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588B1 - Spline for cars with a prevention of time secession function of the assembling - Google Patents
Spline for cars with a prevention of time secession function of the assemb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1588B1 KR101321588B1 KR1020120071839A KR20120071839A KR101321588B1 KR 101321588 B1 KR101321588 B1 KR 101321588B1 KR 1020120071839 A KR1020120071839 A KR 1020120071839A KR 20120071839 A KR20120071839 A KR 20120071839A KR 101321588 B1 KR101321588 B1 KR 101321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shaft
- shaft portion
- spline
- receiving
-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6—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including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ircumferential groove in the surface of one of the coupling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시키기 위한 조립 고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 상기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장착 후에는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립 공정 후, 스플라인을 이동하는 중에 주축부가 부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에는 수용홈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주축부와, 상기 주축부의 삽입부에 요설된 수용홈에 삽입 및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탈방지용링과, 상기 이탈방지용링이 수용홈에 삽입된 주축부의 삽입부를 일단 내측으로 슬라이드 수용시켜 연결되는 공정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 삽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결된 스플라인을 차량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연결시에는 주축부의 삽입부가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수용부를 갖되, 상기 수용부의 나사홈 내측 끝단부에는 다수의 단턱걸림홈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부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and an object thereof is that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is accommodated by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when the spline is moved in another process after the assembly fixing for sliding inse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minor shaf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shaft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inor shaft portion during the spline movement after the assembly process by preventing the componen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ortion and allow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to be slidably moved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fter the vehicle is mounted.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the purpose is to insert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in the main shaft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ss groove, and the insertion and removal in the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Detachment ring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is provided to enable the receiving groove After inserting the inserted spindle part into the insert part, the insert part slides inward and prevents the insertion part from being separated when moving to the next step, and when the connected spline is connected to a system requiring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One side has a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screw groove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response to the change, and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inner portion of the screw groove of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grooves formed in a plurality of stag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플라인 조립공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키는 중에 스플라인의 삽입부가 수용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빠지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spline assembly process,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pline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out of the receiving portion while moving the spline to another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to prevent an accident in advance.
일반적으로 차량의 동력 전달계통에는 엔진의 회전축을 구동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각종 회전축들이 배치된다. In general, various rotation shafts are arranged in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the vehicle to transmit the rotation shaft of the engine to the driving wheel.
상기한, 회전축은 회전력 전달 과정에서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플라인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shaft is connected by the spline joint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change in length i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process.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구조는 특허출원번호 10-2000-0074805호에 개재된 바 있다.This conventional general spline connection structure has been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74805.
즉, 종래의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102)의 끝부위에 외측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기어치(104)가 형성되는 스플라인 로드부(106)와,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연결되는 부축(110)의 끝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스플라인 로드부(10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형태이고, 내측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기어홈(112)이 형성되는 스플라인 삽입부(114)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nventional general spline connection structure is a plurality of gear teeth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t the end of th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구조는 상기 스플라인 로드부(106)를 스플라인 삽입부(114)에 삽입시키면 기어치(104)가 기어홈(112)에 기어 물림되어 주축(102)의 회전력을 부축(110)으로 전달함과 아울러 스플라인 로드부(106)가 스플라인 삽입부(11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길이변화에 대응한다.In the conventional general spline connection structure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구조는, 주축의 스플라인 로드부가 부축의 스플라인 삽입부로부터 빠지는 방향 즉, 도 1에서 주축이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주축의 스플라인 로드부가 부축의 스플라인 삽입부에 걸림됨 없이 연결되므로 차량의 조립 공정라인에서 주축의 스플라인 로드부가 부축의 스플라인 삽입부에 삽입되는 공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키는 중에 주축의 스플라인 로드부가 부축의 스플라인 삽입부로부터 빠지는 일이 종종 발생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general spline connection structure made in this way, when the main axis of the spline rod part is pulled out of the spline insertion part of the sub-axis, that is, the main axis slides to the left in FIG. Since the spline rod part of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to the spline insert of the sub shaft in the assembly process line of the vehicle, the spline rod part of the main shaft often falls out of the spline insert of the sub shaft while moving the spline to another proces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afety accident of the worker occurs frequently.
