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20002B1 - 차량 배선용 그로밋 - Google Patents

차량 배선용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002B1
KR101320002B1 KR1020130098555A KR20130098555A KR101320002B1 KR 101320002 B1 KR101320002 B1 KR 101320002B1 KR 1020130098555 A KR1020130098555 A KR 1020130098555A KR 20130098555 A KR20130098555 A KR 20130098555A KR 101320002 B1 KR101320002 B1 KR 10132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ommet
inner tube
inclined surfac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민곤
Original Assignee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100)은, 원추형으로서 전방에 경사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3)의 후방에 플랜지(119)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9)와 경사면(113)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삽입홈(117)을 포함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전방관(120)과, 상기 바디(1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후방관(130)을 포함하는 차량 배선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전방관(120), 바디(110), 후방관(13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내측관(160)과, 상기 내측관(160)의 외측면(165)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116)에 연결되는 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막(140)의 전면(前面, 143)과 상기 외측면(165)에 연결된 리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 다발(C)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내측관(160)이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리브(150)와 막(140)이 바디(110)의 테두리(114)를 당기게 되므로 바디(110)가 오므라들게 되어, 용이하게 격판(P)의 관통구(H)에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실의 소음이 바디(110)를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막(140)에 의해서 상쇄되고, 전방관(120)과 후방관(130)의 내부에 내측관(1600이 수용되는 2중 구조로 인해서 소음이 통과하는 정도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배선용 그로밋{The grommet for wiring of cars}
본 발명은 차량 배선용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내부에 구성된 격판의 관통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엔진실의 소음을 원활하게 방음할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실과 실내 사이에는 격판(P)이 구성되고 상기 격판(P)에는 케이블 다발(C)이 통과하는 관통구(H)가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관통구(H)로 엔진실의 소음이나 악취 내지는 분진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차량 배선용 그로밋(1)이다. 상기 차량 배선용 그로밋(1)은 일반적으로 고무 또는 에라스토마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격판(P)의 관통구(H)에 장착되어 케이블 다발(C)을 통과시키는 부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차량 배선용 그로밋(1)의 구성과 사용례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격판의 관통구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원추형으로서 전방에 경사면(13)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3)의 후방에 형성되어 관통구(H)에 걸리는 플랜지(14)가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바디(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전방에 연결되어 바디(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전방관(20)이 구성되며, 상기 바디(10)의 후방에 연결되어 바디(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후방관(3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13)에는, 바디(10)가 용이하게 수축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가 배열된 수축홈(15)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4)와 경사면(13) 사이에는 관통구(H)의 테두리(K)가 끼워지는 삽입홈(17)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경기술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처럼, 케이블 다발(C)이 후방관(30), 바디(10), 전방관(20)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케이블 다발(C)은 전방관(20)과 후방관(30)에 의해서 압박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나서, 관통구(H) 후방에서 전방으로 바디(10)를 밀어 넣는다. 그러면, 경사면(13)이 관통구(H)로 진입하지만 바디(10)의 지름이 관통구(H)의 것보다 크기 때문에 경사면(13)은 관통구(H)에 걸리게 된다.
이때, 힘을 더 주어서 밀어넣게 되면 수축홈(15)을 중심으로 경사면(13)은 원주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므로 바디(10)는 관통구(H)를 통과하는 것으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홈(17)이 관통구(H)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디(10)는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삽입홈(17)에 관통구(H)의 테두리(K)가 삽입되므로 장착이 완료되는 것으로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상기 삽입홈(17)을 중심으로 바디(10)의 경사면(13)이 원주 방향으로 제대로 수축하지 않게 되어 효과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즉, 재질의 특성상, 원주 방향으로 수축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삽입홈(17)의 깊이를 기존보다 작게 하므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 바디(10)가 관통구(H)로부터 쉽게 이탈하게 되므로 실현성이 없다.
둘째, 엔진실의 소음이 후방관(30), 바디(10), 전방관(20) 순으로 거치면서 실내로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음은 소리 에너지로서 파동을 일으키면서 전파된다. 따라서, 한 겹으로 형성된 후방관(30), 바디(10), 전방관(20)을 용이하게 통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10-2009-0076106호 (2009. 07. 13.)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배경기술에서 상기 삽입홈을 중심으로 바디의 경사면이 원주 방향으로 제대로 수축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기 바디의 원활한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통구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배경기술에서 엔진실의 소음이 후방관, 바디, 전방관 순으로 거치면서 실내로 전파되는 현상을 배경기술보다 감소시켜서 정숙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은, 원추형으로서 전방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후방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와 경사면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와 연결되는 전방관과, 상기 바디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와 연결되는 후방관을 포함하는 차량 배선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전방관, 바디, 후방관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내측관과, 상기 내측관의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막은 상기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막의 