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361B1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 Google Patents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3361B1 KR101323361B1 KR1020120115575A KR20120115575A KR101323361B1 KR 101323361 B1 KR101323361 B1 KR 101323361B1 KR 1020120115575 A KR1020120115575 A KR 1020120115575A KR 20120115575 A KR20120115575 A KR 20120115575A KR 101323361 B1 KR101323361 B1 KR 101323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ridge
- receptacle
- cap
- shaft
- univers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39 cover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32 extractab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71 hot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that i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커피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와 무관하게 이들을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에 수용된 다양한 카트리지 커버시트를 밀폐하는 복수의 밀폐부를 구비한 유니버설 캡을 채용하며, 더 나아가 이로부터 복수의 리셉터클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개구부 및 플렌지를 구비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고 플렌지에 부착되는 테두리를 구비한 커버시트를 포함하고, 추출대상체가 내장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끼움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끼움부를 덮고, 상기 카트리지 커버시트의 테두리와 접촉하는 제1밀폐부와 커버시트의 테두리 내측 상면과 접촉하는 제2밀폐부를 갖는 유니버설 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having a universal c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type cartridge packaged with a porous shell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particularly a cartridge containing coffee powder. In order to produce coffee drinks such as espresso by spraying, in particular, a universal cap having a plurality of seals for sealing a variety of cartridge cover sheet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to accommodate all of them, regardless of the cartridg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by manufactur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iversal beverage maker which employs a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having a universal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flange, and a cover sheet having an edge covering the opening of the body and attached to the flange. A cartridge in which the extraction object is embedded; A receptacle having a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artridge; And a universal cap covering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body and having a first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edge of the cartridge cover shee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dge of the cover sheet. And a control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having a universal cap,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커피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와 무관하게 이들을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receptacle)에 수용된 다양한 카트리지 커버시트를 밀폐하는 복수의 밀폐부를 구비한 유니버설 캡을 채용하며, More specifically, a coffee beverage such as espresso is manufactured by spraying hot and high pressure water onto a pack type cartridge, especially a cartridge containing coffee powder, packaged in a porous shell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It adopts a universal cap with a plurality of seals for sealing various cartridge cover sheets housed in a receptacle so that they can be accommodated and used regardless of cartridges of different shapes.
더 나아가 이로부터 복수의 리셉터클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more, from this,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which employ | adopted the rotating body provided with the some receptacle can be provided.
음료 추출 장치, 특히 분쇄된 커피가 담긴 카트리지에 고온 및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The prior art associated with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 particular a coffee maker for extracting coffee by injecting hot and high pressure water into a cartridge containing ground coffee,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Patent Registration No. 10-0236856 (filed on October 5, 1999 [Cartridge Extraction Apparatus and Cartridge Holder]) is proposed to provide a cartridge extracting apparatus configured to be compatible with any espresso machine.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There is als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disposable capsule having a capsule centering mechanism,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0-0113447 (published on October 21, 2010)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infusio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or other food from a disposable capsule, and relates to an infusion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or other hot beverage by extracting or diluting a substance contained in a disposable capsule.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Fur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1067540 (date of registration September 19, 20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verage]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atent discloses that the beverage precursor liquid may be supplied based on the onset of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beverage cartridge. The lid control mechanism can lock the reservoir lid in place to prevent access to the reservoir and release the lid to allow access to the reservoir in response to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reservoir lid can pneumatically seal the reservoir, for example, causing the reservoir to be hydraulically pressed into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can, for example, block power to the heater In response to detection that the water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based on the opening of the thermal shut-off switch.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Patent Disclosure No. 10-2011-0122702 (November 10, 2011) disclo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hich compri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of the type using a prepackaged container of beverage ingredient .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 음료 메이커, 보다 한정하여 커피 메이커, 보다 더 한정하여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온·고압 추출형 커피 메이커는 However, conventional drink makers including these conventional technologies, more limited coffee makers, and more specifically,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xtraction type coffee makers using cartridges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가 제조사 마다 모두 다르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receptacle)의 형상도 모두 달라 소비자가 다양한 커피를 마시려고 하는 경우 커피 메이커를 그에 맞게 다시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과도한 구매 비용이 소요되며, 마음대로 원하는 커피제품을 맛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Pack type cartridges pack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are different from one manufacturer to another, so that the shape of receptacles for accommodating the cartridges is also different. When a consumer tries to drink various kinds of coffe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gain, so that an excessive purchase cost is incur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coffee product can not be enjoyed at will.
이에 본 발명은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 모두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커피 등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니버설 캡을 채용하여 리셉터클(receptacle)에 수용된 다양한 카트리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커버시트 상면을 밀폐할 수 있는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universal cap to select all the cartridg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as desired by the manufacturer to extract a beverage, such as coffee, regardless of the type of various cartridge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that can seal the oil.
또 리셉터클에 수용되고, 유니버설 캡에 의하여 밀폐되어 추출용매, 특히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를 통과하지 않고 무단 유출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추출 완료 후 카트리지 분리시 카트리지 커버시트의 추출 구멍을 통하여 추출 잔액이 노출되어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출용매 구성수단을 이루는 노즐 둘레를 감싸 추출용매가 커버시트 상부로 솟아 올라 누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 바디에 제3밀폐부를 더 도입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housed in a receptacle and sealed by a universal cap to prevent the extraction solvent, especiall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from leaking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The cartridge further includes a third sealing part in the cap body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xtraction solvent rises to the top of the cover sheet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xtraction residue through the circumference of the nozzle constituting the extraction solvent constituting mean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on.
나아가 밀폐 상태의 확고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리셉터클 본체는 카트리지 바디의 플렌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고, 리셉터클 본체의 끼움부 둘레 밀착부와 접촉하는 제4밀폐부를 캡에 더 도입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receptacle body h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of the cartridge body in order to improve the tightness and stability of the sealed state, and the beverage for extracting cartridges, which further introduces a fourth sealing part in contact with the fitting circumference contact portion of the receptacle body to the cap. We aim at providing mak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니버설 캡과 함께, 다양한 이종 카트리지에 맞는 복수의 리셉터클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한, 진정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uly universal beverage maker employing a rotating body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for a variety of different cartridges, together with the universal cap.
또 본 발명은 상기 회전체의 음료, 특히 커피 카트리지를 넣고 빼는 것이 쉬우면서도, 추출시 용매(즉 열수)의 누설 문제 또한 없도록 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in which it is easy to put in and take out the beverage of the rotating body, especially a coffee cartridge, and also eliminates a problem of leakage of solvent (ie hot water) during extraction.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시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incorporating a stop means which allows the cartridge receptacle to stay precisely at the nozzle position of the housing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by the rotat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having a universal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개구부 및 플렌지를 구비한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부를 덮고 플렌지에 부착되는 테두리를 구비한 커버시트를 포함하고, 추출대상체가 내장된 카트리지;A cartridge including a body having an opening and a flange, and a cover sheet covering the opening of the body and having an edge attached to the flange, wherein the cartridge includes an extract object;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끼움부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리셉터클; 및A receptacle having a body having a fitt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artridge; And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끼움부를 덮고, 상기 카트리지 커버시트의 테두리와 접촉하는 제1밀폐부와 커버시트의 테두리 내측 상면과 접촉하는 제2밀폐부를 갖는 유니버설 캡;A universal cap covering the fit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body and having a first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edge of the cartridge cover shee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dge of the cover sheet;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또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서 In addition, in the beverage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with a universal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유니버설 캡은 상기 노즐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시트 상면과 접촉하는 제3밀폐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The universal cap further includes a third sealing portion surrounding the nozzl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heet,
상기 리셉터클은 본체의 끼움부 둘레에 밀착부를 갖고, 상기 유니버설 캡은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밀착부와 접촉하는 제4밀폐부를 더 포함하며,The receptacle has a close contact around the fit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universal cap further comprises a fourth sealing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of the receptacle body,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카트리지 바디의 플렌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ceptacle body preferably h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lower flange of the cartridge body.
한편, 상기와 같은 유니버설 캡이 채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는On the other hand,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universal cap as described above is employed
장착부와, 음료수용부와, 상기 음료수용부로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을 구비한 하우징; A housing having a mounting portion, a beverag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discharge nozzle for supplying an extract to the beverage accommodating portion;
복수의 카트리지 리셉터클들;A plurality of cartridge receptacles;
상기 하우징의 장착부에 결합되어 선회되고, 각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위한 결합부를 구비한 회전체; 및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 each cartridge receptacle; And
상기 회전체의 선회를 위한 회전수단;Rotating means for turning the rotating body;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
또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에서 In addition, universal drink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을 회전체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진퇴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The rotating body further includes a retracting means for exposing the cartridge receptacle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body,
상기 진퇴수단은 파지부를 구비한 슬라이딩부재이며,The advancing means is a sliding member having a gripping portion,
상기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시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stop means are further provided to allow the cartridge receptacle to stay precisely at the nozzle position of the housing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by the rotating means.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는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 모두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커피 등의 음료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니버설 캡을 채용하여 리셉터클에 수용된 다양한 카트리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커버시트 상면을 밀폐할 수 있으며,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having a universal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universal cap to select all cartridg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as desired by the manufacturer so as to extract beverages such as coffee, and various cartridges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Regardless of the type, the top of the cover sheet can be sealed.
또 리셉터클에 수용되고, 유니버설 캡에 의하여 밀폐되어 추출용매, 특히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를 통과하지 않고 무단 유출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추출 완료 후 카트리지 분리시 카트리지 커버시트의 추출 구멍을 통하여 추출 잔액이 노출되어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출용매 구성수단을 이루는 노즐 둘레를 감싸 추출용매가 커버시트 상부로 솟아 올라 누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 바디에 제3밀폐부를 더 도입하였고, It is housed in a receptacle and sealed by a universal cap to prevent the extraction solvent, especiall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from leaking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In order to prevent the extraction residue from being exposed, the third sealing part is further introduced into the cap body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xtraction solvent soaking up the top of the cover sheet.
나아가 밀폐 상태의 확고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리셉터클 본체는 카트리지 바디의 플렌지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고, 리셉터클 본체의 끼움부 둘레 밀착부와 접촉하는 제4밀폐부를 캡에 더 도입하였다.
