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3001B1 -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001B1
KR101323001B1 KR1020120021153A KR20120021153A KR101323001B1 KR 101323001 B1 KR101323001 B1 KR 101323001B1 KR 1020120021153 A KR1020120021153 A KR 1020120021153A KR 20120021153 A KR20120021153 A KR 20120021153A KR 101323001 B1 KR101323001 B1 KR 10132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ilicon wafer
image sensor
epi layer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556A (ko
Inventor
임홍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to KR102012002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001B1/ko
Priority to PCT/KR2012/010241 priority patent/WO2013129758A1/ko
Priority to US14/379,280 priority patent/US20150014754A1/en
Priority to DE112012005958.1T priority patent/DE112012005958T5/de
Priority to JP2014559814A priority patent/JP2015510275A/ja
Priority to CN201280070992.4A priority patent/CN104145337A/zh
Publication of KR20130099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0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2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2Image sensors
    • H10F39/18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s; Photodiode array image sensors
    • H10F39/182Colou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image sensors covered by group H10F39/12
    • H10F39/014Manufacture or treatment of image sensors covered by group H10F39/12 of CMOS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image sensors covered by group H10F39/12
    • H10F39/026Wafer-level proces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2Image sensors
    • H10F39/199Back-illuminated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6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image sensors
    • H10F39/8063Micro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10Semiconductor bodies
    • H10F77/16Material structures, e.g. crystalline structures, film structures or crystal plane orientations

Landscapes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 센서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아래에 배치되는 에피층; 및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층의 오프각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1.5°이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세대 이미지 센서로서 씨모스 이미지 센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제어회로 및 신호처리회로 등을 주변회로로 사용하는 씨모스 기술을 이용하여 단위 화소의 수량에 해당하는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반도체 기판에 형성함으로써 모스 트랜지스터들에 의해 각 단위 화소의 출력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스위칭 방식을 채용한 소자이다. 즉,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단위 화소 내에 포토다이오드와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시킴으로써 스위칭 방식으로 각 단위 화소의 전기적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씨모스 제조 기술을 이용하므로 적은 전력 소모, 적은 포토공정 스텝에 따른 단순한 제조공정 등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제어회로, 신호처리회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등을 이미지 센서 칩에 집적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현재 디지털 정지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부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 화소 및 반도체 디지인 룰(Design rule)이 미세하지 않은 경우는 FSI(Front side Illumination)구조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다. 그러나, 반도체 디자일 룰이 미세화 되고, 씨모스 이미지 센서가 고 화소화 되면서,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입사되는 광량 및 전달 경로 확보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서, 컬러 필터 및 렌즈를 웨이퍼의 뒷면에 형성하는 BSI(Back side Illumination) 구조의 씨모스 이미지 센서가 개발되었다.
이렇게 제작된 BSI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FSI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단점을 극복해 센서 감도가 높아 고화질 구현에 유리하고, 기판 크기도 작은 장점이 있다. 다만, BSI 씨모스는 웨이퍼 뒷면을 가공해 빛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반도체 공정상 제작이 어렵고 수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토 다이오드가 형성되는 영역 및 그 표면에서의 실리콘 단결정 영역에 불순물이 없어야 한다. 이에 사용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기판으로, 폴리시드 웨이퍼(Polished wafer)보다는 에피택셜 웨이퍼(Epitaxy wafer)가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실시예는 불량이 적고, 향상된 성능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아래에 배치되는 에피층; 및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층의 오프각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1.5°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오프각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1.5°인 실리콘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웨이퍼 상에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층에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층 상에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선층 상에 지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오프각이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1.5인 에피층을 포함한다. 상기 에피층의 오프각이 위와 같을 때, 상기 에피층은 결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고, 향상된 센싱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리콘 웨이퍼 형성하기 위한 잉곳을 성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에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에피층의 오프각에 따른 디펙(defect)의 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리콘 웨이퍼의 오프각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불량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패턴, 영역 또는 층 등이 각 기판, 패턴, 영역 또는 층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리콘 웨이퍼 형성하기 위한 잉곳을 성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에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에피층의 오프각에 따른 디펙(defect)의 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리콘 웨이퍼의 오프각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불량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리콘 잉곳이 성장된다. 상기 실리콘 잉곳은 [001] 결정 방향으로 성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리콘 잉곳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실리콘 잉곳의 [001] 결정 방향이다.
