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9959B1 -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959B1
KR101319959B1 KR1020130072850A KR20130072850A KR101319959B1 KR 101319959 B1 KR101319959 B1 KR 101319959B1 KR 1020130072850 A KR1020130072850 A KR 1020130072850A KR 20130072850 A KR20130072850 A KR 20130072850A KR 101319959 B1 KR101319959 B1 KR 10131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phase
inverter
energy sto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석민
신기엽
이동주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주)테스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스, 국제통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테스
Priority to KR102013007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9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류 입력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에너지를 방출하는 3상 PWM 정류기와, 3상 PWM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배터리 충전전압으로 감압하거나 배터리의 낮은 전압을 인버터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배터리 충방전기와,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전원을 안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컨버터와,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3상 멀티레벨 인버터, 및 3상 PWM 정류기, 배터리 충방전기, 태양광 컨버터 및 3상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Hybrid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상 멀티레벨 인버터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전력 품질과 인버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경부하시,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리튬이온, 니켈, 납축전지 등과 같은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부하측 소비전력이 많은 시기에 공급함으로써 전력 비용절감 및 효과적인 에너지 사용을 주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들어 태양광, 풍력 등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 배터리 시스템, 계통 및 부하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동작 모드를 가지며, 동작 모드들 사이의 변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3상 인버터(13)는 태양전지(11)로부터 발생하는 전원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컨버터(14)에 의해 출력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16)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10은 계통전원이고, 12는 배터리이고, 15는 배터리 충방전기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부하(16)에 공급되는 전압 및 주파수가 입력전원 품질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전력품질이 떨어지고, 정전이 될 경우 정전 보상 기능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2011-0123130(공개일자: 2011년 11월 1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된 전력의 활용도가 높고, 전력 품질이 안정적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교류 입력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전력을 방출하는 3상 PWM 정류기와; 상기 3상 PWM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배터리 충전전압으로 감압하거나 배터리의 낮은 전압을 인버터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배터리 충방전기와;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하는 전원을 안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컨버터와;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3상 멀티레벨 인버터; 및 상기 3상 PWM 정류기, 상기 배터리 충방전기, 상기 태양광 컨버터 및 상기 3상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3상 멀티레벨 인버터는 3 레벨 인버터 브리지를 3개 병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3 레벨 인버터 브리지는 한 상당 4개의 스위칭 소자(SA1~SA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상기 스위칭 소자(SA1, SA4)는 Vdc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A2, SA3)는 Vdc전압의 50%만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3상 멀티레벨 인버터를 적용하여 배터리 에너지를 교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향상되고, 양질의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으면서 전체 시스템의 소형, 경량화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회로도및 3상 멀티레벨 인버터 회로도이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제1 내지 제5 동작 모드 전력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계통전원(20)인 교류 입력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전력을 방출하는 3상 PWM 정류기(23)와, 상기 3상 PWM 정류기(23)의 출력전압을 배터리(22) 충전전압으로 감압하거나 배터리(22)의 낮은 전압을 인버터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배터리 충방전기(26)와, 태양전지(21)로부터 발생하는 전원을 안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컨버터(25)와,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27)에 공급하는 3상 멀티레벨 인버터(24)와, 상기 3상 PWM 정류기(23), 상기 배터리 충방전기(26), 상기 태양광 컨버터(25) 및 3상 멀티레벨 인버터(24)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3상 멀티레벨 인버터(24)는 3 레벨 3상 인버터로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회로도 및 3상 멀티레벨 인버터 회로도이다. 도 3a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회로에서 3상 PWM 정류기(23), 태양광 컨버터(25) 및 배터리 충방전기(26)는 무정전전원장치(UPS)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로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3상 멀티레벨 인버터(24)는 4개의 IGBT 스위칭 소자(SA1~SA4)를 T형으로 구성한 3레벨 인버터 브릿지 3개를 병렬로 구성하여 3상 4선식 출력전압발생이 가능한 3레벨 3상 인버터로서, A상 상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SA1~SA4)들은 스위칭 소자 SA1와 스위칭 소자 SA3는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하고 스위칭 소자 SA2와 스위칭 소자 SA4는 서로 상보적으로 동작하여 3개의 전압 레벨(+Vdc/2, 0, -Vdc/2)을 갖는 3-레벨 PWM 전압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보적 동작은 1개 스위치가 ON되면 다른 1개 스위치는 OFF되는 스위칭 동작을 말한다. 이와 같은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발생된 A상 3-레벨 PWM 전압(Vpwm_a)은 리액터(La), 커패시터(Ca)로 구성된 A상 LC 필터를 통해서 정현파 전압(Va)으로 변환되어 부하에 공급된다. 또한 B상 및 C상 PWM 전압(Vpwm_b, Vpwm_c)은 스위칭 소자 SB1~SB4와 스위칭 소자 SC1~SC4 에 의해서 각각 발생되며 B상, C상 LC 필터(Lb, Lc, Cb, Cc)를 통해서 정현파 전압(Va, Vc)으로 각각 변환되어 부하에 공급된다.