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tightness and stability of the sealed state, the receptacle body has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flange of the cartridge body, and a fourth seal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tting circumference contact portion of the receptacle body is further introduced into the cap.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는 다양한 이종 카트리지에 맞는 복수의 리셉터클이 구비된 회전체를 채용하여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 모두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또 상기 회전체의 음료, 특히 커피 카트리지를 넣고 빼는 것이 쉬우면서도, 추출시 용매(즉 열수)의 누설 문제 또한 없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회전수단에 의한 회전체 회전시 카트리지 리셉터클이 하우징의 노즐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을 도입하여 추출 실패 가능성이나 열수 누설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ptacles for various heterogeneous cartridges to extract coffee by selecting all the cartridge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as desired, In addition, it is easy to put in and take out the beverage of the rotating body, especially the coffee cartridge, and also to avoid the problem of leakage of solvent (ie hot water) during extraction, and furthermore, the cartridge receptacle stays at the nozzle position of the housing accurately when the rotating body is rotated by the rotating means. Stop means can be introduced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extraction failure or the risk of leaking hot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위한 유니버설 캡과 관련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과 관련된 요부 결합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와는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요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를 위한 유니버설 캡과 관련된 요부 결합 사시도.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관찰방향을 달리한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1차 분해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의 2차 분해 요부 사시도.
도 11은 도 6과는 다른 형태의 음료 메이커를 도시한,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associated with the universal cap for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combined with FIG.
3 and 4 are principal par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at of FIG. 2, respectively.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associated with the universal cap for the beverage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7 and 8 are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th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servation direction is different, respectively.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imary disassembly of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ary decomposition of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maker of a form different from FIG. 6;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or in a simplified form or simplified in view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및 ~제4~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to the second, the second to the third, the fourth to the fourth, etc., which ar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referred to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ed order, and the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their names may not coincide.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캡(53) 및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M), 특히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도 6,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are divided in the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direction is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other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유니버설 캡(53)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First, the
제조사별로 크기와 모양이 다른 카트리지(CR)(도 1 참조)와 무관하게 이들을 모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리셉터클(receptacle)(30)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에 사용될 수 있다. Regardless of the cartridge (CR) (see FIG. 1), the size and shape of each manufacturer may be used in a universal beverage maker (M) for extracting cartridges having a plurality of
동종 또는 이종의 카트리지들을 수용하도록 같거나 다른 결합부(21)들을 구비한 회전체(20), 회전수단(R), 기타 음료 메이커의 구성요소들은 도 6과 관련하여 후술한다.Components of the
유니버설 캡(53)은 카트리지(CR)가 수용된 리셉터클(30)을 덮고, 추출용매, 특히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추출대상체(주로, 커피 분말)에 대한 추출을 행하도록 하며, 추출 없이 맹물이 무단 배출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기본 기능과,The
형상과 크기가 다른 이종 카트리지를 도입 하여도 이들 이종 카트리지 모두에 대하여 하나의 캡을 범용적으로(universal) 사용하여도 밀폐성을 보장하여 추출 용매가 추출 없이 무단 배출되는 상황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하여 유니버설 캡(53)은 복수의 밀폐부를 구비하고 있다.
Even if heterogeneous cartridges of different shapes and sizes are introduced, even if one cap is used universally for all of these heterogeneous cartridges, the sealing property is guaranteed to prevent the extraction solvent from being discharged without extraction. For this purpose, the
도시된 카트리지(CR)는 캡슐(capsule)(또는 용기(pod)) 형태인데, 필요에 따라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형태에도 유니버설 캡을 적용할 수 있다.The depicted cartridge CR is in the form of a capsule (or pod), which, if desired, can also be applied in the form of a pack type cartridge packag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nonwoven fabric.
도시된 캡슐(또는 용기(pod))형 카트리지(CR)의 구성을 살펴보면, 용기형 바디(C)에 먼저 하부 메쉬디스크(57)가 내장되고, 이어 추출대상체, 즉 커피분말(P)이 내장되며, 그 위에 상부 메쉬디스크(53B)가 덮이며, 이어 바디(C)의 개구부(Ca)는 가능한 진공포장 상태에서 커버필름(C1)이 덮여 바디(C) 상부 플렌지(Cb)에 부착되는 형태이다.In the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capsule (or pod) type cartridge CR, the
상기 메쉬디스크(53B)는 복수의 분산홈, 특히 특유의 동심원 구조와 방사상 구조가 겹친 형태의 분산홈(53g)들을 갖고, The
이 분산홈을 따라 열수 통과공(53w)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쉬디스크(53B)의 하면 중앙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중앙돌기(53n)가 형성되어 있다(도 10의 우측 세 번째(상부에서부터) 일점 쇄선 원 내의 저면 관찰 사시도에서 확인 가능).Hydrothermal passage holes 53w are formed along this dispersion groove, and a
도 10 및 도 1에서, 상기 중앙돌기(53n)는 추출용매 유통수단(50), 특히 주사 바늘 형태로 첨단부를 갖는 노즐, 즉 천공핀(53A)을 핵심으로 하는 상부 파괴수단(50A)인 경우,10 and 1, the
천공핀(53A)에 의한 카트리지(CR) 커버시트(C1)의 파괴, 천공 후 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용매, 즉 추출용 물은 The breakage of the cartridge cover sheet C1 by the
상기 상부 메쉬디스크(53B)에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중앙돌기(53n)(도 10 참조)로 인하여 Due to the
메쉬디스크의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Despite the thinness of the mesh disk
상부에 중앙에 형성된 요홈부(53r)(도 1 및 도 2 참조)에서 방사상으로 퍼져 이동하고, Radially spread and move in the
이어 분산홈(53g)들과 열수 통과공(53w)에 의하여 넓게 퍼져 추출대상체, 즉 커피분말(P)과 만나게 되고 추출을 시작한다.Is spread widely by the dispersing
다음으로 카트리지(CR)의 바디(C)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한 고온·고압의 물은 추출을 행한 후,Next,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that has smoothly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body C of the cartridge CR is extracted,
하부 메쉬디스크(57)에 의하여 추출 액체만 배출되고 찌꺼기는 그 위에 체류하게 된다.Only the extracted liquid is discharged by the
또 하부 메쉬디스크(57)는 상부에 상향돌기(57n)를 갖는데, 이 상향돌기는 특유의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으로 인하여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추출 기능을 수행한 열수가 음료로 바뀐 후 이 상향돌기를 타고 넓게 퍼지면서 메쉬디스크(57)의 구멍들을 통과하여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시된 캡슐형 카트리지는 개구부(Ca)와 플렌지(Cb)를 구비한 바디, 추출대상체(P)가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플렌지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덮은 커버시트(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llustrated capsule type cartridge includes a body having an opening Ca and a flange Cb and a cover sheet C1 which is coupled to the flange of the body in a state where the extraction target body P is embedded in the body, .
이러한 카트리지의 기본 구성은 그러나 추상화된 개념으로 볼 때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 카트리지 역시 마찬가지이다.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se cartridges, however, is the same for packed cartridges packaged in a porous envelope in the abstracted concept.
즉, 다공성 '하부외피'를 '바디'로 분류할 수 있고, '상부외피'를 '커버시트'로 분류할 수 있으며,That is, the porous 'lower shell' can be classified as 'body' and the 'upper shell' can be classified as 'cover sheet'
제조방법 및 조립순서와 무관하게 추출대상체를 내장한 '상부외피'와 '하부외피'는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하부외피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호 접합된 상부외피와 하부외피는 접합면에 각각 '테두리' 및 '플렌지'를 갖는다.The upper and lower outer shells having the extraction object embedded therein can be separated regardles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assembling order, and the separated lower outer shell has the " opening ", and the upper and lower outer shells, Quot; and " flange ", respectively.
또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 카트리지 역시 추출용매, 즉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를 거치지 않고 새서 무단으로, 맹물이 배출되는 상황이 방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상하 외피의 플렌지를 기점으로 밀폐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In addition, packed cartridges packed in porous shells should also be prevented from discharging the waste water without extracting solvent, i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For this purpose, a method of sealing the upper and lower shells from the flange .
따라서 본 발명의 유니버설 캡 및 이를 이용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는 카트리지의 종류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을 갖는다.
Accordingly, the universal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niversal drink maker using the universal cap have a concept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cartridge.
다음으로 리셉터클(30)은 카트리지(CR)를 수용하는 끼움부(31A)를 구비한 본체(31)를 포함한다.Next, the
본질적으로 상기 끼움부의 형상 및 크기는 카트리지(CR)에 따라 변형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 구현을 위하여 복수의 리셉터클(30)을 도입하고 있으며, 본체의 끼움부는 이종 또는 동종의 것이다.Essentially, the shape and size of the fitting portion are d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artridge C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용기(pod)형 카트리지(CR)는 커버시트(C1) 및 바디(C) 저면의 천공이 필수적이어서, The pod type cartridge CR is required to be punch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sheet C1 and the body C,
추출용매 유통수단은 천공핀(53a)을 본질로 하는 상부 파괴수단(50A)과,The extraction solvent circulation means comprises an upper breaker means 50A essentially comprising a
천공돌기(55a)를 본질로 하는 천공디스크(55)로 구성된 하부 파괴수단(50B)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And a lower breaking means 50B constituted by a
그러나 카트리지의 파괴, 천공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를 포괄하여 추출용매 '유통수단'으로 지칭하고 있다.However, the destruction and puncturing of the cartridge is not essential, so it is referred to as an extraction solvent 'distribution means'.
도시된 용기(pod)형 카트리지(CR)의 바디(C) 하면은The bottom surface (C) of the illustrated pod type cartridge (CR)
카트리지의 리셉터클 본체 끼움부(31A) 장착 즉시, Upon mounting the receptacle main
또는 도 10의 레버(L)에 의한 락킹 완료시, Or upon completion of locking by the lever L of FIG.
