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827B1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20827B1 KR101320827B1 KR1020097005233A KR20097005233A KR101320827B1 KR 101320827 B1 KR101320827 B1 KR 101320827B1 KR 1020097005233 A KR1020097005233 A KR 1020097005233A KR 20097005233 A KR20097005233 A KR 20097005233A KR 101320827 B1 KR101320827 B1 KR 101320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stle
- toothbrush
- hair
- resin
- sectional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1—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indicating the remaining useful life of brush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이라는 기계적 파단이 생기기 어렵고, 용모의 벌어짐의 정도에 의해, 칫솔의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한 칫솔을 제공한다.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묶은 모속(15)을 식모면에 식설한 칫솔로서, 용모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용모의 최소 단면적은, 용모의 최대 단면적의 40% 이상 80% 이하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brush in which mechanical breakage such as bridging and bending of the bridging is difficult to occur, and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toothbrush is clearly defined by the degree of bridging of the bristles. The toothbrush which implanted the bristle bundle 15 which bundled the bristle bristle which consist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on the hair-planting surface WHEREIN: The surface of a bristle has a some recessed part, and the minimum of the bristle in the position in which the recessed part 2 was formed. The cross-sectional area is 40% or more and 80% or less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istle.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bristles)를 이용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toothbrush using the bristles which consist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resin.
본원은, 2006년 9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06-252676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with respect to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6-252676 for which it applied on September 19, 2006, and uses the content here.
칫솔의 용모에는, 일반적으로, 나일론 수지(6-12나일론, 6-10나일론)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 등의 합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고, 일부에는 돈모(pig hair)와 같은 천연모도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synthetic resins such as nylon resin (6-12 nylon, 6-10 nylon)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resin are used for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and some of the natural hair such as pig hair is also used. It is used.
또한, 근래, 용모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한 칫솔(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참조)나 , 투명성과 유연성, 내구성을 겸비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5 참조). 용모로서 PTT 수지를 이용한 칫솔은, 굴곡 회복성이나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나일론 수지나 PBT 수지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용모가 벌어지기 어렵고, 높은 청소력(brushing power)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in recent years, the toothbrush using monofilament which consist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resin which is polyester resin as a bristle (for example, refer
그러나, 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이용한 칫솔은, 용모가 벌어지기 어렵고 칫솔의 교환 시기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되게 되고, 용모에 반복력이 계속 가하여지기 때문에,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이라는 기계적 파단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However, toothbrushes made of PTT resin, which are brittle, are difficult to open up and the toothbrush replacement time is unclear. Therefore, the toothbrush is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repetitive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bristle. This may happen.
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가 파단하는 일이 없는 칫솔을 제공하기 위해, PTT 수지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 모노필라멘트를 용모로 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6 참조).In order to provide the toothbrush which does not break the bristle which consists of PTT resin, the toothbrush which uses the synthetic resin monofilament which consists of PTT resin and polyester-type resin as a bristle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6). .
또한, 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이용한 칫솔에 있어서 열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용모에 이용하는 PTT모를 2중의 심초구조(core-in-sheath structure) 로서, 마모에 의해 용모의 색 또는 색의 농도가 변화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7 참조).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모선(毛先)의 벌어지는 정도에 의하지 않고서, 칫솔의 교환 시기를 알릴 수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dicate the deterioration state in the toothbrush using the bristle which consists of PTT resin, the PTT bristle used for bristle is a double core-in-sheath structure, and the color or color density of a bristle changes with abrasion. Is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7).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7,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toothbrush replacement time regardless of the extent of the hairline spreading.
한편, 칫솔의 용모로서, 브러시모의 주위 및 절단 단면 전역에 요철을 형성하고, 치아의 청소 및 잇몸의 마사지를 양호하게 하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8 참조). 또한, PTT 수지를 이용한 칫솔로서, PTT 섬유로 이루어지는 심재의 주위에 세사(thin thread)를 제유가공(braiding processing)에 의해 엮은 제유 브리슬(braided bristles)이 식설된 칫솔도 있다(특허 문헌 9 참조).On the other hand, as bristle of a toothbrush, unevenness | corrugatio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brush brim and the whole cut end surface, and cleaning of a tooth and massage of a gum are favorable (refer patent document 8). As a toothbrush using PTT resin, there is also a toothbrush in which braided bristles in which thin threads are woven by braiding processing around a core material made of PTT fibers (see Patent Document 9). ).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8-17324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173244
특허 문헌 2 : 국제공개 WO 01/75200호 팜플렛Patent Document 2: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01/75200 Pamphlet
특허 문헌 3 : 일본 특표2001-511379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511379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2006-2256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2256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2006-37273호 공보Patent Document 5: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37273
특허 문헌 6 : 일본 특개2005-270366호 공보Patent Document 6: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70366
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2005-103184호 공보Patent Document 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03184
특허 문헌 8 : 일본 실개소61-177027호 공보Patent Document 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1-177027
특허 문헌 9 : 일본 특개2004-81647호 공보Patent Document 9: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81647
그러나, 종래의 PTT 수지를 이용한 용모를 구비한 칫솔은, 어느것도 용모가 벌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이라는 기계적 파단을 충분히 방지할 수가 없었다.However, the toothbrush provided with the bristle using the conventional PTT resin may not be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neither bristle is easy to open, and the mechanical fracture such as bridging and bending of the bristle could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이라는 기계적 파단이 생기기 어렵고, 용모가 벌어지는 정도에 의해, 칫솔의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point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toothbrush which cleared the toothbrush replacement time by the extent to which a brittleness is hard to occur and the bristles open | releas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본 발명자는, PTT 용모의 기계적 파단에 관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토하여, 본 발명의 칫솔을 발명하게 되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This inventor examined as follows about the mechanical rupture of PTT bristle, and invented the toothbrush of this invention.
