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3262B1 -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262B1
KR101323262B1 KR1020120079237A KR20120079237A KR101323262B1 KR 101323262 B1 KR101323262 B1 KR 101323262B1 KR 1020120079237 A KR1020120079237 A KR 1020120079237A KR 20120079237 A KR20120079237 A KR 20120079237A KR 101323262 B1 KR101323262 B1 KR 10132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
angle
rotation angle
geological
symbol ro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연영광
현혜자
한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2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26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2Tracing profiles of land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1속성 추출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2속성 추출 단계;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includes a location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 location of a geological structure in a geological map; Periphery and inclination angle checking step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rike and inclination angle at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ttribut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does not include the strike and tilt angles; A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ttribute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using the tilt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the strike and tilt angles; And a spatial DB building step of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for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inputting the position data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the spatial database.

Description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본 발명은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질도 구성요소 중 기하학적 특징을 반영하기 어려운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nd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that are difficult to reflect geometric features among geological map components.

최근 공간정보 처리기술의 발달로 지질도를 비롯하여 기존에 구축된 다양한 종이 도면들이 공간데이터베이스로 변환되어 구축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various paper drawings, including geological maps, have been converted into spatial databases.

여기서, 공간데이터베이스는 실제 지형 공간상 크기를 갖는 지형지물에 대하여 점, 선, 면 기하요소를 이용하여 표현하며, 설명요소들은 속성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spatial database is expressed using a point, a line, or a plane geometric element for a feature having a size in a real geographic space, and description elements may be stored as attribute values.

또한, 공간데이터베이스는 부가적으로 각 기하요소별 특징에 따라 공간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산술 연산, 관계 연산 및 기하 연산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원도면 형태는 물론 사용자가 정의한 방법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tial database can additionally provide arithmetic, relational, and geometrical calculation functions to perform spatial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ometric element. It can be visualized in a way.

따라서 기 구축된 도면을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면상에 표현된 기하요소들이 그 특성에 맞게 변환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간분석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tore and manage the pre-built drawings in the spatial database, the geometric elements represented on the drawings must be conver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us, the spatial analysis function provided by the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일반적으로, 지질도는 3차원적 공간상에 분포된 암상 및 지질구조들에 대하여 지질 조사자에 의해 해석되어 2차원 상에 표현된 도면이다.
In general, the geological map is a diagram that is interpreted by a geological investigator and represented on two-dimensional images with respect to rock formations and geological structures distributed in three-dimensional space.

도 1은 종래의 구조화 지수를 이용한 3차원 지질구조 해석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3차원 측량시스템을 보여주는 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three-dimensional geological structure analysis method using a conventional structured index,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survey system.

예를 들어, 출원번호 제10-2011-0129545호의 3차원 지질구조 해석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성의 상관관계 패턴을 지시하는 구조화 각도와, 각 물성 모델 내에서의 분포 위치를 지시하는 구조화 강도를 이용하여 지질 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geological structure analysis method of the application No. 10-2011-0129545, as shown in Figure 1, the structured angle indicating the correlation pattern of the two physical properties and the distribution position in each physical property model Introduces a method for interpreting geological structures using directed structural strength.

또한, 출원번호 제20-2002-0021053호의 3차원 측량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을 3차원으로 영상화함과 동시에 기준좌표계를 구현하여 상기 기준좌표계를 기준으로 대상물의 3차원 영상을 좌표변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2002-0021053 implements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simultaneously implements a reference coordinate system to display a three-dimensional image of an object based on the reference coordinate system. Introducing a system that can transform coordinates.

한편, 지질도는 지형도와 달리 3차원적인 지질구조를 2차원 상에 다양한 심벌과 패턴에 의해 지질요소들이 식별되어 표현되는데, 이러한 지질요소 표현의 복잡성은 기하학적 성격을 반영하여 공간데이터베이스로의 구축을 용이하지 못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geological maps, unlike topographic maps, have three-dimensional geological structures identified and represented by various symbols and patterns on two dimensions, and the complexity of the representation of geological elements reflects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making it easy to construct into a spatial database. Do not let it.

또한, 지질도는 도엽 단위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도면과 연계하여 통합된 정보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간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geological maps are produced in maple units, they need to be transformed into spatial databases in order to manage and utilize the integrated information linked to adjacent maps.