또는 천공핀(53a)을 통한 고온·고압의 추출용 물 공급으로 수압에 의하여 카트리지 바디(C) 저면이 변형 하강시Or the supply of water for extraction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rough the
천공디스크(55)의 천공돌기(55a)와 접촉하여 천공, 파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punching and breaking may be performed by contacting the punching
상기 천공디스크(55) 하부에는 거품디스크(59)가 배열되어 있다.A
상기 거품디스크는 열에 강하고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The foam disk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 material or other safety material resistant to heat and low risk of environmental hormone exposure,
도 1 및 도 2에서 천공디스크(55) 중앙에 치우친 추출 음료 통과부(5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음료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안내로(59b)를 따라 거품디스크(59) 외곽으로 퍼진 후, 1 and 2 after the extraction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ion
각 안내로 끝의 통공(59a)을 통과하면서 체류시간의 증대로 커피, 특히 에스프레스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를 증가시킨다.(Crema, which covers espresso shots with a dense golden brown foam) that enhances the coffee, especially the espress specific flavor, by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through the through
또 도 1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1) 저면부(37)에는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a perspective view in the lower right one-dot chain line circle in FIG. 1, the
거품디스크(59)의 안내로(59b)에 상응하는 방사상 소통로(37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소통로들은 중앙의 배출공(37c)과 연결되어 있으며, A
중앙 배출공(37c) 둘레에는 복수의 방사상 이격기둥(37b)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A plurality of radial spaced apart
리셉터클 바디 저면부(37)의 배출공(37c)에 거품디스크(59)의 중앙 결합돌기(59c)(상광하협 형상으로 쉬운 조립 과정 및 안정된 결합상태 유지가 가능하다)(도 1 우측 두 번째 일점 쇄선 원 내 저면 관찰 사시도 참조)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있고, The
거품디스크(59)의 하부 중앙 결합돌기(59c) 둘레의 환홈(도 2 참조)에는 안정되게 이격기둥(37b)이 결합되어 있어, Spaced
막힘 없이 추출음료는 거품디스크(59)의 각 배출공(37c)에서 빠져 나와 다시 방사상 소통로(37a)를 지나 중앙 배출공(37c)를 거쳐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from each
최종적으로 풍부한 크레마가 형성된 상태로 회전체(20) 결합부(21) 중앙위치의 노즐연통공(20n)과 하우징의 노즐(13)을 거쳐 음료수용부(10A)에 위치한 컵으로 떨어진다.Finally, abundant crema is formed and falls through the
나아가 이러한 거품디스크(59)의 통과부(55b)를 거쳐 거품디스크(59)의 거품디스크(59) 안내로(59b) → 통공(59a) → 통공(59a) → 리셉터클(30) 본체(31) 저면부(37)의 소통로(37a) → 배출공(37c)을 거치는 지그재그 추출액 유통 경로와, 리셉터클(30) 본체(31) 저면부(37)의 이격기둥(37b) 및 거품디스크(59)의 하부 중앙 결합돌기(59c) 등의 부재는 고압으로 추출된 후 배출되는 추출액의 배출압을 감압하여 안전성 및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the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유니버설 캡(53), 특히 캡바디(T)는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1)의 끼움부(31A)를 덮고, 상기 카트리지(CR) 커버시트(C1)의 테두리(C1a)와 접촉하는 제1밀폐부(T1)와 커버시트(C1)의 테두리(c1a) 내측 상면과 접촉하는 제2밀폐부(T2)를 갖는다.1 and 2, the
도 1에서 편의상 커버시트(C1)의 테두리(C1a)는 점선으로 구분하여 영역을 표시하였다.In FIG. 1, the edge C1a of the cover sheet C1 is divided by a dotted line to indicate an area.
상기 제1밀폐부(T1)는 캡(53)과 카트리지의 커버시트(C1) 사이로 공급되어 카트리지(CR)를 통과하여 추출을 행하는 용매가 카트리지(CR)의 영역 밖으로 누설되어, 무단 배출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며,The first sealing portion T1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상기 제2밀폐부(T2)는 도시된 카트리지(CR)가 채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중 가장 큰 것이라면, 그보다 작은 카트리지의 커버시트 테두리와 접촉 밀착하여 추출용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sealing part T2 serves to prevent leakage of the extraction solvent b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cover sheet of the smaller cartridge if the cartridge CR shown is the largest cartridge that can be employed.
이러한 제2밀폐부(T2)를 구성하는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stituting the second sealing portion T2 may be provided,
제1 및 제2 밀폐부(T1)(T2)는 채용되는 카트리지(CR)의 테두리 형상에 맞게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각 카트리지 커버시트 테두리 상면에 균일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단절 없이(폐회로를 구성함) 동일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hermetically sealed portions T1 and T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a triangle shape in conformity with the rim shape of the cartridge CR to be employed. Basically,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height without disconnecting (constituting a closed circui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음료 메이커는 상기 카트리지(CR)의 내부로 추출용매를 공급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유통수단(50)을 더 포함하며,Next,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means (50) including a nozzle for supplying an extraction solvent into the inside of the cartridge (CR)
나아가 상기 유니버설 캡(53), 특히 캡바디(T)는 상기 노즐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시트(C1) 상면과 접촉하는 제3밀폐부(T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러한 제3밀폐부(T3)는 리셉터클(30)의 본체(31)에 수용되고, 유니버설 캡(53)에 의하여 밀폐되어 추출용매, 특히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를 통과하지 않고 무단 유출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보조하며, The third sealing portion T3 is accommodated in the
본질적으로는 추출 완료 후 카트리지(CR) 분리시 카트리지 커버시트(C1)의 추출 구멍을 통하여 추출 잔액이 노출되어 있어, 음료 메이커 사용자의 손에 묻거나 열수 잔수로 인한 화상을 입히는 상황이나 주변에 흘러 오염을 일으키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Essentially, the extraction residue is exposed through the extraction hole of the cartridge cover sheet (C1) when the cartridge (CR) is removed after the extrac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user may be exposed to the hand of the drink maker, It serv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ollution-causing situations.
이러한 제3밀폐부(T3)는 노즐, 특히 도면에서는 상부 파괴수단(50A)의 천공핀(53a)에 인접배열되어 있어 추출용매 구성수단을 이루는 노즐(천공핀) 둘레를 감싸 추출용매가 커버시트 상부로 솟아 올라 누출되는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The third sealing portion T3 is arranged adjacent to the nozzle, particularly, the
상기 제3밀폐부는 노즐의 테두리 형상에 맞게 형성되나 원형인 것이 무난하고, 역시 각 카트리지 커버시트 테두리 상면에 균일하게 밀착할 수 있도록 단절 없이(폐회로를 구성함) 동일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sealing portion is 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edge of the nozzl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sealing portion is circula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sealing portion has the same height without disconnection (constituting a closed circuit) so as to be uniformly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cartridge cover sheet edge.
한편, 사용된 카트리지의 커버시트 테두리 내측과 접촉하는 제2밀폐부(T2)는 어느 정도 제3밀폐부의 기능, 즉 추출용매 잔액의 노출 방지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포괄적이고 일정 정도 추상화된 개념의 구성요소인 제2밀폐부와 제3밀폐부는 실제 구현될 경우(물화(物化))될 경우, 하나의 돌기 또는 요홈(단절 없이(폐회로를 구성함) 동일 높이(또는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에 의하여 통합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T2)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cover sheet of the used cartridge also performs a function of the third sealing portion, that is, to prevent the exposure of the extraction solvent balance to some extent. Therefore, the second sealing part and the third sealing part, which are components of a comprehensive and some degree of abstraction, are the same height when they are actually implemented (materialized) and have one projection or groove (without disconnection (which constitutes a closed circuit)). (Or preferably have a dept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캡(5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버(L)와 연계된 락킹부재(40)에 의하여 승하강되어 천공핀(53a)이 카트리지 커버시트 천공 작업을 수행하고,On the other hand, the
또 캡(53)의 승하강 밀폐가 가능하도록 승강드럼(51)에 결합되는 가압디스크(53A)와 밀폐부를 구비한 캡바디(T)의 조립체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More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FIGS. 1 and 10,
상기 가압디스크(53A)가 나사돌기(53p)를 통하여 대응되는 승강드럼(51)의 나사공(51b) 각각에 끼워지고, 이어 볼트가 세 나사돌기에 끼워져 확고한 고정을 보장하게 되며, The
또 상기 가압디스크(53A)는 승강드럼에 결합되기 전에 중앙 장착공(53h)에 천공핀(53a)이 그 걸림턱(53a')에 의하여 구속 결합되며, 수밀성은 걸림턱 상부에 결합된 오링(53b)을 통하여 보장하게 된다.In addition, before the
또 도 1 우측 첫 번째 일점 쇄선 원 내 절개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incision in the first one-dot chain line circle of Figure 1,
캡(53) 바디(T)는 내향 결합홈(Ta)을 가져, 여기에 가압디스크(53A)가 수용되어 상호 결합되며, 밀폐성 보장을 위한 연질 가요성 캡바디(T)의 결합홈(Ta)의 하면에는 The body T of the
환형 함몰 형상의 유격부(Tb)가 형성되어 있어 An annular recessed portion Tb is formed
가압력 전달과 밀폐성 보장을 위한 경질 가압디스크(53A)의 테두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The edge of the
도 1,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30)은 본체(31)의 끼움부(31A) 둘레에 밀착부(35A)를 갖고, 상기 유니버설 캡(53), 특히 캡바디(T)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31)의 밀착부(35A)와 접촉하는 제4밀폐부(T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seen in FIGS. 1, 2 and 3, the
이러한 제4밀폐부(T4)는 캡(53)과 리셉터클(30)의 결합, 밀착상태에서 고온·고압(예: 15bar)의 추출용매가 외부로 누설, 분사되어 화상 등의 큰 피해를 일으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상태의 확고함과 안정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The fourth sealing portion T4 prevents the extraction solvent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for example, 15 bar) from leaking out and spraying from the outside in the state where the
이러한 밀착부(35A)는 리셉터클 본체(31)의 끼움부(31A) 둘레를 따라 단절 없이 형성된 돌기 형태이고, The tight
또 제4밀폐부(T4)는 캡바디(T) 하면 테두리를 따라 함몰 형성된 요홈 형태로, 상호 맞물림(암결합부 역할을 하는 요홈 전체에 수용되는, 수결합부 역할을 하는 돌기형 제4밀폐부에 집중할 때) 또는 엇물림(밀착부(35A) 외면과 제4밀폐부(T4)를 이루는 외고가 스커트(skirt)에 집중할 때) 형태일 수 있다.The fourth sealing portion T4 is formed as a recessed groov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p body T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outer sole making up the outer surface of the
나아가 도 3에서, 캡(53)과 리셉터클(30)의 결합상태에 대한 안정성은 또 카트리지(CR) 바디(C)의 플렌지(Cb)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1)의 받침부(35B)에 의하여 향상된다. 이는 박형의 카트리지 바디(C)에 대하여 상면에서만 캡바디(T)의 제1밀폐부(T1)가 가압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히 밀폐력을 보장하기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Further, in FIG. 3, the stability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한편, 상기 캡바디(T)는 저면, 즉 천정(Tc)(도 1 우측 첫 번째 일점 쇄선 원 내 절개 사시도 참조)은 도 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On the other hand, the cap body (T) is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ceiling (Tc) (see the perspective view incision in the first one-dot chain line circle of Figure 1) as can be confirmed in more detail in Figure 2,
제1 내지 제3 밀폐부(T1)(T2)(T3)를 제외하면,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어, 고온·고압의 추출용매가 유통수단(50)의 노즐, 즉 천공핀(53a)에서 분출되어 카트리지(C) 내부를 채울 경우 보다(도 3의 구현예 보다) 빠르게 카트리지(CR)의 커버시트(C1)가 천정(Tc)에 밀착될 수 있다.Except for the first to third sealed portions T1 (T2) and T3, the plate has a flat plate shape, and the extraction solvent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ejected from the nozzle of the distribution means 50, that is, the
이에 비하여 도 2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대안적 구현예의 캡(53)은 캡바디 천정이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데,In contrast, the
부드럽게 구배형태로 돌출된 이 캡바디 천정으로 인하여 고온·고압의 추출용매가 유통수단(50)의 노즐, 즉 천공핀(53a)에서 분출되어 카트리지(C) 내부를 채울 경우 보다 더(도 2의 기본 형태 및 도 3의 구현예 보다 더) 빠르게 카트리지(CR)의 커버시트(C1)가 천정(Tc)에 밀착될 수 있다.Due to the smoothly projecting cap body ceiling,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extraction solvent is ejected from the nozzle of the distribution means 50, that is, the
또 도 2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대안적 구현예에서는 천공핀(53a)에 의한 파괴로 형성된 커버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상부로 추출용매 또는 추출 수행 후의 잔액이 누출되더라도 In addition, in the alternative embodiment shown in the upper one-dot chain line of FIG. 2, even if the extraction solvent or the remaining liquid after the extraction is leaked upward through the hole of the cover sheet formed by the destruction by the punching
구배 돌출된 천정으로 인하여 커버시트는 중앙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변형되므로Due to the protruded ceiling, the cover sheet is deformed into a tilted shape toward the center
캡 분리 전 또는 추출 완료에 후 캡(53)의 분리시 추출용매 또는 추출 여액은 자중에 의하여 카트리지(CR) 커버시트(C1)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뚫린 중앙 구멍으로 다시 들어 가게 된다.
