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2407B1 - 연막기 - Google Patents

연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407B1
KR101322407B1 KR20130076249A KR20130076249A KR101322407B1 KR 101322407 B1 KR101322407 B1 KR 101322407B1 KR 20130076249 A KR20130076249 A KR 20130076249A KR 20130076249 A KR20130076249 A KR 20130076249A KR 101322407 B1 KR101322407 B1 KR 10132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combustion tube
nozzle
conduit
disinfectant solu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태선
박미경
Original Assignee
박미경
염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경, 염태선 filed Critical 박미경
Priority to KR2013007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407B1/ko
Priority to PCT/KR2014/005426 priority patent/WO2015002395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 B05B7/16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the atomising fluid before mixing with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the atomising fluid before mixing with the material to be sprayed and heat being transferred from the atomising fluid to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2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spraying of the material involving the use of an atomising fluid, e.g. air comprising means for heating the atomising fluid before mixing with the material to be sprayed and heat being transferred from the atomising fluid to the material to be sprayed at the moment of mix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관의 2개소에서 각각 소독액을 선택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하나의 장비로 연무 및 연막 형태의 분출이 가능하게 하고, 선단부에는 분사유도관을 설치하여 미립자 형태로 분출되는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발생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연막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110);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120); 상기 연료통(12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130); 상기 본체(130)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본체(13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142)이 설치된 연소관(140); 및 상기 연소관(140)을 통해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소독액 이송수단(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막기{fogging machine}
본 발명은 연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비에서 연무 및 연막 형태의 분출이 가능하게 소독액의 투입 지점이 2개소에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분사유도관을 설치하여 미립자 형태로 분출되는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촉진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연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막기는 휴대용으로 제작되어 공장, 빌딩, 주택 등의 방역용이나 과수, 채소 등과 같은 경작지의 분무 소독 및 양돈, 낙농, 양계 등의 축사방역을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작업자가 연막기를 차량 또는 손수레에 탑재하거나 아니면 직접 들거나 메고 다니면서 방제 및 방역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연막기는 연료(휘발유, LPG, 경유, 등유)를 태워 소독액을 기화시키거나 증발시키는 방식과 가압 분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통상의 연막기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통상의 연막기에서 연료가 폭발되어 고열이 발생하여 연소관 내의 배기관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본체 내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통상의 연막기(10)는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11)와, 연료를 수용하기 위한 연료통(12)과, 연료통(12)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소독액 저장탱크(11)에 수용되는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13) 및 본체(13)에 결합되고, 내측에 본체(13)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연막화시키기 위한 배기관(14a)이 설치되는 연소관(1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상의 연막기(10)는, 연료탱크(12)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카브레타(미도시)를 작동시키면 공급받은 연료가 폭발을 일으키면서 고열이 발생하여 연소관(14) 내의 배기관(14a)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 고열의 일부는 소독액 저장탱크(11)로 이동하여 소독액을 포함하여 배기관(14a)으로 이동한다. 이후, 소독액 저장탱크(11)의 밸브를 열면 소독액이 이송관(15)을 통해 연소관(14)의 내부로 이동하여 카브레타로부터 폭발되는 고열과 만나 외부로 연막화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연막기(10)는 소독액을 연무화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연막화만 가능할 뿐 연무화 할 수 없음으로, 연무화를 위한 별도의 연무기를 구비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20-1997-0006014호, 연무 소독기.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관의 2개소에서 각각 소독액을 선택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 연무 및 연막 형태의 분출이 가능하게 하고, 선단부에는 분사유도관을 설치하여 미립자 형태로 분출되는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촉진시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연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110);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120); 상기 연료통(12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130); 상기 본체(130)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본체(13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142)이 설치된 연소관(140); 및 상기 연소관(140)을 통해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소독액 이송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소독액 이송수단(150)은;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 부위에서 연소관(140)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1노즐(151); 상기 제1노즐(151)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서 연소관(140)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2노즐(152); 상기 제1,제2노즐(152)을 통해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이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제1도관(153);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노즐(151)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2도관(154);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노즐(152)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3도관(155); 상기 제1도관(153)을 통해 이송되는 소독액이 상기 제2도관(154) 및 