대부분의 지질도 구성요소들은 지형공간상 차지하는 크기를 축적에 따른 길이와 넓이를 갖는 기하학적 요소들로 표현되어 있으나, 지질구조 측점은 3차원적 지질구조의 형태를 조사 위치에서 방향성을 포함한 서술적 심벌로 표현되어있다.Most geological map components are represented by geometric elements with length and width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the occupied size in the geospatial space, but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a descriptive symbol including the direction at the survey location. Is expressed.

따라서 종이도면으로 제작된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 위치를 점 심벌이 아닌 원도 형태의 기하요소 그대로 변환할 경우 측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 식별 및 기하학적 특징에 따른 공간분석 등의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geological maps made of paper drawings, when geologic location points are converted into geometric elements in the form of circles rather than point symbols,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te location identification of points and spatial analysis according to geometric features are impossibl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지질도를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때 기하학적 성격을 반영하여 저장하기 힘든 수평 혹은 수직 형태를 제외한 경사각을 갖는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geological map is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a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for geologic structure point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except horizontal or vertical forms that are difficult to store by reflecting geometrical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지질구조의 해석적 요소인 지질구조 측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지질도의 가시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정보 관리 및 다양한 응용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ich is an analytical element of the geological structure in a spatial database, so that not only the visualization of the geological map but also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various application analysis can be utiliz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1속성 추출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제 2속성 추출 단계;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of geological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logical map; Periphery and inclination angle checking step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rike and inclination angle at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ttribut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does not include the strike and tilt angles; A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n attribute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using the tilt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the strike and tilt angles; And a spatial DB building step of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for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inputting the position data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the spatial database.

또한,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 및 상기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may include: a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process of calculat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nd an attribute derivation process of apply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to derive a strike angle, a strike direction, and a slope direction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또한,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에서,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이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process,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calculated as an angle at which the center point of the symbol, which is the bisected position of the main lin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symbol when the symbol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and the slop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기준 심벌은 경사 심벌이 상향 90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symbo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lique symbol is located at an upward 90 degrees.

또한,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이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Further, the first conversion rul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the strike angle is (9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tilt direction is NE, the symbol rotate angle When (r)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the deflection angle is (r-90) °, the deflection direction is NE,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E, and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180 ° and less than 270 °, The angle is (270-r) °, the direction of deflection is NW, the direction of inclination is SW, and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270 ° and less than 360 °, the direction of deflection is (r-270) ° and the direction of deflection is NE. , The inclination orient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W. Where E is east, W is west, S is south, and N is north.

또한,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may include a strike and dip angle obtaining process of obtaining strike and dip angles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nd a symbol rotation angle derivation process of deriv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apply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a second transformation rule.

또한,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며,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version rule is that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N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strike angle) °, and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 + strike angle) ° In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W,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270-counter angle) °, and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NW,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270 + counter angle) °. Where E is east, W is west, S is south, and N is north.

또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에서,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 데이터는 심벌 회전각,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spatial DB construction step, the attribute data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input to the spatial datab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ymbol rotation angle, a strike angle, a strike direction and a slope direction.

또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 후,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측점 가시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point visualization step of expressing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y linking the spatial database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 식별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1속성 추출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제 2속성 추출부; 상기 위치 식별부로부터 발생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 1속성 추출부와 제 2속성 추출부로부터 각각 발생된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특정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부; 및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연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system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for generating a position data by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logical map; Periphery and inclination angle check unit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rike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 first attribute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ttribute data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does not include a strike and an inclination angle; A second attribute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ttribute data o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a strike and an inclination angl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position data generated from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and attribute data generated from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and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unit, respectively; A spatial DB construction unit for inputting location data and attribut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into a spatial database to construct a spatial database for a specific geological point; And a display linkage unit for linking the spatial database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express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또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 및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로부터 계산된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roperty extracting unit may include: a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module configured to calculate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nd an attribute derivation module for deriving the strike angle, the strike direction, and the tilt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symbol turn angle calculated from the symbol turn angle calculation module.