이후, 상기 실리콘 잉곳은 와이어 소잉 공정 등과 같은 슬라이싱 공정을 통하여, 다수 개의 웨이퍼들로 슬라이싱된다. 이때, 각각의 웨이퍼들의 오프각(θ)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리콘 잉곳은 상기 [100]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슬라이싱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실리콘 잉곳은 [100]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오프각(θ) 만큼 경사지는 방향으로 슬라이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잉곳은 약 0.3° 내지 약 1.5°의 오프각(θ)을 가지도록 슬라이싱되어, 복수의 웨이퍼들(2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웨이퍼들(200)의 오프각(θ)은 약 0.3° 내지 약 1.5°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실리콘 잉곳은 약 0.3° 내지 0.7°의 오프각(θ)으로 경사지도록 슬라이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즉, 상기 웨이퍼들(200)의 오프각(θ)은 약 0.3° 내지 약 0.7°일 수 있다.
즉, 상기 오프각(θ)은 상기 실리콘 잉곳의 [001] 결정 방향과 슬라이싱되는 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상기 [001] 결정 방향은 [100] 평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즉, 상기 오프각(θ)은 상기 슬라이싱되는 면에 수직한 방향과 상기 [001] 결정 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이후,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연마 공정 등을 통하여, 추가 공정에 적합하도록 연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약 0.3° 내지 약 1.5°의 오프각(θ)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약 0.3° 내지 0.7°의 오프각(θ)을 가진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오프각(θ)은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상면 및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100] 평면 사이의 각도이다. 즉,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오프각(θ)은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한 직선 및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001] 결정 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즉,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오프각(θ)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x축 및 y축에 상관없이 틸트되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p형 실리콘 웨이퍼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n형 실리콘 웨이퍼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의 저항은 약 0.005Ω·㎝ 내지 약 0.02Ω·㎝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 상에 에피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에피층(210)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에피층(210) 성장 장치 내에 배치된다. 상기 에피층(210) 성장 장치는 히터(11) 및 서셉터(12)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11)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에 열을 가한다. 상기 서셉터(12)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에 열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에 소스 기체가 공급된다. 상기 에피층(210)을 성장시키기 위한 소스 기체는 사염화 규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피층(210)에 도펀트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로는 B2H6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소 기체가 캐리어 기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에피층(210)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도 p형 실리콘 웨이퍼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에피층(210)에는 n형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n형 실리콘 웨이퍼 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에피층(210)에는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피층(21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온도는 약 1100℃ 내지 약 1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피층(210)을 성장시키기 위한 공정 압력은 대기압일 수 있다. 상기 에피층(210)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은 실리콘 에피택셜 공정이다.
상기 에피층(210)은 에피택셜 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므로,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와 동일한 결정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에피층(210)의 오프각(θ)은 약 0.3° 내지 약 1.5°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에피층(210)의 오프각(θ)은 약 0.3° 내지 0.7°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피층(210)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피층의 저항은 약 1Ω·㎝ 내지 약 10Ω·㎝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피층(210)에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된다. 상기 에피층(210)에 선택적으로 저농도의 불순물이 주입되어, 상기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농도의 n형 불순물 및 p형 불순물이 서로 다른 깊이로 주입되어, 상기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다이오드(PD)는 저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211) 및 저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212)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에피층(210)에 다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피층(210)에 고농도의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부유 확산층(FD)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와 연결되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의 트랜지스터들이 상기 에피층(2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피층(210)에 리셋 트랜지스터, 셀렉트 트랜지스터 및 억세스 트랜지스터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는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 및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가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소오스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와 접속하고,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드레인은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접속한다.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는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의 드레인은 부유 확산층(FD, floating diffusion) 역할을 한다. 상기 부유 확산층(FD)은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 및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는 직렬로 접속된다. 즉,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서로 접속한다.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는 상기 전원 전압(Vdd)이 인가된다.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출력단(Out)에 해당하고,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선택 신호(Row)가 인가된다.
상술한 구조의 이미지 센서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를 턴 온(turn on)시켜 상기 부유 확산층(FD)의 전위를 상기 전원 전압(Vdd)과 동일하게 한 후에, 상기 리셋 트랜지스터를 턴 오프(turn off)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리셋 동작이라 정의한다.
