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9890B1 -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9890B1
KR101319890B1 KR1020070016130A KR20070016130A KR101319890B1 KR 101319890 B1 KR101319890 B1 KR 101319890B1 KR 1020070016130 A KR1020070016130 A KR 1020070016130A KR 20070016130 A KR20070016130 A KR 20070016130A KR 101319890 B1 KR101319890 B1 KR 10131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ware
broadcast receiver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ho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337A (ko
Inventor
김경호
김인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89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8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13Standardised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e.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software upgrade)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웨어 매니저(software manager)와 네트워크(network)로 연결된 방송 수신기(broadcast receiver)에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의 일 예는,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로 요청(request)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로 응답(response)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응답에 따라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를 상기 방송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전송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어 와 상기 방송 수신기 재부팅(rebooting) 시에 상기 읽어 온 소프트웨어로 작동하여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오픈 케이블, 케이블 헤드엔드, 호스트, SNMP, 케이블 모뎀

Description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grading softwar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케이블 제품이 동작하는 환경으로써 케이블 방송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eCM과 호스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컨트롤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로그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3d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트랩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3e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 디바이스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의 값을 도시한 것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형식화된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과 호스트 간의 양방향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해 구성한 장치 및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0;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 720; 호스트
730; SNMP 에이전트 740; eCM
750; 제 1 메모리 760; 제 2 메모리
770; OSD 유닛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software upgrad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픈 케이블(OpenCable) 환경에서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방송 시스템(cable broadcast system)은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 눌 수 있다. 이때, 송신부는 케이블 방송을 전송하는 케이블 방송국일 수 있으며, 수신부는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방송국은 SO 헤드엔드(system operator headend)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헤드엔드라고 불린다. 이때, SO는 종합 유선 방송 사업자(즉, 지역 케이블 TV 방송 사업자)를 지칭하며, 상기 SO를 여러 개 합친 것을 MSO라고 한다.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제한 수신 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을 포함하는 POD(Point of Deployment) 모듈이 본체로부터 분리된 오픈 케이블(open cable) 방식일 수 있다.
오픈 케이블 환경에서 전송 단의 케이블 헤드엔드와 수신 단의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서로 원하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상기와 같이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OOB(out of band) 튜너(tuner)를 이용하여 RDC(return data channel)를 구현하거나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상태 등에 관해 전송 단의 케이블 헤드엔드 측에서 알 수 있도록 하거나 필요에 따라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와 관련된 소프트웨어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 구비된 에이전트에서 다운로드 받았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전송과 관련된 형식화된 컨테이너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 관한 소프트웨어를 다른 이미지와 합쳐서 전송하였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 구비된 에이전트는 상기 전송된 컨테이너에 포함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 관한 소프트웨어와 이미지를 분리할 수 없어이를 케이블 방송 수신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분리되면, 이를 다시 재전송 받는 구조였다.
따라서, 기존 방식에 의할 경우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복잡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수신기에서 장착 내지 내장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아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웨어 매니저(software manager)와 네트워크(network)로 연결된 방송 수신기(broadcast receiver)에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upgrade)하는 방법의 일 예는,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기로 요청(request)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로 응답(response)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응답에 따라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를 상기 방송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전송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어 와 상기 방송 수신기 재부팅(rebooting) 시에 상기 읽어 온 소프트웨어로 작동하여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download) 하거나 재부팅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software image typ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형식화된 컨테이너(container)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에 관하여 정의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의 이미지의 타입은 상기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만 포함하는 타입,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만을 포함하는 타입과 상 기 방송 수신기와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는 압축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액세스 코드에 관한 정보는 지원하는 액세스 코드가 없으면 무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는 새로 다운로드 받은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파일 이름(file name)에 관한 제 1 정보, 소프트웨어 이미지가 있는 서버(server)의 주소(address) 내지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관한 제 2 정보, 상기 서버에 들어가기 위한 패스워드(password)에 관한 제 3 정보, 다운로드 동작을 설정하도록 하는 제 4 정보, 진행 중인 상기 다운로드 동작을 위하여 스크린(screen)에 디스플레이(display)하기 위한 메시지들에 관한 제 5 정보와 상기 제 5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관한 제 6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에서 상기 업그레이드 여부 판단 결과 업그레이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방송 수신기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검증(verific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결과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이 상기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만 포함한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로 해당 소프트웨어가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만을 포함한 타입이거나 상기 방송 수신기와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타입인 경우에는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증은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 내장된 케이블 모뎀(embedded cable modem; 이하 'eC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웨어 매니저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기에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시스템의 일 예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매니지먼트 스테이션; 및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의 요청에 따라 기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되는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송 수신기는, 수신되는 소프트웨어를 특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저장된 소프 트웨어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었음을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어와 저장한 후 수신기가 재부팅되면 상기 읽어와 저장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하는 OSD 유닛(on screen display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SNMP 에이전트(SNMP agent)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과 관련하여 데이터 방송 플래폼(data broadcasting platform)은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하여 OCAP 환경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케이블 제품이 동작하는 환경으로써 케이블 방송 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케이블 헤드엔드(cable headend) 또는 플랜트(plant)는 여러 가지 통신망을 통하여 방송국 등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케이블 방송은 노드(node)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케이블 방송 수신기까지 전달된다.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상기 케이블 헤드엔드로부터 케이블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케이블 헤드엔드로 특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은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도 1과 같은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방송 수신기는 호스트(Host)라고도 하며, 디지털 텔레비전, DVD 재생기, 디지캠, 셋톱박스 등과 같은 주변 기기들과 다양한 형식의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케이블 제품은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케이블 헤드엔드와 원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OCAP 환경에서 호스트는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OOB 튜너(out of band tuner)를 이용하여 RDC(return data channel)를 구현하여 케이블카드(CableCARD)가 직접 RDC 관련 회로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를 내장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호스트에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되,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로 케이블 모뎀을 예 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호스트는 내장된 케이블 모뎀을 이용하여 마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와 같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호스트와 eCM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eCM과 호스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2는 OCAP 환경에서 eCM을 호스트에 내장한 구조이며, 상기 호스트는 내장된 셋톱박스(embedded settop box)를 예로 한다.