더불어, 상기 제 2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 및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ng unit, a strike and tilt angle acquisition module for obtaining the strike and tilt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nd a symbol rotation angle derivation module for deriv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obtained from the strike and tilt angle acquisition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종이 및 단순 디지털화된 지질도 구성 요소 중 지질구조 측점에 대하여 공간 기하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규칙 및 방법을 제공하여 자동화된 메카니즘을 통해 손쉽게 공간데이터베이스에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정확한 위치식별 및 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공간연산 기능을 이용 가능하게 하여 부가적인 지질정보 분석 응용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formation rule and method are provided to store and reflect spatial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geological structures among paper and simple digitalized geological map components. It can be easily built in a spatial database through an automated mechanism, enabling accurate location identification of geological structures and various spatial calculation functions provided by the spatial database to be used for additional ge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applications. There is.

도 1은 종래의 구조화 지수를 이용한 3차원 지질구조 해석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3차원 측량시스템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1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2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three-dimensional geological structure analysis method using a conventional structured index.
2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survey system.
3 is a first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ond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symbol for measuring a symbol rotation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measur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nversio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onversio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mong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1블록도이다.
3 is a first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식별 단계(S10),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 제 1속성 추출 단계(S30), 제 2속성 추출 단계(S40) 및 공간DB 구축 단계(S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patial database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dentifying a position (S10), identifying a strike and tilting angle (S20), extracting a first attribute (S30), and extracting a second attribute. A step S40 and a space DB building step S50 are included.

상기 위치 식별 단계(S10)는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이다.The location identifying step (S10) is a step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logical map.

상기 위치 식별 단계(S10)에서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위치를 식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은 경사각을 갖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의해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나, 예를 들어,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경사각이 수직 또는 수평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식별된 위치에서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S30) 또는 제 2속성 추출 단계(S40) 없이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In the location identification step (S10), the location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may be identified to generate location data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wherein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has an inclination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put to the spatial database by the construction method, but, for example, when the symbol inclin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dicates vertical or horizontal,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S30) or the 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at the identified position It may be directly input into the spatial database without the attribute extraction step (S40).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The strike and check angle (S20) is a step of confirming the inclusion of the strike and tilt angle at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구체적으로,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에서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지질 정보인 주향 및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에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identifying the strike and tilt angles (S20),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the geologic structural point has a strike and the tilt angle, which is geological information. For example, the lipid in the strike and check angles (S20) step.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tructural point does not include the strike and tilt angles,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S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erformed, and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determined to include the strike and tilt angles, it will be described later. A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S40 may be performed.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S30) is a step of extracting an attribute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us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does not include the strike and inclination ang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S31) 및 속성 유도 공정(S32)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S30 may include a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process S31 and an attribute derivation process S32.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S31)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공정으로,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S31)에서는 기준 심벌에 대한 심벌 중심점의 회전 각도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심벌 회전각을 계산할 수 있다.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step S31 is a step of calculat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step S31,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 rotation angle of a symbol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a reference symbol. Can be calculat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측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이다.
8 is a view showing a reference symbol for measur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measur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8은 지질구조 측점 중 층리에 대한 기준 심벌로, 좌우 수평선은 주향 심벌을 나타내고, 주향 심벌의 중심위치에서 직각으로 상향 90도에 위치되는 수직선은 경사 심벌을 나타낸다.
Here, FIG. 8 is a reference symbol for stratification among geological structures, and the horizontal lines on the left and right represent a strike symbol, and the vertical line located at an upward 90 degre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strike symbol represents an inclined symbol.

구체적으로,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을 상기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로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지질구조 측점 중 지질도에 표현된 경사층리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의 기준 심벌에 대하여 30°회전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은 30°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ymbol rotation angle may be calculated as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center point of the symbol which is a bisected position of the main line as a reference to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symbol when the symbol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and the slope, for example When the inclined layer represented in the geological map among geological structures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being rotated by 30 °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symbol of FIG. 8, as shown in FIG. 9,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is 30 °. Can be.

상기 속성 유도 공정(S32)은 상기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공정이다.
The attribute derivation process (S32) is a process of deriving the strike angle, strike direction, and tilt direction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apply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nversio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일 수 있다.Here, the first conversion rule is as shown in Figure 10,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the strike angle is (9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slope direction is If NE,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the strike angle may be (r-90) °, the strike direction is NE, the tilt direction may be SE.

또한,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180 ° and less than 270 °, the strike angle is (27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tilt direction is SW, the symbol rotate angle (r) is greater than 270 ° If the angle is less than 360 °, the strike angle may be (r-270) °, the strike direction is NE, and the tilt direction is NW.