아울러, 주축의 스플라인 로드부가 부축의 스플라인 삽입부에 삽입되는 공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키는 중에 주축의 스플라인 로드부가 부축의 스플라인 삽입부로부터 빠지므로 인해, 차량의 조립공정 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pline rod portion of the main shaft is removed from the spline insertion portion of the minor shaft while the spline rod portion of the main shaft is inserted into the spline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ary shaft, the spline rod portion of the main shaft is removed from the spline insertion portion of the secondary shaft while moving the spline to another process.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tak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시키기 위한 조립 고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 상기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장착 후에는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립 공정 후, 스플라인을 이동하는 중에 주축부가 부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fter the assembly fixed to slid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inor shaft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of the minor shaft portion when the spline is moved in another process After the vehicle is mounted, the insert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abl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length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ub shaft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main shaft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b shaft por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pline after the assembling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departure-avoidance function during assembly, which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에 있어서, 일단이 차량의 엔진 시스템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기어부를 갖는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에는 수용홈이 원주방향으로 요설되어 구비되는 주축부와; 상기 주축부의 삽입부에 요설된 수용홈에 삽입 및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탈방지용링과; 상기 이탈방지용링이 수용홈에 삽입된 주축부의 삽입부를 일단 내측으로 슬라이드 수용시켜 연결되는 공정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 삽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결된 스플라인을 차량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연결시에는 주축부의 삽입부가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수용부를 갖되, 상기 수용부의 나사홈 내측 끝단부에는 다수의 단턱걸림홈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부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and is rotated by a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and the other end is axial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insertion part having a gear part is integrally formed, and the insertion part includes a main shaft part having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eparation prevention ring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recess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A system that requires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insertion part from being detached when moving to the next process after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release preventing ring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to the inside once; At the time of connecti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has a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screw groove on one surface so as to be movable in response to a change in length, and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screw groove of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epped grooves formed in multiple stages.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에 따르면,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시키기 위한 조립 고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 상기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장착 후에는 주축부의 삽입부가 부축부의 수용부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립 공정 후, 스플라인을 이동하는 중에 주축부가 부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주축부가 부축부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발생되는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when the spline is moved to another process after the assembly fixed to slid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inor shaf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shaf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shaft while the spline is moved after the assembly process by preventing the detachment from the housing and preventing the insertion of the main shaft after the vehicle is mounted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the length of the main shaft.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o the worker in advanc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caused when the main shaf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inor shaft portion in advan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플라인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을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의 조립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general spline connection structure.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function du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a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 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100)은,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에 슬라이딩 삽입시키기 위한 조립 고정 후, 다른 공정으로 스플라인을 이동시 상기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이탈 즉,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장착 후에는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As shown in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110)은, 타단에 삽입부(111)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11)에는 수용홈(112)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주축부(110)와, 상기 주축부(110)의 삽입부(111)에 요설된 수용홈(112)에 삽입되도록 일부가 절단되어 축경 및 확경가능하도록 "C"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이탈방지용링(130)과, 상기 이탈방지용링(130)이 수용홈(112)에 삽입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를 일단 내측으로 슬라이드 수용시켜 연결되는 공정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 삽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결된 스플라인을 차량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연결시에는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일면에는 나사홈(151a)이 형성된 수용부(151)를 갖되, 상기 수용부(151)의 나사홈(151a) 내측 끝단부에는 다수의 단턱걸림홈(152,153)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부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at is, the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보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vehicle spline having a departure-avoidance function dur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100)의 주축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차량의 엔진 시스템과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연결되는 부축부(150)에 길이변화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Firs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즉, 상기한 주축부(110)는 차량의 엔진 시스템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기어부(111a)를 갖는 삽입부(111)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11)에는 상기 부축부(150)의 수용부(151)에 삽입 연결을 위한 공정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 주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삽입부(11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플라인(100)을 차량에 장착시에는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탈방지용링(13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2)이 원주방향으로 요설되어 구비된다. That is, the
