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509B1 -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2509B1 KR101322509B1 KR1020060131014A KR20060131014A KR101322509B1 KR 101322509 B1 KR101322509 B1 KR 101322509B1 KR 1020060131014 A KR1020060131014 A KR 1020060131014A KR 20060131014 A KR20060131014 A KR 20060131014A KR 101322509 B1 KR101322509 B1 KR 101322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txop period
- ieee
- wlan
- tx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8)
- 복수의 스테이션(QSTA : Quality of service aware STAtion)이 자신에게 할당된 TXOP 기간동안 플로우 또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도록 수락 제어를 수행하는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QSTA로부터 멀티미디어 플로우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플로우를 구성하는 프레임별로 상기 TXOP 기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플로우는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플로우의 프레임 구조를 근거로 스케쥴을 생성하고,상기 스케쥴에 따라 각 프레임에 대한 TXOP 기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의 프레임 구조는상기 QSTA로부터 전송되는 TXOP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GOP(Group Of Picture) 정보로부터 추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별 TXOP 기간의 크기는I 프레임 > P 프레임 > B 프레임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I 프레임 > P 프레임 > B 프레임 순서로 우선순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별 TXOP 기간은[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수학식 1]의 ρ값이 상기 프레임별로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프레임별 TXOP 기간이 차별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수학식 1]L : Normal MSDU sizeSI : Service IntervalR : Physical Transmission RateM : Maximum Allowable size of MSDUO : Overhead in time unitsN: Number of normal MSDU in SIρ : Mean data rate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ρ값은I 프레임에 대해서는 Maximum frame size(Burst frame size: 가장 큰 프레임의 크기)를 적용하고, P 프레임에 대해서는 Mean frame size(평균 프레임의 크기)를 적용하고, B 프레임: Normal frame size(가장 작은 프레임의 크기, TXOP의 가장 작은 크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복수의 스테이션(QSTA : Quality of service aware STAtion)이 자신에게 할당된 TXOP 기간동안 플로우 또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도록 수락 제어를 수행하는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QSTA로부터 멀티미디어 플로우의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플로우를 구성하는 프레임별로 상기 TXOP 기간을 할당하는 제 1 과정;상기 각 프레임별로 할당된 상기 TXOP 기간에 대해 유휴 TXOP 기간이 발생하면 상기 유휴 TXOP 기간을 다음 순서로 전송받은 프레임의 TXOP 기간에 가산되도록 TXOP 기간을 할당하는 제 2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플로우는 I 프레임, P 프레임, 및 B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상기 플로우의 프레임 구조를 근거로 스케쥴을 생성하는 제 1-1 과정;상기 스케쥴에 따라 각 프레임에 대해 TXOP 기간을 할당하는 제 1-2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의 프레임 구조는상기 QSTA로부터 전송되는 TXOP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GOP(Group Of Picture) 정보로부터 추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별 TXOP 기간의 크기는I 프레임 > P 프레임 > B 프레임 순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I 프레임 > P 프레임 > B 프레임 순서로 우선순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별 TXOP 기간은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수학식 1]의 ρ값이 상기 프레임별로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프레임별 TXOP 기간이 차별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수학식 1]L : Normal MSDU sizeSI : Service IntervalR : Physical Transmission RateM : Maximum Allowable size of MSDUO : Overhead in time unitsN: Number of normal MSDU in SIρ : Mean data rate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ρ값은I 프레임에 대해서는 Maximum frame size(Burst frame size: 가장 큰 프레임의 크기)를 적용하고, P 프레임에 대해서는 Mean frame size(평균 프레임의 크기)를 적용하고, B 프레임: Normal frame size(가장 작은 프레임의 크기, TXOP의 가장 작은 크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상기 QSTA로부터 소정 프레임이 전송될 때 다음 순서로 전송될 프레임의 크기 정보를 전송받는 과정;상기 다음 순서로 전송될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프레임의 특성에 따라 할당된 TXOP 기간보다 크고 상기 현재 전송되는 프레임의 TXOP 기간에 유휴 TXOP 기간이 발생하면, 상기 유휴 TXOP 기간을 상기 TXOP 기간에 가산시켜 상기 다음 순서로 전송될 프레임에 대한 TXOP 기간을 할당하는 과정; 및상기 다음 순서로 전송될 프레임의 크기가 상기 프레임의 특성에 따라 할당된 TXOP 기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프레임의 특성에 따라 할당된 TXOP 기간을 상기 다음 순서로 전송될 프레임에 대한 TXOP 기간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I 프레임에 대한 SI(Service Interval)을 고정시켜 상기 I 프레임 SI을 근거로 I 프레임에 대한 TXOP 기간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I 프레임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1014A KR101322509B1 (ko) | 2006-12-20 | 2006-12-20 |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1014A KR101322509B1 (ko) | 2006-12-20 | 2006-12-20 |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7565A KR20080057565A (ko) | 2008-06-25 |