상기 3레벨 3상 인버터는 표 1과 같이 각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따라 8가지의 스위칭 모드가 존재하는데 표 1 외의 스위칭 동작시, 스위칭 소자가 손상되므로 그러한 스위칭 동작이 되지 않도록 제어해야 한다. 이와 같은 3 레벨 인버터 브리지를 3개 병렬로 구성하면 3상 4선식 출력전압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3상 인버터 구성이 가능하다.
스위칭
소자
스위칭
모드 0
스위칭
모드 1
스위칭
모드 2
스위칭
모드 3
스위칭
모드 4
스위칭
모드 5
스위칭
모드 6
스위칭
모드 7
S A1 OFF ON OFF OFF OFF ON OFF OFF
S A2 OFF OFF ON OFF OFF ON ON OFF
S A3 OFF OFF OFF ON OFF OFF ON ON
S A4 OFF OFF OFF OFF ON OFF OFF ON
또한 표 1과 같은 스위칭 동작시, 스위칭 소자 SA1, SA4에는 Vdc전압이 인가되지만 스위칭 소자 SA2, SA3에는 Vdc전압의 50%만이 인가되므로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인버터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출력필터 전단의 인버터 출력전압(Vpwm _a~Vpwm _c)에 고조파 함유량이 적어 출력필터용 리액터(La~Lc) 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양질의 출력전압(Va~Vc)을 발생시킬 수 있어 소형, 경량화가 용이하다.
에너지 충전 시스템(ESS)의 방전모드 동작 상태에서, ESS 방전 효율은 배터리 효율, 배터리 충방전기 및 인버터 효율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3상 멀티 레벨 인버터를 적용하여 인버터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에너지 충전 시스템 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e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제1 내지 제5 동작 모드에 대한 전력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동작 모드는 입력 전원이 정상이고 태양전지(21)의 발전량이 없을 경우(PM 11:00~AM 08:00), 3상 PWM 정류기(23)가 배터리 충방전기(26)와 부하(27)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충방전기(26)를 통해 배터리(22)가 충전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동작 모드는 입력 전원이 정상이고 태양전지(21)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면(AM 08:00~AM 10:00), 3상 PWM 정류기(23)와 태양광 컨버터(25)가 부하(27)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3 동작 모드는 입력 전원이 정상이지만 태양전지(21)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면(AM 10:00~PM 05:00), 3상 PWM 정류기(23), 태양광 컨버터(25)와 배터리 충방전기(26)가 부하(27)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4d를 참조하면, 제4 동작 모드는 태양전지(21)를 사용할 수 없는 조건이면(PM 05:00~PM 11:00), 배터리 충방전기(26)가 부하(27)에 전력을 공급하다가 배터리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시점에는 3상 PWM 정류기(23)가 전력을 공급한다.
도 4e를 참조하면, 제5 동작 모드는 입력 전원이 비정상(정전)이고 태양전지(21)를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이면, 태양광 컨버터(25)와 배터리 충방전기(26)가 부하(27)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3상 멀티 레벨 인버터(24)만이 부하(27)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부하(27)는 계통과는 무관하게 3상 멀티 레벨 인버터(40)에 의하여 정밀하게 제어된 주파수 및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계통 연계를 통하지 않고도 태양광 에너지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에너지 이용 효율 측면과 신뢰성 있는 무정전전원장치의 이용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1 : 태양전지 22 : 배터리
23 : 3상 정류기 24 : 3상 멀티레벨 인버터
25 : 태양광 컨버터 26: 배터리 충방전기
27 : 부하

Claims (4)

  1. 교류 입력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계통에 전력을 방출하는 3상 PWM 정류기와;
    상기 3상 PWM 정류기의 출력전압을 배터리 충전전압으로 감압하거나 배터리의 낮은 전압을 인버터 작동에 적합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배터리 충방전기와;
    태양전지에서 발생하는 전원을 안정된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태양광 컨버터와;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3레벨 3상 인버터; 및
    상기 3상 PWM 정류기, 상기 배터리 충방전기, 상기 태양광 컨버터 및 상기 3레벨 3상 인버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3레벨 3상 인버터는 4개의 스위칭 소자(SA1~SA4)를 T형으로 구성한 3레벨 인버터 브릿지 3개를 병렬로 구성하여 3상 4선식 출력전압발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SA1, SA4)는 Vdc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A2, SA3)는 Vdc전압의 50%만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0130072850A 2013-06-25 2013-06-25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Active KR10131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50A KR101319959B1 (ko) 2013-06-25 2013-06-25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850A KR101319959B1 (ko) 2013-06-25 2013-06-25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959B1 true KR101319959B1 (ko) 2013-10-28

Family

ID=4963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850A Active KR101319959B1 (ko) 2013-06-25 2013-06-25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9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41B1 (ko) * 2014-05-27 2014-09-25 (주)테스 에너지 저장 기능을 갖는 무변압기형 무정전 전원장치