Upon separation of the
이에 비하여 도 3에 도시된 캡(53)은 캡바디(T) 천정(Tc)이 대안적으로 아치(arch)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온·고압의 추출용매가 유통수단(50)의 노즐, 즉 천공핀(53a)에서 분출되어 카트리지(C) 내부를 채움에 따라On the other hand, the
바디(C) 하면이 팽창 하강하여 천공디스크(55) 천공돌기(55a)에 의하여 파괴되는 상황 도달 전에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C is inflated and descended to be destroyed by the
상부 메쉬디스크(53B)와 커버시트(C1) 사이의 공간(S)(도 3 참조)을 추출용매가 채움에 따라 먼저 커버시트가 상승하여 공간(S)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여 추출용매가 충분히 체류하면서 분산하여 넓게 퍼져 추출대상체(즉, 커피(P) 전체로 고르게 순간적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As the extraction solvent fills the space S (see Fig. 3) between the
또 커버시트(C1)의 상승, 팽창 변형에 의하여 제2 및 제3 밀폐부(T2,T3)에 커버시트가 밀착되어 각 밀폐부의 기능 달성을 확고하게 하고, 동시에 커버시트(C1)와 캡바디 천정(Tc) 사이의 공간은 제거하여 천공핀(53a)에 의한 파괴로 형성된 커버시트의 구멍을 통하여 상부로 추출용매 또는 추출 수행 후의 잔액이 누출될 수 있는 상황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제3밀폐부의 기능을 보조하게 된다.The cover sheet C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and third sealing portions T2 and T3 by the upward and downward expansion of the cover sheet C1 to firmly achieve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sealing portions, The space between the ceilings Tc is removed so that the residual liquid after the extraction solvent or extraction is leaked to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hole of the cover sheet formed by the breakage by the puncturing
도 3 및 도 4에서는 커버시트(C1)가 실제로는 캡바디(T)의 천정(Tc)에 완벽하게 밀착될 것이나 편의상 커버시트의 변형 상태 확인을 위하여 울퉁불퉁한 형태로 도시하였고,In FIGS. 3 and 4, the cover sheet C1 is actually perfectly in contact with the ceiling Tc of the cap body T, but is illustrated in an uneven form for check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cover sheet for convenience.
또 카트리치 바디(C) 하면이 팽창, 하강하여 천공디스크 천공돌기(55a)에 의하여 파괴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며,In addition, the cartilage body C is shown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expanded and lowered and broken by the perforation
나아가 편의상 추출대상체는 생략하였다.
Furthermore, the extraction object is omitted for convenience.
도 4에 도시된 변형예는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에 비하여 제2 및 제3 밀폐부(T2)(T3), 나아가 제1밀폐부(T1)와 인접하여, 특히 각 밀폐부(T1)(T2)(T3) 내측에 별도의 요홈 형상의 보조밀폐부(T1a)(T2b)(T3b)가 구비되어 있다.The variant shown in FIG. 4 is adjacent to the second and third closure parts T2 and T3 and further to the first sealing part T1, in particular, each sealing part T1 as compar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nside the (T2) and (T3), auxiliary recesses T1a, T2b, and T3b of separate recessed shapes are provided.
상기 보조밀폐부(T1a)(T2b)(T3b)의 요홈은 단절 없이 연속적이고 균일한 깊이를 갖는 것이 밀폐성 향상과 제조 용이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The grooves of the auxiliary sealing portions T1a, T2b, and T3b are preferably continuous and have a uniform depth without interruption in consideration of improvement in airtightness and ease of manufacture.
또 필요에 따라 보조밀폐부는 주된 밀폐부 외측에 구비되거나, 번갈아 가며 밀폐부 내외에 형성되건, 주된 밀폐부와 이격 형성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나,If necessary, the auxiliary sealing portion may be provided outside the main sealing portion, alternatively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sealing portion, or may be de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sealing portion,
제1밀폐부의 필수적인 기능, 즉 커버시트 테두리(C1a) 가압 기능을 고려하면 보조밀폐부는 주된 제2 및 제3 밀폐부 내측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view of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that is, the pressing function of the cover sheet edge (C1a),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sealing portion is formed only inside the main second and third sealing portions.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커버시트(C1)의 팽창시 그 변형 정도는 밀폐부(T1)(T2)(T3) 및 보조밀폐부(T1a)(T2b)(T3b)를 보다 완벽하게 밀착되는 형태로 변형되며, 역시 도 4에서 약간 벌어진 틈새가 있는 것처럼 도시한 것은 각 메인 및 보조 밀폐부(T1)(T2)(T3)(T1a)(T2b)(T3b)의 형상을 확인하기 용이하게 한 것일 뿐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degree of deformation during expansion of the cover sheet C1 is more fu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arts T1, T2, T3, and the auxiliary sealing parts T1a, T2b, and T3b. It is deformed in the form, and also shown as there is a slightly open gap in Figure 4 is easy to check the shape of each of the main and secondary sealing portion (T1) (T2) (T3) (T1a) (T2b) (T3b). It is only one.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유니버설 캡(53)을 이용한 범용성 및 밀폐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Therefore, the universal use and sealing performance using the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설 캡을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는 크게 음료수용부(10A)를 구비한 하우징(10), 카트리지(CR)(도 1 참조)를 위한 리셉터클(30), 이 복수의 리셉터클들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21)를 갖는 회전체(30), 그리고 회전체를 위한 회전수단(R)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6 to 10, the universal beverage maker (M) for extracting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use the universal cap is largely equipped with a
상기 하우징(10)은 도 6의 전면 위주 관찰 사시도와 같이 음료수용부(10)가 마치 동물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커피 등의 잔액이 떨어져 수용되는 잔액트레이(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분리가능한 그릴(19a)이 잔액트레이(19)의 저장 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The
상부에는 회전체(20)를 위한 장착부(11)가 구비되어 있고, 도 9에서와 같이, 내장된 회전체(20)는 커버(11A)에 의하여 덮여 있다.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mounting
또 약간 저면에서 관찰한 사시도인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음료수용부(10A) 상부 위치에 해당하는 장착부(11)의 하면에는 추출 음료 배출 노즐(13)이 구비되어 있다.As can be seen in FIG. 7,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bserved from the bottom, the extraction
후면에서 관찰한 사시도인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수 공급을 위하여, 또 휴대성을 위하여 물탱크(15)가 후면에 장착된다. As can be seen in FIG. 8,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side, the
물탱크의 본질은 '추출용매 공급수단'이며, 음료의 본질상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생수 등 자연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100% 물이거나, 음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혼합한 물일 수 있으며, 이를 대표하여 '추출용매'라 할 수 있고, The essence of the water tank is the 'extraction solvent supply means', which can be 100% water that can be obtained in a natural state, such as water or liv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in the essence of a drink, or water mixed with various drinking- Typically, it can be referred to as an 'extraction solvent'
따라서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물탱크 뿐 아니라 수도꼭지, 정수기, 냉온수기 등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모든 물 함유 용매 공급수단일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any water-containing solvent supplying means connected to a faucet, a water purifier, a cold / hot water heater, etc. in addition to a water tank mounted on the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측면에는 조작부(17)가 구비되며, 이는 on/off 버튼(17a), 스팀다이얼(17b)(스팀 또는 희석을 위한 열수 배출 노즐은 편의상 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메뉴선택버튼(17c)(음료 추출량 조절, 스팀 또는 열수 배출 선택 등)로 구성되는데, 스팀다이얼은 희석, 설거지 등을 위한 열수 배출이나 스팀 배출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의 커피 머신과 대동소이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right side is provided with an
또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잔액트레이(19)가 구비된 베이스와 장착부(11)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통상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보일러 및 펌프, 이의 제어 및 안전성 보장을 위한 각종 센서 및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In addition, a column of the housing 10 (a portion connecting the base with the residual
도시된 형태는 음료 메이커 중 커피 추출형 커피 메이커이나,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한 용기형 캡슐(capsule)(또는 용기(pod))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에 포장 제공될 수 있는 추출대상체는 커피뿐 아니라 홍차, 녹차 등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음료 제공을 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까지 보호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illustrated form is a coffee extractable coffee maker among beverage maker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ack type cartridge form packaged in a porous envelope such as various container capsules (or pods) or nonwoven fabrics. In addition, extractables that can be packaged and provided in this cartridge may be not only coffee but also black tea, green tea, and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protection scope even for a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for providing various beverages.
