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208B1 - Motorcycle's helmet mounting multimedia - Google Patents
Motorcycle's helmet mounting multimedi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3208B1 KR101323208B1 KR1020120006042A KR20120006042A KR101323208B1 KR 101323208 B1 KR101323208 B1 KR 101323208B1 KR 1020120006042 A KR1020120006042 A KR 1020120006042A KR 20120006042 A KR20120006042 A KR 20120006042A KR 101323208 B1 KR101323208 B1 KR 1013232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mounting portion
- media
- media member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방을 주시 가능토록 쉴드창이 구비된 헬멧몸체와 상기 헬멧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제공되는 보호부재와 상기 쉴드창의 일측에서 상기 보호부재상에 설치되고 미디어부재가 설치 가능토록 제공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일면에 밀착 배치되고, 미디어부재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토록 제공되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구비된 오토바이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주행 중 사용자가 용이하게 미디어부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디어부재를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space and a protective body provided in the helmet body and the inner body of the helmet body provided with a shield window so that the front can be observed and the protective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hield window and the user's head to protect from external impact In the motorcycle helmet equipped with a multimedia function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installed on the media member is provided to install the media member and close to on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the lens member provided to ensure the user's viewing distance to the media member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member while driving on the road, and the effect of easily controlling the media member can be exp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토바이 헬멧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로 주행 중 멀티미디어에서 구현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멀티미디어를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오토바이 헬멧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cycle helm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cycle helmet configured to easily transfer information implemented in a multimedia while driving on a road to a user and to easily control the multimedia.
현대 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GPS 정보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기능, 동영상 기능,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기능 등을 구비한 스마트폰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급격히 확대보급되고 있으며, 오늘날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상대와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는 이점뿐만 아니라, 도로 운전에서도 네비게이션 기능, 도로교통정보 등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이뤄질 수 있어 생활의 간편화와 휴대의 용이성 향상을 가져오고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dern society is rapidly expanding and providing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equipped with navigation function, video function, and real-time road traffic information function using GPS information, and are considered as indispensable items today. . The spread of smart phones not only allows the user to make phone calls with anyone they want anytime, anywhere, but also enables the navigation and road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single device even when driving on the road. It is bringing improvement.
최근에는 자동차에서 거치대를 활용하여 이러한 스마트폰 등을 거치하고 각종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함으로써, 도로 주행의 편의가 도모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by using a cradle in a car, such a smartphone is mounted, and various traffic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used, and convenience of road driving is being promoted.
다만, 오토바이 사용자의 경우 오토바이 운전 중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 도로 교통정보 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운전을 잠시 멈추고 헬멧을 벗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약 운전를 멈추지 않고 도로 주행 중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시야를 돌린다거나 손으로 조작하기 위해 오토바이 손잡이를 놓는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otorcycle user, in order to utilize navigation functions and road traffic information through a smartphone mounted on a cradle while driving a motorcycle,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stopping driving for a while and removing the helmet. If you do not stop driving and turn your eyesight to check information while you are on the road, or if you put the handle of your motorcycle to operate by hand, you increase the risk of an accident.
