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1308B1 -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308B1
KR101321308B1 KR1020120050670A KR20120050670A KR101321308B1 KR 101321308 B1 KR101321308 B1 KR 101321308B1 KR 1020120050670 A KR1020120050670 A KR 1020120050670A KR 20120050670 A KR20120050670 A KR 20120050670A KR 101321308 B1 KR101321308 B1 KR 10132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rniture
body plate
ship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
Priority to KR102012005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1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3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벽면 접합부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측면부와; 상기 벽면 접합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정면부;가 일체로 구성된 요철형상의 한 쌍의 좌·우 플레이트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와 밀착되어 가구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본체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몰 구조의 주변부;를 포함하고 중앙에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하부로 구분되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를 부착시키기 위한 원형 형상의 지지바 부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 부착부의 하단에는 가로로 길쭉한 다수의 홈을 갖는 원통형상의 옷걸이 매설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전체 면적의 50~80%에 해당되는 2개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주변부를 통해 밀착되어 가구의 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측면부의 구멍을 통해 그물망이 삽설되어 내부 수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선박용 수납장, 옷장, 책상 등의 상판, 측판에 쉽게 설치가능하고 천공구조를 갖는 측면 플레이트를 결합시켜 그물망을 부설하여 수납장의 수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하중이 요구되는 선박 가구에 사용되면 전체적인 선박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한다.

