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43B1 - 전력 수신단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수신단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2843B1 KR101322843B1 KR1020110046188A KR20110046188A KR101322843B1 KR 101322843 B1 KR101322843 B1 KR 101322843B1 KR 1020110046188 A KR1020110046188 A KR 1020110046188A KR 20110046188 A KR20110046188 A KR 20110046188A KR 101322843 B1 KR101322843 B1 KR 101322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tifier
- resonator
- mosfet
- power
- conducto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219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the switches being synchronously commutated at the same frequency of the AC input volt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체적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공진기들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0)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쇼트키 다이오드의 등가 모델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 예에 따른 쇼트키 다이오드의 전류 대 전압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일 예에 따른 풀 브릿지 다이오드(full bridge diode) 정류 회로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다이오드 풀 브릿지 정류기(1400)의 구조이다.
도 15는 일 예에 따른 듀얼 다이오드 풀 브릿지 정류기(1400)의 강하 전압을 나타내는 전류 대 전압 커브의 그래프들이다.
도 16은 일 예에 따른 3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 병렬로 사용된 풀 브릿지 정류기 의 강하 전압을 나타내는 전류 대 전압 커브의 그래프들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다이오드 크로스 커플된(cross coupled) 트랜지스터(transistor; TR) 정류기(1700)의 구조이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듀얼 다이오드 풀 브릿지 정류기(1400) 및 듀얼 다이오드 크로스 커플된 TR 정류기(1700)의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신호 생성기(1010) + 전력 증폭기(1020) | 소스 공진기(1030) 투(to) 타겟 공진기(1040) | 정류기(1050) + DC/DC 변환기(1060) | 합계 |
85% | 90% | 80% | > 60% |
1700: 듀얼 다이오드 크로스 커플된 TR 정류기
Claims (15)
- 애노드는 RF-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DC+에 연결된 제1 정류부;
애노드는 RF+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DC+에 연결된 제2 정류부;
애노드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RF-에 연결된 제3 정류부; 및
애노드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RF+에 연결된 제4 정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제1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고,
상기 제2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제2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인, 정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은 2 개이고,
상기 제2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은 2 개인, 정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고,
상기 제4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인, 정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류부는 제1 N-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정류부는 제2 N-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1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소스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드레인은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소스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드레인은 상기 RF+에 연결된, 정류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MOSFET의 Ron 저항은 200mΩ 이하이고, 상기 제1 N-MOSFET의 입력 캐패시턴스는 300pF 이하이고, 상기 제2 N-MOSFET의 Ron 저항은 200mΩ 이하이고, 상기 제2 N-MOSFET의 입력 캐패시턴스는 300pF 이하인, 정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 및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된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정류기. - 전력을 수신하는 공진기;
상기 공진기로부터 RF+ 및 RF-를 통해 상기 수신한 전력을 제공받아 정류함으로써 정류된 전력을 생성하는 하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된 전력을 변환하여 변환된 전력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변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는,
애노드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DC+에 연결된 제1 정류부;
애노드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DC+에 연결된 제2 정류부;
애노드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RF-에 연결된 제3 정류부; 및
애노드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RF+에 연결된 제4 정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제1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고,
상기 제2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제2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인, 전력 수신단.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고,
상기 제4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인, 전력 수신단.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류부는 제1 N-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정류부는 제2 N-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1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소스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드레인은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소스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드레인은 상기 RF+에 연결된, 전력 수신단.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상기 DC+ 및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된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수신단. - 공진기가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정류기가 상기 공진기로부터 RF+ 및 RF-를 통해 상기 수신한 전력을 제공받아 정류함으로써 정류된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직류-직류 변환기가 상기 정류된 전력을 변환하여 변환된 전력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류기는,