따라서, 예를 들어, 심벌 회전각이 30°인 도 9에 도시된 지질구조 측점은 상기 제 1변환 규칙에 의해 각각 주항각 60°, 주향방위 NW, 경사방위 NE가 유도되어 N60°W/40°NE로 주향/경사를 표현할 수 있다.
Thus, for example, the geologic structure points shown in FIG. 9, wher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30 °, are each circumferential angle according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60 °, azimuth NW, and inclination NE are derived so that N60 ° W / 40 ° NE can be used to represent the direction / inclination.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S40) is a step of extracting an attribute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the strike and the inclination ang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속성 추출 단계의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S41) 및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S42)을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S40 may include a strike and dip angle obtaining process S41 and a symbol rotation angle inducing process S42.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S41)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공정이다.
The strike and tilt angle obtaining process (S41) is a process of obtaining the strike and tilt angles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상기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S42)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공정이다.
The symbol rotation angle derivation process (S42) is a process of deriv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apply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the second transformation rul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변환 규칙을 나타내는 도이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onversion r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conversion rule is as shown in Figure 11,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N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a strike angle) °,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 90 + strike angle).

또한,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W, the symbol rotation angle may be (270-a strike angle) °, and whe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NW, the symbol rotation angle may be (270 + strike angle) °.

따라서, 예를 들어, 주향 및 경사가 N60°W/40°NE인 지질구조 측점은 상기 제 2변환 규칙에 의해 심벌 회전각 30°를 유도할 수 있다.
Thus, for example, a geologic station with a periphery and a slope of N60 ° W / 40 ° NE can induce a symbol rotation angle of 30 ° by the second transformation rule.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S5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로,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 데이터는 상술한 심벌 회전각,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atial DB building step (S50) is a step of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for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inputting the position data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the spatial database, the attribut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put to the spatial database The data may include the symbol rotation angle, the strike angle, the strike direction, and the tilt direction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의 제 2블록도이다.
6 is a second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S50) 후, 측점 가시화 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int visualization step S60 after the spatial DB construction step S50.

상기 측점 가시화 단계(S60)는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단계이다.
The point visualization step S60 is a step of expressing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y linking the spatial database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system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2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식별부(100),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 제 1속성 추출부(300), 제 2속성 추출부(400), 데이터 저장부(500), 공간DB 구축부(600) 및 디스플레이 연계부(7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2, in the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system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100, the strike and tilt angle identification unit 200,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300, and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are performed. The unit 400, a data storage unit 500, a space DB construction unit 600, and a display linking unit 700 are included.

상기 위치 식별부(100)는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100 may generate location data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logical map.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식별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식별 단계(S10)를 수행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위치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100 may perform location identification step S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generate location data for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the data stora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cation data Can be stored in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The strike and tilt angle checking unit 200 may check whether the strike and tilt angles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r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S20)를 수행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지질 정보인 주향 및 경사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200)에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1속성 추출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후술할 제 2속성 추출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trike and tilt angle checking unit 200 may identify whether the geological structure has a strike and tilt angle, which is geological information, by performing the strike and tilt angle checking step S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strike and tilt angle check unit 200 does not include the strike and tilt angles,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geological structur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tation includes the strike and tilt angles, the second attribute extractor 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operated.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first attribute extractor 300 may generate attribute data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does not include a strike and an inclination angle.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속성 추출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310) 및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310)로부터 계산된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모듈(3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속성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300 may perform a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S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300 rotates the symbol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ttribute derivation module for deriving the strike angle, strike direction, and tilt direction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module 310 and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ed from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module 310. By including 320, the attribute data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can be generated, and the attribute data can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2속성 추출부(4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cond attribute extractor 400 may generate attribute data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a strike and an inclination angle.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속성 추출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속성 추출 단계(S40)를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제 2속성 추출부(400)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410) 및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410)로부터 획득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4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속성 데이터를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500)에 저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ng unit 400 may perform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ng step S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ng unit 400 may include a scent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nd Derivation of the symbol rotation angle for deriv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obtained from the strike and tilt angle acquisition module 410 and the angle and tilt angle acquisition module 410 to obtain the inclination angle By including the module 420 may generate the attribute data for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t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데이터 저장부(500)는 상기 위치 식별부(100)로부터 발생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 1속성 추출부(300)와 제 2속성 추출부(400)로부터 각각 발생된 속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500 may store position data generated from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100 and attribute data generated from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300 and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unit 400, respectively.