또 상기 하우징의 '음료수용부'는 컵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 개구된 형태를 갖는데, 이는 단지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을 대표하여 도시한 것으로, 단순히(또는 악위적으로) 통상의 컵 외에 병이나 다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의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 the 'beverage receiving portion' of the housing has a form that is open at the front so that the cup can be received, which is only representative of a portion where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In addition to (or maliciously)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 bottle or other container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본 발명에서 '음료수용부'는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13)(도시된 구조 외에 비노출형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로부터 호스나 튜브를 통하여 다른 장소로 추출된 음료를 이송하여 컵, 병, 보온용기 등 다양한 용기에 담는 방식을 취하는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음료수용부'는 단순히 임의의 '추출된 음료 리셉터클'을 대표하여 지칭한 것이고, 또 그 중 일례인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nk receiving portion' transfers the extracted beverage to another place through a hose or tube from the discharge nozzle 13 (which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non-exposed type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It should also be construed to take the manner of putting in a variety of containers, such as cups, bottles, thermal insulation containers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term " beverage receptacle " is merely representative of any " extracted beverage receptacle "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회전체(20)는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M)인데, 도 11에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유니버설 음료 메이크(M1)가 도시되어 있다.6 to 10 is a universal beverage maker 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otating shaft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IG. 11 illustrates a universal beverage make M1 in which a rotating shaft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have.
일반적으로 커피 카트리지, 특히 작은 용기에 로스팅된 커피 분말을 내장하고 상부에 커버시트(C1)(도 10 참조)를 융착한 형태의 카트리지(또는 캡슐)에 대하여 커버시트가 상부(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시트와 용기 본체 저면을 천공하고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나,Generally, the cover sheet is positioned at the top (or bottom) with respect to the cartridge (or capsule) in the form of a coffee cartridge, especially a roasted coffee powder in a small container, and a cover sheet C1 (see FIG. 10) fused at the top. In such a state, the cover sheet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re drilled, 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is sprayed to extract coffee,
카트리지(또는 캡슐)의 커버시트와 용기 본체 저면이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천공을 거처 커피를 추출하는 형태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커피 메이커에 채용된 방식이며,In the form of extracting coffee through perforation while the cover sheet of the cartridge (or capsule)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re located at the side, it is also adopted in commercial coffee makers.
후자의 것은 커버시트와 용기 본체 저면을 천공하여도 추출 후 카트리지(또는 캡슐)에 남아 있는 액체가 그대로 용기에 머물러 있게 되어 제거시 잔액이 떨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깔끔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latter has the advantage that the liquid remaining in the cartridge (or capsule) remains in the container after extraction even if the cover sheet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s extracted, so that the remaining liquid does not fall upon removal and is relatively clean.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상대적으로 구체화하여 도시한 회전체 및 리셉터클 등의 개념은 도 11과 같이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턴터이블을 채용한 음료 메이커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각각 회전체(20m), 회전체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의 장착부(11m), 카트리지 리셉터클(21m)들, 그리고 카트리지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진퇴수단(23m)을 갖는다.Therefore, the concept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eceptacle show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can be easily applied to a beverage maker employing a turntable with horizontal rotation axes arranged as shown in FIG. It has a total 20m, a mounting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당연히 회전체 회전축이 중력방향과 일치하거나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된 음료메이커에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aturally be interpreted as affecting the drink maker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shaft rotational axis coincides with or shifts the gravity direction.
도 6 내지 도 10에서, 하우징(10)의 장착부(11)에 축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회전체(20)는 회전수단(R)에 의하여 선회되는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회전수단(R)은 회전체의 중앙축부(20x) 역할을 드럼에 볼트로 3점 결합되는 다이얼이며, 이 다이얼 타입 회전수단은 커버(11A) 상부 중앙에 노출된다.6 to 10, the rotating
원활한 회전 보장을 위하여 다이얼 타입 회전수단(R)의 하면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된다.In order to ensure smooth rota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al type rotating means R is held by the coil spring.
필요에 따라 회전체의 회전은 기어비를 변화시켜 최적의 형태로 구성하여 회전에 소요되는 힘을 최소화시켜 좀 더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회전체 지지 지점에 베어링 등의 구름수단을 도입할 수도 있으며, 디스크 타입 회전체의 외곽에서 힘을 가하여 선회시킬 수도 있고, 자동화하여 전동모터의 힘에 의하여 선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f necessar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can be configured to change the gear ratio in an optimal form to minimize the force required for the rotation to rotate more smoothly, and to introduce rolling means such as bearings at the supporting point of the rotating body. In addition, it may be rotated by applying a force on the outer side of the disk-type rotating body, or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electric motor to be automated.
본 발명의 회전체(20)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축부(20x) 외곽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도면에서는 5개)의 카트리지(CR) 리셉터클(30)의 결합부(21)를 갖는다. As shown in Figs. 1 and 10, the rotating
도시된 형상은 일종의 턴테이블 구조이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형태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전거 바퀴와 같이, 중앙 회전축과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셉터클(일종의 홀더(holder))을 도입하고, 회전축과 각 홀더는 스포크(spokes)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The illustrated shape is a kind of turntable structure, but shapes having the same func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like a bicycle wheel, a plurality of receptacles (a kind of holders) arranged radially with a central rotating shaft may be introduced, and the rotating shaft and each holder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by spokes.
또 상기 회전체(20)에는 상기 카트리지(CR) 리셉터클(30)을 회전체 외부로 노출시키고 다시 수납하기 위한 진퇴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상기 진퇴수단은 특히 서랍식으로 열리고 닫혀 원하는 카트리지 종류에 맞게 선택된 리셉터클(30)을 넣고 빼내기 위한 슬라이딩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21)는 트임부(21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vancing and retrac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slidin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재(23)로 구성된 진퇴수단은 전면에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가락 투입홈(도 7 및 도 10의 하단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참조)을 갖는다. As shown in FIG. 6, the retraction means composed of the sliding
나아가 상기 회전수단(R)에 의한 회전체(20) 회전시 카트리지(CR) 리셉터클(30)이 하우징(10)의 노즐(13)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도록 하는 정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a stop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상기 회전체(20)의 각 결합부(21)에는 상기 하우징의 추출 음료 배출 노즐(13)에 상응하는 노즐연통공(20n)이 구비되어 있다.Each engaging
상기 정지수단은 특히 상기 슬라이딩부재(23)를 구성하는 파지부(23A)와 장착패널(23B) 중 장착패널 상부에 구비된 정지스프링(25)으로 구성되며, 판스프링 타입의 정지스프링 돌출부(25a)와, 이 돌출부가 탄지 결합하는 수용부재(30) 정면의 멈춤부(31a)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정지수단을 구성하는 정지스프링 돌출부(25a)와 멈춤부(31a)는 다양한 기계식 또는 전자식 스토퍼로 변형 채용될 수 있다.The stopping means is constituted in particular by a
서랍식으로 안정적으로 출몰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20) 결합부(21)의 트임부(21A) 양측에는 안내부, 특히 직선형 안내부(27)가 구비되어 있고, In order to stably draw out the drawer type, the guide parts, in particular, the
상기 리셉터클(30) 역시 이에 상응하는 피안내부(33)를 양면에 갖는다.The
상기 리셉터클(30)에 수용되는 카트리지(CR)는 기본적으로 크기와 형상이 다른 이종 카트리지를 대상으로 하여 모두 다른 끼움부(31A)를 가질수 있고,The cartridge CR accommodated in the
또 필요에 따라 복수의 동종 카트리지를 내장하고 연속적으로 회전체(20)를 돌려 가며 음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각 리셉터클(30) 본체(31)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크기 및 모양)한 끼움부(31A)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homogeneous cartridges may be incorporated and the
서로 크기와 형상이 같거나 다른 카트리지 각각이 알맞게 결합되도록 리셉터클(30)은 본체(31)에 구비된 카트리지(CR) 끼움부(31A)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artridge
제조 용이성과 호환성 보장을 위하여 상기 회전체(20)의 결합부(21)는 공통된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맞게 상기 각 리셉터클은 끼움부(31A) 외의 다른 부분, 특히 전후, 양측면, 하면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품 구매 후 사용자가 하우징(10)의 커버(11A)를 열고, 리셉터클(30)(홀더(holder) 또는 트레이(tray))을 교체하거나, 진퇴수단을 이용하여 리셉터클(30)을 완전히 인출 분리하고 교체할 수도 있다.In order to ensure ease of manufacture and compatibility, the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피안내부(33) 하부 양측에 걸림부(31b)를 갖고, 상기 회전체 결합부(21)에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는 스토퍼(21a)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토퍼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볼(또는 탄환)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CR)를 분리하기 위하여 리셉터클을 회전체(20)에서 노출시킬 경우 상기 리셉터클(30)이 회전체(2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체류부재가 걸림턱, 걸림 판스프링 등 가구, 장난감 등에서 공지된 서랍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체류부재는 필요에 따라 리셉터클이 회전체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갖거나, 별도의 체류부재 해제수단을 채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ptacle main body has locking
상기 슬라이딩부재(23)를 이루는 파지부(23A)와 장착패널(23B)은 상호 각자의 결합공(23h)(23h')에 끼워진 볼트(미도시됨)에 의하여 결합되고, The
도 10 및 도 10의 하단 좌측 일점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패널(23B)은 상면에 레일부(23a)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30)은 하면에 안내홈(31B)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되고,10 and 10, the mounting
상기 파지부(23A)는 상부 일측에 하향 형성된 엇물림부(23p)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의 본체(31)는 이에 맞게 상향 형성된 대응 엇물림돌기(31p)를 갖는다.The
이들 상하 구속요소들(23p,31p)(23a,31B)은 These upper and
안정된 회전체의 회전과, 상기 정지수단인 정지스프링(24)의 돌출부(25a)와 리셉터클 본체의 멈춤부(31a)의 결합으로 By the rotation of the stable rotating body and the engaging
카트리지 리셉터클(30)(즉 회전체의 노즐연통공(20n))이 하우징의 노즐(13) 위치에 정확하게 머물게 된 상태에서 With the cartridge receptacle 30 (i.e.
카트리지(CR) 투입을 위하여 슬라이딩부재(23)를 당기면 정확하게 세팅된 리셉터클(3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When the sliding
상기 판스프링 타입의 정지스프링(25)은 양단이 장착패널(23B)의 노출홈(23b)에 돌출부(25a)가 위치하는 상태에서 노출홈 양측의 레일부(23a)와 두 고정돌기(23c)에 의하여 구속 고정된다.The
진퇴수단(23)과 리셉터클(30)의 구속요소들, 즉 엇물림부(23p) 및 엇물림돌기(31p)와 레일부(23a) 및 안내홈(31B)은 다양한 엇물림 형태 또는 암수 결합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The restricting elements of the advancing / retracting means 23 and the
이를 대표하여 파지수단 및 리셉터클 사이에 구비된 상부 및 하부 '레일' 구조체라고 지칭할 수 있고,This may be referred to as the upper and lower 'rail'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holding means and the receptacle,
기본적으로 원운동을 하는 회전체(20) 및 리셉터클(30)들의 궤적에 맞게 원호(圓弧) 형상을 갖는다.