전면(前面)과 상기 외측면에 연결된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케이블 다발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내측관이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리브와 막이 바디의 테두리를 당기게 되므로 바디가 오므라들게 되어, 용이하게 관통구에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엔진실의 소음이 바디를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막에 의해서 상쇄되고, 전방관과 후방관의 내부에 내측관이 수용되는 2중 구조로 인해서 소음이 통과하는 정도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격판의 관통구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으로서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으로서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으로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격판의 관통구에 장착하기 위해서 내측관을 전방으로 밀어서 바디를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격판의 관통구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장착례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으로서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으로서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으로서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국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격판의 관통구에 장착하기 위해서 내측관을 전방으로 밀어서 바디를 수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격판의 관통구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실과 실내 사이에는 격판(P)이 구성되고 상기 격판(P)에는 케이블 다발(C)이 통과하는 관통구(H)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H)에 케이블 다발(C)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관통구(H)에 차량 배선용 그로밋을 장착하게 된다. 상기 차량 배선용 그로밋은 유연성 및 신축이 가능하도록 고무 또는 에라스토마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통구(H)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원추형으로서, 전방에 경사면(113)이 형성되며, 경사면(113)의 후방에 관통구(H)에 걸리는 플랜지(119)가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바디(110)가 구성된다. 그리고, 경사면(113)에 대응되는 후방면(118)은 평면이 된다. 상기 바디(110)는 플랜지(119)와 경사면(113)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관통구(H)의 테두리(K)가 끼워지는 삽입홈(11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전방에 연결되어 바디(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전방관(120)이 구성되고, 바디(110)의 후방에 연결되어 바디(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후방관(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통구(H)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엔진실의 소음이 전달되는 정도를 기존의 차량 배선용 그로밋보다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전방관(120), 바디(110), 후방관(130)을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케이블 다발(C)이 통과하는 내측관(16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관(160)의 외측면(165)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116)에 연결되므로, 소음의 전달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바디(110)가 수축될 수 있도록, 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막(140)은 바디(110)의 내측면(116)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바디(110)의 내부를 전후방으로 구분하여 소음이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면(113)의 후방 지점, 또는 삽입홈(117)과 경사면(113)의 경계 지점의 하방에 상기 막(140)이 배치되므로 내측관(160)의 전진 시, 효율적으로 바디(110)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막(140)의 전면(前面, 143)과 상기 외측면(165)에 연결된 리브(150)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150)는 내측관(160)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리브(150)는 상기 내측관(160)과 막(140)에 연결되어 구성된 막 형상의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장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측관(160)에 케이블 다발(C)이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내측관(160)은 케이블 다발(C)을 압박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113)이 격판(P)의 관통구(H)를 향하도록 상기 바디(110)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바디(110) 후방으로 연장된 케이블 다발(C)을 잡는다. 그리고, 케이블 다발(C)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막(140)이 전방으로 인장되면서 바디(110)의 테두리(114)를 내측으로 당겨서 오므라지도록 한다.
이때, 리브(150)도 전방으로 인장되면서 상기 테두리(114)를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리브(150)가 구성되므로 막(140)을 도와서 테두리(114)를 당기는 역할도 하지만, 막(140)이 내측관(160) 또는 바디(110)에서 찢어져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막(140)만 구성된다면 내측관(160)의 전진 시, 인장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상기 막(140)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브(150)는 막(140)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바디(110)를 격판(P)의 관통구(H)로 밀어넣게 되면 용이하게 통과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119)가 관통구(H)에 걸리게 된다. 이때, 밀고 있던 케이블 다발(C)을 놓게 되면, 막(140)과 리브(150)의 복원력에 의해서 내측관(160)은 후진하여 복원된다. 이 경우, 상기 리브(150)는 막(140)의 복원력을 도와서 후방으로 용이하게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막(140)만 구비된다면 복원력이 약해서 후진하지 않게 될 수 있으므로 바디(110)의 테두리(114)가 수축된 상태에서 팽창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내측관(160)이 후진하게 되면, 막(140)과 리브(150)는 상기 바디(110)의 테두리(114)를 외측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어 상기 삽입홈(117)에 관통구(H)의 테두리(K)가 끼워지면서 장착이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이 격판(P)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7에서처럼, 엔진실의 소음이 바디(110)를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막(140)에 의해서 상쇄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막(140)을 소음이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다시 바디(110)에 의해서 상쇄된다.
또한, 상기 후방관(130)을 통과한 소음은 내측관(160)을 통해서 상쇄되지만 일부는 다시 내측관(160)을 통과한 후 케이블 다발(C)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내측관(160)을 통과하면서 일부 상쇄되고 내측관(160)을 통과하더라도 전방관(120)을 통해서 다시 상쇄된다. 따라서, 소음이 전달되는 정도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차량 배선용 그로밋 110: 바디
113: 경사면 114: 테두리
116: 내측면 117: 삽입홈
118: 후방면 119: 플랜지
120: 전방관 130: 후방관
140: 막 143: 전면
150: 리브 160: 내측관
165: 외측면