eCM은 RF 케이블과 연결되어 케이블 네트워크와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되면 DOCSIS PHY이 링크(Link) 장치 역할을 하여 마치 LAN(local area network) 카드와 같이 동작한다. 이때, RF 케이블의 주파수는 정해진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리고 데이터 패킷은 IP, ICMP 및 ARP 레이어(layer) 까지 전달된다.
또한, eCM은 상위 레이어에 DHCP, TFTP, SNMP 등의 소프트웨어 레이어(software layer)의 프로토콜을 가진다. 상기 DHCP는 자동으로 케이블 헤드엔드의 DHCP와 연결되어 케이블카드에서 정의한 프로토콜에 맞게 IP 주소(address)를 할당받고, 상기 TFTP는 호스트에서 상기 eCM의 소프트웨어를 분리해서 전송하는 경우와 eCM이 형식화된 소프트웨어 컨테이너(software container)를 수신하는 경우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NMP는 후술하겠지만 DOCSIS에 따라 케이블 모뎀이 구비하여야 할 관리 정보들을 관리/처리할 수 있도록 규격화되어 있다. 브릿지(bridge)는 호스트와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하며, 주로 USB(universal serial bus)나 이 더넷 인터페이스(ethernet interface)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된 인터페이스는 실제 호스트와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는 상기 eCM을 이용함으로써, 인터넷에 연결된 것처럼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역시 별도의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SNMP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SNMP는 원래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의 과부하와 같이 네트워크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하거나 발생한 장애의 원인 규명 및 복구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monitering)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SNMP는 TCP/IP를 사용하는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바, 디바이스들은 여러 가지 시스템 구성 정보나 상태 정보와 관련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체와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체로 표현된 여러 가지 상태 정보들을 원격지의 매니지먼트 서버(management server)로 전송할 수 있는 SNMP 에이전트(SNMP agent)를 구비하면 된다. 이때, 상기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체는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라고도 하며, 구조화된 기술 언어(structure of management information)로 표현하여 관리자, 관리할 수 있는 객체의 종류와 관리되어야할 객체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 헤드엔드는 디지털 케이블 제품들에 상기 MIB와 SNMP 에이전트가 구비되어 있으면, 원격에서 상기 디지털 케이블 제품들의 각종 시스템 정보들과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양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호스트의 MIB(HOST-MIB)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HOST-MIB는 여러 가지 상태 정보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기술하는 객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HOST-MIB에는 호스트에 내장된 eCM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관련한 관리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호스트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상기 HOST-MIB에 기술된 각 객체는 의무적인 사항(mandatory)과 선택적인 사항(optional)이 있을 수 있으며, SNMP 매니저에서 해당 객체에 접근의 정도 내지 권한을 의미하는 액세스는 RO(Read-Only), RW(Read-Write) 및 N-acc(Not accessible)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HOST-MIB는 크게 오디오, 비디오, 아날로그, 사용자 정의 세팅, 전원, 프로그램 정보, 입출력 정보와 같은 그룹들로 나눌 수 있고, 상기 그룹들 안에는 여러 가지 객체들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 객체들은 고유한 의미와 사용 목적이 있다.