상기 공간DB 구축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DB 구축 단계(S50)를 수행(S10)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500)의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800)에 입력함으로써 특정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The spatial DB building unit 600 performs the spatial DB building step (S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0) and inputs the position data and the attribut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500 to the spatial database 800 to determine a specific geology. You can build a spatial database of structural points.

상기 디스플레이 연계부(700)는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800)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할 수 있다.
The display linker 700 may express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y linking the spatial database 800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a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of geological structur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100:위치 식별부 200: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
300:제 1속성 추출부 310: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
320:속성 유도 모듈 400:제 2속성 추출부
410: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 420: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
500:데이터 저장부 600:공간DB 구축부
700:디스플레이 연계부 800:공간데이터베이스
900:지리정보시스템(GIS)
S10:위치 식별 단계
S20: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S30:제 1속성 추출 단계
S31: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
S32:속성 유도 공정
S40:제 2속성 추출 단계
S41: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
S42: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
S50:공간DB 구축 단계
S60:측점 가시화 단계
100: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200: strike and tilt angle check unit
300: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310: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module
320: attribute induction module 400: second attribute extraction unit
410: Percussion and inclination angle acquisition module 420: Symbol rotation angle induction module
500: data storage unit 600: spatial DB construction unit
700: display link 800: spatial database
900: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10: Position Identification Step
S20: Confirmation of Peripheral and Tilt Angles
S30: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S31: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process
S32: attribute induction process
S40: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S41: Peripheral and Tilt Angle Acquisition Process
S42: symbol rotation angle induction process
S50: Space DB construction step
S60: Station visualization step