Description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An assembly supporting plate for ship furniture}
본 발명은 책상, 옷장, 수납장 등의 가구의 상판이나 측면 등의 휨과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하중과 경량화가 요구되는 선박 가구용 상판, 측면을 보강할 수 있는 조립식 철제 보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구용 문짝이나 상판은 형틀을 짜 맞춘 원목문짝과 중밀도섬유판(이하 MDF) 등 보드류 문짝으로 대별되는데, 특히 보드류 문짝은 표면가공방법에 따라 도장문짝과 PVC시트를 진공성형한 멤브레인 문짝으로 구별된다.
통상적으로, 도장문짝은 자연무늬목 또는 종이 위에 무늬를 인쇄한 페이퍼시트(paper sheet)를 보드류 표면에 부착시키고 그 위에 하도도료를 도포한다. 그런 다음에 사포로 연마처리한 표면 위로 다시 중도도료 그리고 마감용 상도도료를 도포하는 등의 상당한 작업공수를 거치는 복잡한 여러 공정을 거치며, 특히 도장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표면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하이그로시(hi-glossy;고광택) 도장법은 고품질의 표면 처리를 달성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무진룸 등의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다.
멤브레인문짝은 무늬가 인쇄된 PVC시트를 보드류 표면에 진공성형 접착시킨 것으로, 수명을 다한 멤브레인문짝을 폐기처분시 일반적으로 소각처리할 때에 도료와 PVC시트에서 다량의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중에 화기에 근접해 있을 경우 방염 및 난연의 문제점을 갖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2167에는 보드와 상기 보드의 편평면 상에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부착될 박판(薄板)형상의 표면 미장처리된금속재 보강판으로 덮어씌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판을 장착한 가구용 문짝에 대하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보강판을 단순한 금속제 박판형상으로만 사용한다고 되어 있을 뿐 문짝과 어떻게 결합되는 지, 형상의 특징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편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3890는 싱크대, 수납장, 선반 등의 주방가구와 붙박이장으로 사용되는 패널이 뒤틀리거나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각의 패널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철심이 삽입된 가구용 패널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은 판형상의 패널본체와, 상기 패널본체가 절결시 분리되지 않도록 일측면에 부착되는 시트지를 포함하는 가구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양단부가 각각 패널본체의 타측면 방향을 향하여 접혀져 밀착 조립되도록 패널본체의 양단의 소정 위치에 각각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절결홈과, 상기 복수의 절결홈은 상기 패널본체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절결홈과 제2절결홈 및 제3절결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절결홈과 제2절결홈 사이에 형성된 제2패널의 시트지가 부착되지 않은 타측면의 소정 위치에 패널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소정 깊이 삽입된 보강철심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철심과 대응되도록 패널본체의 타측면에 각각 보강철심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가구용 패널은, 상기 사각단면형상을 갖는 보강철심은 상기 패널본체의 길이와 같거나 조금 짧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보강철심을 설치함으로서 하중에 의해 패널이 뒤틀리거나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패널은 패널 본체에 보강 철심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 플레이트만을 따로 떼어내서 다른 가구에 적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구의 제작과정에 있어서도 보강철심을 패널의 측면으로부터 못질이나 스크류등을 사용하여 체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 육상에서 사용하는 가구는 하중이 별로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분위기나 미감을 고려하여 원목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원목은 재질이 단단하고 내구성이 좋아 휨이나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별다른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합판을 사용하는 경우는 내구성이 약해서 휨이나 비틀림 현상이 발생된다. 이런 경우 보강재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선박에 사용되는 가구는 가벼워야 한다. 따라서 원목보다는 합판이 많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합판은 원목에 비하여 경도가 약하고 내구성이 적어 장시간 사용하면 휨, 비틀림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선박은 특성상 해상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내부에 많은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데, 합판의 경우 습기에 의한 내구성 약화가 더욱 가속화되어 비틀리거나 휘는 현상이 더욱 많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합판을 이용한 선박가구를 제조할 때에는 보강판을 사용해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문헌의 보강판이나 보강구조는 육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별도의 보강재료를 덧대는 형식으로 제조되므로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하중이 지나치게 무거워 선박 가구용으로 적절치 못하다. 뿐만 아니라 선실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납장을 인위적으로 구분해 줄 수 있는 선반이 필요한데, 선반을 수납장에 지나치게 많이 설치하면 그 자체가 하중의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2167,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3890
없음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 즉, 선박에서 사용되는 가구의 문짝이나 상,측판의 휨이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과제로 삼고,
이를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철제로 구성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보강 플레이트는 선박에 설치되는 수납장과 같은 가구의 수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그물망을 부설할 수 있는 천공구조를 갖는 좌·우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한 좌·우 플레이트의 측면에 형성된 천공에 그물망이 걸리게 되어 수납장의 선반과 같이 내부의 수납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벽면 접합부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측면부와; 상기 벽면 접합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정면부;가 일체로 구성된 요철형상의 한 쌍의 좌·우 플레이트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와 밀착되어 가구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본체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몰 구조의 주변부;를 포함하고 중앙에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하부로 구분되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를 부착시키기 위한 원형 형상의 지지바 부착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 부착부의 하단에는 가로로 길쭉한 다수의 홈을 갖는 원통형상의 옷걸이 매설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전체 면적의 50~80%에 해당되는 2개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주변부를 통해 밀착되어 가구의 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측면부의 구멍을 통해 그물망이 삽설되어 내부 수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를 과제 해결을 위한 주된 수단으로 삼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그 재질이 철, 스테인레스, 강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가장자리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몰 구조의 주변부;를 포함하고 중앙에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수평 분리부를 통해 상·하부로 구분되며 전체 면적의 50~80%에 해당되는 2개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하부의 주변과 상기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 사이의 공간에는 각각 한 쌍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을 통해 책상의 지지부를 결속할 수 있는 홀더가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책상 판넬 보강 플레이트를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는 조립식으로서 선박용 수납장, 옷장, 책상 등의 상판, 측판에 쉽게 설치가능하고 천공구조를 갖는 측면 플레이트를 결합시켜 그물망을 부설하여 수납장의 수납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보강구조와는 달리 가구에 비하여 하중이 미미하여 저하중이 요구되는 선박 가구에 사용되면 전체적인 선박의 경량화에 크게 기여한다.
선박용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의 책상 등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가 벽면에 부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가 수납장에 부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책상 판넬 보강 플레이트가 책상에 부착된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는 한 쌍의 좌·우 플레이트와; 본체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플레이트는 전체적으로 요철형상으로서 벽면 접합부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측면부와; 상기 벽면 접합부와 측면부를 연결하는 정면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 접합부는 가구의 벽면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플레이트의 주변부와 밀착하여 벽면에 부착된다.
상기 벽면 접합부의 측면으로 측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데, 상기 측면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이는 좌·우 플레이트의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함이 첫번째 목적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물망을 삽설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구멍을 통해 그물망을 삽설하면 그물망이 수납장의 선반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선실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강구한 기술적 구성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상기 벽면 접합부와 측면부는 정면부를 통해 연결되며 이에 대한 형상은 도 1, 2를 참고하면 더욱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 플레이트는 주변부와; 분리부와; 원형 형상의 지지바 부착부와; 가로로 길쭉한 다수의 홈을 갖는 원통형상의 옷걸이 매설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주변부는 본체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와 밀착되어 보강 플레이트를 가구의 벽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변부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몰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함몰부를 통해 전선을 통과시켜 책상 등에 부착되어 컴퓨터의 사용이나 TV시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주변부는 본체 플레이트의 중앙에 위치하는 데 요철구조로 한 쌍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본체 플레이트는 상·하부로 구분된다.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를 부착시키기 위한 원형 형상의 지지바 부착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는 나사나 못과 같이 별다른 체결수단 없이 가구의 벽면에 수직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를 가구에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2개의 보강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바로 연결시켜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 지지바 부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 부착부는 원형 형상으로 본체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가 수납장에 부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이를 참고하면 전술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부착부의 하단으로 옷걸이 매설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옷걸이 매설부는 가로로 길쭉한 원통형상으로 다수의 홈(미도시)을 갖는다. 상기 홈을 통해 옷걸이가 부착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한 쌍의 분리부를 통해 상·하부로 분리되며 상부, 하부는 각각 전체 본체 플레이트 면적의 50~80%에 해당되는 구멍이 천공되어 있다. 이는 원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함은 물론 전체적인 본체 플레이트의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가 벽면에 부착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는 본체 플레이트의 주변부와 밀착하여 가구의 벽면에 부착된다. 그런다음 지지바를 통해 다시 한번 강력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고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책상 판넬 보강 플레이트가 책상에 부착된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보강 플레이트는 옷장, 수납장 뿐만 아니라 책상의 판넬을 보강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는 데, 책상의 판넬 보강용으로 사용될 경우 전술한 좌·우 플레이트는 사용하지 않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의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가장자리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몰 구조의 주변부;를 포함하고 중앙에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하부로 구분되며 전체 면적의 50~80%에 해당되는 2개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는 것은 상기 본체 플레이트와 동일하나, 상·하부의 주변과 상기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 사이의 공간에는 각각 한 쌍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을 통해 책상의 지지부를 결속할 수 있는 홀더가 부착되는 것은 책상 판넬 보강 플레이트 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좌·우 플레이트(10), 벽면 접합부(11), 측면부(12), 정면부(13)
주변부(21), 분리부(22), 지지바 부착부(23), 옷걸이 매설부(24)