즉, 칫솔에 PTT 용모를 식설한 경우, 높은 굴곡 회복성에 의해 털이 벌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나일론 수지나 PBT 수지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장기간 사용된다. 그 때문에 쇄소(brushing)에 의한 용모에의 부하도 장기간 지속하게 된다. 통상, 칫솔의 용모는 스트레이트 형상이고, 쇄소시에 용모에 걸리는 응력이 용모의 근원(식모대에 식설된 밑부분 부분)에 집중하고, 용모의 근원에는 큰 부하가 걸린다. 이 때문에,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이라는 기계적 파단은, 용모의 근원에서 일어난다.That is, when PTT bristle is implanted in a toothbrush, since hair is hard to open by high bending recovery property, it uses for a long tim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ylon resin or PBT resin is used. Therefore, the load on the bristles by brushing also lasts for a long time. Usually, the bristles of the toothbrush are straight in shape,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bristles at the time of removal is concentrated on the root of the bristle (the bottom part implanted in the bristle bed), and a large load is placed on the bristle of the bristle. For this reason, mechanical breakage such as cracking and breaking of the appearance occurs at the root of the appearance.
또한, PTT 용모의 기계적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칫솔의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하고, 칫솔의 교환을 촉구하여, PTT 용모에 기계적 파단이 생기기 전에 칫솔을 교환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칫솔의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용모 지름을 가늘게 하여 용모를 벌어지기 쉽게 하고, 시각적으로 판단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용모 지름을 가늘게 하면, 용모가 유연하게 되어 쇄소력의 저하나, 용모의 강도가 낮아져서 용모의 꺾여짐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mechanical breakage of the PTT bristles, it may be considered to clarify the timing of replacement of the toothbrush, prompt replacement of the toothbrush, and replace the toothbrush before mechanical breakage occurs in the PTT bristles. In order to clarify the timing of replacement of the toothbrush, it is possible to thin the bristle diameter to make the bristle easily open and to visually judge. However, if only the diameter of the bristle is made thin, the bristle becomes flexible, the reduction of the reducing force and the strength of the bristle are lowered, which may cause the brittleness of the bristle.
그래서,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PTT 용모의 형상을, 칫솟질에 의해 용모에 걸리는 응력이 용모의 근원만에 집중하지 않고, 게다가, 용모가 벌어지는 정도(식모부 벌어짐율)가 용모의 열화 상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칫솔의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하고, PTT 용모의 기계적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칫솔을 발명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has intensively studied, so that the stress applied to the appearance of the PTT appearance is not concentrated only on the origin of the appearance, and the degree of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of the PTT appearance is increased. By forming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iorat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rified while ensuring sufficient durability, and the mechanical breakdown of the PTT featur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칫솔은, 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묶은 모속(毛束)을 식모면에 식설한 칫솔로서, 상기 용모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상기 용모의 최소 단면적은, 상기 용모의 최대 단면적의 40% 이상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othbrush of this invention is a toothbrush which implanted the hair | bristle bundle which bundled the bristle which consists of PTT resin on a hair-planting surface, The surface of the said bristle has a some recessed part, The said bristle in the position in which the said recessed part was formed.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of is characterized in that 40% or more and 80% or less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of the bristle.
이와 같이, 용모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쇄소시에 용모에 걸리는 응력이, 복수의 오목부에 분산되기 때문에, 쇄소시의 응력이 용모의 근원에 집중하지 않게 되고, 용모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용모의 근원에 걸리는 응력이 경감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recess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ristle, since the stress applied to the bristle at the time of shaping is dispersed in the plurality of recesses, the stress at the time of shaping does not concentrate on the origin of the bristle, and the surface of the bristle In comparison with the case where the recess is not formed, the stress applied to the root of the bristle is reduced.
또한, 용모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쇄소시에 부하되는 오목부에의 응력에 의해 용모가 벌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칫솔의 교환 시기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할 수 있고, 용모에 기계적 파단이 생기기 전에 칫솔의 교환을 촉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이 생기기 어렵고, 교환 시기가 명확한 칫솔을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cess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ristle, the bristle tends to open due to the stress on the recess that is loaded at the time of the removal, so that the timing of replacing the toothbrush can be clearly visualized, and mechanical fracture occurs in the bristle. You may be prompted to change your toothbrush befor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toothbrush is hard to be cracked and a wrinkle is hardly produced, and a replacement time is clear.