It basically has an arc shape in accordance with the trajectory of the
나아가 진퇴수단인 슬라이딩부재(23)는 상시적으로 회전체(20)에 구속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데,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ing
도시된 형태는 중심축부(20x)를 축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0)에 대하여 각 리셉터클(30)의 멈춤부(31a) 상부의 엇물림돌기(31p)와 안내홈(31B)이 형성된 원호(圓弧) 형상의 플렌지가 움직이는 궤적은 원을 이루게 되는데,The illustrated shape is a circular arc formed with an interlocking
이에 대응하여, 즉 리셉터클 본체(31)의 엇물림돌기(31p)에 대응되는 파지부(23A)의 엇물림부(23p)와 리셉터클 본체(31)의 안내홈(31B)에 대응되는 장착패널(23B)의 레일부(23a)를 갖는 진퇴수단(23)이 구비된다.Correspondingly, that is, the mounting
이러한 구조에서 엇물림부(23p)와 레일부(23a)를 '제1구속요소'라고 지칭하고, In this structure, the jamming
엇물림돌기(31p)와 안내홈(31B)을 '제2구속요소'라고 지칭할 경우,When the jamming
제1구속요소의 구간 길이는 제2구속요소와 제2구속요소 사이의 이격거리, 즉 리셉터클과 리셉터클(30) 사이의 간격 보다 길어야 한다The section length of the first constraining element must be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straining element and the second constraining element, that is, the spacing between the receptacle and the
(도 10에서는 두 부재(30) 사이에 구비된 삼각형 부재를 확인할 수 있고, (In FIG. 10, the triangula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two
회전체에 대한 간섭방지를 위하여 이 삼각형 부재 외곽에서 중심축부(20x)은 중앙까지의 거리(즉 반지름)는 결합된 상태에서 리셉터클(30)의 제2구속요소 외곽에서 중심축부 중앙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야 한다).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rotating body,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이를 통하여 각 리셉터클(30)은 항상 진퇴수단(23)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진퇴수단(23)이 임의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Through this, each
필요에 따라 대안적으로 이러한 진퇴수단의 임의 분리 방지 구조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퇴수단, 즉 슬라이딩부재(23)가 상기 회전체(20)의 하부 플렌지(20f)에 파지부(23A)의 하면부가 구속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Alternatively, if necessary, an arbitrary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he retraction means is not shown, but the retraction means, that is, the sliding
이 플렌지(20f)는 트임부(21A) 부위에서는 없으며, This
리셉터클(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관찰했을 때 플렌지(20f)와 상기 제2구속요소는 간극이 없어(단, 리셉터클의 진퇴를 위한 미세 유격은 보장되어야 한다)When viewed from the plane with the
진퇴수단(23)의 제1구속요소는 회전체(20) 선회시 리셉터클(30)의 제2구속요소와 상하 레일 구조체(23p,31p)(23a,31B)를 이루며 만나다가, 리셉터클(30) 구간이 끝나면The first constraining element of the advancing
리셉터클과 리셉터클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Even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ceptacle and the receptacle
곧바로 (유의미한)중단 없이 회전체(20) 하부의 플렌지(20f)에 다시 구속될 수 있게 된다.It can be immediately restrained to the
또 다른 진퇴수단의 임의 분리 방지 구조는 진퇴수단인 슬라이딩부재(23)는 자기가 결합되는 하우징(10)의 장착부(11) 커버(11A)에 형성된 진퇴 투입부(미지칭됨)의 외벽에 의하여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Another detachment prevention structure of the retraction means is that the sliding
다음으로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CR)로 투입되고 음료를 추출 후 배출되도록 카트리지에 두 구멍을 형성하는 유통수단(50)과, 추출시 고온·고압의 물이 카트리지가 위치한 리셉터클 밖으로, 즉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하고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락킹부재(40)를 살펴본다.Next, the distribution means 50 forms two holes in the cartridge so that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cartridge CR and the beverage is extracted and discharged, and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is extracted out of the receptacle in which the cartridge is located. Look at the locking
상기 유통수단(50)은 회전체의 수직 중앙축부(20x)에 맞게 상부 및 하부 파괴수단(50A)(50B)로 구성된다. 또 각 리셉터클(30) 마다 상부 또는 하부 파괴수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나, 제조 용이성과 단가 경쟁력 등을 고려하여 모든 리셉터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하나의 상부 및 하부 파괴수단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ribution means 50 i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breaking means 50A and 50B to fit the vertical
도 10에서는 편의상 하부 파괴수단(50B)이 회전체 상부에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분해의 순서를 고려하면 하부 파괴수단(50B)은 회전체 하부에 배열되어야 한다(이러한 변칙은 도 9에서도 커버(11A)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한 회준수단(R)을 편의상 회전체와 인접한 위치에 배열, 도시하고 있다).In FIG. 10, the lower breaking means 50B is illustrated as being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or for convenience, but considering the order of disassembly, the lower breaking means 50B should be arranged on the lower part of the rotating body. (A) is arranged and shown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otor for convenience.
'음료 추출'을 위하여 본질이 되는 것은 추출용매 유통수단뿐 아니라, 추출용 용매, 즉 물이 카트리지의 추출원료(커피 분말(P)(도 10 참조))를 거치지 않고 무단 방류되어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What is essential for 'drinking beverage' is not only extraction solvent distribution means, but also extraction solvent, that is, water is discharged without endless discharge without going through the extraction material of the cartridge (coffee powder (P) (see Fig. 10)).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them from doing so.
따라서 추출용 용매가 리셉터클(30) 본체(31)의 끼움부(31A)에 투입된 카트리지를 거쳐 추출을 행한 후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락킹부재 및 밀폐수단을 구비하여야하며, 밀폐수단은 커피 분말(P) 등의 추출대상체가 내장된 캡슐(또는 용기(pod))이나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과 같은 다양한 카트리지를 무단 통과하지 임의의 수단을 의미한다.Therefore, the extraction solvent must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and a sealing means for discharging after the extraction is carried out through the cartridge inserted into the
하부가 개구된 리셉터클(30)로 침투하여 카트리지(CR) 하부를 천공하는 천공돌기(55a)는 천공디스크(55)에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크 중앙을 절개하여 천공돌기 부분을 상향 절곡한 형태로 제조되어 있고, 추출된 음료의 배출을 위하여 천공돌기 주변에는 추출 음료 통과부(55b)가 형성되어 있다.The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캡슐(또는 용기(pod))형 카트리지(CR)에는 용기형 바디(C)에 먼저 하부 메쉬디스크(57)가 내장되고, 이어 추출대상체, 즉 커피분말(P)이 내장되며, 그 위에 상부 메쉬디스크(53B)가 덮이며, 이어 바디(C)의 개구부(Ca)는 가능한 진공포장 상태에서 커버필름(C1)이 덮여 바디(C) 상부 플렌지(Cb)에 부착된다. 이러한 형태는 카트리지의 일례를 예시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and 10, the capsule (or pod) cartridge CR shown in Figure 1 is first embedded with the
이러한 캡슐(또는 용기(pod)) 타입 카트리지를 위한 유통수단의 본질적 기능은 상부 및 하부 파괴수단(50A)(50B), 즉 천공핀(53a)과 천공돌기(55a)가 수행하게 된다.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distribution means for such a capsule (or pod) type cartridge is that the upper and lower breaking means 50A, 50B, i.e. the
먼저 상부 파괴수단(50A)은 기본적으로 천공핀(53a)으로 구성되며 락킹부재(40)와 연계된다.
First, the upper breaking means (50A) is basically composed of a punching pin (53a) and is associated with the locking member (40).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레버(L), 링크(41,43,45), 장착드럼(47), 승강드럼(51)의 상호 연결을 위한 축핀은 편의상 생략함.), As shown in FIG. 10 (the shaft pins for interconnecting the lever L, the
상기 락킹부재(40)는 장착드럼(47)의 축설부(47a)에 장착되는 고정축(La)을 경계로 작동부와 피작동부를 갖고, 상기 피작동부에 스윙축(Lb)을 구비한 레버(L),The locking
상기 레버의 스윙축(Lb)에 연결되는 제1축과 제2축을 갖는 제1링크(41), A
상기 제1링크(41)의 제2축에 연결되는 제2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축설부(47)에 구비된 축가이드(47b)에 결합하는 제1축을 갖는 제2링크(43),A
상기 제2링크(43)의 제2축과 연결되는 제1축을 갖고, 상기 캡(53)에 연결된 제2축을 갖는 제3링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캡(53)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레버(L)는 작동부와 피작동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작동부에 구비된 스윙축(Lb)은 제1링크(41)의 제1축(41a)과 결합되고, 제1링크(41)의 제2축(41b)은 제2링크(43)의 제2축(43b)에 제3링크(45)의 제1축(45a)과 함께 결합되며,In more detail, the lever (L)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and the actuated portion as one, the swing shaft (Lb) provided in the actuated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41a) of the first link (41) The
제2링크(43)의 제1축은(43a)은 장착드럼(47)에 형성되는 축가이드(47b)에 결합되고,The
제3링크(45)의 제2축(45b)은 승강드럼(51)의 장착부(51a)에 결합된다.The
이때 상기 축가이드는 상기 제2링크(43)의 제1축(43a)이 변위 동작 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0에서는 상기 축가이드(47b)가 원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 원은 상기 제2링크의 제1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윙축(Lb)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제2링크(43)의 제1축(43a)이 축가이드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2링크(43)의 제1축(43a)의 말단에는 별도의 걸림핀 등을 형성하여 상기 원 형태의 축가이드(47b)에 상기 제2링크(43)의 제1축(43a)이 구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shaft guide is for preventing the
따라서 장착드럼 상측에 고정된 고정축(La)은 레버(L)를 움직임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Therefore, the fixed shaft La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drum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as the lever L moves.