외부의 광이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 입사되면, 상기 포토다이오드(PD)내에 전자-홀 쌍(EHP; electron-hole pair)들이 생성되어 신호 전하들이 상기 포토다이오드(PD)내에 축적된다. 이어서, 상기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x)가 턴 온됨에 따라 상기 포토다이오드(PD)내 축적된 신호 전하들은 상기 부유 확산층(FD)으로 출력되어 상기 부유 확산층(FD)에 저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유 확산층(FD)의 전위는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서 출력된 전하의 전하량에 비례하여 변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억세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가 변한다. 이때, 선택 신호(Row)에 의해 상기 셀렉트 트랜지스터가 턴 온되면, 데이타가 출력단(Out)으로 출력된다. 데이타가 출력된 후에, 화소(P)는 다시 리셋 동작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이러한 과정들을 반복하여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에피층(210) 상에 복수의 배선층들(310, 320, 330, 340)이 형성된다.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은 예를 들어, 제 1 배선층(310), 제 2 배선층(320), 제 3 배선층(330) 및 제 4 배선층(340)일 수 있다.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은 배선들 및 비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들은 각각의 배선층들(310, 320, 330, 340)에 포함되는 층간 절연막들 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배선층(310)은 제 1 배선들(311) 및 제 1 비아들(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배선층(320)은 제 2 배선들(321) 및 제 2 비아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배선층(330)은 제 3 배선들(331) 및 제 3 비아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4 배선층(340)은 제 4 배선들(341) 및 제 4 비아들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은 듀얼 다마신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은 층간 절연막에 홈을 형성하고, 홈에 구리 등과 같은 도전 물질을 채운 다음,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이 진행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 상에 지지기판(400)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기판(400)은 상기 에피층(210) 및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을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기판(400)은 상기 에피층(210) 및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 지지할 정도의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400)은 실리콘 기판, 금속 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가 제거된다.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기계적 공정 및 화학적 공정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는 기계적 절단 공정 이후, 에칭액에 의한 식각 공정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를 제거하기 위해서,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에피층(210) 아래에 컬러필터(500)가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500) 및 상기 에피층(210) 사이에 오버코팅층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500)는 유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500)는 특정 색의 광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500) 아래에는 마이크로 렌즈(600)가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600)는 리플로우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600)는 볼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상기 지지기판(400), 상기 지지기판(400) 아래에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 상기 배선층들(310, 320, 330, 340) 아래에 상기 에피층(210) 및 상기 에피층(210) 내에 상기 포토다이오드(PD)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에피층(210)의 오프각(θ)이 0.3° 내지 1.5이다. 상기 에피층(210)의 오프각(θ)이 위와 같을 때, 상기 에피층(210)은 결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고, 향상된 센싱 효율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에피층(210)에 다양한 이온이 주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피층(210)에 상기 포토다이오드(PD)가 형성되기 위해서, n형 불순물 및/또는 p형 불순물이 주입된다.
이와 같이 주입된 이온의 농도 및 깊이에 따라서, 상기 포토다이오드(PD)의 성능 및 특성이 결정된다. 이때, 상기 에피층(210)의 오프각(θ)을 미세하게 조절함에 따라서, 이온 주입 공정시 발생되는 디펙 및 특성 변화가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은 상기 오프각(θ)을 조절하여, 이온 주입 공정에서 발생되는 불량 또는 특성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상기 실리콘 웨이퍼(200)를 제거하고, 후면을 통하여 광이 입사된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짧은 경로로 상기 포토다이오드(PD)에 광을 입사시킬 수 있고, 향상된 센싱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예들
다양한 오프각을 가지는 약 300㎜의 직경을 가지는 실리콘 잉곳을 성장시킨 후, 이를 절단 및 연마 공정을 통하여, 실리콘 웨이퍼가 형성되었다. 이후, 사염화 규소를 소스 기체로, B2H6를 도펀트 기체로 사용하여, 상기 실리콘 웨이퍼 상에 약 의 두께를 가지는 에피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에피층에 n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포토다이오드가 형성되었다. 이후, 상기 에피층 상에 듀얼 다마신 공정에 의해서, 4개의 배선층들이 형성되었다. 이후, 최상 배선층에 지지기판인 웨이퍼가 접합되고, 상기 실리콘 웨이퍼가 제거된 후, 상기 에피층 아래에 컬러필터 및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었다.
결과
이와 같이, 오프각에 따른 형성된 에피층 및 이미지 센서들의 디펙 및 불량률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각이 약 0.3° 내지 약 0.7°일 때, 이미지 센서의 불량률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리콘 웨이퍼(200)
에피층(210)
배선층들(310, 320, 330, 340)
지지기판(400)
컬러필터(500)
마이크로렌즈(600)

Claims (12)

  1.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배선층;
    상기 배선층 아래에 배치되는 에피층; 및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는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층의 오프각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1.5°이고,
    상기 에피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제2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상에 배치되고 제3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2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1 도전형 불순물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이미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층의 오프각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0.7°인 이미지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층에 형성되고,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연결되는 트랜스퍼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층 아래에 배치되는 컬러필터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아래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층의 저항은 1Ω·㎝ 내지 10Ω·㎝인 이미지 센서.
