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2211B1 - 사물함의 경첩 - Google Patents

사물함의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211B1
KR101322211B1 KR1020120020231A KR20120020231A KR101322211B1 KR 101322211 B1 KR101322211 B1 KR 101322211B1 KR 1020120020231 A KR1020120020231 A KR 1020120020231A KR 20120020231 A KR20120020231 A KR 20120020231A KR 101322211 B1 KR101322211 B1 KR 10132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hinge
locker
extension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599A (ko
Inventor
김두철
Original Assignee
김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철 filed Critical 김두철
Priority to KR102012002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2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 본체의 내측 상부 모서리 및 내측 하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본체브래킷에 사물함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판을 마련하고 이 연장판에 도어의 상하단 모서리에 마련된 도어브래킷이 힌지축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최대한 많이 열려 사물함 본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본체브래킷의 연장판과 도어브래킷의 사이에는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를 구속하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도어가 스스로 열려 본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한 사물함의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체결 고정되는 한쌍의 본체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각 본체브래킷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여닫는 도어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체결고정되는 한쌍의 도어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되는 연장판에 근접되어 힌지축으로 체결되는 사물함의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과 상기 도어브래킷의 근접된 사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힌상태 및 최대한 열린상태가 탄성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사물함의 경첩{The locker hinge}
본 발명은 사물함의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최대한 많이 열려 물건을 수납하는데 편리하고 또한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면 스프링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물함에서 도어가 돌출되지 않으므로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사물함의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주로 학교나 공공장소에 구비되는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사물함이 종횡으로 다수개 나열된 것이다. 이러한 사물함은 여닫이식 도어를 갖는데, 도어는 사물함의 내측 상부 모서리 및 내측 하부 모서리에 고정된 경첩에 힌지핀으로 결합된다.
종래 특허 제941461호는 사물함 경첩에 관한 것인데, 사물함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브래킷과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브래킷이 힌지핀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핀에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가압부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사물함 경첩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힌지핀의 외주면에 스프링으로 가압되는 가압부를 설치해야 되므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으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그 열린상태를 스프링으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상기 스프링이 닫힌 상태만 구속하는 한가지 기능밖에 할 수 없었다.
종래 특허공개 제2009-0092647호는 스프링에 의해 도어의 열린상태 및 닫힌상태가 구속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도어의 열림량이 120도 정도로 제한되므로 사물함 본체에서 도어가 돌출된 상태로 열리기 때문에 좁은 복도에 사물함이 설치되면 보행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함 본체의 내측 상부 모서리 및 내측 하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본체브래킷에 사물함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판을 마련하고 이 연장판에 도어의 상하단 모서리에 마련된 도어브래킷이 힌지축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최대한 많이 열려 사물함 본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본체브래킷의 연장판과 도어브래킷의 사이에는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를 구속하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도어가 스스로 열려 본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한 사물함의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체결 고정되는 한쌍의 본체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각 본체브래킷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본체를 여닫는 도어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체결고정되는 한쌍의 도어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되는 연장판에 근접되어 힌지축으로 체결되는 사물함의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과 상기 도어브래킷의 근접된 사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힌상태 및 최대한 열린상태가 탄성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첩을 구성하는 본체브래킷에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판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판에 도어브래킷이 힌지축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도어가 열리면 180도까지 최대한 많이 열리므로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본체에서 돌출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브래킷의 연장판과 도어브래킷의 수평부 사이에는 지그재그식으로 절곡된 스프링이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링은 본체브래킷과 도어브래킷의 사이 틈새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상기 스프링은 도어가 닫히거나 최대한 열린 상태에서 탄성이 최대로 작용하는데, 도어가 중간 정도 열리면 최대한 압축된 상태가 되고 이후 닫히거나 최대한 열리면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가 닫히거나 최대한 열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도어의 처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사물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경첩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스프링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경첩의 조립상태 일부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경첩은 본체(10)의 내측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되는 "ㄱ"자 형태의 본체브래킷(1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를 여닫는 도어(20)에도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나사못으로 체결 고정되는 "ㄱ"자 형태의 도어브래킷(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의 본체브래킷(11)에는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판(12)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상,하측으로 돌출된 연장판(12)의 사이로 상기 도어브래킷(21)이 끼워져서 힌지축(30)으로 결합되어 도어(20)가 회동식으로 여닫힌다. 따라서 도어(20)는 180도까지 최대한 많이 개방된다.
상기 본체브래킷(11)의 연장판(12) 및 해당 도어브래킷(21)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스프링(40)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40)은 지그재그로 절곡될 때 양쪽으로 반원호형의 절곡부(40a)가 반복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40)은 한쪽 끝단이 도어브래킷(21)의 수평부에 도어힌지부(41)로 연결되고, 반대쪽 끝단은 본체브래킷(11)의 연장판(12)에 본체힌지부(42)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힌지부(42)는 상기 본체(10)에서 최대한 떨어지게 상기 힌지축(30)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데, 본체(10)에서 최대한 멀어진 지점에 위치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스프링(40)이 작동된다. 먼저 도어(20)가 닫히면 도어힌지부(41)가 힌지축(30) 및 본체힌지부(42)에서 최대한 벌어진 상태가 되고 또한 본체힌지부(42)는 힌지축(30)과 동심원을 이루면서 본체(10)에서 최대한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40)은 벌어지는 쪽으로 힘을 받는데, 상기 본체힌지부(42)는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도어힌지부(41)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해 도어(20)가 닫히는 쪽으로 힘을 받아 스스로 열리지 않는다.
도어(20)가 180도 까지 최대한 많이 열리면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의 반대위치에 놓이는데, 이때도 스프링(40)의 벌어지려는 탄성에 의해 도어(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도어(20)가 최대한 압축되는 시점은 도어(20)가 90도 정도 열려진 상태인데, 이때 도어힌지부(41)와 본체힌지부(42)가 최대한 근접되면서 이들 사이에 놓인 스프링(40)이 활처럼 휘면서 최대한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40)은 탄성을 갖는 강선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양쪽으로 다수의 반원호형 절곡부(40a)가 반복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어(20)가 90도 정도 열리면 한쪽의 절곡부(40a)들은 그 사이 간격이 좁혀지고 반대쪽의 절곡부(40a)들은 그 사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스프링(40)이 활처럼 휘면서 압축된다. 따라서 도어(20)는 90도 정도 열린 상태에서 완전히 닫히거나 또는 완전히 열려지면, 활처럼 휘면서 압축되었던 스프링(40)의 절곡부(40a)들 간격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그 복원력에 의해 도어(20)는 닫히거나 또는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10 : 본체 11 : 본체브래킷
12 : 연장판 20 : 도어
21 : 도어브래킷 30 : 힌지축
40 : 스프링 40a : 절곡부
41 : 도어힌지부 42 : 본체힌지부