KR101476100B1 (ko) * 2014-04-25 2014-12-24 한국수자원공사 3레벨 전력변환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
KR101476099B1 (ko) * 2014-04-25 2014-12-24 한국수자원공사 3레벨 전력변환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변압기형 무정전 전원장치
CN106356916A (zh) * 2016-08-31 2017-01-25 苏州迈力电器有限公司 用于电动车的太阳能充电器
WO2017037348A1 (en) * 2015-09-02 2017-03-09 Proxion Solutions Oy Battery arrangement
CN107482659A (zh) * 2017-08-21 2017-12-15 南京国电南自电网自动化有限公司 交流微电网离网状态下混合储能系统协调控制方法
KR101826609B1 (ko) 2017-08-23 2018-03-22 주식회사 에코스 3상 3레벨 전력변환장치의 pwm 제어 장치
CN108923514A (zh) * 2018-07-18 2018-11-30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充电机控制方法
KR102006808B1 (ko) * 2019-03-20 2019-08-05 주식회사 우정티엠에스 전기 절감용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장치
CN110752655A (zh) * 2019-11-11 2020-02-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一种实现交流恒压充电的混合储能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977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전원을 이용한 전동기 구동장치 및 분산전원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977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산전원을 이용한 전동기 구동장치 및 분산전원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00B1 (ko) * 2014-04-25 2014-12-24 한국수자원공사 3레벨 전력변환기를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
KR101476099B1 (ko) * 2014-04-25 2014-12-24 한국수자원공사 3레벨 전력변환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변압기형 무정전 전원장치
KR101425141B1 (ko) * 2014-05-27 2014-09-25 (주)테스 에너지 저장 기능을 갖는 무변압기형 무정전 전원장치
WO2017037348A1 (en) * 2015-09-02 2017-03-09 Proxion Solutions Oy Battery arrangement
CN106356916A (zh) * 2016-08-31 2017-01-25 苏州迈力电器有限公司 用于电动车的太阳能充电器
CN107482659A (zh) * 2017-08-21 2017-12-15 南京国电南自电网自动化有限公司 交流微电网离网状态下混合储能系统协调控制方法
CN107482659B (zh) * 2017-08-21 2019-09-06 南京国电南自电网自动化有限公司 交流微电网离网状态下混合储能系统协调控制方法
KR101826609B1 (ko) 2017-08-23 2018-03-22 주식회사 에코스 3상 3레벨 전력변환장치의 pwm 제어 장치
CN108923514A (zh) * 2018-07-18 2018-11-30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充电机控制方法
KR102006808B1 (ko) * 2019-03-20 2019-08-05 주식회사 우정티엠에스 전기 절감용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장치
CN110752655A (zh) * 2019-11-11 2020-02-0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南阳供电公司 一种实现交流恒压充电的混合储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959B1 (ko)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552474B2 (en) Multi-level medium voltage data center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DCSTATCOM) for active and reactive power control of data centers connected with grid energy storage and smart green distributed energy sources
RU2512880C2 (ru) Система накоп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на базе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и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а с функцией улучшения качества сети
CN101917016B (zh) 储能型级联多电平光伏并网发电控制系统
CN101917017B (zh) 单级升/降压储能型光伏并网发电控制系统
KR101135284B1 (ko) 충전장치를 채용하고 무효전력 제어기능을 갖는 다중기능 전력변환 장치 및 방법
US9608447B2 (en) Solar photovoltaic three-phase micro-inverter and a sola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AU20123321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version for renewable energy sources
CN106712091A (zh) 新型直交流混合微电网系统及其控制策略
CN103647274A (zh) 一种用于可并网和离网运行的微电网系统及能量控制方法
JP5541982B2 (ja) 直流配電システム
KR101476099B1 (ko) 3레벨 전력변환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무변압기형 무정전 전원장치
WO2013000185A1 (zh) 并网逆变装置
Zhang et al. A modular multilevel converter-based grid-tied battery-supercapacitor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with decoupled power control
CN106026164A (zh) 一种具有储能装置的光伏发电系统
CN102522767A (zh) 一种可调度型光伏储能并网发电系统及其工作方法
CN202488205U (zh) 新型串并联变换型ups
CN105391164A (zh) 微电网型不间断电源系统
CN103618327A (zh) 一种大功率储能变流器及其主电路
WO2018177062A1 (zh) 供电系统和供电系统的控制方法
WO2012010056A1 (zh) 一种无变压器电池储能拓扑结构
JP2014023425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CN103545847A (zh) 光伏发电能量管理系统
CN103606924B (zh) 一种动态电压补偿装置和方法
CN108418245A (zh) 一种简化的直流微电网联络线恒功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