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1544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544B1
KR101321544B1 KR1020080008657A KR20080008657A KR101321544B1 KR 101321544 B1 KR101321544 B1 KR 101321544B1 KR 1020080008657 A KR1020080008657 A KR 1020080008657A KR 20080008657 A KR20080008657 A KR 20080008657A KR 101321544 B1 KR101321544 B1 KR 10132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panel
side panel
ceil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731A (ko
Inventor
정만식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544B1/ko
Priority to EP08251861A priority patent/EP2083224B1/en
Priority to ES08251861T priority patent/ES2389871T3/es
Priority to CN2008101110465A priority patent/CN101498474B/zh
Publication of KR2009008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와, 상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하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되,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프런트패널과 나란히 배치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패널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패널이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브라켓조립체를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패널, 사이드패널, 브라켓조립체, 프런트패널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패널이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패널이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결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크게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실내기는 일반적으로 천장 상측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데, 상기 내부공간의 상하 높이를 당업계에서는 "속고"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속고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제작과정에서 이미 그 크기가 정하여져 출시되는 바, 상기 속고와 상기 실내기의 크기가 서로 다를 경우 설치자에게 상기 속고를 조절하는 데에 커다란 불편을 안겨줌은 물론, 아울러 상기 실내기는 상기 천장 상측에 설치되는 바, 하방으로 낙하할 우려가 있어 그 설치과정에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에 베이스패널을 고정시키고, 상기 베이스패널에 프런트패널을 배치시키며, 상기 프런트패널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패널에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패널이 노출되도록 사이드패널을 배치시키고, 노출되는 상기 베이스패널 상에 상기 베이스패널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천장의 속고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브라켓조립체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공기조화기의 설치 시 상기 속고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프런트패널 및 상기 사이드패널이 천장의 하면에 매칭되게 설치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폭방향에 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하여 상기 폭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케이스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상기 공기 흡입구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공기 흡 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사이드패널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베이스패널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브라켓조립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조립체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조립체가 노출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베이스패널이 가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이고, 상기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 또는 상기 사이드패널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배치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은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이드패널을 상기 베이스패널을 대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거나,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사이드패널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사이드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방지부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사이드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이드패널의 하면에 면매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상이 구현되고, 상기 사이드패널 상에 배치되는 화면표시부와, 상기 화면표시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표시부가 작동되면 상기 화면표시부가 광투과되어 외부로부터 관찰되고, 상기 화면표시부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화면표시부의 광투과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외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를 천장 상측의 내부공간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천장 상측에 가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천장 상측의 내부공간 의 상하 높이에 해당하는 천장의 "속고"를 조절하는 브라켓조립체를 사이드패널의 착탈에 의하여 노출되도록 베이스패널에 설치함으로써, 설치자에게 설치 안정성을 제공함은 물론 상기 속고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천장의 외관에 매칭되게 상기 실내기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200)에서 베이스패널(3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천장(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00)는 저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이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상기 천장(100)의 내부공간 상측에 밀착되도록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을 도면부호 X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평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전후방향)을 도면부호 Y로, 상기 케이스(200)의 길이방향에 수직되게 직교되는 방향(즉, 상하방향)을 도면부호 Z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하부의 실내(170) 측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토출시키기 위한 각종 열교환 부품(180)이 배치된다. 상기 각종 열교환 부품(180)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바, 그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기 케이스(200)의 개구된 저면을 덮도록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패널(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패널(300)은 폭방향(Y방향)에 비하여 길이방향(X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패널(300)에는 X방향으로 길게 상기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흡입구(305)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305)로부터 Y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어느 한 곳에 상기 공기 흡입구(305)와 나란하게 상기 케이스(20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토출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길이방향 측 양단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상기 천장(100)의 내부공간, 즉 상기 천장(100)의 상면과 상기 천장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천장의 외관을 형성하는 천장 마감재(미도시) 사이의 수직거리인 이른 바 "속고"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후술하는 브라켓조립체(700)가 이에 해당됨)이 위치되는 서비스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공기 흡입구(305)를 개폐시키는 프런트패널(400)이 배치된다. 상기 프런트패널(4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 상에 형성된 상기 공기 흡입구(305)를 공기조화기의 작동 시에는 개방시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함과 아울러, 공기조화기의 미작동 시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305)를 폐쇄시켜 상기 천장(1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기 프런트패널(40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패널(300) 상에 배치되는 사이드패널(600)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하여 탈거 시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좌우 양단부 중 어느 하나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공간을 노출시킨다.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패널(600)의 베이스패널(300)에 대한 결합방식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 또는 상기 사이드패널(6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후크(610)와, 나머지 다른 하나에 상기 후크(610)가 걸림되는 걸림 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후크(610)와 상기 걸림부(320)가 서로 걸리거나 그 걸림이 해제되는 동작으로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610)는 복수개가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상면의 복수 개소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20) 또한 복수개가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상면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에 상기 후크들(610)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된 후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따르는 소정진동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유격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전후 양단이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전후 양단에 끼워맞춤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패널(600)에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이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될 때 그 전후 양단이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전후 양단을 감싸면서 걸리도록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향하여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되어 절곡되는 전/후 절곡부(620)가 형성된다. 상기 전/후 절곡부(620)는, 상기 후크들(610)이 상기 걸림부들(320)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동작으로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결합되면,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전후 양단에 억지로 끼워맞추는 동작으로 결합시켜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고착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패널(600)의 베이스패널(300)에 대한 결합방식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패 널(6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착탈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패널(600)과 상기 사이드패널(60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은 슬라이딩 결합이 용이하도록 서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이드패널(600)과 상기 베이스패널(300)이 일직선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유연한 재질(flexible material)로 형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따르는 결합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에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610a)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패널(300)에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610a)가 끼워지도록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홈 형상의 가이드레일(32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와 변형예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착탈되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에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에서의 분리 후에 하방으로 낙하될 우려가 있고, 나아가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망실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사이드패널(600)이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탈거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650,650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낙하방지부(650,650a)는 상기 사이드패널(600)과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이어도 무방하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사이드패널(600)의 베이스패널(300)에 대한 결합방식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610b)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널(300)은 상기 제1결합부(610b)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3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또 다른 변형예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상기 베이스패널(300) 측으로 누르면 상기 제1결합부(610b)와 상기 제2결합부(610b)가 결합 또는 결합이 해제되는 원터치형 결합 및 결합해제 방식을 채용한다.