또한,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용모의 신장 방향의 피치가 0.3㎜ 이상 1.2㎜ 이하, 상기 신장 방향의 길이가 0.1㎜ 이상 0.8㎜ 이하, 깊이가 용모 지름의 0.1배 이상 0.5배 이하인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portion has a pitch of 0.3 mm or more and 1.2 mm or less in the stretch direction of the bristle, and a length of 0.1 mm or more and 0.8 mm or less in the stretch direction, and 0.1 to 0.5 times the depth of the bristle diameter. It can be set as follows.
상기 오목부의 피치, 신장 방향의 길이, 깊이를 상기한 범위로 함으로써, PTT 용모의 식모부 벌어짐율이 보다 양호한 것으로 되고, 또한, 높은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By setting the pitch, the length and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n the above-described ranges, the unfolding ratio of the bristles of the PTT wool can be made more favorable,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can be ensured.
또한, 여기서 말하는 용모 지름이란, 용모 단면 형상이 원형일 때는 직경을 의미하고, 용모 단면 형상이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 등의 정다각형일 때는 1변의 길이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bristle diameter here means a diameter when a bristle cross-sectional shape is circular, and shows the length of 1 side when a bristle cross-sectional shape is regular polygons, such as an equilateral triangle and a squar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용모의 근원에 걸리는 응력 집중을 경감함으로서,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시각적으로도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ing and bending of the bristle by reducing the stress concentration applied to the root of the bristle. And, visually, the timing of exchange can be clar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칫솔을 구성한 용모 중에서 1개를 확대해 도시한 확대 사시도.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one of the bristles constituting the toothbrush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용모의 측면도.FIG. 3 is a side view of the feature shown in FIG. 2. FIG.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용모의 단면도로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istle shown in FIG. 2, in which a concave portion is formed;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the Drawing)
1 : 용모 2 : 오목부1: appearance 2: recess
10 : 칫솔 11 : 헤드부10
12 : 식모면 13 : 핸들부12: seeding cotton 13: handle portion
15 : 모속 21, 22 : 오목부 유닛15:
A : 피치 B : 신장 방향의 길이(폭)A: pitch B: length (width) in the stretching direction
C : 깊이 D : 용모 지름(굵기)C: Depth D: Hair Diameter (Weight)
E : 중심축 S1 : 최소 단면적E: central axis S1: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2 : 최대 단면적S2: maximum cross-sectional area
다음에,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Nex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using drawing.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칫솔을 구성하는 용모 중에서 1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용모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용모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one of the bristle which comprises the toothbrush shown in FIG.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ristle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concave portion of the bristle shown in FIG. 2 is formed.
도 1에 도시하는 칫솔(10)은, 식모면(12)을 갖는 헤드부(11)와, 헤드부(11)의 후단으로부터 늘어나는 핸들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부(13)는, 칫솔(10)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고, 칫솔(10)을 이용한 쇄소 조작에 적절한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The
헤드부(11)나 핸들부(13)는, 예를 들면, 경질 수지 등의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3)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파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하여도 좋다.The
헤드부(11)나 핸들부(13)의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수지(CP),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PCTA, PCTG),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폴리아세탈 수지(P0M),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생분해성 수지 등의 소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끼리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실리콘 수지 등과 조합시킨 다색 성형 핸들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11)나 핸들부(13)의 재료는 상기 기재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As a material of the
헤드부(11)의 식모면(12)에는, 용모를 묶은 모속(15)이 복수 식설되어 있다. 모속(15)을 헤드부(11)에 고정하는 식모 방법으로서는,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평선(황동,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외에,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위시한, 경질 플라스틱 등의 빠짐방지 부재)으로 모속(15)을 2개로 접어서 식모하는 평선 식모, 모속(15)의 한 단을 열 등의 수단에 의해 결합하고, 결합부가 금형 내에 있는 상태에서 헤드부(11)가 되는 수지를 충전하고 고정하는 인몰드 식모(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61-268208, 일본 특표평9-512724), 모속(15)의 일단과 헤드부(11)를 열 등의 수단으로 용융 결합하는 열융착 식모(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60-241404)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The hair | bristle
또한, 식모면(12)에 형성되어 있는 식모구멍의 형상은, 통상의 원이나 각구멍 또는 개략 타원형, 개략 장원형, 개략 직사각형 등 긴 지름과 짧은 지름의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식모구멍은 통상은 격자형상이나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되지만, 식모구멍 형상의 조합이나 배열의 조합을 목적 기능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는, 형상, 크기 디자인 모두 전혀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헤드부(11)의 최소 두께로서, 평선을 이용하는 식모 방법 또는 평선을 이용하지 않는 식모 방법에 따라 약간 차이가 보여지지만 2㎜ 정도 내 지 6㎜ 정도의 두께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hair-frilling hole formed in the