제3도관(155)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156);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부에는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될 수 있게 유도하는 분사유도관(1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노즐(151)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全)길이에 대하여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으로부터 1/5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하고, 상기 제2노즐(152)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全)길이에 대하여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으로부터 1/3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은; 상기 연소관(140)의 상부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유도관(160)은; 상기 연소관(140)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부에 동심원을 이루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후방은 경사부(162)를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62)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순환될 수 있게 한 통공(16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유도관(160)은;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가 와류될 수 있게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내부에 블레이드(166)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연소관의 2개소에서 각각 소독액을 선택적으로 투입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장비로 연무 및 연막 형태의 분출이 가능하여, 장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막기의 선단부에 분사유도관을 설치하여 미립자 형태로 분출되는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촉진시켜 연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연막기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통상의 연막기에서 연료가 폭발되어 고열이 발생하여 연소관 내의 배기관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본체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막기의 선단부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표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막기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분사유도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분사유도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의 일예를 나타내기 위해 블레이드를 일측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막기(100)는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110)와,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120)과, 상기 연료통(12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130) 및 상기 본체(130)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본체(13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142)이 설치된 연소관(1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막기(100)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 내용이며, 이에 대한 작동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막기(100)에는 상기 연소관(140)을 통해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하는 소독액 이송수단(150)이 구비되며, 상기 소독액 이송수단(150)은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소독액 이송수단(150)은,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 제1도관(153) 내지 제3도관(155) 및 밸브(15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이 제2도관(154)과 제3도관(155)에 너트로 결합되므로, 너트 부위를 지지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제1노즐(151)은 소독액이 연막 형태로 분출되도록 상기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을 투입시킬 수 있게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 부위에서 연소관(140)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노즐(151)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全)길이에 대하여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으로부터 1/5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노즐(152)은 소독액이 연무 형태로 분출되도록 상기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을 투입시킬 수 있게 상기 제1노즐(151)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위치에서 연소관(140)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노즐(152)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全)길이에 대하여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으로부터 1/3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소관(140)에 소독액이 투입되는 지점을 달리하여 연막 형태 혹은 연무 형태의 분출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연막기(100)는 연료탱크(12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카브레타(미도시)가 작동되면 공급받은 연료가 폭발을 일으키면서 고열이 발생하여 연소관(140) 내의 배기관(142)을 통해 이동하게 되고,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을 통해 연소관(140)의 내부로 투입되는 소독액이 고열과 만나 미립자 형태로 외부로 분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1노즐(151)을 통해 연소관(140)의 선단부 부위에 소독액이 투입되게 하는 경우와, 상기 제2노즐(152)을 통해 제1노즐(151)보다 뒤쪽 부위에서 소독액이 투입되게 하는 경우, 각각 투입되어 분출되기까지의 거리(연소관(140)의 선단에서부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이 설치된 거리)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차이로 인해 고열과 만나 변화되는 미립자의 크기도 달라지게 되어 연막 형태 혹은 연무 형태로 분출된다. 즉, 소독액이 연소관(140)의 내부로 분출되어 선단부를 통해 배출되기까지의 거리차로 인하여 고열과 오랜 시간 접촉하느냐 짧은 시간만큼만 접촉하느냐에 따라 미립자의 크가가 달라진다.
한편, 소독액이 연소관(140)의 앞쪽에서 투입되어 미립자로 변화될 때에는 고열과 짧은 시간 접촉되어 연막에 필요한 미립자가 10㎛로 형성되고, 그 뒤쪽에서 투입되어 미립자로 변화될 때에는 고열과 오랜 시간 접촉되어 연무에 필요한 미립자가 50㎛로 형성되어 분출된다.
또한, 소독액의 투입 지점을 달리하여 연무 형태로 분출시킬 때에는, 미립자 분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뒤에서 설명하는 분사유도관(160)에 의해 연무에 필요한 미립자의 크기로 변화시켜 연무 형태의 분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막 형태 혹은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하는 투입 지점, 즉 상기 제1,제2노즐(151,152)이 연소관(140)에 설치되는 가장 바람직한 지점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체 길이가 800mm 일 때, 연막을 위한 제1노즐(151)은 본체(110)로부터 530mm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투입되게 하고, 연무를 위한 제2노즐(152)은 본체(110)로부터 650mm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투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은, 상기 연소관(140)의 상부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의 선단은 연소관(14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소독액이 투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제1,제2노즐(151,152)을 통해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이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제1도관(153) 및 제3도관(155)이 설치된다.