종래기술인 특허 공개번호 1996-0001799 에서는 헬멧 내부에 각종 전자장치 및 회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집약되는 헬멧에 장착용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러한 헬멧은 그 제작비용이 고가이며 헬멧에 장착되는 복잡한 전자장치 등으로 인해 구현이 쉽지 않으며 사용자가 실제 착용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996-0001799 proposes a display system for mounting on a helmet in which various electronic devices, circuits, display devices, etc. are concentrated inside the helmet, but such a helmet has a high manufacturing cost and is a complicated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helmet. It is not easy to implement due to the device and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when actually wearing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 주행 중 사용자가 용이하게 미디어부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디어부재를 수월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ovides a device that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member while driving on the road, and can easily control the media mem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오토바이 헬멧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orcycle helmet as follows.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의 일 실시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방을 주시 가능토록 쉴드창이 구비된 헬멧몸체와 상기 헬멧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제공되는 보호부재와 상기 쉴드창의 일측에서 상기 보호부재상에 설치되고 미디어부재가 설치 가능토록 제공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일면에 밀착 장착되고, 미디어부재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토록 제공되는 렌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cycle helmet has an inner space and the shield body and the shield member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elmet body provided with a shield window so as to be able to look forward and the user's head to protect from external shock and the shield And a lens unit installed on the protective member at one side of the window and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unit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protection member, and a lens member provided to secure a user's viewing distance to the media member screen. Can be.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미디어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와 밀착부로 구성된 ㄷ 자형 구조를 가지되, 밀착부에는 미디어부재의 음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have a c-shaped structure consisting of a protrusion and a close contact portion to allow the media member to be seated thereon, and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lose contact portion to transmit the sound of the media member.
또한, 상기 장착부는 다양한 크기의 미디어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media members of various sizes can be inserted.
더하여, 상기 장착부와 연계되고, 사용자의 시각에 대응하여 가시위치를 조절토록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mounting portion to adjust the visible pos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vision.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사용자의 가시각도에 맞춰 상기 장착부의 각도를 조절토록 제공되는 각도조절부 및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상기 장착부의 상하위치를 변경토록 제공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n angle adjusting portion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and the shangdong east provided to chang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eye level of the user. .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이동부은 일면에 체결홈이 구비되고, 타면에 이동빔이 구비된 이동부와 상기 보호부재상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빔이 끼워지도록 이동홈이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이동홈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빔이 상기 이동홈상에서 상하이동시 위치고정토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hanghai eas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on one surface, and fixed to the moving portion and the protective member provided with a moving beam on the other surface, the fixing portion and the moving groove provided with a moving groove to fit the moving beam Is provided in, the moving bea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riction portion for providing a friction force to fix the position at the same time on the moving gro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요철이 교대로 형성된 돌출바 및 상기 이동부상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바가 끼워질 때 고정토록 하는 고정바가 배치된 체결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projection bar and the mov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moving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groove is arranged to be fixed when the protrusion bar is fitted Can be.
더하여, 상기 렌즈부재를 보호하며 미디어부재 화면을 가시토록 투명하게 제공되는 보호창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window that protects the lens member and is provided to be transparent to the media member screen.
또한, 상기 보호부재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장착부에서 사용자의 귀부위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관통하며 연결되며, 미디어부재의 사운드를 사용자의 귀부위로 전달토록 음향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member, the mounting portion is penetrated and connected to the user's ear portion is locate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ound transmission to deliver the sound of the media member to the user's ear.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오토바이 헬멧의 쉴드창부의 일측에 미디어부재를 장착할 수 있어 도로 주행 중 수월하게 미디어부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torcycle helmet can be equipped with a media member on one side of the shield window portion of the motorcycle helmet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member during road driving.
그리고, 광학렌즈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과 미디어부재 화면간의 거리감을 주어 사용자가 미디어부재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무리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tical lens may be used to provide a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s and the screen of the media memb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edia member without difficulty.
또한, 미디어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따라 미디어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edia member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edia member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the user.
더하여, 오토바이 헬멧의 내부에 구비된 보호부재상에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음향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토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ffect of effectively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to a user may be expected by providing a space for transmitting sound on a protective member provided inside the motorcycle helmet.
도 1은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 착용시의 사용자의 시선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눈높에 맞쳐 본 발명의 장착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motorcycl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yes of the user when wearing the motorcycl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eye level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오토바이 헬멧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motorcycle helmet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ased on embodiments best suited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the related constituent elem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or an extension line number.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도로 주행 중 용이하게 미디어부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맞추어 미디어부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the information that can be easily provided by the media member while driving on the road, and the media member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 착용시의 사용자의 시선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사용자의 눈높에 맞쳐 본 발명의 장착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motorcycl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A illustrated in FIG. 3. In addi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yes of the user when wearing the motorcycle helm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eye level of the user.