도 1에 도시하는 칫솔(10)의 모속(15)을 구성하는 용모(1)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용모(1)가 되는 모노필라멘트는, 용모(1)의 특성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모노필라멘트가 되는 PTT 수지에, 열이나 광에 대한 안정화제, 난연제, 필러, 표면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살균 소재(항균 소재) 등의 개질재, 다른 경질 수지나 일래스토머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적절히 배합하거나, 모노필라멘트에 도포하거나 하여도 좋다.The bristle 1 which comprises the hair | bristle
또한, 용모(1)는, 투명(내츄럴) 용모인 채로 이용할 수 있고, 안료나 염료에 의한 투명계 착색 용모 또는, 불투명 착색(흰색을 포함한다) 용모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칫솔(10)의 외관의 상품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투명 용모, 투명계 착색 용모, 불투명 착색(흰색을 포함한다) 용모는, 필요에 응하여, 그들의 2종 또는 그 이상을, 모속 단위나 모속 내에서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bristle 1 can be used as a transparent (natural) bristle, can also be used as a transparent coloring bristle with a pigment or a dye, or opaque coloring (including white) bristle,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투명계 착색 용모나 불투명 착색(흰색을 포함한다) 용모 등의 착색 용모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도록, 방사할 때의 수지 그 자체를 착색하는 방법이나, 방사 후 또는 방사 공정에 부수되어, 표면에 착색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칫솔(10)에 식모하기 전의 컷트 피스 상태(25 내지 35㎜ 정도의 용모 길이의 다발)로, 또는 식모 후에, 용모(1)의 선단 부분만, 또는 용모(1)의 전부에 착색할 수 있다.Colored hairs, such as transparent colored hairs and opaque colored hairs (including white) hairs, are commonly used for coloring the resin itself during spinning, or after the spinning or spinning process, and coloring on the surface. It can manufacture by a method etc. to. In addition, in the cut-piece state (bundle of the bristle length of about 25-35 mm) before hair-planting to the
용모(1)의 표면에 오목부(2)를 마련하면, 쇄소시에 용모에 걸리는 응력이 오 목부(2)에 집중하기 때문에, 용모(1)의 근원에 걸리는 응력이 경감됨과 함께, 용모(1)가 벌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용모(1)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모(1)의 표면에 오목부(2)를 마련하기만 하면 좋은 것이 아니고, 오목부(2)가 형성된 위치에서의 용모(1)의 최소 단면적(S1)이, 용모(1)의 최대 단면적(S2)의 40% 이상 80% 이하일 필요가 있다.When the
여기서 말하는 최소 단면적(S1)이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에 있어서 용모의 긴변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한 때에 최소가 되는 용모 단면적이다(도면중, 사선부). 또한, 최대 단면적(S2)은 용모에 형성된 오목부 전후의 최외측을 이어서 얻어지는 선을 외삽하여 얻어진 용모 단면적이다.As shown in FIG. 4,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here is the bristle cross-sectional area which becomes the minimum when cut | disconnect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a bristle part in a recessed part (interval part in drawing). In addition, largest cross-sectional area S2 is the bristle cross-sectional area obtained by extrapolating the line obtained following the outermost side before and behind the recessed part formed in bristle.
최소 단면적(S1)이 용모(1)의 최대 단면적(S2)의 40% 미만((S1/S2)×100<40(%))이면 오목부(2)가 형성된 부분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용모(1)로서의 본래의 강도를 발휘할 수 없고, 굽휨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칫솔질에 의한 용모(1)의 벌어짐이 일반적인 나일론 용모와 같은 정도가 되어, PTT 용모가 갖는 구부림 내구성의 장점이 소실되어 버린다. 한편, 최소 단면적(S1)이 용모(1)의 최대 단면적(S2)의 80%을 초과하면((S1/S2)×100>80(%)), PTT 수지가 우수한 구부림 내구성 때문에, 칫솔질에 의한 용모(1)의 벌어짐이 불충분하게 되고, 교환 시기가 불명확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계속 사용에 의한 용모(1)의 꺾여짐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If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is less than 40% ((S1 / S2) x 100 <40 (%))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of the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오목부(2)의 피치(A)는 0.3㎜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0㎜ 이하가 좋다. 또한, 여기서의 오목부(2)의 피치(A)란, 용모(1)의 신장 방향에 인접하는 오목부(2)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인접하는 오목부(2) 사이의 거리란, 오목부(2)에 있어서의 용모(1)의 신장 방향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인 것을 말한다. 또한, 오목부(2)의 신장 방향의 길이(B)(폭)는 0.1㎜ 이상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5㎜ 이하인 것이 좋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pitch A of the recessed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오목부(2)의 최외측을 이어서 얻어지는 선으로부터 오목부(2)의 골짜기 밑바닥까지의 거리인 깊이(C)는, 용모 지름(D)의 0.1배 이상 0.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배 이상 0.3배 이하가 좋다.In addition, the depth C which is the distance from the line which follows the outermost side of the recessed
또한, 용모(1)의 굵기로서는, 3 내지 10mil(0.076 내지 0.254㎜),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mil(0.125 내지 0.203㎜)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성,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칫솔을 구성한 용모로서 굵기가 다른 복수의 용모를 조합시켜서 이용하여도 좋다. 특히, 식모면(12)에 다수의 식모구멍을 배치한 사양에서는, 외측부터 중앙을 향하여 용모의 강도를 딱딱하게 하는, 또는 변화시키는(두께, 재질, 길이, 색, 단면 형상) 것이 사용감, 외관 차별형상 상으로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또한, 용모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별형, 3엽 이나 4엽의 클로버형 등 직선끼리, 곡선끼리, 나아가서는 직선과 곡선을 조합시킨 부정형으로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ristle may be an indefinite form in which a straight lin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triangle, a quadrangle, a star, a straight line such as a 3-leaf or a 4-leaf clover, a curve, or a combination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
이와 같은 용모(1)가 되는 모노필라멘트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 만, 예를 들면, 통상의 공압출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Alth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nofilament used as such bristle 1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manufacture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normal coextrusion monofilament, etc.