Claims (12)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는 위치 식별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은 면구조 및 선구조에 대하여 조사 위치에서의 주향과 경사각을 조사한 측점으로, 지질도에서 공간데이터베이스에 기하요소와 연계된 속성들을 입력하기 위해,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서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 단계;
지질도상에서 지질도 작성자에 의해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명시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제 1속성 추출 단계;
상기 지질구조 측점이 상기 주향 및 경사각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제 2속성 추출 단계;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 위치에 대한 기하요소와 이와 연계된 심벌 표현을 위한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이 상향 90도에 경사 심벌이 위치된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이며,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인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추출하고,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인 심벌 회전각을 추출하며,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이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이며,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며,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
A location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 loca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 the geological map;
The geospatial station is a station that surveys the strike and tilt angles at the irradiatio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plane and line structures, and includes the strike and tilt angles at the geologic station in order to input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geometric elements in the spatial database in the geological map. Identifying the strike and tilt angle to confirm the presence;
A first property that induces the azimuth, azimuth, and azimuth of the geological structure by us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when the geological map is not specified in the geological map by the creator of the geological map. Extraction step;
A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of induc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the strike and tilt angles; And
And a spatial DB building step of constructing a spatial database for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inputting geometric elements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location and attribute data for symbol representation associated with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a spatial databas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an angle at which the center point of the symbol, which is the bisected position of the main line, is rotated relative to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symbol where the inclined symbol is positioned at 90 degrees upward when the symbol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and the slope.
In the extracting of the first attribute,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applied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to extract the strike angle, the strike direction, and the slope direction, which are attributes of the geological point;
In the extracting of the second property,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applied to the second transformation rule to extract a symbol rotation angle which is an attribut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he first conversion rul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the strike angle is (9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tilt direction is N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the strike angle is (r-90) °, the strike direction is NE, the tilt direction is S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180 ° and less than 270 °, the strike angle is (27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tilt direction is SW,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270 ° and less than 360 °, the strike angle is (r-270) °, the strike direction is NE, the tilt direction is NW,
The second conversion rule,
If the tilt direction is N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strike angle) °,
If the tilt direction is S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 + strike angle) °,
If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W,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270-strike angle) °,
If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NW,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270 + object angle) °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E is East, W is West, S is South, N is Nor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공정; 및
상기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step,
A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nd
And a property derivation process of apply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to derive a strike angle, a strike direction, and a slope direction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속성 추출 단계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공정; 및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step,
A strike and dip angle obtaining step of obtaining strike and dip angles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s; And
And a symbol rotation angle derivation process of deriv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apply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point to the second transformation ru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에서,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지질구조 측점의 속성 데이터는 심벌 회전각,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pace DB construction step,
The attribute data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put to the spatial database includes a symbol rotation angle, a strike angle, a strike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DB 구축 단계 후,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측점 가시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pace DB construction step,
And a point visualization step of expressing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y linking the spatial database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지질도에서 지질구조 측점의 위치를 식별하여 위치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위치 식별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의 포함 유무를 확인하는 주향 및 경사각 확인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주향각, 주향방위, 경사방위를 발생시키는 제 1속성 추출부;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주향 및 경사각이 포함된 경우,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이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발생시키는 제 2속성 추출부;
상기 위치 식별부로부터 발생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 1속성 추출부와 제 2속성 추출부로부터 각각 발생된 속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위치 데이터 및 속성 데이터를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특정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공간DB 구축부; 및
상기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연계시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을 상기 지리정보 시스템에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연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벌 회전각은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이 주향과 경사로 구성되는 경우, 주향선의 이등분 위치인 심벌의 중심점이 상향 90도에 경사 심벌이 위치된 기준 심벌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이며,
상기 제 1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인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 2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에 대한 속성 데이터인 심벌 회전각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1변환 규칙은,
상기 심벌 회전각(r)이 0 °초과 9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9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NE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90 °초과 18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9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SE이며,
상기 심벌 회전각(r)이 180 °초과 27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270 - r)°, 주향방위는 NW, 경사방위는 SW이고,
상기 심벌 회전각(r)이 270 °초과 360 °미만인 경우, 주향각은 (r - 270)°, 주향방위는 NE, 경사방위는 NW이며,
상기 제 2변환 규칙은,
상기 경사방위가 N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SE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90 + 주향각)°이며,
상기 경사방위가 S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이고,
상기 경사방위가 NW인 경우, 심벌 회전각은 (270 + 주향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여기서, E는 동, W는 서, S는 남, N은 북의 방위를 의미한다)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location of geological structure points in the geological map to generate location data;
Periphery and inclination angle check unit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rike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 first attribute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trike angle, a strike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does not include the strike and tilt angles;
A second attribute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when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ncludes a strike and an inclination angl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position data generated from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and attribute data generated from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and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unit, respectively;
A spatial DB construction unit for inputting location data and attribut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into a spatial database to construct a spatial database for a specific geological point; And
And a display linkage unit for linking the spatial database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express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s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an angle at which the center point of the symbol, which is the bisected position of the main lin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reference symbol in which the inclined symbol is located at an upward 90 degree when the symbol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is composed of the main body and the slope,
The first attribute extracting unit applies the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to generate a strike angle, a strike direction, and an inclination direction, which are attribute data for the geological point;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ng unit generates a symbol rotation angle that is attribute data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by apply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point to the second transformation rule.
The first conversion rul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0 ° and less than 90 °, the strike angle is (9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tilt direction is N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90 ° and less than 180 °, the strike angle is (r-90) °, the strike direction is NE, the tilt direction is SE,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180 ° and less than 270 °, the strike angle is (270-r) °, the strike direction is NW, the tilt direction is SW,
When the symbol rotation angle (r) is greater than 270 ° and less than 360 °, the strike angle is (r-270) °, the strike direction is NE, the tilt direction is NW,
The second conversion rule,
If the tilt direction is N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strike angle) °,
If the tilt direction is SE,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90 + strike angle) °,
If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SW,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270-strike angle) °,
And wherein the inclination direction is NW, the symbol rotation angle is (270 + opposition angle) °.
(E is East, W is West, S is South, N is North)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계산하는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 및
상기 심벌 회전각 계산 모듈로부터 계산된 심벌 회전각을 상기 제 1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각, 주향방위 및 경사방위를 유도하는 속성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attribute extraction unit,
A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And
And a property derivation module for applying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ed from the symbol rotation angle calculation module to the first transformation rule to derive the deflection angle, the deflection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Spatial database building system of st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속성 추출부는,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주향 및 경사각을 획득하는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 및
상기 주향 및 경사각 획득 모듈로부터 획득된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경사방위를 상기 제 2변환 규칙에 적용하여 상기 지질구조 측점의 심벌 회전각을 유도하는 심벌 회전각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구조 측점의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unit,
A strike and dip angle obtaining module for obtaining strike and dip angles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s; And
And a symbol rotation angle derivation module for deriving a symbol rotation angle of the geologic structure point by applying the tilt direction of the geological structure point acquired from the strike and tilt angle acquisition module to the second transformation rule. Spatial database construction system of structural point.
KR1020120079237A 2012-07-20 2012-07-20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Active KR1013232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37A KR101323262B1 (en) 2012-07-20 2012-07-20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237A KR101323262B1 (en) 2012-07-20 2012-07-20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262B1 true KR101323262B1 (en) 2013-10-30