도 1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오토바이 헬멧의 일 실시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전방을 주시 가능토록 쉴드창(13)이 구비된 헬멧몸체(10)와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토록 제공되는 보호부재(20)와 상기 쉴드창(13)의 일측에서 상기 보호부재(20)상에 설치되고 미디어부재(80)가 설치 가능토록 제공되는 장착부(30) 및 상기 장착부(30)의 일면에 밀착 배치되고, 미디어부재(80)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가시거리를 확보토록 제공되는 렌즈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6,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torcycle helmet has an inner space and the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헬멧몸체(10)는 오토바이용 헬멧의 외부 본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헬멧몸체(10)는 사용자의 머리에 맞쳐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쉴드창(13)이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쉴드창(13)은 상기 헬멧몸체(10)의 양측으로 구비된 쉴드(15)를 통해 개폐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사용자의 머리가 위치하게 되고 외부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일차적으로 보호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에는 보호부재(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0)는 상기 오토바이용 헬멧의 외부 본체로 제공될 수 있는 상기 헬멧몸체(10)의 내부표면에 설치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토록 제공된다. 따라서, 충분한 완충력을 지닌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다시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헬멧몸체(10)에서 쉴드창(13)의 일측에 상기 미디어부재(80)가 장착될 수 있는 상기 장착부(30)가 위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부재(80)는 GPS 를 활용하는 네비게이션 기능, 동영상 기능, 도로교통정보 등을 전달 가능한 스마트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상기 스마트폰 등의 미디어부재는 블루투스 등을 활용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리모콘 등의 장치를 통해 화면 제어, 채널 변경 등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The media member such as the smart phone may be capable of controlling screens, changing channels, and the like through a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ler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tilizing Bluetooth.
그리고, 상기 장착부(30)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 등의 미디어부재(8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미디어부재(80)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축하며 미디어부재(80)를 단단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평면도에서 일측을 절단한 상태를 볼 수 있다. 왼쪽 절단면을 확인하면 스마트폰 등의 미디어부재(80)가 상기 헬멧몸체(10)상에서 장착되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상기 장착부(30)의 위치는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한, 다른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2, it can be seen a state cut one side in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ing the left cut surface can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상기 장착부(30)에서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부재(40)가 장착된다. 상기 렌즈부재(40)는 미디어부재(80)의 화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30)의 일측상에 설치된다. The
실제로 미디어부재(80)를 상기 장착부(30)에 장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사물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가시거리보다 가까이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명확히 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n fact, when mounting the
따라서, 상기 렌즈부재(40)는 사용자가 미디어부재(8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을 사용자의 가시거리에 맞추어 줄 수 있도록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을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뒤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그에 따라 상기 렌즈부재(40)는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을 실제보다 뒤로 밀어주도록 초점거리가 조절된 광학렌즈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렌즈부재(40)의 일측에는 상기 렌즈부재(40)를 보호하고 사용자가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보호창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창부(50)는 투명한 보호필름이거나 강도가 우수한 투명 아크릴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nd, one side of the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보호부재(20)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장착부(30)에서 사용자의 귀부위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관통하며 연결되며, 미디어부재(80)의 사운드를 사용자의 귀부위로 전달토록 음향전달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ure 2,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상기 음향전달부(70)는 상기 장착부(30)에서 상기 렌즈부재(40)가 배치되는 반대편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부재(20) 내부를 관통하며 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귀부위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연결된다. The