애노드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DC+에 연결된 제1 정류부;
애노드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DC+에 연결된 제2 정류부;
애노드는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RF-에 연결된 제3 정류부; 및
애노드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캐소드는 상기 RF+에 연결된 제4 정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제1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고,
상기 제2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제2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인, 전력 수신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이고,
상기 제4 정류부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쇼트키 다이오드들인, 전력 수신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류부는 제1 N-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정류부는 제2 N-MOSFET을 포함하고,
상기 제1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소스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드레인은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N-MOSFET의 게이트는 상기 RF-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소스는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N-MOSFET의 드레인은 상기 RF+에 연결된, 전력 수신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상기 DC+ 및 상기 그라운드에 연결된 캐패시터
를 더 포함하는, 전력 수신 방법. -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 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188A KR101322843B1 (ko) | 2011-05-17 | 2011-05-17 | 전력 수신단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13/472,762 US8730697B2 (en) | 2011-05-17 | 2012-05-16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power recei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6188A KR101322843B1 (ko) | 2011-05-17 | 2011-05-17 | 전력 수신단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8321A KR20120128321A (ko) | 2012-11-27 |
KR101322843B1 true KR101322843B1 (ko) | 2013-10-28 |
Family
ID=4717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618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2843B1 (ko) | 2011-05-17 | 2011-05-17 | 전력 수신단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730697B2 (ko) |
KR (1) | KR10132284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88222B2 (en) * | 2011-11-17 | 2015-07-21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igh power factor single phase rectifier |
US10509091B2 (en) * | 2012-03-07 | 2019-12-17 | Colorado Seminary, Which Owns And Operates The University Of Denver | EPR methods and systems |
US11502551B2 (en) | 2012-07-06 | 2022-11-15 | Energous Corporation | Wirelessly charging multiple wireless-power receivers using different subsets of an antenna array to focus energy at different locations |
US10502797B2 (en) | 2012-07-19 | 2019-12-10 | Colorado Seminary, Which Owns And Operates The University Of Denver | Crossed-loop resonators |
US12000920B2 (en) | 2012-09-14 | 2024-06-04 | University Of Denver | Hall probe simulator circuit |
WO2014075103A1 (en) | 2012-11-09 | 2014-05-15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Smart rf lensing: efficient, dynamic and mobile wireless power transfer |
US11843260B2 (en) | 2012-11-09 | 2023-12-12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Generator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fer |
US11616520B2 (en) | 2012-11-09 | 2023-03-28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RF receiver |
JP5642243B1 (ja) * | 2013-10-04 | 2014-12-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整流装置 |
KR102280756B1 (ko) | 2013-11-22 | 2021-07-21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생성기 유닛 |
KR102367364B1 (ko) * | 2013-11-22 | 2022-02-23 |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능동 cmos 복원 유닛들 |
WO2016028939A1 (en) | 2014-08-19 | 2016-02-25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Wireless power transfer |
US9843198B2 (en) | 2015-03-25 | 2017-12-12 | Nxp B.V. | Voltage control using rectifying circuitry |
US12074452B2 (en) | 2017-05-16 | 2024-08-27 |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 Networked wireless charging system |
US11462949B2 (en) | 2017-05-16 | 2022-10-04 |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system |
US12074460B2 (en) | 2017-05-16 | 2024-08-27 | Wireless Electrical Grid Lan, Wigl Inc. | Rechargeable wireless power bank and method of using |
US10720797B2 (en) | 2017-05-26 | 2020-07-21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F lens focusing and tracking of wireless power recovery unit |
US10224905B1 (en) * | 2018-04-27 | 2019-03-05 | Realtek Semiconductor Corp. |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clock transmission |
US11018779B2 (en) | 2019-02-06 | 2021-05-25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estimating optimal phases to use for individual antennas in an antenna array |
WO2021055899A1 (en) * | 2019-09-20 | 2021-03-25 | Energous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of protecting wireless power receivers using multiple rectifiers and establishing in-band communications using multiple rectifiers |