또한, 용모(1)의 표면에 구비된 오목부(2)의 형성 방법도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할 때에 있어서의 연신 공정이나 어닐링 공정 등의 전 또는 후에서, 예를 들면 오목부(2)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보아 ㄷ자형상의 볼록부를 갖는 롤러를 상하 또는 좌우에 대향 배치하고, 대향 배치된 롤러 사이에 모노필라멘트를 통과시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는, 대향 배치된 롤러의 사이에 모노필라멘트를 통과시킬 때에, 열처리를 시행하면서 대향 배치된 롤러의 사이에 모노필라멘트를 통과시킴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formation method of the recessed
또한, 오목부(2)의 형성 위치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용모(1)의 표면에 2열의 오목부 유닛(21, 22)을 구비하고 있지만, 오목부 유닛은 1열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열의 오목부 유닛(21, 22)이 용모(1)의 중심축(E)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용모(1)의 신장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 유닛(21)의 오목부의 위치가, 오목부 유닛(22)의 이웃하는 오목부의 중심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recessed
용모(1)의 오목부(2)의 형상은 용모(1)의 신장 방향의 단면을 보아 ㄷ자형상이나 V자형상이나 U자형상, C자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용모(1)가 갖는 모든 오목부의 형상이 같게 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가 달라도 좋다. 또한, 용모의 오목부는, 용모의 전둘레에 걸쳐서 마련된 홈이라도 좋다. 또한, 용모의 오목부는, 특히 용모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오목부의 크기, 용모의 단면 형상, 용모 지름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면 좋다.The shape of the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오목부을 형성하는 경우, 용모가 되는 모노필라멘트를 통과시키는 롤러로서, 반구형상이나 개략 다각형(직사각형, 삼각형), 개략 타원형 등의 형성하고 싶은 오목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볼록부를 갖는 롤러를 이용함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의 용모(1)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When forming a concave portion having such a shape, a roller having a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concave portion to be formed, such as a hemispherical shape, a rough polygon (rectangle, triangle), a rough oval, etc. By using it, it can form similarly to the bristle 1 of the said embodiment.
또한, 표면에 오목부(2)를 구비한 용모(1)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용모(1)를 방사할 때에 미리 마스터 배치에 무기물을 넣어 두고, 이것을 이용하여 방사된 용모의 표면 석출분을 용해시킴에 의해 얻어진 표면에 랜덤한 오목부가 부여된 용모를 들 수 있다.Moreover, as another example of the
또한, 용모를 산 또는 알칼리 약제에 용해시키는 화학적 방법이나, 칫솔에 식모한 후에 모선(毛先)을 기계 연마한 연마 방법 등에 의해 모선을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연마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 1의 회전축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 1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받이가 제 2의 회전축에 따라 회전하는 연마체에 의해, 쇄모의 전정면과 식설면 사이를 매끈한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조하는 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mother wire may be tapered by a chemical method of dissolving the bristle in an acid or an alkali chemical agent, or by a polishing method in which the mother wire is mechanically polished after planting in a toothbrush. As a grinding | polishing method, for example, the taper which smoothed between the vestibular face and the planting surface of the hair-shape by the grinding | polishing body which the bearing body which supports a 1st rotating shaft rotates along a 2nd rotating shaft, rotating along a 1st rotating shaft, for example. The method using the apparatus which processes and manufactures to a shape is mentioned.
또한, 모선을 테이퍼 형상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깊이란, 테이퍼부에 형성된 오목부 전후의 최외측을 이어서 얻어지는 선으로부터 오목부의 골짜기 밑바닥까지의 거리를 말한다.In addition, the depth of the recessed part in the case of making a mother wire into a taper shape means the distance from the line obtained continuously to the outermost side before and behind the recessed part formed in a tapered part, and the valley bottom of a recessed part.
또한, 방사 후의 용모를 칫솔(10)의 제조 방법의 차이에 의해, 소정 갯수씩 묶어서 스풀에 권취한 상태로 하거나, 일정한 길이로 컷트하여 직선상에 수㎝로부터 10㎝ 정도의 직경으로 묶고, 종이나 필름으로 감은 상태로 하거나 한 후에, 용모의 잔류 변형을 한층 저감하기 위해, 예를 들면 60℃부터 160℃에서 수분간부터 수일간의 오프라인 열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또한, 칫솔(10)의 단부의 모절(毛切)(또는 프로파일) 형상과 용모 길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일 평면형상으로 하거나, 산절(山切)형상으로 하거나, 요철형상으로 하여도 좋고, 외측과 내측, 선단부와 후단부 등에서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hair | bristle shape (or profile) shape and bristle length of the edge part of the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an Example is shown to the following and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to it in more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Examples 1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표 1 또는 표 2에 표시하는 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묶은 모속이 23개의 식모구멍을 갖는 식모면에 식설되고, 헤드부 및 핸들부가 PCTA 수지로 이루어지는 칫솔을 제조하였다.The hair | bristle bundle which bundled the bristle which consists of PTT resin shown in Table 1 or Table 2 was planted on the woolen surface which has 23 tuft holes, and the head part and the handle part manufactured the toothbrush which consists of PCTA resin.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
나일론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제조하였다.A toothbrush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1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except that a bristle made of nylon resin was used.