상기 장착부(30)의 미디어부재(80) 밀착부(35)에는 복수의 가로방향 홈(3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35a)을 통해 스마트폰 등의 미디어부재(80)에 구비된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향이 상기 음향전달부(70)로 전달되게 된다. A plurality of
상기 음향전달부(70)로 전달된 음향은 상기 보호부재(20)상에 형성된 빈 공간을 타고 진행하여 사용자의 귀부위까지 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미디어부재(80)에서 제공하는 음향정보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e sound transmitted to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장착부(30) 및 렌즈부재(40)와 연계되고, 사용자의 눈높이에 대응하여 가시위치를 조절토록 위치조절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hat is associated with the mounting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각도조절부(6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부(66)은 상기 장착부(30)에 구비되고 복수의 요철이 교대로 형성된 돌출바(67) 및 이동부(64)에 제공되고 상기 돌출바(67)가 끼워질 때 고정토록 하는 고정바(69)가 배치된 체결홈(6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may be provided with an
또한,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상하이동부(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하이동부(61)는 일면에 상기 체결홈(68)이 구비되고, 타면에 이동빔(64a)이 구비된 이동부(64)와 상기 이동빔(64a)이 끼워지도록 이동홈(62a)이 구비된 고정부(62) 및 상기 이동홈(62a)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빔(64a)이 상기 이동홈(62a)상에서 상하이동시 위치고정토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may be provided with
구체적으로,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장착부(30)와 상기 장착부(30)에 밀착 구비된 상기 렌즈부재(40) 및 상기 렌즈부재(40)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보호창부(50)의 평면도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30)의 양측으로 상기 위치조절수단(60)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a plan view of the mounting
그리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우선 상기 장착부(30)는 미디어부재(80)에 제공되는 음향정보를 상기 음향전달부(70)로 전달토록 하는 홈이 구비되고 미디어부재(80)가 안착되는 밀착부(35)와 상기 밀착부(35)의 양측으로 신장되어 제공되는 돌출부(31)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31)에는 접착부(33)가 존재하여, 상기 렌즈부재(40)의 양측이 상기 돌출부(31)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4,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rst, the mounting
또한, 상기 렌즈부재(40)는 중앙부를 형성하는 광학렌즈(43)와 상기 광학렌즈(43)를 지지하는 프레임(45)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45)에는 접착부(41)가 구비되어 상기 장착부(30)뿐만 아니라, 상기 보호창부(50)가 밀착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장착부(30)의 돌출부(31) 양측으로는 복수의 요철이 형성된 돌출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바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조절수단(60)를 구성하는 상기 이동부(64)에 구비된 상기 체결홈(68)에 끼워지게 된다. A protrusion bar having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여기서, 상기 이동부(64)는 상기 보호부재(20)상에 접착고정되는 상기 고정부(62)와 연계된다. 상기 고정부(62)의 일측면에는 상기 보호부재(20)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부(62b)가 존재하며, 다른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홈(62a)이 구비된다. Here, the moving
상기 이동홈(62a)에는 상기 이동빔(64a)의 상하이동시 중력에 의해 다시 아래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마찰부(63)가 둘레에 따라 배치된다. 상기 마찰부(63)는 상기 이동빔(64a)과 이동홈(62a)간에 마찰력을 제공하여 상향이동한 상기 이동부(64)를 그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체결홈(68)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바(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69)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64)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스프링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은 상기 돌출바(67)의 요철과 맞닿으며 상기 장착부(30)의 각도조절시, 그 회전된 각도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위치조절수단(60)는 상기 이동부(64)와 고정부(62)가 연계되어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상기 미디어부재(80)가 장착된 장착부(30)를 상하이동토록 하여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을 사용자가 보기 편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돌출바(67)과 체결홈(68)이 연계되어 사용자가 미디어부재(80)의 화면을 보는 각도에 대응하여 일정각도를 회전하게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한 각도에서 시각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이때 상기 마찰부(63)가 상하이동시 상기 장착부(30)의 상하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바(69)가 상기 돌출바(67)의 요철에 고정되어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토바이 헬멧의 쉴드창의 일측에 미디어부재를 장착하고 미디어부재 화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도로 주행 중 수월하게 미디어부재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 media member on one side of the shield window of the motorcycle helmet and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creen of the media membe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edia member during road driving You can expect.