KR102679814B1 (ko) | 2022-07-11 | 2024-07-01 |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 다중 전력 모드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980A (ko) * | 2005-11-22 | 2007-05-28 |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 트랜지스터에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구현된 고집적회로 |
US20100109443A1 (en) | 2008-07-28 | 2010-05-06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onic device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43193B2 (ja) | 1999-02-23 | 2006-02-08 | 松下電工株式会社 | 非接触電力伝達装置 |
EP1130752B1 (en) | 2000-02-24 | 2005-05-11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Non-contact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function of making load voltage constant |
US6841981B2 (en) * | 2002-04-09 | 2005-01-11 | Mstar Semiconductor, Inc. | Radio frequency data communication device in CMOS process |
JP4222115B2 (ja) | 2003-06-13 | 2009-02-1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非接触電力伝送装置 |
WO2005039028A2 (en) * | 2003-10-17 | 2005-04-28 | Firefly Power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power supply |
GB0517082D0 (en) * | 2005-08-19 | 2005-09-28 | Univ City Hong Kong | Auxiliary winding for improved performance of a planar inductive charging platform |
EP1909384A3 (en) * | 2006-10-06 | 2015-11-25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Rectifier circuit with variable capacitor,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for |
US20080290738A1 (en) * | 2007-05-23 | 2008-11-27 | Greene Charles E | Smart receiver and method |
KR100912063B1 (ko) | 2007-07-26 | 2009-08-12 | 한국전기연구원 | 듀얼 주파수 밴드를 이용한 고효율 무선 전력 전원 공급장치 |
US20090067198A1 (en) * | 2007-08-29 | 2009-03-12 | David Jeffrey Graham | Contactless power supply |
US8461817B2 (en) * | 2007-09-11 | 2013-06-11 | Powercas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o a load device |
US20090237029A1 (en) * | 2008-03-24 | 2009-09-24 | Spx Corporation | Inductive battery charger for service equipment |
US9130407B2 (en) | 2008-05-13 | 2015-09-08 | Qualcomm Incorporated | Signaling charging in wireless power environment |
US8901880B2 (en) * | 2008-08-19 | 2014-12-02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portable wireless power charging |
-
2011
- 2011-05-17 KR KR1020110046188A patent/KR10132284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5-16 US US13/472,762 patent/US873069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53980A (ko) * | 2005-11-22 | 2007-05-28 |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 트랜지스터에 프리휠링 다이오드가 구현된 고집적회로 |
US20100109443A1 (en) | 2008-07-28 | 2010-05-06 | Qualcomm Incorporated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lectronic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294054A1 (en) | 2012-11-22 |
KR20120128321A (ko) | 2012-11-27 |
US8730697B2 (en) | 2014-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2843B1 (ko) | 전력 수신단을 사용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373769B1 (ko) | 고효율 가변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 |
US11040631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power | |
KR101374691B1 (ko)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 |
KR101813262B1 (ko) | 히스테리시스를 사용하여 과전압, 과전류 및 과온도로부터 무선-커플된 전력 장치들을 보호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1859191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 |
KR101813129B1 (ko) |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 |
KR102028059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 장치 및 방법 | |
US9000620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divid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resonant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1896979B1 (ko) |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 |
EP2667328B1 (en) | B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
EP2824799B1 (en) | Power transmission system | |
KR101779344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 |
KR101726195B1 (ko) | 공진 전력 전달 시스템에서 공진 임피던스 트래킹 장치 및 방법 | |
KR101850527B1 (ko) | 휴대용 디바이스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 |
US9276433B2 (en) | Robot clea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having a wireless electric power charge function | |
KR101809466B1 (ko) | 고효율 가변전력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
KR101382213B1 (ko)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
KR20120019578A (ko) |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 |
KR20120102316A (ko) |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 |
US9124115B2 (en) | High efficiency rectifier, wireless power receiver including the rectifier | |
KR101952604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 |
KR20120128547A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수신단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8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