표 1 또는 표 2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칫솔에 이용한 용모의 측면도, 측면도에 도시한 화살표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최소 단면적(S1)에 대한 최대 단면적(S2)의 비율((S1/S2)×100(%)), 용모 치수(피 치, 깊이, 폭), 용모 지름을 나타낸다. 또한, 표 1 및 표 2의 단면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된 부분의 면적이 최소 단면적(S1)이고,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최대 단면적(S2)이다.Table 1 or Table 2 shows a side view of the bristle used for the toothbrushes of Examples 1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si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side view, and a maximum with respect to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The ratio of the cross-sectional area S2 ((S1 / S2) x 100 (%)), the dimension of the appearance (pitch, depth, width), and the appearance diameter are shown. In addition, in the sectional drawing of Table 1 and Table 2, the area of the part shown with the diagonal line is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and the part enclosed with the dotted line is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표 1][Table 1]
[표 2][Table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칫솔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1) 용모 내구성 시험과 (2)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Using the toothbrush of Examples 1-10 and Comparative Examples 1-4, the (1) bristle durability test and (2) sensory evaluation shown below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표 3][Table 3]
(1) 용모 내구성 시험(1) appearance durability test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칫솔을 모델 내구성 시험기에 세트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모부 벌어짐율과 용모 꺾여짐의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은, 칫솔의 헤드부를, 금속제의 물결판상에 위치하여 용모 선단이 물결판 표면에 접하도록 하여 물결판과 평행하게 대향 배치하고, 칫솔의 헤드부와 물결판의 전체를 35℃의 온수중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칫솔의 헤드부에 400g의 하중을 건 상태에서, 헤드부를 물결판의 물결을 직행하는 방향으로, 왕복 속도 150회/분, 쇄소 스트로크 40㎜로 10만회 왕복 운동시켜서 쇄소하여, 칫솔의 식모부 벌어짐율 및 용모 꺾여짐을 평가하였다.The toothbrushes of Examples 1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set in a model durability tester, and as shown below, the test of the hair opening and the brittleness of the hair was performed. In the test method, the head part of the toothbrush is placed on a metal wave plate and is placed in parallel with the wave plate with the bristle tip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wave plate, and the head part of the toothbrush and the whole of the wave plate are placed in hot water at 35 ° C. Immerse. Then, in a state in which 400 g of load is appli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the head portion is squeezed by reciprocating 100,000 times at a reciprocating speed of 150 times / minute and a stroke stroke of 40 mm in the direction of passing the wave of the wave plate. The rate of bulging and brittleness were evaluated.
<식모부 벌어짐율><Plant spread rate>
쇄소 전(용모 내구성 시험 전)에 헤드부에 식모된 식모군의 식모부 폭(핸들 긴변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의 용모군의 모선(毛先) 위치에서의 전폭(全幅))을 측정하고, 모델 내구성 시험기에서 소정 회수(10만회) 쇄소한 후, 재차 식모부 폭을 측정하고, 그 차를 쇄소 전의 식모부 폭으로 나누어 100배로 하여 퍼센트 표시한 것이다. 또한, 식모부 폭은, 가장 외측을 향한 모속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계측하였다. 또한, 식모부 벌어짐율은,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Before the dehydration (before the bristle endurance test), the width of the bristle part of the bristles group implanted into the head part (full width at the hairline position of the bristle group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andle long side direction) was measured, and the model was measured. After decrement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100,000 times) in the durability tester, the hair width of the hair is again measured, and the difference is divided by the width of the hair before the hair removal and displayed as a percentage of 100 times. In addition, the hair | bristle part width | variety was measured in the position containing the hair | bristle bundle toward the outermost. In addition, the hair opening spread rate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식모부 벌어짐율(%)=((쇄소 후의 식모부 폭 - 쇄소 전의 식모부 폭)/(쇄소 전의 식모부 폭))×100Hair growth rate (%) = ((hair width after hair removal-hair width before hair loss) / (hair width before hair loss)) × 100
○ : 30% 이상 60% 미만○: 30% or more but less than 60%
△ : 20% 이상 30% 미만 또는 60% 이상 80% 미만△: 20% or more but less than 30% or 60% or more but less than 80%
× : 20% 미만 또는 80% 이상×: less than 20% or 80% or more
<용모 꺾여짐><Feather bent>
소정 회수 쇄소 후, 용모 근원의 꺾여짐의 발생의 유무를 육안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fter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deple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ccurrence of the break of the bristle root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용모 꺾여짐 없음○: no appearance bending
× : 용모 꺾여짐 발생×: appearance bending occurs
(2) 관능 평가(2) sensory evaluation
칫솔의 모 벌여짐 상태와, 교환 시기가 링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브러시 내구성 시험 종료 후의 칫솔을 이용하여 전문 패널러 20명에 의한 7단계 관능 평가를 실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toothbrushing state of the toothbrush and whether or not the replacement time was linked were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for seven-step sensory evaluation by 20 professional panelists using the toothbrush after the brush durability test was completed.