상기한 이탈방지용링(130)은, 상기 주축부(110)의 삽입부(111)에 형성된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주축부(110)가 부축부(150)와 연결되는 조립 공정에서는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플라인(100)이 이동하는 중에 주축부(110)가 부축부(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절단되어 축경 및 확경가능하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The
상기한 부축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용링(130)이 수용홈(112)에 삽입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를 일단 내측으로 슬라이드 수용시키도록 나사홈(151a)을 형성하되, 수용홈(151a)의 내주면에는 조립을 위해 공정 이동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에 형성된 수용홈(112)에 삽입된 이탈방지용링(130)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여 주축부(110)의 삽입부(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에 설치후에는 이탈방지용링(130)이 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내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즉, 상기한 부축부(150)는 이탈방지용링(130)이 삽입된 삽입부(111)를 슬라이드 수용시키도록 일면에는 나사홈(151a)이 형성된 수용부(151)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51)의 나사홈(151a) 내부 끝단부에는 압축되면서 수용홈(112)에 삽입된 이탈방지용링(130)의 외측면 일부를 수용하여 걸림시키는 것에 의해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나사홈(151a)보다 확경된 제1단턱걸림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걸림홈(152) 후단에는 차량에 스플라인(100)을 설치함에 따른 이탈방지용링(130)이 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탈된 이탈방지용링(130)을 걸림 고정시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1)의 수용부(151)내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단턱걸림홈(152)보다 확경된 제2단턱걸림홈(153)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That is, th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을 차량에 설치하기 위해 주축부와 부축부를 서로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를 부축부(150)의 수용부(151) 일면에 형성된 나사홈(151a)에 근접시킨다.When the main shaft portion and the sub-shaft portion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install the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this way as shown in Figures 2 to 4 attached first, the main shaft The
상기와 같이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나사홈(151a)에 근접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12)에 이탈방지용링(130)을 삽입시켜 가압시키면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를 부축부(150)의 나사홈(151a)측으로 삽입시킨다.When the
이와 같이 삽입부(111)가 나사홈(151a)측으로 삽입되면, 이탈방지용링(130)은 축경되면서 수용홈(112)내측으로 삽입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용링(130)이 축경되어 수용홈(112)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삽입부(111)가 수용부(151)의 나사홈(151a)내측으로 계속 삽입되어 이탈방지용링(130)이 나사홈(151a)의 후단에 형성된 제1단턱걸림홈(152)에 위치하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용링(130)은 확경되면서 외주면이 제1단턱걸림홈(152)에 걸림된다.As the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용링(130)이 제1단턱걸림홈(152)에 걸림되면,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는 부축부(150)의 나사홈(151a)으로부터 이탈 즉, 빠지지 않게 되어 다른 공정 즉, 차량에 연결 설치하고자 이동시키더라도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나사홈(151a)으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주축부(110)와 부축부(15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플라인(100)을 차량에 장착시킨 후, 주축부(110)를 부축부(150)측으로 더 밀게 되면,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는 부축부(150)의 나사홈(151a) 내측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이탈방지용링(130)은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되면서 제1단턱걸림홈(152) 후단에 형성된 제2단턱걸림홈(153)측에 걸림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따라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1)의 수용부(151)내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제2단턱걸림홈(153)에 이탈방지용링(130)이 걸림 고정되어 있므로 차량 주행시 이탈방지용링(130)으로 인해 소음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0 ; 차량용 스플라인
110 ; 주축부
130 ; 이탈방지용링
150 ; 부축부100; Car Spline
110; Headstock
130; Detachment Ring
150; Shaft
Claims (3)
일단이 차량의 엔진 시스템과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타단에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기어부(111a)를 갖는 삽입부(111)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부(111)에는 수용홈(112)이 원주방향으로 요설되어 구비되는 주축부(110)와;
상기 주축부(110)의 삽입부(111)에 요설된 수용홈(112)에 삽입 및 이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탈방지용링(130)과;
상기 이탈방지용링(130)이 수용홈(112)에 삽입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를 일단 내측으로 슬라이드 수용시켜 연결되는 공정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 삽입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결된 스플라인을 차량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연결시에는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일면에는 나사홈(151a)이 형성된 수용부(151)를 갖되, 상기 수용부(151)의 나사홈(151a) 내측 끝단부에는 다수의 단턱걸림홈(152,153)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부축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
In the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ngine system of the vehicle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ertion portion 111 having a plurality of gears 111a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insertion portion 111 ) And the main shaft portion 11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112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anti-separation ring 130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2 recessed in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30 slides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2 to the inner side once connected to, and then prevents the insertion portion is separated when moving to the next process. 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spline connected to the system that requires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screw groove 151a is formed on one surface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can be slidably moved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length. 151 having a plurality of stepped engaging grooves 152 and 153 formed in multiple stages at the inner end of the screw groove 151a of the receiving portion 151.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이탈방지용링(130)은, 상기 주축부(110)의 삽입부(111)에 형성된 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주축부(110)가 부축부(150)와 연결되는 조립 공정에서는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플라인(100)이 이동하는 중에 주축부(110)가 부축부(1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절단되어 축경 및 확경가능하도록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12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the main shaft portion 110 in the assembling process that the main shaft portion 150 is connected to the main shaft portion 150 Prevents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151 of the sub-shaft 150 so that the main shaft portion 110 is separated from the sub-shaft 150 while the spline 100 moves. A spline for a vehicl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which is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be preventable and is formed in a “C” shape so that a part thereof is cut and reduced in diameter and diameter.