이하 HOST-MIB에 대해 설명하되, 상기 HOST-MIB에는 다운로드 받은 소프트웨어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로그(log)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호스트에 내장된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필 요한 객체들은 HOST-MIB 내 복수 개의 그룹들 중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Host Software Group)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 내 테이블들에 포함되는 각 객체의 영문명은 그대로 사용하되, 볼드체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과 상기 그룹 내 각 객체의 명칭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명명한 일 예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정하여야 함을 밝힌다.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은 크게 몇 가지의 테이블과 객체의 그룹으로 구성되며, 각 테이블은 연관성이 높은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은 총 4개의 테이블을 구비하여 호스트에서 다운로드 받는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한다.
상기 테이블은 호스트 소프트웨어 인포메이션 테이블(Host Software Information Table), 호스트 소프트웨어 제어 테이블(Host Software Control Table), 호스트 소프트웨어 로그 테이블(Host Software Log Table)와 호스트 소프트웨어 트랩 테이블(Host Software Traps Table)을 포함한다.
이하 각 테이블과 상기 각 테이블에 정의되는 각 객체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인포메이션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인포메이션 테이블은 호스트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정보와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어 있는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파티션(parti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ostSoftwareInfoIndex 객체는 해당 테이블의 인덱스(index)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거나 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운로드가 지원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파티션을 구분하여 다운로드가 실패하면,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백업(backup)을 위한 파티션을 하나 더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HostSoftwareInfoIndex 객체는 일반적으로 '0' 내지 '1'의 값을 가진다. 이는 호스트 내 부트(boot) 가능한 디바이스 파티션(device partition)이 한 개 또는 두 개 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용 문제 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파티션은 3개 이상은 만들지 않는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의 인덱스 값은 SMI에서 정의하는 부호를 정하지 않은 정수(unsigned integer)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디바이스 파티션은 부팅이 되면서 소프트웨어 버전과 소프트웨어 제조자 그리고 실행 파일의 크기 등등의 정보들이 SNMP 에이전트에 업그레이드되어야 한다.
HostSoftwareBootCount 객체는 해당 디바이스에서 성공적으로 부팅한 횟수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Manufacturer 객체는 해당 디바이스의 제조사의 이름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Model 객체는 해당 디바이스의 제품 모델 이름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SerialNumber 객체는 해당 제품 모델의 고유 번호 또는 시리얼 넘버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CompatibleHwVersion 객체는 해당 하드웨어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BootDeviceIndex 객체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나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non volatile memory device)의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DeviceCapacity 객체는 플래시 메모리나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의 크기(size)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ExcutableImageSize 객체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ImageVersion 객체는 상기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버전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ImageBuildDate 객체는 상기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제조 일자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ImageReleaseDate 객체는 상기 소프트웨어의 발행 일자(release date)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다음으로,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컨트롤 테이블 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과 관련하여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는 후술한다.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컨트롤 테이블은 주로 호스트에 구비된 SNMP 에이전트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다운로드 완료 후에 실행시키기 위해 재부팅(rebooting)할 수 있도록 정의한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NMP 매니저는 다운로드시킬 소프트웨어가 있는 서버의 URL을 설정할 수 있는 객체인 HostSoftwareControlServerURL 객체를 원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HostSoftwareControlServerURL 객체는 상기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URL, FTP(file transfer protocol) 혹은 서버 주소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 HostSoftwareControlAccessCode 객체는 상기 압축된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압축을 풀기 위한 액세스 코드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 HostSoftwareControlPassword 객체는 상기 소프트웨어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 HostSoftwareControlFilename 객체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파일 이름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 HostSoftwareControlMessageOnScreen 객체는 HostSoftwareControlOperation 객체에 대한 어떤 메시지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들은 타겟(target)의 그래픽 하드웨어(graphic hardware)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하여 야 한다. 예를 들어, SNMP 매니저는 해당 시스템의 재부팅을 원한다면, 상기 옥텟-스트링 값은 “이 시스템 재부팅(Reboot this system)"이 될 것이다.