Claims (3)

  1.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벽면 접합부(11)와;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측면부(12)와; 상기 벽면 접합부(11)와 측면부(12)를 연결하는 정면부(13);가 일체로 구성된 요철형상의 한 쌍의 좌·우 플레이트(10)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의 벽면 접합부(11)와 밀착되어 가구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본체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가장자리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함몰 구조의 주변부(21);를 포함하고 중앙에 한 쌍의 요철구조의 분리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분리부를 통해 상·하부로 구분되고,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를 부착시키기 위한 원형 형상의 지지바 부착부(2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바 부착부의 하단에는 가로로 길쭉한 다수의 홈을 갖는 원통형상의 옷걸이 매설부(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본체 플레이트는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하여 전체 면적의 50~80%에 해당되는 2개의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10)의 벽면 접합부(11)는 상기 본체 플레이트의 주변부(21)를 통해 밀착되어 가구의 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좌·우 플레이트(10)의 측면부(12)의 구멍을 통해 그물망이 삽설되어 내부 수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그 재질이 철, 스테인레스, 강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3. 삭제
KR1020120050670A 2012-05-14 2012-05-14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Active KR10132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70A KR101321308B1 (ko) 2012-05-14 2012-05-14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70A KR101321308B1 (ko) 2012-05-14 2012-05-14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1308B1 true KR101321308B1 (ko) 2013-10-28

Family

ID=4963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70A Active KR101321308B1 (ko) 2012-05-14 2012-05-14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00422U (ko) 2023-08-31 2025-03-07 이은영 휨 방지용 상판을 구비한 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545B1 (ko) 2010-08-20 2012-10-15 김영호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545B1 (ko) 2010-08-20 2012-10-15 김영호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00422U (ko) 2023-08-31 2025-03-07 이은영 휨 방지용 상판을 구비한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0596B2 (en) Assembled product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assembled product
US9388583B2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KR20160107223A (ko) 가구 패널
US4214646A (en) Space divider and acoustic panel
US20060185287A1 (en) Portable fl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US8579388B2 (en) Modular piece of furniture made of recyclable materials
US8887459B2 (en) Modular wall assembly system
RU2406808C2 (ru) Стеновой переходный профиль
KR102238387B1 (ko) 모듈식 방
CA2606272A1 (en) Panel for office workstation
KR20110102977A (ko) 데크 고정용 클립
US20170340107A1 (en) Single dovetail tenon joint mechanism
US20110020589A1 (en) Combination plate
KR101321308B1 (ko) 선박 가구용 조립식 보강 플레이트
KR20090061167A (ko) 마감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지지대가 구비된 붙박이장
JP2007023505A (ja) 床構造体及びテラスデッキ並びに係合具付き根太
CN109642425B (zh) 具有隔音性能的结构系统
US20220288810A1 (en) Outdoor cabinet
KR200480284Y1 (ko) 조립식 수납장
US20110225923A1 (en) Joist Assemblies and Assembly Kits
CN208359628U (zh) 一种防潮生态板
KR101735070B1 (ko) 가구용 조립식 상판
JP2011103989A (ja) 収納家具及びこれに用いる固定金具
GB2518556A (en) Combination plate
JP6819127B2 (ja) 収納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30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43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