1 : 전혀 링크하지 않는다1: do not link at all
2 : 꽤 링크하지 않는다2: don't link pretty
3 : 그다지 링크하지 않는다3: don't link very much
4 : 어느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다4: I can't say either
5 : 약간 링크하고 있다5: link slightly
6 : 꽤 링크하고 있다6: Pretty Linking
7 : 매우 링크하고 있다7: very linked
○ : 평균점이 6점 이상○: 6 or more average points
△ : 평균점이 4점 초과 6점 미만(Triangle | delta): An average score is more than 4 points and less than 6 points
× : 4점 이하×: 4 points or less
종합 평가는, 식모부 벌어짐율, 용모 꺾여짐, 관능 평가의 결과를 기초로 판 단하였다.Comprehensive evaluation was judg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folding rate of the mother-in-law, brittleness, and sensory evaluation.
○ : 모두가「○」○: Everyone is `` ○ ''
△ : 평가가 「○」 또는「△」이고 「×」는 없다(Triangle | delta): Evaluation is "(circle)" or "(triangle | delta)" and there is no "x".
× : 어느 하나에 「×」가 있다X: There is "x" in either
표 1 내지 표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용모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용모의 최소 단면적(S1)이 용모의 최대 단면적(S2)의 40% 이상 80% 이하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는, 용모 꺾여짐의 평가가 전부 ○이 되고, 종합 평가가 ○ 또는 △이 되었다.As shown in Table 1 thru | or Table 3, Example 1 thru | or implementation which a plurality of recessed parts ar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ristles, and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of a bristle is 40% or more and 80% or less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of a bristle. In Example 10, all of evaluation of the brittleness became (circl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became (circle) or (triangle | delta).
이에 대해, 용모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과, 오목부의 깊이가 바람직한 범위보다도 얕고, 최소 단면적(S1)에 대한 최대 단면적(S2)의 비율이 80%를 초과하는 비교예 2에서는, 식모부 벌어짐율이 매우 낮고, 식모부 벌어짐율의 평가가 ×로 되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관능 평가도 ×이고, 용모가 벌어지는 정도(식모부 벌어짐율)가 칫솔의 교환 시기에 대응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또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는, 용모 꺾여짐의 평가도 ×이고, 종합 평가도 ×로 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recessed part is not formed in the brist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in which the depth of a recessed part is shallower than the preferable range, and the ratio of the largest cross-sectional area S2 with respect to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exceeds 80%, The hair spreading rate was very low, and the evaluation of the hair spreading rate became x. Moreover,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sensory evaluation degree was also x, and it turned out that the extent to which a bristles open | releases (germ part spreading rate) does not correspond to the toothbrush replacement time. 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evaluation of the bridging of the bristles was also x, and the overall evaluation was also x.
또한, 최소 단면적(S1)에 대한 최대 단면적(S2)의 비율이 40% 미만인 비교예 3과, 나일론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이용한 비교예 4에서는, 용모 꺾여짐은 없었지만, 식모부 벌어짐율이 매우 높고, 식모부 벌어짐율의 평가가 ×로 되었다.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ratio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to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was less than 40%, and Comparative Example 4 using the bristle made of nylon resin, the bridging part unfolding ratio was very high. The evaluation of the unfolding rate of the hair-fed part became x.
다음에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Next,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8」"Examples 11 to 18"
표 3에 표시하는 PTT 수지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칫솔을 제조하였다.The toothbrush was manufactured like Example 1 thru | or 10 and Comparative Example 1 thru | or Comparative Example 4 except having used the bristle which consists of PTT resin shown in Table 3.
표 4에,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8의 칫솔에 이용한 용모의 측면도, 측면도에 도시한 화살표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 최소 단면적(S1)에 대한 최대 단면적(S2)의 비율((S1/S2)×100(%)), 용모 치수(피치, 깊이, 폭), 용모 지름을 나타낸다. 또한, 표 4의 단면도에 있어서, 사선으로 도시된 부분의 면적이 최소 단면적(S1)이고,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최대 단면적(S2)이다.Table 4 shows a side view of the bristle used for the toothbrush of Examples 11 to 18,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posi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side view, and a ratio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to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S1 / S2). ) X 100 (%)), the feature size (pitch, depth, width), and feature size. In addition, in sectional drawing of Table 4, the area of the part shown with the oblique line is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and the part enclosed with the dotted line is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표 4][Table 4]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8의 칫솔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1) 용모 내구성 시험과 (2)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표시한다..Using the toothbrush of Examples 11-18,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s 1-10, and Comparative Examples 1-4, (1) bristle durability test, and (2)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표 5][Table 5]
표 4 및 표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용모의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용모의 최소 단면적(S1)이 용모의 최대 단면적(S2)의 40% 이상 80% 이하인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8에서는, 용모 꺾여짐의 평가가 전부 ○이 되고, 종합 평가가 ○ 또는 △이 되었다.As shown in Table 4 and Table 5, the several recessed part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ristles, and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S1 of a bristle is 40% or more and 80% or less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area S2 of a bristle, Example 11-Example In Example 18, all evaluation of the brittleness became (circle),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became (circle) or (triangle | delta).