더하여, 오토바이 헬멧의 내부에 구비된 보호부재상에 음향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음향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토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ffect of effectively transmitting sound information to a user may be expected by providing a space for transmitting sound on a protective member provided inside the motorcycle helmet.
이상의 사항은 오토바이 헬멧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only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motorcycle helmet.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do.
10...헬멧몸체 13...쉴드창
15...쉴드 20...보호부재
30...장착부 31...돌출부
33,41,62b...접착부 35...밀착부
40...렌즈부 43...광학렌즈
45...렌즈프레임 50...보호창부
60...위치조절수단 61...상하이동부
62...고정부 64...이동부
66...각도조절부 67...돌출바
68...체결홈 69...고정바
70...음향전달부 80...미디어부재10 ...
15 ...
30.Mounting part 31.Protrusion
33,41,62b ...
40
45 ...
60 position adjusting means 61 up / down moving part
62 ...
66.
68.
70
Claims (9)
미디어부재는 미디어부재의 화면이 상기 렌즈부재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장착부(30)와 상기 렌즈부재(40)사이에 끼워지며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30)는 다양한 크기의 미디어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뤄지고, 미디어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부(31)와 밀착부(35)로 구성된 ㄷ 자형 구조를 가지되, 밀착부(35)에는 미디어부재의 음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홈(35a)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사용자의 가시각도에 맞춰 상기 장착부(30)의 각도를 조절토록 제공되는 각도조절부(66); 및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상기 장착부(30)의 상하위치를 변경토록 제공되는 상하이동부(61);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부(61)는, 일면에 체결홈(68)이 구비되고, 타면에 이동빔(64a)이 구비된 이동부(64);와 상기 보호부재(20)상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빔(64a)이 끼워지도록 이동홈(62a)이 구비된 고정부(62); 및 상기 이동홈(62a)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빔(64a)이 상기 이동홈(62a)상에서 상하이동시 위치고정토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63);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66)는, 상기 장착부(30)에 구비되고, 복수의 요철이 교대로 형성된 돌출바(67); 및 상기 이동부(64)상에 구비되고, 상기 돌출바(67)가 끼워질 때 고정토록 하는 고정바(69)가 배치된 체결홈(68);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미디어부재의 화면을 가시토록, 상기 이동부(64)를 승강시켜 사용자마다의 눈높이에 맞추도록 하고, 상기 장착부(30)를 회전시켜 사용자마다의 가시각도에 맞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멧.
Helmet body 10 having an inner space and the shield window is provided so that the front can be viewed; and a protective member 2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elmet body 10 and provided to protect the user's head from external impact; and A mounting portion 30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protection member 20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hield window and provided to install a media member having a square-shaped screen; and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30, A square lens member 40 provided as an optical lens having a focal length adjusted to push the screen of the media member back to an actual position so as to secure a user's viewing distance to the screen; And a position adjusting means (60) associated with the mounting portion (30) to adjust the visible posi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vision.
The media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30 and the lens member 40 so that the screen of the media member faces the lens member direction.
The mounting portion 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media member of various sizes can be inserted, and has a c-shaped structure consisting of a protrusion 31 and the contact portion 35 so that the media member can be seated, the contact portion ( In the 35, the groove 35a is formed to transmit the sound of the media member,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60, the angle adjusting portion 66 provid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portion 30 in accordance with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And Shanghai East (61) provided to chang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ounting portion 30 in accordance with the eye level of the user;
The shanghai east part 6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68 on one surface, and a moving part 64 provided with a moving beam 64a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and is fixed on the protective member 20, and the moving beam. A fixing part 62 having a moving groove 62a to which the 64a is fitted; And a friction part (63) provided in the moving groove (62a), wherein the moving beam (64a) provides a frictional force to simultaneously fix the position on the moving groove (62a).
The angle adjusting unit 66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30, the protrusion bar 6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lternately; And a fastening groove 68 provided on the moving part 64 and having a fixing bar 69 disposed to fix the protrusion bar 67 when the protrusion bar 67 is fitted.