상기 원터치형 결합 및 결합해제 방식이라 함은,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상기 제1결합부(610b)와 상기 제2결합부(32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정한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상기 베이스패널(300)과의 결합이 해제되고,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610b)와 상기 제2결합부(320b)를 인접하게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배치시킨 후 다시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상기 베이스패널(300)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베이스패널(300)과 결합하는 방식을 넓게 총칭한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패널(600)은 일측(즉, 도면상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후단부)이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힌지(650b) 연결되고, 상기 힌지(650b)에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하방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개재된다.
상기 힌지(650b)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후단부를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개폐 시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탈거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650b)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개폐 작동감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천 장형 공기조화기(1)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이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200)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고정시키는 브라켓조립체(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조립체(700)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이 결합되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탈거 시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케이스(200)가 배치되는 상기 천장의 내부공간의 상하 높이를 앞서 설명한 바대로 당업계에서는 "속고"라 칭한다. 그런데, 상기 케이스(200)는 제작단계에서 일정한 크기로 제작되므로 상기 속고에 비하여 상기 케이스(200)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경우 상기 케이스(200)에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설치 시 설치자에게 어려움을 줄 우려가 있다. 상기 브라켓조립체(700)는 상기 케이스(200)에 상기 베이스패널(30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속고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패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조립체(700)는 상기 케이스(200)에 상기 베이스패널(300)이 가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브라켓(710)과,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패널(300)를 연결하면서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패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체결부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710)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00)의 좌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단(250)에 걸림된다. 상기 돌출단(250)에는 상기 체결 부재(720)가 관통되는 소정크기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720)를 체결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패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720)는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체결볼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체결볼트 대신 외주부에 나사산이 가공 형성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부재라면 여하한 명칭을 가지는 부재라도 본 발명의 체결부재(72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상기 프런트패널(400)의 양측에 나란히 배치된 상기 사이드패널(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드패널(600) 상에는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운전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800)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외측면, 즉 하면에 면매칭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800)는, 화상이 구현되고 상기 사이드패널(600) 상에 배치되는 화면표시부(미도시)와, 상기 화면표시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표시부가 작동되면 상기 화면표시부가 광투과되어 외부로부터 관찰되고, 상기 화면표시부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화면표시부의 광투과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외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장부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외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질감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화면표시부의 미작동 시 상기 사이드패널(600)과 함께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410과 420은 상기 프런트패널(400)을 이루는 주요 구성인 회동패널(410)과 고정패널(420)이다. 상기 고정패널(42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좌우방향(X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길이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회동패널(410)은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305)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미설명 도면부호 350은 상기 공기 토출구(310)의 길이방향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배치된 보강 브라켓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자는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상기 케이스(200)가 고정된 천장 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패널(300)에 배치된 상기 고정브라켓(710)을 상기 케이스(200)에 배치된 상기 돌출단(250)에 걸림시키는 동작으로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상기 케이스(200)에 가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710)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패널(300)을 상기 케이스(200)에 가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설치 시 상기 베이스패널(300)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치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설치자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패널(600)을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브라켓조립체(70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상 기 브라켓조립체(700)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설치자는, 상기 체결부재(720)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200)와 상기 베이스패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패널(300)의 하면을 상기 천장의 외관에 매칭시킨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조립체(700)는 상기 사이드패널(600)의 탈거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서비스 공간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공기조화기(1)를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 상기 베이스패널(300) 전체를 분해할 필요 없이, 상기 사이드패널(600)만을 상기 베이스패널(300)로부터 탈거하여 상기 서비스 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킨 후 간편하게 설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도 1에 도시된 케이스에서 베이스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패널에 결합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패널의 베이스패널에 대한 결합방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패널의 베이스패널에 대한 결합방식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패널의 베이스패널에 대한 결합방식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A-A선에 따라 취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천장형 공기조화기 100: 천장
170: 실내 200: 케이스
250: 돌출단 300: 베이스패널
305: 공기 흡입구 310: 공기 토출구
320: 걸림부 320a: 가이드레일
320b: 제2결합부 350: 보강 브라켓
400: 프런트패널 410: 회동패널
420: 고정패널 600: 사이드패널
610: 후크(들) 610a: 돌출부
610b: 제1결합부 700: 브라켓조립체
710: 고정 브라켓 720: 체결부재(볼트)

Claims (12)

  1. 천장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케이스와;