HostSoftwareControlUserResponse 객체는 상기 HostSoftwareControlMessageOnScreen 객체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들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이때, 상기 디폴트 값(default value)이 ‘0’이면 ‘아니오(No)'를, '1'이면 '예(Yes)'를 나타낼 수 있다. HostSoftwareControlOperation 객체는 다운로드 동작을 설정함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읽고 쓸 수 있다. 이때, 호스트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설정해야 하는 객체들은 상기 다운로드 동작과 관련하여 패스워드를 나타내는 HostSoftwareControlPassword 객체, 액세스 코드를 나타내는 HostSoftwareControlAccessCode 객체 및 동작을 나타내는 HostSoftwareControlOperation 객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객체들 중 HostSoftwareControlAccessCode 객체는 다운로드된 이미지의 압축 혹은 암호화를 해제할 때 필요한 암호 혹은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시스템에 사용되는 키(key)가 될 수 있다. 즉, 호스트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상기 압축 혹은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는 키를 수신하여 이미지를 해제하여야 자신이 수신한 이미지가 정상적인 이미지인지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여기에 부가하여 HostSoftwareControlMessageOnScreen 객체에 화면에 표시할 간단한 메시지를 텍스트로 써주면, 호스트 시스템에 있는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를 통하여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황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그에 대한 반응을 HostSoftwareControlUserResponse 객체로 얻어올 수 있다. OSD에 대한 반응을 얻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SNMP 매니저는 상기와 같은 반응을 기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SNMP 매니저가 관리하여야 할 호스트가 많기 때문인데, 상기와 같은 방법이 아니라 일괄적으로 세팅하고 재부팅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로그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로그 테이블은 현재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의 로그 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부팅이 완료되고 나서 시스템에서 알려 줄 수 있는 메시지를 다음의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HostSoftwareLogIndex 객체는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로그 테이블의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LogTime 객체는 해당 엔트리가 생성된 시각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HostSoftwareLogLevel 객체는 벤더(vendor)에 의해 정의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레벨들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이때, 상기 각 레벨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Value Object Description
1 emergency 응급 상황의 로그
2 alert 경고 상황의 로그
3 critical 위급 상황의 로그
4 error 에러
5 warning 호스트 동작 중에 위험한 상황인 경우 발생하는 메시지
6 notice 호스트 시스템 동작 관련 메시지
7 information 일반 정보
8 debug 디버그가 필요한 메시지
상기 표 1에 정의서 보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레벨들은 각 벤더(vendor)가 정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를 구분함으로써 원격의 SNMP 매니저는 각각의 메시지를 분류해서 처리할 수 있다.
HostSoftwareLogText 객체는 상기 로그의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말하고, 해당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단지 읽을 수 있을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 소프트웨어 로그 테이블을 정의함으로써 즉, 에러가 발생한 시간은 상기 HostsoftwareLogTime 객체에 "DateAndTime" 값으로 기록할 수 있고, 상기 시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임의의 호스트에 설정된 시간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HostSoftwareLogText 객체를 이용하며 이때, 상기 객체는 최대 255 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octet-string"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값으로 로그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고, SNMP 매니저에서 상기 로그 메시지를 원격의 시스템에서 얻을 수 있어서 호스트를 관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다음으로, 도 3d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트랩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d의 호스트 소프트웨어 트랩 테이블에 포함되는 각 객체는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여 호스트에서 원격의 SNMP 매니저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도 3a 내지 3c와 차이가 있다.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 트랩 테이블은 트랩 패킷을 종류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의 상태 그리고 호스트의 상황에 따라서 SNMP 매니저에 알릴 수 있도록 몇 가지의 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패킷들은 호스트의 IP 주소, 현재 호스트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등의 필요한 데이터들이 함께 포함하여 보내질 수 있다. 트랩들은 일반적으로 리포트(report)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내지지 않을 수 있다. 이하 호스트 소프트웨어 트랩 테이블 내 각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액세스하지 못한다.
HostSoftwareTrapsDownloadCompleted 객체는 전체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받았을 때 현재 소프트웨어를 가진 호스트 정보를 말하고, HostSoftwareTrapsDownloadFailed 객체는 전체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적절하게 받지 못하였을 때 현재 소프트웨어를 가진 호스트 정보를 말하고, HostSoftwareTrapsProgramCompleted 객체는 상기 수신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플래시나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성공적으로 프로그램할 때 현재 소프트웨어를 가진 호스트 정보를 말하며, HostSoftwareTrapsCannotAccessServer 객체는 호스트가 소프트웨어 공급 서버로 접속할 수 없음을 말한다.