상기 부축부(150)는 이탈방지용링(130)이 삽입된 삽입부(111)를 슬라이드 수용시키도록 일면에는 나사홈(151a)이 형성된 수용부(151)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151)의 나사홈(151a) 내부 끝단부에는 압축되면서 수용홈(112)에 삽입된 이탈방지용링(130)의 외측면 일부를 수용하여 걸림시키는 것에 의해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0)의 수용부(1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나사홈(151a)보다 확경된 제1단턱걸림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걸림홈(152) 후단에는 차량에 스플라인(100)을 설치함에 따른 이탈방지용링(130)이 수용홈(11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탈된 이탈방지용링(130)을 걸림 고정시켜 주축부(110)의 삽입부(111)가 부축부(151)의 수용부(151)내에서 길이변화에 대응되게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제1단턱걸림홈(152)보다 확경된 제2단턱걸림홈(153)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b-shaft portion 150 has a receiving portion 151 having a screw groove 151a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so as to slide the insertion portion 111 into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30 is inserted, and the receiving portion 151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is a minor shaft by receiving and engag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130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groove 112 while being compressed in the inner end of the screw groove 151a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A first stepping groove 152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screw groove 151a is form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receiving part 151 of the part 150, and a spline in the vehicle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tepping groove 152.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13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100 is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130 is fix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main shaft portion 110 is fixed to the secondary shaft portion ( The second stepped groove 153 which is wider than the first stepped groove 152 to be slidably movable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length in the receiving portion 151 of the 151. Vehicle spline having a separation prevention function during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1839A KR101321588B1 (en) | 2012-07-02 | 2012-07-02 | Spline for cars with a prevention of time secession function of the assemb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1839A KR101321588B1 (en) | 2012-07-02 | 2012-07-02 | Spline for cars with a prevention of time secession function of the assembl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21588B1 true KR101321588B1 (en) | 2013-10-28 |
Family
ID=4963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1839A Active KR101321588B1 (en) | 2012-07-02 | 2012-07-02 | Spline for cars with a prevention of time secession function of the assemb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2158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00162B2 (en) | 2016-07-06 | 2022-04-12 |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 Axle and propeller shaft quick-connect joint attachment assembl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6564U (en) * | 1989-07-24 | 1991-03-18 | ||
JP3026564U (en) * | 1995-01-25 | 1996-07-16 |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クス | Locking device for drive shaft |
JP2008527250A (en) | 2005-01-03 | 2008-07-24 | ジーケイエヌ ドライブライ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Shaft hub connection with locking system |
KR20120050774A (en) * | 2010-11-11 | 2012-05-2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Sanp ring for housing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
-
2012
- 2012-07-02 KR KR1020120071839A patent/KR1013215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6564U (en) * | 1989-07-24 | 1991-03-18 | ||
JP3026564U (en) * | 1995-01-25 | 1996-07-16 |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クス | Locking device for drive shaft |
JP2008527250A (en) | 2005-01-03 | 2008-07-24 | ジーケイエヌ ドライブライ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Shaft hub connection with locking system |
KR20120050774A (en) * | 2010-11-11 | 2012-05-2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Sanp ring for housing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00162B2 (en) | 2016-07-06 | 2022-04-12 |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 Axle and propeller shaft quick-connect joint attachment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378301B (en) | Taper lock device | |
EP3126690B1 (en) | Rotating shaft coupling | |
JP2019533410A (en) | Input shaft structure with motor and reduction gear connected | |
US8790103B2 (en) | Screw mounting structure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 |
CN105556098A (en) | Gearbox and disassembly method for disengaging a drive shaft in such a gearbox | |
KR20170020772A (en) | Hydraulic cylinder,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lutch or brak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id cylinder | |
JP2015148313A5 (en) | ||
KR101321588B1 (en) | Spline for cars with a prevention of time secession function of the assembling | |
US7654376B2 (en) | Clutch capable of cushioning forward movement and guarding backward movement | |
CA2759533C (en) | Clutch device | |
CN112706830B (en) | Clutch mechanism, steering system, decoupling control method of steering system and automobile | |
US10625769B2 (en) |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assembly tool and assembly method for a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 |
KR101736950B1 (en) | Intermediate shaft | |
JP2015145703A (en) | Differential device | |
KR100857216B1 (en) | Automotive cable connectors | |
EP1900953A1 (en) | Clutch with spring biase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 |
KR20160071673A (en) | Assembly structure of supporter | |
US11215271B2 (en) | Toothing arrangement | |
JP6120409B2 (en) | Decelerator | |
KR20180047451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torque convertor hub and oil pump gear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 |
KR20240089383A (en) | Vehicle wheel bearing units | |
KR102105339B1 (en) | Intermediate shaft of steering apparatus | |
JP2019503457A (en) | Removable protection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device seal | |
CN103670870B (en) | A kind of startup electricity generation transmission device | |
KR102041105B1 (en) | Unification type dustcover in steering gear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