    폭방향에 비하여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대하여 상기 폭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케이스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 후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상기 공기 흡입구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사이드패널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베이스패널과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브라켓조립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이드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브라켓조립체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조립체가 노출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조립체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베이스패널이 가고정되도록 연결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 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이고, 상기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 또는 상기 사이드패널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배치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착탈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은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패널은 상기 제1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이드패널을 상기 베이스패널을 대향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결합되거나,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베이스패널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사이드패널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사이드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로부터 탈거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부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또는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사이드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이드패널의 하면에 면매칭되게 배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상이 구현되고, 상기 사이드패널 상에 배치되는 화면표시부와;
    상기 화면표시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면표시부가 작동되면 상기 화면표시부가 광투과되어 외부로부터 관찰되고, 상기 화면표시부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화면표시부의 광투과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외장부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80008657A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2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657A KR101321544B1 (ko)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EP08251861A EP2083224B1 (en) 2008-01-28 2008-05-29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with filter cleaning mechanism
ES08251861T ES2389871T3 (es) 2008-01-28 2008-05-29 Acondicionador de aire de tipo techo con mecanismo de limpieza de filtro
CN2008101110465A CN101498474B (zh) 2008-01-28 2008-06-10 吊顶式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657A KR101321544B1 (ko)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731A KR20090082731A (ko) 2009-07-31
KR101321544B1 true KR101321544B1 (ko) 2013-10-25

Family

ID=4061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657A KR101321544B1 (ko) 2008-01-28 2008-01-28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083224B1 (ko)
KR (1) KR101321544B1 (ko)
CN (1) CN101498474B (ko)
ES (1) ES238987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9536A (zh) * 2014-06-17 2014-09-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吊顶式空调内机安装方法及吊顶式空调
GB201412453D0 (en) * 2014-07-14 2014-08-27 Payne Robert A An air conditioning filter cleaner and associated multiple filter cleaning system
DE202014009936U1 (de) * 2014-12-17 2016-03-18 Stiebel Eltron Gmbh & Co. Kg Lüftungsgerät und Filter
JP2017138075A (ja) * 2016-02-05 2017-08-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786048B2 (ja) * 2016-08-26 2020-11-18 Toto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8031553A (ja) * 2016-08-26 2018-03-01 Toto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956544B1 (ko) * 2017-01-11 2019-03-11 주식회사 에어텍 1방향 팬코일 유니트
CN208042459U (zh) * 2017-08-25 2018-1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口安装结构
JP7249894B2 (ja) * 2019-07-02 2023-03-31 リンナイ株式会社 浴室空調機
CN113926262B (zh) * 2021-09-26 2023-04-07 湖南托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腻子粉生产用改进型高效除尘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209A (ja) * 1999-07-09 2001-01-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3120996A (ja) * 2002-10-17 2003-04-23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取付機器用サイズアップ枠
KR20050086190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설치구조
KR20050113319A (ko) * 2004-05-27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2389B2 (ja) 1998-11-20 2010-05-1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4418427B2 (ja) * 2005-07-04 2010-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機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JP4923639B2 (ja) 2005-11-11 2012-04-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パネル及び空気調和装置
EP2017543B1 (en) * 2006-04-28 2015-08-19 Toshiba Carrier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209A (ja) * 1999-07-09 2001-01-26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2003120996A (ja) * 2002-10-17 2003-04-23 Sanyo Electric Co Ltd 天井取付機器用サイズアップ枠
KR20050086190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설치구조
KR20050113319A (ko) * 2004-05-27 200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731A (ko) 2009-07-31
ES2389871T3 (es) 2012-11-02
CN101498474A (zh) 2009-08-05
CN101498474B (zh) 2012-06-20
EP2083224A3 (en) 2011-04-13
EP2083224B1 (en) 2012-08-22
EP2083224A2 (en)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54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229919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18164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1816407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105773B1 (ko) 공기조화기
MX2007008340A (es) Aire acondicionado.
KR101280373B1 (ko) 공기조화기
KR1012598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84154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27061A (ko) 공기조화기
KR1012702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280374B1 (ko) 공기조화기
KR1013156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89429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1507161B1 (ko) 공기 조화기
KR101325767B1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KR20090129198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H07239148A (ja) 空気調和装置
KR10047645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용 데코프레임 장착구조
KR200146171Y1 (ko) 공기조화기의 마그네트 고정장치
KR1005209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도어 구동장치
KR10089811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1816404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80376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