그리고 HostSoftwareTrapsBootFailed 객체는 호스트 이미지는 부팅시에 중요한(critical) 문제가 있음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도 3e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그룹 디바이스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HostSoftwareBootDeviceId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접근하여 상기 HostSoftwareBootDeviceIndex 객체에 있는 값들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쓰면, 호스트에 구비된 SNMP 에이전트가 부트 디바이스를 스위치(switch)하고, 다음 부팅시에 해당 부트 디바이스 파티션으로 부팅시켜 주는 기능을 담고 있다. 상기 값은 현재 호스트가 보고한 HostSoftwareInfoIndex 객체의 최댓값을 넘을 수 없다. 상기 값이 넘을 경우에는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는 SNMP 매니저의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상술한 호스트 소프트웨어 제어 테이블은 주로 호스트에 구비된 SNMP 에이전트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거나 재부팅을 시킬 수 있는 객체들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호스트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설정해야 하는 객체들은 HostSoftwareControlPassword 객체, HostSoftwareControlAccessCode 객체와 HostSoftwareControlOperation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HostSoftwareControlAccessCode 객체는 다운로드 된 이미지의 압축 혹은 암호화를 해제할 때 필요한 암호 혹은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시스템에 사용되는 키(Key)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혹은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는 키를 가지고 이미지를 해제해야 정상적인 이미지를 받았는지를 안전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HostSoftwareControlMessageOnScreen 객체에 화면에 표시할 간단한 메시지를 텍스트(text)로 써주면, 호스트 시스템에 있는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를 통하여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HostSoftwareControlUserResponse 객체를 이용하여 그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다. 즉, OSD(on screen display)에 대한 반응을 얻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SNMP 매니저는 관리할 많은 호스트가 있으므로 각 호스트에 대한 반응을 요구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세팅하고 재부팅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도 하나의 호스트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하나의 개념으로 인정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상기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는 eCM의 에이전트에서 수행하여 호스트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실제로 상기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는 독자적으로 전송되지 못하고 다른 이미지와 합쳐져서 전송되었다. 따라서, 상기 합쳐져서 전송된 다른 이미지로 인해 eCM의 에이전트에서 이를 분리할 수 없어 다시 호스트의 에이전트로 전송하여 분리된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재전송 받는 불필요한 과정을 겪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를 호스트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아 상기 eCM의 에이전트로 전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를 정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는 eCM에서 FTP(file transfer protocol)로 전송받을 이미지의 형태를 정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의 값을 도시한 것이고,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형식화된 소프트웨어 컨테이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는 호스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을 구분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전송하는 형식화된 컨테이너도 기존의 형식화된 컨테이너에 더하여 하나의 형식화된 컨테이너에 하나의 소프트웨어 이미지만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소프트웨어 이미지에 따라 전송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예를 들어, 상기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의 값이 '0'이면,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이 단지 호스트 소프트웨어만을 뜻하고, '1'이면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이 단지 eCM 소프트웨어만을 뜻하며, '2'이면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이 결합된 소프트웨어임을 뜻한다. 이때, 상기 결합된 소프트웨어는 상기 호스트 소프트웨어와 eCM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뜻할 수도 있다.
상기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는 SNMP 매니저에서 해당 객체를 읽거나 쓸 수 있는 객체로써, 만약 SNMP 매니저에서 어느 하나의 호스트 내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를 읽었을 때, 그 값이 '0' 또는 '1'인 경우에는 해당 소프트웨어만을 형식화된 컨테이너에 포함하여 해당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로 전송하면 된다(도 5b).
그러나 SNMP 매니저에서 상기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를 읽었을 때, 그 값이 '2'인 경우에는 결합된 소프트웨어를 도 5a와 같은 형식화된 컨테이너에 포함하여 전송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를 정의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전송하는 전송단 뿐만 아니라 이를 수신하는 수신단에서도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와 관련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량을 줄이고 과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서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에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을 설정하고, 이와 함께 HostSoftwareControlFilename 객체, HostSoftwareControlServer 객체 등의 정보들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소프트웨어가 있는 서버의 암호도 함께 설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도 4의 3가지 종류의 이미지 타입에 대하여 호스트는 업그레이드에 사용해도 되는 이미지인지, 누군가가 불손한 의도로 배포한 이미지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verification)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검증을 위하여 각 벤더(Vendor)는 PKCS #7 타입의 싸인드 이미지(Signed Image)를 케이블 헤드엔드에 제출한다. 기초적인 검증은 SNMP로 시그널(signal) 시 사용한 CVC와 싸인드 이미지 안에 포함되어 있는 CVC가 동일한지 검사하고, MFG CVC의 조직 이름(Organization Name)이 예를 들어, LG Electronics Inc.와 동일한지 조사한다.
그 후 해당 CVC의 유효성 시작 시각(Validity Start Time), 유효성 종료 시각(Validity End Time), 싸이닝 시각(Signing Time)이 적절한지 체크하고, CVC 서명 체인(Certificate Chain) 검사를 수행한다.