본 발명의 칫솔은, 용모의 근원에 걸리는 응력 집중을 경감함에 의해, 용모의 갈라짐이나 꺾여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시각적으로 교환 시기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toothbrush of this invention can prevent the bridging and bending of a bristle by reducing the stress concentration applied to the root of bristle. Moreover,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he toothbrush which can visually clarify an exchange time.
Claims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6-252676 | 2006-09-19 | ||
JP2006252676 | 2006-09-19 | ||
PCT/JP2007/068190 WO2008035713A1 (en) | 2006-09-19 | 2007-09-19 | Toothbrush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7013A KR20090057013A (en) | 2009-06-03 |
KR101320827B1 true KR101320827B1 (en) | 2013-10-23 |
Family
ID=3920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052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0827B1 (en) | 2006-09-19 | 2007-09-19 | Toothbrush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066527B2 (en) |
KR (1) | KR101320827B1 (en) |
CN (1) | CN101516232B (en) |
WO (1) | WO200803571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198744B1 (en) * | 2008-12-19 | 2011-11-09 | Braun GmbH | Bristle tuft and toothbrush with bristle tuft |
WO2017018340A1 (en) * | 2015-07-24 | 2017-02-02 | ライオン株式会社 | Toothbrush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51670A (en) * | 1989-03-16 | 1990-10-09 | Toray Ind Inc | Production of fiber having irregular surface |
JPH0372724A (en) * | 1989-08-11 | 1991-03-27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position on communication cable |
JP2001178542A (en) | 1999-12-27 | 2001-07-03 | Lion Corp | Toothbrush |
JP2006122275A (en) | 2004-10-28 | 2006-05-18 | Lion Corp | Toothbrush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7726U (en) * | 1983-07-30 | 1985-02-25 | 八巻 力 | toothbrush |
JPS61177027U (en) * | 1985-04-24 | 1986-11-05 | ||
JPH0372724U (en) * | 1989-08-22 | 1991-07-23 | ||
JP3341960B2 (en) | 1994-12-21 | 2002-11-05 | 東洋紡績株式会社 | High performance brush |
JP2007195962A (en) * | 2005-12-28 | 2007-08-09 | Lion Corp | Toothbrush |
-
2007
- 2007-09-19 JP JP2008535375A patent/JP5066527B2/en active Active
- 2007-09-19 WO PCT/JP2007/068190 patent/WO20080357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9-19 CN CN2007800343758A patent/CN101516232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9-19 KR KR1020097005233A patent/KR1013208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51670A (en) * | 1989-03-16 | 1990-10-09 | Toray Ind Inc | Production of fiber having irregular surface |
JPH0372724A (en) * | 1989-08-11 | 1991-03-27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position on communication cable |
JP2001178542A (en) | 1999-12-27 | 2001-07-03 | Lion Corp | Toothbrush |
JP2006122275A (en) | 2004-10-28 | 2006-05-18 | Lion Corp | Toothbrus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066527B2 (en) | 2012-11-07 |
CN101516232B (en) | 2012-02-08 |
WO2008035713A1 (en) | 2008-03-27 |
CN101516232A (en) | 2009-08-26 |
KR20090057013A (en) | 2009-06-03 |
JPWO2008035713A1 (en) | 2010-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13431B (en) | Toothbrush with the core of the composite wire and the use of its toothbrush | |
CN108495577B (en) | Brush bristle material and brush using same | |
JP4619396B2 (en) | toothbrush | |
JP4720025B2 (en) | toothbrush | |
JPWO2008081697A1 (en) | toothbrush | |
CA3140827C (en) |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 |
KR101320827B1 (en) | Toothbrush | |
JP5297722B2 (en) | Toothbrush hai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oothbrush hair material, toothbrush | |
JP2005103184A (en) | Toothbrush | |
JP5857398B2 (en) | toothbrush | |
JP2011125583A (en) | Bristle material for toothbrush and tooth brush | |
JP2007215703A (en) | Dental floss yarn and dental floss | |
US9125526B2 (en) | Rolling mat | |
JP4092323B2 (en) | toothbrush | |
JP4722639B2 (en) | toothbrush | |
JP2007195962A (en) | Toothbrush | |
JP2006340748A (en) | Bristle for toothbrush and toothbrush | |
TWI709673B (en) | Brush material and brushes using it | |
WO2017111011A1 (en) | Brush bristle material, and brush using same | |
JP2003225123A (en) | Toothbrush bristle material | |
JP4544785B2 (en) | toothbrush | |
TW201731418A (en) | Bristle material for brush, and brush using same | |
JP4076400B2 (en) | toothbrush | |
WO2017130900A1 (en) | Bristle material for brush, and brush using same | |
JP2021178114A (en) | toothbrus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3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