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2908B1 -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908B1
KR101322908B1 KR1020120136926A KR20120136926A KR101322908B1 KR 101322908 B1 KR101322908 B1 KR 101322908B1 KR 1020120136926 A KR1020120136926 A KR 1020120136926A KR 20120136926 A KR20120136926 A KR 20120136926A KR 101322908 B1 KR101322908 B1 KR 101322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ghting
lamp
wire
ad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헌 용 최
Original Assignee
볼티어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티어알앤디 filed Critical 볼티어알앤디
Priority to KR102012013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908B1/ko
Priority to JP2013053654A priority patent/JP5531316B2/ja
Priority to US13/846,572 priority patent/US9462643B2/en
Priority to EP20130160213 priority patent/EP2733836A3/en
Priority to CN201310148143.2A priority patent/CN10382543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908B1/ko
Priority to US14/823,672 priority patent/US9635720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및 직류를 동시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AC 및 DC 조명장치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각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조명기기의 수명을 연장하며, 전력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존의 교류전원용 조명기구와 LED 램프를 리모트 컨트롤로 제어할 수 있으며, 교류용과 직류용 조명기구를 필요에 따라 각각 또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고, 각 조명기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교류용 FAN의 속도를 리모트 컨트롤로 조정할 수 있다.
소프트 스타트로 교류용 조명기구를 보호하고, 순간적으로 흐르는 과전류를 방지하고, LED 램프의 밝기를 5단개로 조절하며, 부스트 업 기능으로 안정되게 직류전원을 공급한다.