상기 제1도관(153)은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도관(154) 및 제3도관(155)은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노즐(151) 및 제2노즐(152)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도관(153)을 통해 이송되는 소독액이 상기 제2도관(154) 및 제3도관(155)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밸브(156)가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156)는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막기(100)에는 분사유도관(160)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사유도관(160)은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될 수 있게 유도한다.
이와 같은 상기 분사유도관(160)은, 상기 연소관(140)의 직경 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부에 동심원을 이루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후방에는 경사부(162)를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62)에 외부 공기가 내부로 순환될 수 있게 한 통공(164)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64)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후방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어 전방으로 배출되게 순환된다. 즉, 상기 연소관(140)을 통해 분출되는 압에 의해 외부 공기가 분사유도관(160)의 후방에서 내부로 유입되어 전방으로 배출되게 순환되며, 이와 같이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연무를 도와 미립자 형태로 분출되게 한다.
또한,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내부에는 순환되는 공기가 와류될 수 있게 블레이드(166)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레이드(166)는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블레이드(166)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와류되어 분출되는 소독액이 연무 미립자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에 설치된 분사유도관(160)에 의해 본 발명의 연막기(100)에서 연무 형태로 분출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가 와류되게 유도함으로써 제2노즐(152)을 통해 투입된 소독액이 연무에 필요한 미립자 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166)가 날개 형상으로 형성됨에 의해, 그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와류되게 하고, 투입된 소독액이 미립자 상태로 변화될 때, 소독액의 기류현상을 촉진시켜 연무 미립자 50㎛로 변화시킴으로서, 연무 형태로 분출시킬 수 있다. 즉, 분사유도관(160)의 내부에서 와류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분출되는 미립자가 충돌, 분산되어 기류현상이 촉진됨으로써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할 수 있다.
통상 연막 분출시에는 경유와 소독액을 100: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고, 연무 분출시에는 물과 소독액을 100: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물과 경유의 비중차로 인해 완벽하게 연무화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내부에서 와류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소독액이 연무에 필요한 미립자로 변화시켜 분출되게 할 수 있다.
100 - 연막기 110 - 소독액 저장탱크
120 - 연료통 130 - 본체
140 - 연소관 142 - 배기관
150 - 소독액 이송수단 151 - 제1노즐
152 - 제1노즐 153 - 제1도관
154 - 제2도관 155 - 제3도관
156 - 밸브 160 - 분사유도관
164 - 통공 166 - 블레이드

Claims (5)

  1.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저장탱크(110);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120);
    상기 연료통(120)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소독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본체(130);
    상기 본체(130)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본체(130)에서 기화되는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관(142)이 설치된 연소관(140); 및
    상기 연소관(140)을 통해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소독액 이송수단(150);을 포함하고,
    상기 소독액 이송수단(150)은: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 부위에서 연소관(140)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1노즐(151);
    상기 제1노즐(15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서 연소관(140)의 내부로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상기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을 투입시킬 수 있는 제2노즐(152);
    상기 제1,제2노즐(151,152)을 통해 연소관(140)의 내부로 소독액이 투입될 수 있게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110)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로를 제공하는 제1도관(153);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노즐(151)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2도관(154);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노즐(152)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3도관(155);
    상기 제1도관(153)을 통해 이송되는 소독액이 상기 제2도관(154) 및 제3도관(155)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제1도관(153)으로부터 분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소독액의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156);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부에는 소독액이 연무 및 연막 형태로 분출될 수 있게 유도하는 분사유도관(160)이 설치되며,
    상기 제1노즐(151)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全)길이에 대하여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으로부터 1/5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막 형태로 분출되게 하고,
    상기 제2노즐(152)은 상기 연소관(140)의 전(全)길이에 대하여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으로부터 1/3 지점에 설치되어 소독액이 연무 형태로 분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151)과 제2노즐(152)은 상기 연소관(140)의 상부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관(160)은 상기 연소관(1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소관(140)의 선단부에 동심원을 이루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후방은 경사부(162)를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62)에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순환될 수 있게 한 통공(1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관(160)은;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가 와류될 수 있게 상기 분사유도관(160)의 내부에 블레이드(166)가 방사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기.