후단 스윙축(Lb)이 움직여 제1, 제2 및 제3 링크(41,43,45)를 연속으로 움직이게 되고, The rear swing shaft Lb is moved to continuously move the first, second, and
최종적으로 제3링크(45)의 제2축(45b)의 승하강에 의하여 승강드럼(51)이 위아래로 움직이게 된다. Finally, the lifting
이때, 상기 캡과 가압디스크의 조립체는 승강드럼(5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승강드럼은 상기 락킹부재(40)의 제3링크(45)의 제2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장착드럼(47)에는 상기 승강드럼(51)이 결합되는 변위로(47c)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드럼(51)의 외측에는 상기 변위로(47c)에 의해 안내되는 변위턱(51c)이 더 구비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assembly of the cap and the pressure disk is connected to the lift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메이커는 상기 락킹부재(40)의 제2링크의 제1축이 상기 장착드럼에 구비된 축가이드(47b)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드럼에 형성된 변위로를 따라 상기 승강드럼의 변위턱이 상하 이동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드럼 및 각링크가 승하강 작동 시 상기 장착드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Therefore, the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first shaft of the second link of the locking
또 레버(L)를 아래로 내리면 레버(L)와 링크(41,43,45) 특유의 힘 작용지점 다원화로 캠록의 원리와 같이 리셉터클(30) 내에서의 추출용 열수의 압력에 의하여 레버(L) 및 그 연계부재의 해제나 요동이 방지된다.When the lever L is lowered, the lever L and the
도 10 및 도 10의 좌측 첫 번째 및 두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As can be seen in the left first and second single-dot dashed circles of FIGS. 10 and 10,
상기 승강드럼(51)은 물탱크, 보일러 및 펌프와 연결된 관체(미도시 됨)가 통과하는 절곡형 노즐을(51A)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노즐과 천공핀이 연결되어 열수 공급이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도 10의 우측 첫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드럼(51)의 반복된 움직임에도 관체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드럼(47)의 후면 일측에는 관체가 통과하는 장공(47A)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드럼의 승하강에 따른 관체의 변위 공간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그리고 상기 승강드럼의 하면에는 가압디스크(53A)가 나사돌기(53p)를 통하여 대응되는 승강드럼(51)의 나사공(51b) 각각에 끼워지고, 이어 볼트가 세 나사돌기에 끼워져 확고한 고정을 보장한다.A
또 상기 가압디스크(53A)는 승강드럼에 결합되기 전에 중앙 장착공(53h)에 천공핀(53a)이 그 걸림턱(53a')에 의하여 구속 결합되며, 수밀성은 걸림턱 상부에 결합된 오링(53b)을 통하여 보장하게 된다.In addition, before the
다음으로 레버(L)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드럼(51)이 연동 하강하는 경우, 가압디스크(53A)에 의하여 눌려 카트리지(C)의 용기본체 개구부 둘레 플렌지와 밀착하여 천공핀(53a)을 통하여 배출되는 열수가 카트리지 내부로만 통과하고 카트리지를 거치지 않고 카트리지 용기 본체 외면과 리셉터클(30) 끼움부(31A) 사이의 틈새를 거쳐 무단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수단의 본질을 구성하는 캡(53)은 중앙에 천공핀(53a)이 관통하는 중공(h)이 형성되어 있다.Next, when the lifting
그리고 상기 유니버설 캡은 상기 캡바디와 상기 가압디스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부재(53C)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niversal cap further includes a coupling member (53C) that prevents the cap body and the pressure disk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결합부재(53C)는 상기 캡바디와 상기 가압디스크의 결합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디스크가 상기 캡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The engaging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수직방향으로 결합된 손잡이 형태의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in the form of a knob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안내부는 도 10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커버(11A) 내측에 형성된 안내로를 따라 상기 락킹부재에 의한 승강드럼을 비롯한 유니버설 캡의 조립체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고,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the guide part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assembly of the universal cap including the lifting drum by the locking member along the guide path formed inside the
나아가 음료 메이커의 청소 시에는 커버 분리 후 상기 승강드럼(51), 가압디스크(53A) 및 캡(53) 등의 조립체 분리를 위한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갖는다.Further, when the beverage maker is cleaned, it has a function as a handle for separating the assembly of the elevating
또한 상기 승강드럼(51)은 상측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턱(51d)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턱과 결합하는 탄성스프링(51e)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ing
상기 받침턱(51)과 결합한 탄성스프링(51e)은 상기 레버의 가압에 의한 유니버설 캡을 비롯한 조립체의 하강 운동 이후(즉, 음료 추출이 완료된 후) 상기 조립체의 승강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락킹부재, 밀폐수단, 락킹부재의 연계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locking member, the sealing means, the locking member described above as follows.
상기 레버(L)의 하강에 의하여 승강드럼(51)이 연동 하강하고, 가압디스크(53A)가 변형 가능한 캡(53)을 누르면, 캡이 수축, 특히 가압디스크(53A)와 주되게 접촉하고 있던 상향 돌출 구조의 테두리(이로 인하여 가압디스크와 캡 사이의 이격 공간부가 발생한다)가 수축, 변형, 하강하면서 카트리지(CR) 바디(C)의 개구부 주변 테두리를 가압하여 바디 상면을 밀폐 차단하고,When the lifting
승강드럼(51) 하부 플렌지는 리셉터클 본체(31) 끼움부(31A) 둘레의 환턱에 결합하여 2차 밀폐 및 고압의 열수 누출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보장한다.The lower flange of the elevating
또 캡(53)이 수축하면서 가압디스크(53A)와 캡 사이의 이격 공간부가 없어지면서 가압디스크 하면에 돌출되어 있던 천공핀(53a)의 하단부(첨단부임)는 캡의 중공(h)을 관통하여 카트리지(CR)의 필름커버(C1)를 뚫게 된다.As the
이어 천공핀(53a) 하단부는 카트리지 바디 내의 메쉬디스크(53B) 중앙과 만나게 되고,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The lower end of the
도 10 및 도 10의 우측 세 번째 및 네 번째 일점 쇄선 원 내에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로 나란히 도시한 바와 같이, 캡(53) 하면에는 메쉬디스크(53B)가 배열되어 있어 특유의 동심원 구조의 분산홈(53g)들을 갖고, 이 분산홈에는 또 열수 통과공(53w)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쉬디스크(53B)의 하면 중앙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중앙돌기(53n)가 형성되어 있는데,As shown in a plan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side by side in the right third and fourth one-dot dashed circles of FIGS. 10 and 10,
이어서 고온·고압의 물이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면 천공핀(53a) 단부 구멍에서 뿜어져 나온 열수가 Subsequently, when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is supplied by the pump, the hot water poured from the end hole of the perforation pin (53a)
메쉬디스크(53B)의 분산홈(53g)들과 열수 통과공(53w)에 의하여 넓게 퍼져 추출대상체, 즉 커피분말(P)과 만나게 되고 추출을 시작한다.Is spread widely by the
메쉬디스크(53B) 하면에 형성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의 중앙돌기(53n)는 메쉬디스크의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상부에 중앙에 요홈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이 요홈부에는 천공핀 단부가 수용되고 고압의 열수는 이 요홈부 벽면에 부딪혀 넓게 퍼져 고른 추출을 보장하게 된다.The
한편, 천공핀(53a)을 거쳐 캡(53) 바디(T)의 중공(h)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열수는 밀폐 캡(53)과 가압디스크(53A) 접촉 밀폐 구조에 의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며, On the other hand,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llow h of the body T of the
또 가압디스크(53A) 상부 장착공(53h)에는 오링(53b)이 구비되어 있어 밀폐성이 보장된다.In addition, an O-
완벽한 밀폐상태에 의하여 카트리지 바디 내부를 채운 열수는 소정 정도 변형 가능한 카트리지 바디(C) 하면을 가압하여 하강시키게 되고, The hot water filling the inside of the cartridge body by the completely sealed state pressurize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tridge body C which can be deformed to a predetermined degree,
이에 의하여 바디(C) 하면이 천공디스크(55)의 천공돌기(55a)와 만나 뚫리게 된다.As a result,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C is exposed to the
카트리지(CR) 내부를 원활하게 통과하는 고온·고압의 물은 추출을 행하는데,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which smoothly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rtridge CR is extracted,
하부 메쉬디스크(57) 추출 액체만 배출되고 찌꺼기는 그 위에 체류하는 기능을 하며, 필요에 따라 하부 메쉬디스크에는 필요에 따라 필터를 더 안치할 수 있다.Only the extracted liquid of the
하부 메쉬디스크(57)는 또 상부에 상향돌기(57n)를 갖는데, 이 상향돌기는 특유의 상협하광(上狹下廣)형상으로 인하여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추출 기능을 수행한 열수가 음료로 바뀐 후 이 상향돌기를 타고 넓게 퍼지면서 메쉬디스크(57)의 구멍들을 통과하여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The
상기 천공디스크(55) 하부에는 거품디스크(59)가 배열되는데, 이는 열에 강하고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A
천공디스크(55) 중앙에 치우친 추출 음료 통과부(5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음료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안내로(59b)를 따라 거품디스크(59) 외곽으로 퍼진 후, 각 안내로 끝의 통공(59a)을 통과하면서 체류시간의 증대로 커피, 특히 에스프레스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를 증가시킨다.The extracted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
이상과 같이, 카트리지 상하면 천공 후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물은 원활하게 카트리지를 통과하며 하부로만 배출되므로 회전체(20) 결합부(21) 중앙위치의 노즐연통공(20n)과 하우징의 노즐(13)을 거쳐 음료수용부(10A)에 위치한 컵으로 추출액을 담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supplied after drill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rtridge smoothly passes through the cartridge and is discharged only to the lower portion, the
필요에 따라(또는 카트리지의 종류 및 구조에 따라), 상부 파괴수단 또는 하부 파괴수단, 또는 이들 모두가 생략될 수 있는데,Depending on the need (or depending on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cartridge), the upper destructive means or the lower destructive means or both may be omitted,
예를 들어 하부 파괴수단은 단순히 상부파괴수단에 의하여 카트리지 바디 내부를 채운 추출용매의 압력에 의하여 파괴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For example, the bottom breaking means may be provided so as to be broken by the pressure of the extraction solvent filled in the cartridge body simply by the upper breaking means,
예를 들어 카트리지 바디는 상부 개구부 뿐 아니라 하부 개구부를 갖고, 이 하부 개구부는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는 추출용매의 압력에 의하여 파괴될 수 있는 필름부재(합성수지 필름 또는 금속(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박판(foil))에 의하여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rtridge body has not only an upper opening but also a lower opening, which is a film member (synthetic resin film or metal (aluminum or its alloy)) foil which can be destroyed by the pressure of the extraction solvent supplied by the pump )). ≪ / RTI >
추출이 끝나면 레버(L)를 열고 진퇴수단인 슬라이딩부재(23)를 당겨 개방하고, 노출된 리셉터클(30)의 끼움부(31A)에서 추출 후 찌꺼기만 남은 카트리지(CR)를 제거하면 된다. After extraction, the lever L is opened and the sliding
또 그 대신에 회전수단(R)을 돌려 바로 다른 리셉터클(30)에 구비된 카트리지에 대한 추출을 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otation means R can be turned to immediately extract the cartridge provided in the
이후 필요에 따라서 리셉터클(30)은 회전체(20)의 결합부(21)에서 완전히 불리하여 세척을 실행할 수 있다.