Description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ADC POWER CONTROL MODULE FOR AC AND DC LAMP}
본 발명은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류 및 직류전원을 동시에 제공하면서도 과전류를 방지하고 필요한 부하의 정격전압을 유지하며 LED 조명기구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에 의한 개별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각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조명기기의 수명을 연장하며, 전력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대표적인 조명기구는 백열전구 및 형광등이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백열전구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은 형광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보통은 가정과 사무실에서 보통 한 개의 스위치에 여러 개의 전등이 연결되고 각 등에는 보통 24개의 형광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불필요한 조명으로 인하여 전기소모가 많은 실정으로, 전기를 절약하기 위해서 형광등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백열전구는 물론, 형광등의 교류조명장치는 기동시의 과전류에 의해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와 더불어, 조명기기의 수명이 단축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정책적으로 적력 소모량이 적은 LED 조명이 권장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LED 조명의 전원으로 AC 상용전원이 사용되고 있어서 기존의 조명 부하에 비해 전력 소모량이 적은 LED소자 자체로 인한 에너지절약 효과 이외에는 DC전원 사용시의 장점을 전혀 살릴 수 없는 전력공급 시스템으로 환경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AC 및 DC 전원용 조명장치의 전원을 종합적으로 제어하여, 각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함과 더불어 조명기기의 수명을 연장하며 전기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가 출원한 국내특허 출원번호 10-2012-0089039의 교류 및 직류 전원공급장치는 상용전원을 변환하여 교류 및 직류의 전원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AC 및 DC 전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적합한 조명부하용 전원제어장치의 후속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류 및 직류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하여, 각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조명기기의 수명을 연장하며, 전력의 소모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핫 와이어 L1(100), 뉴트럴 와이어 L2-1(110), 접지 와이어 L3(120)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및 직류전원을 인가받는 ADC 광모듈(220)과, 상기 핫 와이어 L1(100),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 상기 접지 와이어 L3(120)과 상기 ADC 광모듈(220)을 제어하는 파워스위치(250)와, 상기 ADC 광 모듈(220)을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270)과, 상기 ADC 광 모듈(220)로부터 인가받는 교류 램프(240)와 LED 램프(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리모트 컨트롤(270)은 IR 센서를 구동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가 내장되어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270)은 팬(FAN)의 전원을 구비하여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팬(FAN)의 속도는 속도 스위치 모듈을 통하여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핫 와이어 L1(100)과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 사이에는 상용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과 상기 접지 와이어 L3(120) 사이에는 직류 12V 또는 24V가 입력되어 정전이나 비상시에도 직류전원으로 LED Lamp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핫 와이어 L1(100)은 상기 교류 램프(240)의 출력단으로 인가되고,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에는 교류전원이 트라이악 소자 Q502의 T₂에 인가되어 게이트 전압에 의하여 T₁을 통하여 AC파워 출력단자 후단에 구성되는 교류 램프(240)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류 및 직류 전원용전원제어장치"는, 직류전원을 LED조명 부하에 공급하고, 5단계로 나누어 전압과 전류를 조절하며, 자체 부스터회로를 내장시켜 전압강하를 막고, LED 조명에 안정되게 전원을 공급하므로 LED 수명을 높이고, 순차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올리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여 배터리 전원의 사용시간을 연장한다. 또한 처음 스위치를 온 시킬 때 흐르는 순간적인 과전류를 막아 조명회로를 보호해 준다.
교류조명도 또한 마찬가지로 소프트 스타트시켜서 부하회로의 피해를 방지하며, 리모컨은 공통 주파수를 선택하여 어느 곳에나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IR 빔(BIM)을 이용하여 수신범위를 선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같은 장소의 각 전등을 각각 필요한 밝기로 조절 사용할 수 있다. 즉 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불필요한 조명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킬 필요가 없이, 리모컨의 사용으로 간편히 각 전등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에너지 소비절감과 조명부하의 밝기를 원하는 조도로 쉽게 조절 가능한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교류 및 직류 전원용 전원제어장치"는, AC 및 DC 조명장치의 전원을 제어하여, 각 조명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조명기기의 수명을 연장하며, 전기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의 주변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의 일 사용 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국내특허 출원번호 10-2012-0089039의 교류 및 직류 전원공급장치와 같이 교류 및 직류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루너 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는, AC용과 DC용 전원으로 분리되어 배선되며, 각각의 배선에 접속되는 교류원 조명과 직류원 조명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IR센서를 구동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가 내장된 리모컨으로 각 조명을 독립적으로 제어 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스위치는 메인 스위치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옵션으로 천정용 팬의 전원을 구비하고 리모컨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팬에 장착된 속도 조절용 줄을 당겨서 팬의 속도를 조정하는 불편을 덜 수 있도록 하였다.
LED 조명과 같은 직류원 조명용 전원으로는, DC12V 전원을 사용하여 높은 전압으로 인한 화재 또는 누전 피해를 줄이고, 딤머(Dimmer)회로를 사용하여 5단개로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초기 스위치를 온하면 1단계의 밝기로 시작되어, 필요에 따라 단계를 올려 밝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올리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여 배터리 전원의 사용시간을 연장한다. 또한 처음 스위치를 온시킬 때 흐르는 순간적인 과전류를 막아 조명회로를 보호해 준다.
백열전구와 형광등과 같은 교류원 조명용 전원은, 스위치를 ON 시킬 때 발생하는 순간 과전류를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과 순간적인 과전류로 조명부하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교류 및 직류 전원공급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과 직류전원이 ADC파워 입력단자 J501로 공급된다. 핫 와이어 L1(100)과 뉴트럴 와이어 L2-1 (110) 사이에는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과 접지 와이어 L3(120)에는 직류 12V 또는 24V가 입력되어 정전이나 비상시에도 직류전원으로 LED 램프가 점등된다.
L1 핫 와이어는 ADC파워 입력단자 J501에 입력되어 AC파워 출력단자 J402의 후단에 구성되는 AC 램프 출력 단으로 인가되고, 뉴트럴 와이어 L2-1은 교류전원이트라이악 소자 Q502의 T₂에 인가되고, 게이트의 전압에 의해 T₁으로 출력되어 AC 파워 출력단자 J402의 후단에 구성되는 AC램프로 출력된다.
또한 뉴트럴 와이어 L2-1과 접지 와이어 L3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전원은, 드라이브 IC U401로 강하시켜 VCC_8V로 공급하고, 드라이브 IC U402로 VCC_5V로 내부회로의 전원을 공급한다. LED 램프전원은 저항 R507를 통해 스위칭 소자Q501의 소스에 인가한다.
회로에 VCC_5V가 인가되면 다이오드 D402가 점등되어 사용가능 상태를 표시하고, 리모컨의 신호를 드라이브 IC U403을 통해 U404가 받으면, 다이오드 D401은 수신신호를 받았음을 순간적으로 표시하고, 드라이브 IC U404는 프로그램 된 신호를 각 단을 통해 출력하며, 드라이브 IC U404의 PB1 핀의 출력신호를 받아 드라이브 IC U501를 온시키고, 드라이브 IC U404의 PD6 핀의 신호는 스위칭 소자 Q401-Q402-Q403을 통해 드라이브 IC U501의 IADJ 핀의 전압을 조절하여 스위칭 소자 Q501의 소스에 인가된 직류전원을 게이트를 조정하여 드레인을 통해 출력하여 DC 출력단자 J502에 GND와 함께 LED 램프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U404의 PB0 핀의 전압은 교류용 램프의 온/오프 스위치 신호로 드라이브 IC U502를 통하여 트라이악 소자 Q502의 게이트를 조정하여 소프트 스타트 시키는 역할을 한다.
옵션으로 교류용 팬 사용시, 드라이브 IC U404의 Int1 핀은 스위칭 소자Q407-Q408-Q409를 통하고, T1 핀은 스위칭 소자 Q404-Q405-Q406을 통해 팬의 속도를 스피드 스위치 모듈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로 조정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20 : ADC 라이트 모듈 240 : AC 램프
250 : 파워 스위치 260 : LED 램프
270 : 리모트 제어

Claims (6)