KR20130076249A 2013-07-01 2013-07-01 연막기 Active KR10132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249A KR101322407B1 (ko) 2013-07-01 2013-07-01 연막기
PCT/KR2014/005426 WO2015002395A1 (ko) 2013-07-01 2014-06-19 연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249A KR101322407B1 (ko) 2013-07-01 2013-07-01 연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407B1 true KR101322407B1 (ko) 2013-10-28

Family

ID=4963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249A Active KR101322407B1 (ko) 2013-07-01 2013-07-01 연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22407B1 (ko)
WO (1) WO201500239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997A (ko)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차량 탑재형 연막 소독기
KR20200053835A (ko)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인트비즈 휴대용 방제장치
KR20200118706A (ko)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인트비즈 휴대용 방제장치
KR20210045052A (ko) * 2019-10-16 2021-04-26 임형석 연막소독기
KR102248277B1 (ko) 2020-07-06 2021-05-04 주식회사 일광바이오 냉각부가 구비된 밴드장착형 연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0045B2 (en) 2017-11-21 2022-05-24 Techtronic Outdoor Products Technology Limited Cold fog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93Y1 (ko) * 1994-10-12 1997-03-24 오상근 젯트엔진식 분무기의 노즐구조
KR100651083B1 (ko) 2005-12-13 2006-11-30 홍기술 약액분사용 노즐
KR200449329Y1 (ko) 2009-10-09 2010-07-01 하상수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형소독기
KR101079206B1 (ko) *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7459A1 (de) * 2006-08-10 2008-02-14 Andreas Stihl Ag & Co. Kg Tragbares Sprühgerä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93Y1 (ko) * 1994-10-12 1997-03-24 오상근 젯트엔진식 분무기의 노즐구조
KR100651083B1 (ko) 2005-12-13 2006-11-30 홍기술 약액분사용 노즐
KR101079206B1 (ko) * 2009-07-21 2011-11-03 홍기술 약액분사노즐의 와류형성구
KR200449329Y1 (ko) 2009-10-09 2010-07-01 하상수 연막 및 연무겸용 휴대형소독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1997A (ko)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차량 탑재형 연막 소독기
KR20200053835A (ko) 2018-11-09 2020-05-19 주식회사 인트비즈 휴대용 방제장치
KR20200118706A (ko)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인트비즈 휴대용 방제장치
KR20210045052A (ko) * 2019-10-16 2021-04-26 임형석 연막소독기
KR102325387B1 (ko) * 2019-10-16 2021-11-10 임형석 연막소독기
KR102248277B1 (ko) 2020-07-06 2021-05-04 주식회사 일광바이오 냉각부가 구비된 밴드장착형 연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2395A1 (ko) 2015-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407B1 (ko) 연막기
CN101965824B (zh) 一种喷气式烟雾喷药机
CN101371943A (zh) 车载超细水雾灭火装置
KR101485706B1 (ko) 압축식 약액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포그 분사형 반자동 방역기
WO2009157803A8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аэрозолирования
CN102872994A (zh) 远程风送喷雾喷烟机
KR102097910B1 (ko) 드론에 장착되는 방역장치
CN201938263U (zh) 一种喷气式烟雾喷药机
KR101042853B1 (ko) 초미립자 분무기
KR20200052623A (ko) 무선 소독분무기용 노즐장치
JP2018012676A (ja) 匍匐害虫駆除用エアゾール製品及び匍匐害虫駆除方法
CN102630660B (zh) 一种生物农药喷洒装置
CN105724351A (zh) 一种园林打药机
CN203829511U (zh) 成品卷烟高架库的消防安全系统
CN201279362Y (zh) 车载超细水雾灭火装置
CN202715498U (zh) 远程风送喷雾喷烟机
CN203482795U (zh) 一种烟雾机供药装置
KR102001098B1 (ko) 초미세 노즐을 구비하는 약제 공급 장치
KR102550773B1 (ko) 방역기
CN104115808A (zh) 一种烟雾机点火系统
CN109432666A (zh) 一种高压水雾与干粉混合喷射灭火系统
KR101927882B1 (ko) 차량 탑재형 연막소독기의 원격 제어장치
KR101867964B1 (ko) 차량 탑재형 연막 소독기
KR200469766Y1 (ko) 휴대용 연무기
KR101042854B1 (ko) 연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