위의 기초적인 검증 외에도 서명에 관하여 세세한 검증은 추가로 가능하다. 다운로드 받은 싸인드 이미지에 대한 검증이 패스(pass)되면, 호스트는 오리지널 코드 이미지(Original Code Image)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타입에 대한 검증은 호스트에서 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이 단지 eCM 소프트웨어만 있는 경우일지라도 호스트가 이를 검증한 후에 eCM으로 전달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는 상기 SNMP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은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이 단지 호스트 소프트웨어만인 경우(Host Software Only)라면, "No eCM Software Message"를 상기 eCM으로 전송하고, 이와 달리 단지 eCM 소프트웨어만인 경우(Software Only)이거나 혹은 결합된 소프트웨어(Combined Software)에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경우에는 미리 eCM과 약속한 특정 영역에 다운로드 받거나 다운로드 받아 분리한 eCM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상기 eCM으로 "New eCM Software Message"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eCM은 호스트로부터 "New eCM Software Message"가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와 약속한 호스트의 특정 영역을 액세스하여 eCM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는다. 이후 eCM은 상기 호스트가 재부팅되면 상기 다운로드받은 eCM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부팅 또는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에서 각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에 내장된 각 디바이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각 호스트에 적절한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을 알 수 있어 해당 타입에 따라 적절한 형식화된 컨테이너를 선택하여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에서 내장된 각 디바이스에 대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 해당 디바이스들로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과정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라 호스트에 내장된 eCM의 소프트웨어를 호스트에서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HOST-MIB에 정의한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상기 정의한 HOST-MIB의 각 객체에 대해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과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 간의 통신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과 호스트 간의 양방향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보면,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은 관리 애플리케이션(Management application)과 SNMP 매니저를 구비할 수 있고, 호스트는 관리 객체들(SNMP managed objects)과 SNMP 에이전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SNMP 매니저와 SNMP 에이전트는 서로 패킷을 주고받으며 메시지(message)를 교환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메시지는 패킷 형태로 전송되는바, 상기 메시지 교환을 위한 패킷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SNMP 매니저에서 SNMP 에이전트로 전송하는 패킷들에 대해 설명하면, GetRequest 패킷과 GetNextRequest 패킷은 호스트 내 관리 객체(SNMP managed object)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패킷이고, SetRequest 패킷은 호스트 내 관리 객체(SNMP managed object)에 대한 설정을 통하여 어떤 동작을 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패킷이다.
다음으로, 상기 SNMP 에이전트에서 SNMP 매니저로 전송하는 패킷들에 대해 설명하면, GetResponse 패킷과 Trap 패킷이 있다. 이때, 상기 GetResponse 패킷은 상술한 GetRequest 패킷과 GetNextRequest 패킷에 대한 응답을 위한 패킷이다. 그리고 상기 Trap 패킷은 호스트에 특정 이벤트(event)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으로, SNMP 매니저는 상기 Trap 패킷을 수신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호스트의 상태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이벤트라 함은 예를 들면, 관리 객체(managed object)가 MIB에 기 정의된 범위를 넘어서거나 또는 값이 특정한 값으로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패킷들이 송수신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한 것으로, (1)은 요청/응답 메시지들(Request/Response Messages)에 대한 것이고, (2)는 트랩 메시지들(Trap Messages)에 대한 것이고, (3)은 인폼/응답 메시지들(Inform/Response Messages)에 대한 것이다. 이하 (1) 내지 (3)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의 요청/응답 메시지들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SNMP 매니저에서 GetRequest 패킷, GetNextRequest 패킷과 SetRequest 패킷을 UDP와 IP를 통하여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해 SNMP 에이전트로 전송하면, SNMP 에이전트는 상기 전송되는 패킷이 어떤 종류의 메시지인지 알기 위해 상기 패킷이 GetRequest 패킷, GetNextRequest 패킷과 SetRequest 패킷인지 확인한다.
에이전트는 상기 확인된 패킷이 GetRequest 패킷과 GetNextRequest 패킷이면, 상기 패킷은 관리 객체(SNMP managed object)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패킷인바, 상기 요청이 MIB에 정의된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요청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요청이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 요청이면, 해당 객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GetResponse 패킷을 통해 전송한다.
이와 달리, SNMP 에이전트는 상기 확인된 패킷이 SetRequest 패킷이면, 상기 패킷이 관리 객체(SNMP managed object)에 대한 설정을 통하여 어떤 동작을 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패킷인바, 상기 패킷이 MIB에 정의된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것인지 먼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 요청이면, 해당 객체에 대하여 상기 패킷에 따른 설정을 한다.
이때, SNMP 에이전트는 상기 SNMP 매니저의 요청이 MIB에 정의되지 않은 즉,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 요청인 경우에는 응답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2)의 트랩 메시지들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2)의 트랩 메시지는 상술한 (1)과 달리 SNMP 에이전트에서 SNMP 매니저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SNMP 에이전트는 자신에게 상술한 정의와 같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상기 SNMP 매니저로 트랩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요약하면, 객체들은 상기 도 6(a) 내지 6(b)의 (1)과 (2)와 같이 SNMP 데이터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원격지의 SNMP 매니저가 SNMP 에이전트를 통해서 관리 기기(Managed Device)의 각종 상태 정보를 얻어오거나(Get operation), 특정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Set operation), 상기 관리 기기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를 상기 SNMP 매니저에게 통보(Trap operation)할 수 있다.
즉, 매니저 노드(Manager Node)가 되는 케이블 헤드엔드의 매니저 서버(Manger Server)가 MIB에 정의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요청(request)하면, 에이전트(agent)는 해당 객체가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것인지 확인한 후 그에 대한 응답(response)을 할 수 있다. 반대로 관리되고 있는 객체들 중에 중요한 이벤트나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에이전트는 미리 지정된 매니저(manager)에게 해당 이벤트에 대한 상태를 미리 정의된 값(value)으로 알려 주어 매니저(manager)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랩 메시지(trap message)는 여러 매니저(manager)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매니저가 상기 트랩 메시지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MIB에 반드시 정의할 필요는 없다.