Thereafter, if necessary, the
이와 같은 회전체, 리셉터클(30), 락킹부재(40), 유통수단(50)의 개념은 도 11과 같은 수평 선회축 구비형 회전체를 구비한 음료 메이커에도 알맞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The concept of the rotating body, the
이상의 설명에서 마이컴에 의한 음료 메이커의 제어방법, 보일러, 펌프, 사용모드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beverage maker by the microcomputer, the boiler, the pump, the mode of use, etc. are omitt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guess, deduce and reproduce them.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음료 메이커 및 회전체와 리셉터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maker and the rotating body and the receptacl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 음료메이커 CR: 카트리지
R: 회전수단
10: 하우징 10A: 음료수용부
11: 장착드럼 13: 노즐
15: 물탱크 17: 조작부
19: 잔액트레이 19a: 그릴
20: 회전체 21: 결합부
21A: 트임부 21a: 스토퍼
23: 진퇴수단 23A: 파지부
23B: 장착패널 25: 정지수단
30: 리셉터클 31: 본체
31A: 끼움부 31B: 안내홈
31a: 멈춤부 33: 피안내부
40: 락킹부재 41,43,45: 다축링크
L: 레버 47: 장착드럼
50A,50B: 파괴수단 51: 승강드럼
53: 캡 53a: 천공핀
55: 천공디스크 55a: 천공돌기
57: 메쉬디스크 59: 거품디스크M: Drink maker CR: Cartridge
R: rotating means
10:
11: mounting drum 13: nozzle
15: water tank 17: control panel
19:
20: rotating body 21: coupling portion
21A:
23: advancement / retraction means 23A:
23B: mounting panel 25: stop means
30: Receptacle 31: Body
31A:
31a: stop 33: inside the circle
40: locking
L: Lever 47: Mounting Drum
50A, 50B: breaking means 51: lift drum
53:
55:
57: mesh disk 59: foam disk
Claims (4)
상기 카트리지(CR)를 수용하는 끼움부(31A)를 갖는 본체(31)를 구비한 리셉터클(30);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1)의 끼움부(31A)를 덮고, 상기 카트리지(CR) 커버시트(C1)의 테두리(C1a)와 접촉하는 제1밀폐부(T1)와 커버시트(C1)의 테두리(C1a) 내측 상면과 접촉하는 제2밀폐부(T2)를 갖는 캡바디(T)와 가압디스크(53A)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유니버설 캡(53);
상기 유니버설 캡(53)이 승하강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드럼(51);
상기 승강드럼(51)이 결합되어 승하강을 안내하는 장착드럼(47); 및
상기 장착드럼(47)에 형성되는 축설부(47a)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드럼(51)을 가압하는 락킹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니버설 캡(53)은 상기 캡바디(T)와 상기 가압디스크(53A)의 결합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결합부재(53C)를 더 구비하고,
상기 락킹부재(40)는 장착드럼(47)의 축설부(47a)에 장착되는 고정축(La)을 경계로 작동부와 피작동부를 갖고, 상기 피작동부에 스윙축(Lb)을 구비한 레버(L)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L)는 작동부와 피작동부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피작동부에 구비된 스윙축(Lb)은 제1링크(41)의 제1축(41a)과 결합되고, 제1링크(41)의 제2축(41b)은 제2링크(43)의 제2축(43b)에 제3링크(45)의 제1축(45a)과 함께 결합되며,
제2링크(43)의 제1축은(43a)은 장착드럼(47)에 형성되는 축가이드(47b)에 결합되고,
제3링크(45)의 제2축(45b)은 승강드럼(51)의 장착부(51a)에 결합되고,
상기 장착드럼(47)에는 상기 승강드럼(51)이 결합되는 변위로(47c)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드럼(51)의 외측에는 상기 변위로(47c)에 의해 안내되는 변위턱(51c)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A cover sheet C1 having a body C having an opening Ca and a flange Cb and an edge C1a covering the opening Ca of the body C and attached to the flange Cb. And a cartridge (CR) in which an extraction object is embedded;
A receptacle 30 having a main body 31 having a fitting portion 31A for accommodating the cartridge CR;
The first sealing portion T1 and the cover sheet C1 covering the fitting portion 31A of the main body 31 of the receptacle 30 and contacting the edge C1a of the cartridge CR cover sheet C1. A universal cap 53 composed of an assembly of a cap body T and a pressurizing disk 53A having a second sealing portion T2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dge C1a;
An elevating drum 51 allowing the universal cap 53 to be lifted and lowered;
A mounting drum 47 to which the lifting drum 51 is coupled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And
And a locking member (40) mounted to the storage portion (47a) formed in the mounting drum (47) and pressing the lifting drum (51).
The universal cap 53 further includes a coupling member 53C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p body T and the pressure disk 53A,
The locking member 40 has an actuating part and an actuating part bordering a fixed shaft La mounted to the shaft part 47a of the mounting drum 47, and includes a swing shaft Lb in the actuating part. It further comprises a lever (L),
The lever (L)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portion and the actuated portion as one, the swing shaft (Lb) provided in the actuated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haft (41a) of the first link 41, the first link The second shaft 41b of the 41 is coupled to the second shaft 43b of the second link 43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45a of the third link 45,
The first shaft 43a of the second link 43 is coupled to the shaft guide 47b formed on the mounting drum 47,
The second shaft 45b of the third link 45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51a of the lifting drum 51.
The mounting drum 47 is provided with a displacement path 47c to which the lifting drum 51 is coupled, and a displacement jaw 51c guided by the displacement path 47c to the outside of the lifting drum 51. The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with a universal cap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상기 카트리지(CR)의 내부로 추출용매를 공급하는 노즐(13)을 포함하는 유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니버설 캡(53)은 상기 노즐(13)을 둘러싸고 상기 커버시트(C1) 상면과 접촉하는 제3밀폐부(T3)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tribution means including a nozzle 13 for supplying an extraction solvent into the cartridge (CR),
The universal cap 53 further includes a third sealing portion T3 surrounding the nozzle 13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sheet C1. .
상기 리셉터클(30)은 본체(31)의 끼움부(31A) 둘레에 밀착부(35A)를 갖고,
상기 유니버설 캡(53)은 상기 밀착부(35A)와 접촉하는 제4밀폐부(T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30)의 본체(31)는 카트리지(CR) 바디(C)의 플렌지(Cb)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35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ceptacle 30 has a close contact portion 35A around the fitting portion 31A of the main body 31,
The universal cap 53 further includes a fourth sealing portion T4 in contact with the close contact portion 35A,
The main body 31 of the receptacle 30 is a cartridge extraction beverage maker with a universal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upport (35B)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R) body (C).
상기 리셉터클(30)의 본체(31)와 상기 카트리지(CR) 바디(C) 사이에는 추출용매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키는 거품디스크(59)가 배열되고,
상기 거품디스크(59)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안내로(59b)와, 상기 안내로(59b)의 끝에 형성되는 통공(59a)과,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9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Between the main body 31 of the receptacle 30 and the cartridge (CR) body (C) is arranged a foam disk 59 for increasing the retention time of the extraction solvent,
The foam disc 59
It has a universal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dially arranged guide path (59b), a through hole (59a)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ath (59b), and the engaging projection (59c) formed in the lower center Beverage maker for cartridge ext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145445 | 2011-12-29 | ||
KR1020110145445 | 2011-12-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768A KR20130077768A (en) | 2013-07-09 |
KR101323361B1 true KR101323361B1 (en) | 2013-10-30 |
Family
ID=4899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55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361B1 (en) | 2011-12-29 | 2012-10-17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336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71749A1 (en) * | 2017-10-09 | 2019-04-18 | 吴建威 | High-pressure coffee brewing apparatus with foam-producing function and means for easy removal of coffee grounds |
KR20230111388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KR20230111391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669149C2 (en) * | 2014-01-03 | 2018-10-08 |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Егбертс Б.В. | Exchangeable supply pack for beverage dispensing machine, doser, pum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KR102449623B1 (en) * | 2015-10-02 | 2022-09-30 | 코웨이 주식회사 | Capsule coffee extraction device |
KR102748796B1 (en) * | 2022-06-03 | 2024-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6854A (en) * | 2004-11-22 | 2006-05-25 | 레네 쉬펄레 | Beverage machines for producing hot beverages by brewing and extracting th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artridges |
-
2012
- 2012-10-17 KR KR1020120115575A patent/KR10132336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6854A (en) * | 2004-11-22 | 2006-05-25 | 레네 쉬펄레 | Beverage machines for producing hot beverages by brewing and extracting th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artridges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71749A1 (en) * | 2017-10-09 | 2019-04-18 | 吴建威 | High-pressure coffee brewing apparatus with foam-producing function and means for easy removal of coffee grounds |
KR20230111388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KR20230111391A (en) * | 2022-01-18 | 2023-07-2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KR102633793B1 (en) * | 2022-01-18 | 2024-02-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plurality of types of capsule |
KR102633794B1 (en) * | 2022-01-18 | 2024-02-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7768A (en) | 2013-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1782B1 (en)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bubble increasing means | |
KR101323361B1 (en)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 |
KR101572956B1 (en) |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 |
RU2582005C2 (en) | Programming adapter for capsules with beverage, capsules with beverage, and set of capsules and programming adapters | |
EP2166903B1 (en) | Infusible material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 |
US9079706B2 (en) | Infusible material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 |
EP2928345B1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 |
US9980595B2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 |
JP6386529B2 (en) | Method, apparatus and capsule for extracting beverages | |
CN105848535B (en) | Beverage machine | |
WO2014092406A1 (en) | Universal beverage maker | |
EP2621316A1 (en) | A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n infusion product contained in an interchangeable capsule | |
WO2015101557A1 (en) | Beverage machine | |
KR101326682B1 (en) | Universal beverage maker | |
CN109561778A (en) | It is used to prepare system, device, method, capsule and the capsule kit of beverage | |
WO2010142417A2 (en) | Brewing head of a hot beverage dispenser based on dimensionally stable beverage capsules | |
KR101600563B1 (en)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ed with receptacle storage | |
EP3568362B1 (en) | Cartridge and machine for multi-component beverage preparation | |
KR101110489B1 (en) | Coffee Capsule Machine Coffee Capsule | |
CN103860020A (en) |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cartridge separator | |
KR20150066189A (en) | Receptacle universal beverage maker | |
KR101581930B1 (en) | Universal beverage maker | |
KR20150056210A (en) | Receptacle for beverage | |
KR20160059199A (en) | Receptacle for cart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