Family

ID=4963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237A Active KR101323262B1 (en) 2012-07-20 2012-07-20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2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689B1 (en) * 2018-02-23 2018-09-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pparatus for editing geological elements using touch based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332A (en) 1998-07-07 2000-01-28 Mitsubishi Heavy Ind Ltd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446195B1 (en) 2001-07-10 2004-08-30 (주)한양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position of three dimensions
KR100493809B1 (en) 2002-07-13 2005-06-03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of Three-Dimension Image and Data Points Using Reference Coordinate
JP2007248214A (en) 2006-03-15 2007-09-27 Yunitekku:Kk Horizontal angle measuring method and position meas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8332A (en) 1998-07-07 2000-01-28 Mitsubishi Heavy Ind Ltd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0446195B1 (en) 2001-07-10 2004-08-30 (주)한양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position of three dimensions
KR100493809B1 (en) 2002-07-13 2005-06-03 주식회사 아이너스기술 Coordinate Transformation Method of Three-Dimension Image and Data Points Using Reference Coordinate
JP2007248214A (en) 2006-03-15 2007-09-27 Yunitekku:Kk Horizontal angle measuring method and position measur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689B1 (en) * 2018-02-23 2018-09-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pparatus for editing geological elements using touch based interface
US10706603B2 (en) 2018-02-23 2020-07-0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pparatus for editing geological elements using touch-based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18617B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geography scene simulation method of Virtual emergency drilling
WO2006113580A2 (en) Linear correspondence assessment
CN102214367A (en) Three dimensional (3D) modeling and visualizing method of prehistoric settlement sites
Landeschi et al. Enhanced 3D-GIS: documenting insula V 1 in Pompeii
CN109522381A (en) The hidden installation security detection method of building based on 3DGIS+BIM
Wang et al. A revised orientation-based correction method for SfM-MVS point clouds of outcrops using ground control planes with marks
KR20100025144A (en) Architectural struc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rchitecture drawing and method thereof
Wu et al. [retracted] intelligent city 3d modeling model based on multisource data point cloud algorithm
CN116109783A (en) Open-pit mine three-dimensional mining planning system and method
Rao et al. Assessing usefulness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HRSI) for re-survey of cadastral maps
Arias et al. ORTHOIMAGE‐BASED DOCUMENTATION OF ARCHAEOLOGICAL STRUCTURES: THE CASE OF A MEDIAEVAL WALL IN PONTEVEDRA, SPAIN
CN119645959A (en) Urban historical mountain landscap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and platform based on GIS and BIM
KR101323262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he geologic spatial-database construction of geologic structure measurement points
Zhang et al. Extraction of three-dimensional architectural data from QuickBird images
Kim et al. Preparing and evaluating geospatial data models using X3D encodings for web 3D geovisualization services
Silvestre et al. Framework for 3D data modeling and web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caves using open source tools
Albert Aspects of cave data use in a GIS
Lu [Retracted] Algorithm of 3D Virtual Reconstruction of Ancient Buildings in Qing Dynasty Based on Image Sequence
Litwin et al. Improving the Perception in Urban Planning by 3D Modelling and 3D Visualization
Gu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large karst cave point cloud registration in various scanning modes
Li et al. [Retracted] 3D Real Scene Data Collection of Cultural Relics and Historical Sites Based on Digital Image Processing
Comes et al. From theory to practice: digital reconstruction and virtual reality in archaeology
Zhou et al. Validation analysis of OpenStreetMap data in some areas of China
Ao et al. Subsidence monitoring using lidar and morton code indexing
De Donatis et al. Geology from real field to 3D modeling and Google Earth virtual environments: Methods and goals from the Apennines (Furlo Gorge, Ita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