  7. 오프각이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1.5°인 실리콘 웨이퍼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웨이퍼 상에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층에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층 상에 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배선층 상에 지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피층은 제1 도전형 불순물를 포함하고,
    상기 포토다이오드는,
    제2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불순물 영역 상에 배치되고 제3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제2 불순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불순물 영역은 상기 제1 도전형 불순물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를 제거한 후, 상기 에피층 아래에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아래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의 오프각은 [001] 결정 방향에 대하여 0.3° 내지 0.7°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웨이퍼의 저항은 0.005Ω·㎝ 내지 0.02Ω·㎝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층의 저항은 1Ω·㎝ 내지 10Ω·㎝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20021153A 2012-02-29 2012-02-29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53A KR101323001B1 (ko) 2012-02-29 2012-02-29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2/010241 WO2013129758A1 (ko) 2012-02-29 2012-11-29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US14/379,280 US20150014754A1 (en) 2012-02-29 2012-11-29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12012005958.1T DE112012005958T5 (de) 2012-02-29 2012-11-29 Bild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14559814A JP2015510275A (ja) 2012-02-29 2012-11-29 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280070992.4A CN104145337A (zh) 2012-02-29 2012-11-29 图像传感器以及制造该图像传感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53A KR101323001B1 (ko) 2012-02-29 2012-02-29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56A KR20130099556A (ko) 2013-09-06
KR101323001B1 true KR101323001B1 (ko) 2013-10-29

Family

ID=4908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3001B1 (ko) 2012-02-29 2012-02-29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14754A1 (ko)
JP (1) JP2015510275A (ko)
KR (1) KR101323001B1 (ko)
CN (1) CN104145337A (ko)
DE (1) DE112012005958T5 (ko)
WO (1) WO2013129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9350C2 (nl) * 2012-05-30 2013-10-09 Abc Invest Gmbh Samenstelling voor drukinkt en werkwijze voor het bedrukken van objecten.
CN114582902A (zh) * 2022-02-28 2022-06-03 华虹半导体(无锡)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其形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2122A (ja) * 1995-12-05 1997-06-20 Sumitomo Electric Ind Ltd Iii−v族化合物半導体ウェ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5826A (ko) * 2009-01-20 2010-07-29 소니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086706A (ja) * 2009-10-14 2011-04-28 Sumco Corp 裏面照射型固体撮像素子用エピタキシャ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5711A (ko) * 2010-03-19 2011-09-27 소니 주식회사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6891A (ja) * 1986-03-28 1987-10-05 Shin Etsu Handotai Co Ltd 半導体装置用基板
KR100790230B1 (ko) * 2001-11-27 2008-01-0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센서 제조 방법
KR100632463B1 (ko) * 2005-02-07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피택셜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미지센서의 제조 방법, 에피택셜 반도체 기판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센서
KR100775058B1 (ko) * 2005-09-29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JP4980665B2 (ja) * 2006-07-10 2012-07-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KR100825808B1 (ko) * 2007-02-26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후면 조명 구조의 이미지 센서 및 그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KR101033355B1 (ko) * 2008-09-30 2011-05-09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9661B2 (ja) * 2009-07-30 2012-09-19 信越半導体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1082443A (ja) * 2009-10-09 2011-04-21 Sumco Corp 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2122A (ja) * 1995-12-05 1997-06-20 Sumitomo Electric Ind Ltd Iii−v族化合物半導体ウェ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85826A (ko) * 2009-01-20 2010-07-29 소니 주식회사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1086706A (ja) * 2009-10-14 2011-04-28 Sumco Corp 裏面照射型固体撮像素子用エピタキシャ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5711A (ko) * 2010-03-19 2011-09-27 소니 주식회사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 방법,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14754A1 (en) 2015-01-15
CN104145337A (zh) 2014-11-12
JP2015510275A (ja) 2015-04-02
DE112012005958T5 (de) 2014-11-20
KR20130099556A (ko) 2013-09-06
WO2013129758A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6333B (zh) 固体摄像装置、其制造方法以及电子设备
EP203023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mage sensor using back-illuminated photodiode
TWI482299B (zh) 具有一環繞磊晶生長p或n層之奈米線結構光電二極體
TWI523211B (zh) 影像感測元件及其製作方法
CN107566764B (zh) 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8143142B2 (en) Method of fabricating epi-wafer, epi-wafer fabricated by the method, and image sensor fabricated using the epi-wafer
TW201218365A (en) Method of damage-free impurity doping for CMOS image sensors
JP2013016676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CN204966500U (zh) 图像传感器及其系统
TWI343122B (en) Image senso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US8576318B2 (en) Image sensor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TW201011906A (en) Image sensor with reduced red light crosstalk
CN101483183B (zh) 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1323001B1 (ko)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60099279A1 (en) Image sensor with deep wel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8173535B2 (en) Wafer structure to reduce dark current
CN101471366A (zh) 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CN206322694U (zh) 图像传感器像素的阵列和系统
TW201611256A (zh) 在影像感測器像素中之摻雜物組態
KR20110064097A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563299B (zh) Cmos图像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1241473B1 (ko)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N108400141A (zh) 具有反向倒置型源极跟随器的图像传感器
KR101025080B1 (ko)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KR100997353B1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