Claims (3)

  1. 원추형으로서 전방에 경사면(113)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3)의 후방에 플랜지(119)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9)와 경사면(113)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삽입홈(117)을 포함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전방관(120)과,
    상기 바디(1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후방관(130)을 포함하는 차량 배선용 그로밋에 있어서;
    상기 전방관(120), 바디(110), 후방관(130)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내측관(160)과,
    상기 내측관(160)의 외측면(165)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측면(116)에 연결되는 막(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선용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140)은 상기 내측면(116)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선용 그로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140)의 전면(前面, 143)과 상기 외측면(165)에 연결된 리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선용 그로밋.
KR1020130098555A 2013-08-20 2013-08-20 차량 배선용 그로밋 Active KR10132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55A KR101320002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 배선용 그로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55A KR101320002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 배선용 그로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002B1 true KR101320002B1 (ko) 2013-10-21

Family

ID=4963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555A Active KR101320002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 배선용 그로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26B1 (ko) * 2013-11-29 2015-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로멧
KR101673115B1 (ko) 2016-05-19 2016-11-18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경사막이 구성된 차량용 그로밋
KR20180046197A (ko) * 2016-10-27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그로멧 장치
KR102127161B1 (ko) * 2018-12-26 2020-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그로멧
KR20210057617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그로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837A (ja) 1999-11-11 2001-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1148211A (ja) 1999-11-22 2001-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2112437A (ja) 2000-09-29 2002-04-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KR20120135512A (ko) * 2010-04-01 2012-12-1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837A (ja) 1999-11-11 2001-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1148211A (ja) 1999-11-22 2001-05-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2002112437A (ja) 2000-09-29 2002-04-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KR20120135512A (ko) * 2010-04-01 2012-12-14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하네스용 그로밋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26B1 (ko) * 2013-11-29 2015-03-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그로멧
KR101673115B1 (ko) 2016-05-19 2016-11-18 현대코퍼레이션 주식회사 경사막이 구성된 차량용 그로밋
KR20180046197A (ko) * 2016-10-27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그로멧 장치
KR102463692B1 (ko) * 2016-10-27 202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그로멧 장치
KR102127161B1 (ko) * 2018-12-26 2020-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그로멧
KR20210057617A (ko) * 2019-11-12 2021-05-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그로멧
US11052840B2 (en) 2019-11-12 2021-07-06 Hyundai Motor Company Grommet for wire harness
KR102791255B1 (ko) * 2019-11-12 2025-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그로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002B1 (ko) 차량 배선용 그로밋
EP2557645B1 (en) Grommet for wire harness
JP5747694B2 (ja) グロメット
US8692122B2 (en) Grommet
US20120000686A1 (en) Electric junction box
US10300868B2 (en) Grommet and wire harness
JP2010069854A (ja) 発泡体付き成形部材
KR101701963B1 (ko) 차량용 그로밋
US20020056563A1 (en) Grommet
JP5497519B2 (ja) ケーブル用グロメット
JP2014057449A (ja) グロメット
KR102463692B1 (ko) 차량용 그로멧 장치
JP5446953B2 (ja) グロメット
KR101673115B1 (ko) 경사막이 구성된 차량용 그로밋
JP2017021891A (ja)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9104802A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JP2008002498A (ja) グロメット
JP4062218B2 (ja) グロメット
JP5262618B2 (ja) グロメット
JP5761165B2 (ja) グロメット
JP6146267B2 (ja) グロメット
JP2016159891A (ja) グロメット
JP2011083127A (ja) グロメット
JP2013135559A (ja) グロメット
JP2012019612A (ja) グロメット装着部の遮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