Claims (2)

  1. 본체(10)의 내측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체결 고정되는 한쌍의 본체브래킷(11)이 구비되고, 상기 각 본체브래킷(11)에서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판(12)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본체(10)를 여닫는 도어(20)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체결고정되는 한쌍의 도어브래킷(21)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되는 연장판(12)에 근접되어 힌지축(30)으로 체결되는 사물함의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12)과 상기 도어브래킷(21)의 근접된 사이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스프링(40)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20)의 닫힌상태 및 최대한 열린상태가 탄성에 의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40)의 한쪽 끝단은 상기 도어브래킷(21)에 도어힌지부(41)로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40)의 반대쪽 끝단은 상기 연장판(12)에 본체힌지부(42)로 연결되는데,
    상기 본체힌지부(42)는 상기 본체(10)에서 최대한 떨어지게 상기 힌지축(30)과 동일선상에 놓여서, 상기 도어(20)가 중간정도 열리면 상기 도어힌지부(41) 및 본체힌지부(42)가 최대로 근접되어 스프링(40)이 활처럼 휘면서 압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의 경첩.
KR1020120020231A 2012-02-28 2012-02-28 사물함의 경첩 Expired - Fee Related KR10132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31A KR101322211B1 (ko) 2012-02-28 2012-02-28 사물함의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231A KR101322211B1 (ko) 2012-02-28 2012-02-28 사물함의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599A KR20130098599A (ko) 2013-09-05
KR101322211B1 true KR101322211B1 (ko) 2013-10-28

Family

ID=4945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2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2211B1 (ko) 2012-02-28 2012-02-28 사물함의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2555B1 (ko) 2024-04-16 2025-05-07 (주) 휴코스 사물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894B1 (ko) * 2017-08-22 2019-03-06 김두철 가구용 하부경첩
KR101954898B1 (ko) * 2017-08-22 2019-03-06 김두철 가구용 상부경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874A (ja) * 1982-03-05 1983-09-13 クラ−ク・エクイプメント・コンパニ− ドア・ヒンジ機構
KR20080004275U (ko) * 2007-03-28 2008-10-02 삼흥정공 주식회사 사물함의 문 자동 닫힘 장치
JP2009030873A (ja) * 2007-07-26 2009-02-12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KR20090092647A (ko) * 2008-02-27 2009-09-01 김판중 학생용 사물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3874A (ja) * 1982-03-05 1983-09-13 クラ−ク・エクイプメント・コンパニ− ドア・ヒンジ機構
KR20080004275U (ko) * 2007-03-28 2008-10-02 삼흥정공 주식회사 사물함의 문 자동 닫힘 장치
JP2009030873A (ja) * 2007-07-26 2009-02-12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
KR20090092647A (ko) * 2008-02-27 2009-09-01 김판중 학생용 사물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2555B1 (ko) 2024-04-16 2025-05-07 (주) 휴코스 사물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599A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1283B2 (en) Snap hinge with damped closing
US10669760B2 (en) Snap-acting hinge with damped closure and opening angle of more than 90°
CN105197380B (zh) 一种翻转锁止结构
EP1736627A2 (en) Sprung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EP1741860A1 (en) Snap hinge for supporting a closure element
US9816302B2 (en) Concealed external hinge with 180 degree rotation
US9752374B2 (en) Assembly having liftable lid and movable hinge module thereof
US11753857B2 (en) Hing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hinged doors of furniture
WO2013079066A3 (en) A child safety gate
KR101322211B1 (ko) 사물함의 경첩
CN108005500B (zh) 定位限位锁
ITUB20159274A1 (it) Cerniera a perno unico perfezionata e metodo di funzionamento di tale cerniera
MX2020007186A (es) Dispositivo de bloqueo para un armario de conexiones y un armario de conexiones correspondiente.
WO2014127846A1 (en) Cooling device hinge mechanism
KR101557682B1 (ko)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KR101319557B1 (ko) 자동문의 비상개방장치
JP6800477B2 (ja) 指挟み防止機能付き引戸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CN105764282A (zh) 电控箱及其箱体
ATE485436T1 (de) SCHLIEßRAHMEN EINER SCHIEBETÜR ODER EINES SCHIEBEFENSTERS, DER EINEN VERDECKTEN PFOSTEN UMFASST
KR200418448Y1 (ko) 전기 콘트롤박스용 차단지지편
US20150284152A1 (en) Hinge segment with integrated security tab
US1231526A (en) Gate or door closing device.
RU2013152724A (ru) Дверная петля
JP2007138694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