또한, (3)의 인폼/응답 메시지들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SNMP에서는 매니저 외에 인포머(informer)라는 또 다른 객체를 정의하고 있는데, 상기 인포머는 매니저에게 트랩과는 성격이 다른 특별한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현재 SNMP에서는 구체적인 구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나,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동작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OCAP 환경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종 상태 정보들을 제너릭 다이어그너스틱 프로토콜(Generic Diagnostic Protocol)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케이블 헤드엔드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너릭 다이어그너스틱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는 SNMP를 이용하는 경우와 달리 케이블카드가 없는 경우에는 상태 정보들을 원격지의 케이블 헤드엔드로 전송할 수 없다.
그러나 SNMP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SNMP 에이전트와 MIB를 구비한 호스트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매니지먼트 서버와 연결되어 있으면,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태 정보를 매니지먼트 서버가 요청하는 시점에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해 구성한 장치 및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은 SNMP를 이용하여 호스트에 내장된 eCM의 소프트웨어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다. 즉, SNMP 매니지먼트(710)와 호스트 내 SNMP 에이전트(730)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인 SNMP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eCM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상기 eCM을 통해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과 호스트(720)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호스트(720)는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으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저장할 저장 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 매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 즉, 제 1 메모리(750)와 제 2 메모리(760)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메모리만 구비하되 상기 메모리 내에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 매체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일 수도 있다.
또한, 호스트(720)는 OSD 유닛(On Screen Display Unit)(77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OSD 유닛(770)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와 같이 화면의 해상도와 관련 없이 화면에 메시지나 그래픽을 표현할 수 있다.
호스트 내 SNMP 에이전트(730)는 상기 호스트(720)의 CPU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SNMPv1, SNMPv2 및 SNMPv3를 만족하도록 즉, SNMP 규격에 맞게 제작되며, 미리 정해진 MIB에 포함되는 관리 객체를 포함한다.
만약 호스트(720)에 전원이 인가되면, eCM(740)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고, SNMP 에이전트(730)는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연결을 확인한다.
그리고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은 eCM(740)을 통해 SNMP 에이전트(730)가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SNMP 에이전트(730)에 GetRequest 패킷과 GetNextRequest 패킷을 전송하여 원하는 정보를 요청한다.
예를 들어,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에서 eCM(740)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GetRequest 패킷을 통해 요청하면, SNMP 에이전트(730)는 상기 패킷이 자신이 관리하는 객체에 대한 요청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객체를 미리 정의한바, SNMP 에이전트(730)는 상기 요청에 따라 eCM(740)에 정보 수집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한 후 GetResponse 패킷을 통해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의 요청에 응답한다.
그리고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은 상기 SNMP 에이전트(730)의 응답에 근거하여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만약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면, HostSoftwareControlImageType 객체에 접근하여 '1'값을 설정하고 소프트웨어를 도 5b와 같이 정의한 형식화된 컨테이너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이때, 만약 필요한 경우 HostSoftwareControlMessageOnScreen 객체에 접근하여 업그레이드 여부를 OSD 유닛(770)을 통해 문의할 수 있으며, 상기 문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수락 내지 업그레이드하겠다는 응답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하고, 그렇지 않고 업그레이드를 거부하면 상황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710)에서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면, SNMP 에이전트(730)는 미리 약속된 영역 예를 들어, 제 2 메모리(760)에 상기 전송되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그리고 eCM(740)으로 상기 eCM에 대한 소프트웨어가 수신되었음을 알린다.
이에 따라, eCM(740)은 상기 제 2 메모리(760)에 접근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읽어 와 자신의 저장 공간(미도시)에 저장한다.
그리고 호스트(720)가 재부팅되면, 이와 함께 상기 eCM(740)도 재부팅되면서 상기 저장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시스템을 작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중에도 방송 수신기(720)를 통해 방송 시청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eCM(740)은 읽어 온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결함이 발생하여 상기 재부팅 시에 시스템 작동이 실패한 경우, 임의의 영역에 에러(error)를 기록하고 기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호스트(720)와 eCM(740)은 다운로드 받은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문제 등으로 인해 시스템의 동작이 불능인 경우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니지먼트 스테이션과 호스트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스트의 A/S를 위해 각 가정을 방문하지 않아도 원격지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A/S를 하여 비용 및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의 일 예이다.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에서 각 호스트에 내장된 eCM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S810).