A motor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lifts the moving unit 64 so as to visualize the screen of the media member to match the eye level of each user, and rotates the mounting unit 30 to match the viewing angle of each user. helmet.
상기 렌즈부재(40)를 보호하며 미디어부재 화면을 가시토록 투명하게 제공되는 보호창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멧.
The method of claim 1,
A motorcycle helm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window (50) to protect the lens member (40) and to provide the media member screen transparent.
상기 보호부재(20)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장착부(30)에서 사용자의 귀부위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관통하며 연결되며, 미디어부재의 사운드를 사용자의 귀부위로 전달토록 음향전달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멧.
9. The method of claim 8,
It is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member 20, and is connected to penetrates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30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ear portion, the sound transmitting portion 70 to deliver the sound of the media member to the user's ear portion A motorcycle helmet further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6042A KR101323208B1 (en) | 2012-01-19 | 2012-01-19 | Motorcycle's helmet mounting multimedi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6042A KR101323208B1 (en) | 2012-01-19 | 2012-01-19 | Motorcycle's helmet mounting multimedia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123A KR20130085123A (en) | 2013-07-29 |
KR101323208B1 true KR101323208B1 (en) | 2013-11-08 |
Family
ID=4899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60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208B1 (en) | 2012-01-19 | 2012-01-19 | Motorcycle's helmet mounting multimedi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320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1600102129A1 (en) * | 2016-10-12 | 2018-04-12 | Ducati Motor Holding Spa | INFORMATION DISPLAY DEVICE ASSOCIATED WITH A HELMET OF A MOTORCYCLE PILO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03757B2 (en) | 1990-01-31 | 1998-09-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JP2008508436A (en) | 2004-07-30 | 2008-03-21 | ステレオニクス リミテッド | Equipment mounting device |
KR20090095145A (en) * | 2008-03-05 | 2009-09-09 | 임형준 | Separative of welding mask |
KR20100060458A (en) * | 2008-11-27 | 2010-06-07 | 탁승호 | Multi-function helmet |
-
2012
- 2012-01-19 KR KR1020120006042A patent/KR10132320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03757B2 (en) | 1990-01-31 | 1998-09-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Display device |
JP2008508436A (en) | 2004-07-30 | 2008-03-21 | ステレオニクス リミテッド | Equipment mounting device |
KR20090095145A (en) * | 2008-03-05 | 2009-09-09 | 임형준 | Separative of welding mask |
KR20100060458A (en) * | 2008-11-27 | 2010-06-07 | 탁승호 | Multi-function helm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123A (en) | 2013-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60001B1 (en) | Head mount display device | |
US952920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
US957531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
KR102411046B1 (en) | Bar typ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 |
US10368602B2 (en) | Protective helmet | |
US9897809B2 (en) | Data-display glasses comprising an anti-glare screen | |
US20160011422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
JP2017049601A (en) |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 |
WO2016202248A1 (en) | Adjustable display apparatus | |
KR20140013676A (en) | Display terminal head-mounted apparatus | |
US2016001142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 |
JP6196014B2 (en) | Shutter glasses equipment | |
US20170255018A1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output from a display | |
US20160216514A1 (en) | Data-display glasses comprising an anti-glare screen | |
JP2017027052A (en) | Antiglare spectacle having automatic switching device | |
KR101323208B1 (en) | Motorcycle's helmet mounting multimedia | |
KR101974918B1 (en) | Helmet including smart head up display black box and managing method therefor | |
US11156856B2 (en) | Eyewear with wearing status detector | |
CN104730731A (en) | Spectacles | |
WO2016068123A1 (en)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
KR20160055165A (en) | Anti-glare 3d glasses | |
US12130434B2 (en) | Heads-up display apparatus | |
KR102772075B1 (en) | Augmented reality glass device capable of energy harvesting using piezoelectric elements | |
WO2012078766A1 (en) | Headgear supported display | |
KR20170128165A (en) | Phone having virtual reality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