755B1 (ko) 2016-05-03 2016-12-01 주식회사 준마 휴대용 태양광 충전 및 전원공급장치
IT202200024420A1 (it) * 2022-11-25 2024-05-25 Energy2Go S R L Dispositivo fotovoltaico per ricarica dispositivi elettronici personal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3318B (zh) * 2018-05-16 2019-07-23 嵊州航羽电子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1384769A (zh) * 2018-12-27 2020-07-07 广东东软学院 一种具备太阳能蓄电的充电宝
CN116534285B (zh) * 2023-06-12 2025-04-15 银河航天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卫星展开和收缩后自动锁定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315A (ja) * 1995-12-27 1997-07-11 Nippon Chemicon Corp 充電装置
KR200349991Y1 (ko) 2004-02-19 2004-05-12 (주)솔레이텍 휴대용 다중 전원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장치
KR200363322Y1 (ko) 2004-07-02 2004-10-01 김진호 휴대용 전자기기용 외부 전원장치
JP2009038048A (ja) 2007-07-02 2009-02-19 Jet Neko Kk ソーラー式ポータブル発電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58B1 (ko) * 2005-02-21 2007-07-24 김두원 솔라셀을 이용한 모바일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2315A (ja) * 1995-12-27 1997-07-11 Nippon Chemicon Corp 充電装置
KR200349991Y1 (ko) 2004-02-19 2004-05-12 (주)솔레이텍 휴대용 다중 전원 태양전지를 이용한 충전 장치
KR200363322Y1 (ko) 2004-07-02 2004-10-01 김진호 휴대용 전자기기용 외부 전원장치
JP2009038048A (ja) 2007-07-02 2009-02-19 Jet Neko Kk ソーラー式ポータブル発電ユニ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739A (ko) 2014-10-14 2016-04-22 주식회사 비엠에너지 휴대용 전원 공급장치
KR101533558B1 (ko) * 2015-03-17 2015-07-03 전정현 산업용 휴대충전장치
KR101652279B1 (ko) 2015-05-29 2016-08-3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태양전지 모듈
KR101681755B1 (ko) 2016-05-03 2016-12-01 주식회사 준마 휴대용 태양광 충전 및 전원공급장치
IT202200024420A1 (it) * 2022-11-25 2024-05-25 Energy2Go S R L Dispositivo fotovoltaico per ricarica dispositivi elettronici persona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5050A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234B1 (ko) 휴대형 태양광 충전식 전원공급장치
CN205336212U (zh) 便携式太阳能充电折叠包
US80088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harging using portable multi-voltage solar cell
CN205336179U (zh) 便携式太阳能充电器
US20090007958A1 (en) Portable solar energy supplying device
EP1914859A1 (en) Extendable and angle-adjustable solar charger
JP3177767U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206137411U (zh) 一种多功能光伏遮阳伞
US20200080369A1 (en) Dual purpose foldable solar electricity supply apparatus for outdoor and window blind
KR101112638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차양장치
KR102428743B1 (ko) 휴대용 태양광 발전장치
JP2013153008A (ja) 可搬型太陽光発電装置
JPH10165232A (ja) 屋外用テーブル
CN207977772U (zh) 一种大功率可折叠快充太阳能移动电源
US20160028272A1 (en) Housing having a solar panel and components capable of replenishing a mobile phone battery
US20180145535A1 (en) Solar Recharging Station
CN201563080U (zh) 磁吸式太阳能多功能便携电源
KR20080112622A (ko) 태양광을 이용한 휴대용 전원공급장치
CN200973453Y (zh) 带太阳能微风发电供电系统的旅行背包
CN207884561U (zh) 一种太阳能发电组件及太阳能箱包
JP2021145935A (ja) 傘状ソーラーバッテリー
CN204741308U (zh) 一种太阳能供电移动电源
CN207896923U (zh) 一种光伏发电模块及生活用品
CN203723563U (zh) 一种户外遮蔽工具
CN205017046U (zh) 便携式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