KR101322509B1 true KR101322509B1 (ko) | 2013-10-25 |
Family
ID=3980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1014A KR101322509B1 (ko) | 2006-12-20 | 2006-12-20 |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250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36448A1 (en) | 2003-08-11 | 2005-02-17 | Leeuwen Richard M. | Management of frame bursting |
JP2005065226A (ja) | 2003-07-31 | 2005-03-10 | Fujitsu Ltd | ワイヤレスlan用のメディア・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装置 |
WO2005122506A1 (en) | 2004-06-02 | 2005-12-22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
KR20060021843A (ko) * | 2003-05-16 | 2006-03-08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마스터―슬래이브 시스템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시스템 |
-
2006
- 2006-12-20 KR KR1020060131014A patent/KR101322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21843A (ko) * | 2003-05-16 | 2006-03-08 |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마스터―슬래이브 시스템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시스템 |
JP2005065226A (ja) | 2003-07-31 | 2005-03-10 | Fujitsu Ltd | ワイヤレスlan用のメディア・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装置 |
US20050036448A1 (en) | 2003-08-11 | 2005-02-17 | Leeuwen Richard M. | Management of frame bursting |
WO2005122506A1 (en) | 2004-06-02 | 2005-12-22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7565A (ko) | 2008-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01352B2 (ja) | スケジューラ・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
JP4690342B2 (ja) | リアルタイム通信のための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不定期省電力送出方法 | |
JP4733052B2 (ja) | リアルタイム通信のための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省電力送出方法 | |
US7808941B2 (en) | Dynamic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enhanced quality of service | |
JP4684776B2 (ja) | 共通無線チャネルによって接続された複数の局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を含む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チャネル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WO2016082220A1 (zh) | 多视频流的传输方法和设备 | |
Zhai et al. | Providing statistical QoS guarantee for voice over IP in the IEEE 802.11 wireless LANs | |
JP2007520106A (ja) | リアルタイム通信のための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ポール基礎省電力送出方法 | |
Inan et al. | An adaptive multimedia QoS scheduler for 802.11 e wireless LANs | |
Ghazisaidi et al. | VMP: A MAC protocol for EPON-based video-dominated FiWi access networks | |
Al-Maqri et al. | Feasible HCCA polling mechanism for video transmission in IEEE 802.11 e WLANs | |
Rao et al. |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gestion aware transmission opportunity scheduling scheme for 802.11 wireless LANs | |
Lagkas et al. | Priority-oriented adaptive control with QoS guarantee for wireless LANs | |
Luo et al. | An optimized scheduling scheme to provide quality of service in 802.11 e wireless lan | |
KR101322509B1 (ko) | Ieee 802.11 무선랜에서의 분산수락제어방법 | |
Yoon et al. | Dynamic admission control in IEEE 802.11 e EDCA-based wireless home network | |
KR20080049292A (ko) | IEEE 802.11e에서의 TXOP 할당방법 | |
Lagkas et al. | A new approach to the design of MAC protocols for wireless LANs: combining QoS guarantee with power saving | |
US2013021583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irness-assured quality of service in contention-based wireless network | |
KR20080048801A (ko) | Hcca 방식의 무선랜에서 txop 할당방법 | |
Montazeri et al. | An adaptive fair-distributed scheduling algorithm to guarantee QoS for both VBR and CBR video traffics on IEEE 802.11 e WLANs | |
Kim et al. | Channel time allocation scheme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in IEEE 802.11 e wireless LANs | |
Dridi et al. | Three scheduling-levels algorithm for IEEE 802.11 QoS efficiency improvement | |
Luo | A cross-layer design for video streaming over 802.11 e HCCA wireless network | |
WO2022044234A1 (ja) | 中継方法、及び中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