해당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는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의 요청에 따라 eCM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한 eCM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 응답한다(S820).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은 상기 SNMP 에이전트의 응답에 따라 해당 호스트에 내장된 eCM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면 해당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로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전송한다(S850). 이때,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은 해당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로 업그레이드 유무를 문의하고(S830), 해당 호스트에서의 상기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의 문의에 따라 상기 문의 내용을 OSD 유닛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의 업그레이드 선택에 따른 의사를 다시 SNMP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S840).
호스트의 SNMP 에이전트는 상기 전송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eCM과 미리 약속한 특정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eCM의 에이전트에게 읽어가도록 요청한다(S860).
상기 eCM의 에이전트는 상기 요청에 따라 호스트에 접근하여 저장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읽어 와, 상기 호스트가 재부팅되면 상기 호스트에 내장된 eCM도 함께 재부팅되면서 상기 저장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eCM을 작동한다(S870). 이때, 만약 상기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에러 등으로 인해 eCM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기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첫째, 송신 단에서 수신 단의 소프트웨어 상태와 업그레이드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수신 단에서는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형식화된 소프트웨어 컨테이너의 형태에 따라 선별적으로 다운로드 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특정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함에 있어서, 호스트에 있는 에이전트를 직접 접근함으로써 업그레이드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수신 단에서는 다운로드 한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버그에 의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원격지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어 A/S에 따른 비용 내지 고객의 불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소프트웨어 매니저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기에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가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가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로 응답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가 상기 소프트웨어 매니저로부터 상기 방송 수신기의 응답에 대응하는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기가 상기 수신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수신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어 와 상기 방송 수신기 재부팅 시에 상기 읽어 온 소프트웨어로 작동하여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은 SNMP인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재부팅 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형식화된 컨테이너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이미지의 타입에 관하여 정의한 내용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제어에 관한 정보는 압축된 소프트웨어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한 액세스 코드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액세스 코드에 관한 정보는 지원하는 액세스 코드가 없으면 무시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가 수신한 상기 업그레이드할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이미지를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결과 소프트웨어 이미지 타입이 상기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만 포함한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로 해당 소프트웨어가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만을 포함한 타입이거나 상기 방송 수신기와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타입인 경우에는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는 상기 방송 수신기에 내장된 케이블 모뎀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10. 소프트웨어 매니저를 포함하는 매니지먼트 스테이션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수신되는 소프트웨어를 특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었음을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로 알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읽어와 저장한 후 수신기가 재부팅되면 상기 읽어와 저장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의 요청에 따라 기 구비된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업그레이드할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송 수신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매니지먼트 스테이션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유무를 문의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하는 OSD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SNMP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70016130A 2007-02-15 2007-02-15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tive KR10131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30A KR101319890B1 (ko) 2007-02-15 2007-02-15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30A KR101319890B1 (ko) 2007-02-15 2007-02-15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37A KR20080076337A (ko) 2008-08-20
KR101319890B1 true KR101319890B1 (ko) 2013-10-18

Family

ID=3987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30A Active KR101319890B1 (ko) 2007-02-15 2007-02-15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4790B2 (en) 2012-01-11 2014-12-16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ual solicitation in a starter applic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94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20060000063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시스템
KR20060067348A (ko) * 2004-12-15 200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레이브 기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방법
KR20060126259A (ko) * 2005-06-03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694A (ko) * 2002-01-23 2003-07-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KR20060000063A (ko) * 2004-06-28 200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시스템
KR20060067348A (ko) * 2004-12-15 200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레이브 기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방법
KR20060126259A (ko) * 2005-06-03 200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37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2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oftware provisioning of a network device
US20070288984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a software
US200400547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te retrieval and viewing of diagnostic information from a set-top box
US20160366476A1 (en) Set top box
US6469742B1 (en) Consumer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able upgrade capability
US20090125958A1 (en) Method of upgrading a platform in a subscriber gateway device
US20110145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software in customer premise equipment
CN110971689B (zh) 系统安装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US20100211629A1 (en) Expandable element management system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168513A1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ception status of the broadcast receiver
CN111784179A (zh) 服务器基础信息管理系统及方法
KR101319890B1 (k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23025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software image at a client device
US20080040769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pplication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reception status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CN113766041A (zh) 获取第一服务器媒体访问控制mac地址的方法及装置
KR100795578B1 (ko) 가입자 장치 펌웨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8302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booting a client device within a local area network from a central server
Cisco Catalyst 3000 Release Note Version 1.1.2
Cisco Catalyst 3000 Release Note Version 1.1.2
WO2002048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download software image for a cable modem
Cisco Catalyst 3000 Release Note Version 1.1.2
Cisco Catalyst 3000 Release Note Version 1.1.2
Cisco Catalyst 3000 Release Note Version 1.1.2
KR101314605B1 (ko) Iptv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US8042141B2 (en) CATV system, management device, cable mode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