  1. 핫 와이어 L1(100), 뉴트럴 와이어 L2-1(110), 접지 와이어 L3(120)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및 직류전원을 인가받는 ADC 광모듈(220);과
    상기 핫 와이어 L1(100),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 상기 접지 와이어 L3(120)과 상기 ADC 광모듈(220)을 제어하는 파워스위치(250);와
    상기 ADC 광 모듈(220)을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270);과
    상기 ADC 광 모듈(220)로부터 인가받는 교류 램프(240)와 LED 램프(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270)은 IR 센서를 구동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가 내장되어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270)은 팬의 전원을 구비하여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
  4. 상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속도는 속도 스위치 모듈을 통하여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와이어 L1(100)과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 사이에는 상용 교류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과 상기 접지 와이어 L3(120)사이에는 직류 12V 또는 24V가 입력되어 정전이나 비상시에도 직류전원으로 LED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와이어 L1(100)은 상기 교류 램프(240)의 출력단으로 인가되고, 상기 뉴트럴 와이어 L2-1(110)에는 교류전원이 트라이악 소자 Q502의 T₂에 인가되어 게이트 전압에 의하여 T₁을 통하여 AC파워 출력단자 후단에 구성되는 교류 램프(240)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 장치.
KR1020120136926A 2012-11-16 2012-11-29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Active KR10132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26A KR101322908B1 (ko) 2012-11-29 2012-11-29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JP2013053654A JP5531316B2 (ja) 2012-11-16 2013-03-15 直交流パワーブースターと、交流及び直流照明用電源制御装置
US13/846,572 US9462643B2 (en) 2012-11-16 2013-03-18 Alternating current (AC)-direct current (DC) power booster and AC-DC power control module for AC and DC illuminations
EP20130160213 EP2733836A3 (en) 2012-11-16 2013-03-20 Alternating current (AC)-direct current (DC) power booster and AC-DC power control module for AC and DC illuminations
CN201310148143.2A CN103825437B (zh) 2012-11-16 2013-04-25 Ac‑dc电力升压器及用于ac和dc照明的ac‑dc电力控制模块
US14/823,672 US9635720B2 (en) 2012-11-16 2015-08-11 Alternating current (AC)-direct current (DC) power booster and AC-DC power control module for AC and DC illumin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926A KR101322908B1 (ko) 2012-11-29 2012-11-29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908B1 true KR101322908B1 (ko) 2013-10-29

Family

ID=4963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926A Active KR101322908B1 (ko) 2012-11-16 2012-11-29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9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265B1 (ko) 2001-11-13 2004-03-30 장문환 일반/비상 겸용 형광램프 점등제어장치
JP2009515236A (ja) 2005-09-29 2009-04-09 オープンピー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制御された居住または非居住環境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20100121487A (ko) * 2008-02-12 2010-11-17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형광등 및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결합형 밸러스트 및 발광 다이오드와 그 구동 방법
JP2012523658A (ja) 2009-04-09 2012-10-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知的な照明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265B1 (ko) 2001-11-13 2004-03-30 장문환 일반/비상 겸용 형광램프 점등제어장치
JP2009515236A (ja) 2005-09-29 2009-04-09 オープンピー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制御された居住または非居住環境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KR20100121487A (ko) * 2008-02-12 2010-11-17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형광등 및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결합형 밸러스트 및 발광 다이오드와 그 구동 방법
JP2012523658A (ja) 2009-04-09 2012-10-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知的な照明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782B2 (en) Dimmable universal voltage LED power supply with regenerating power source circuitry and non-isolated load
US20100277070A1 (en) Scotopically enhanced emergency light and control thereof
CN103068123A (zh) 一种可调节光照强度的led灯
US9055650B2 (en) Energy saving dimmer for LED luminaire driver
US9516717B2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driver of the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illuminating system
WO2016187845A1 (en) Solid state lighting driver circuit with ballast compatibility
JP2016213140A (ja) 照明システム
KR100997539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KR20130118819A (ko) 광 조정 회로
US10045407B1 (en) Dual input voltage constant power indicator
KR101322908B1 (ko) 교류 및 직류 조명용 전원 제어장치
CN202708704U (zh) 多彩变色led灯具
KR20170130965A (ko) 다수의 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조도조절 조명장치
CN210518935U (zh) 灯具
KR101402411B1 (ko) 조명등용 젠더
KR102287080B1 (ko) Led 조명용 전원 장치
TWM460480U (zh) 插卡式模組led燈
KR101344568B1 (ko) Led 디밍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09025B1 (ko) Led 조명장치
KR200408107Y1 (ko) 연등 점등장치
KR20160141526A (ko) Led 조명 제어 모듈
KR101305083B1 (ko) 상용 트라이악 조광기에 호환가능한 엘이디 조명 조광제어시스템
KR101246384B1 (ko) 엘이디 조명기구의 제어장치
JP4442098B2 (ja) 照明装置
KR20160109752A (ko) Led 조명 디밍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