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9509B1 -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9509B1 KR101319509B1 KR1020130050702A KR20130050702A KR101319509B1 KR 101319509 B1 KR101319509 B1 KR 101319509B1 KR 1020130050702 A KR1020130050702 A KR 1020130050702A KR 20130050702 A KR20130050702 A KR 20130050702A KR 101319509 B1 KR101319509 B1 KR 101319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tension
- tension
- concrete
- precast
- precas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구조물의 구성사시도, 시공사시도 및 도 2b의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구조물 단면의 예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텐션 구조물 제작 순서도이다.
110: 프리캐스트 부재
120: 콘크리트 부재 130: 프리텐션 긴장재
200: 정착판 210: 정착홀
Claims (6)
-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프리캐스트 부재(11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사이에 미리 긴장된 상태로 세팅된 프리텐션 긴장재(130); 및
상기 프리텐션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프리캐스트 부재를 거푸집으로 하여 타설 및 양생된 콘크리트 부재(120);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와 콘크리트 부재가 일체화되어 프리텐션 긴장재에 의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기 프리텐션 긴장재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단부 사이에 이격 설치된 정착판(200)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자체가 반력대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200)은 프리캐스트 부재(110)의 단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프리텐션 긴장재가 관통되어 상기 정착판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고, 상기 정착된 프리텐션 긴장재의 정착상태를 해제시켜 프리텐션 구조물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구조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텐션 구조물(100)은 박스 구조물 또는 벽체 구조물을 포함하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가 프리텐션 구조물 일부로서 세팅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가 프리캐스트 부재를 서로 일체화시키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철근 콘크리트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구조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200)은 개별 블록체로서 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제작된 것으로서 프리텐션 긴장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정착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구조물. - 프리캐스트 부재(110)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사이에 프리텐션 긴장재(130)를 미리 긴장된 상태가 되도록 세팅하고,
상기 프리텐션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프리캐스트 부재를 거푸집으로 하여 콘크리트 부재(120)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텐션 긴장재가 프리캐스트 부재의 단부 사이에 이격 설치된 정착판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자체가 반력대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구조물 제작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판(200)은 프리캐스트 부재의 단부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프리텐션 긴장재가 관통되어 상기 정착판에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고, 상기 정착된 프리텐션 긴장재의 정착상태를 해제시켜 프리텐션 구조물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션 구조물 제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702A KR101319509B1 (ko) | 2013-05-06 | 2013-05-06 |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0702A KR101319509B1 (ko) | 2013-05-06 | 2013-05-06 |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9509B1 true KR101319509B1 (ko) | 2013-10-17 |
Family
ID=4963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0702A KR101319509B1 (ko) | 2013-05-06 | 2013-05-06 |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950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4393A1 (ko) * | 2016-05-24 | 2017-11-30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CN110656565A (zh) * | 2019-09-23 | 2020-01-07 | 中铁二局第三工程有限公司 | 一种大跨度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
KR102113430B1 (ko) | 2019-10-23 | 2020-05-20 | 장현옥 | 내부격벽수단과 내부반력대를 이용한 프리텐션 psc 구조물의 제작 방법 |
CN115434252A (zh) * | 2022-10-09 | 2022-12-06 | 甘肃交设智远实业有限公司 | 一种先张法预应力型钢混凝土组合牛腿承重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6712A (ja) | 1998-09-22 | 2000-04-04 | Daiwa House Ind Co Ltd |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梁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132932A (ko) * | 2010-06-03 | 2011-12-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단부판이 구비된 성형강판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장스팬용 강콘크리트 합성보 |
-
2013
- 2013-05-06 KR KR1020130050702A patent/KR101319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6712A (ja) | 1998-09-22 | 2000-04-04 | Daiwa House Ind Co Ltd |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梁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132932A (ko) * | 2010-06-03 | 2011-12-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단부판이 구비된 성형강판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장스팬용 강콘크리트 합성보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04393A1 (ko) * | 2016-05-24 | 2017-11-30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CN110656565A (zh) * | 2019-09-23 | 2020-01-07 | 中铁二局第三工程有限公司 | 一种大跨度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
KR102113430B1 (ko) | 2019-10-23 | 2020-05-20 | 장현옥 | 내부격벽수단과 내부반력대를 이용한 프리텐션 psc 구조물의 제작 방법 |
CN115434252A (zh) * | 2022-10-09 | 2022-12-06 | 甘肃交设智远实业有限公司 | 一种先张法预应力型钢混凝土组合牛腿承重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0942B1 (ko) | 이동식 프리텐션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구조체 제작방법 | |
JP5363930B2 (ja) |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1177342B1 (ko) |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JP2007239301A (ja) | 間詰めコンクリートを介在させ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一体化方法 | |
KR101222620B1 (ko) | 프리텐셔닝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의 제작 및 교량 시공방법 | |
KR100836079B1 (ko) | 하프 프리캐스트 슬래브 유닛 거더 구조 및 이를 이용한교량상부 시공방법 | |
KR101319509B1 (ko) | 프리텐션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 |
KR101170922B1 (ko) | 텐던과 연결지지대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196874B1 (ko) |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 |
KR101347113B1 (ko) | 강합성 교량의 전단포켓형 상부슬래브 시공을 위한 압출가설 장치 | |
KR101585594B1 (ko) | 듀얼-프리스트레싱 강합성빔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93838B1 (ko) |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 |
KR102000534B1 (ko) | 거푸집 겸용 고내구성 텍스타일 보강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1340507B1 (ko) | 프리텐션 방식으로 제작된 복합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264577B1 (ko) | 철골 콘크리트 빔 및 그의 제작 방법 | |
KR101232329B1 (ko) |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32330B1 (ko) | 코아부와 메인빔을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067717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
JP2001032216A (ja) | 閉断面箱桁の現場打ち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法 | |
JP4035027B2 (ja) | 橋梁桁の構造及び橋梁桁の構築方法 | |
KR101538757B1 (ko) | Psc 빔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655403B1 (ko) |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분절 박스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90094644A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 |
KR100570231B1 (ko) | Ps강재와 철판을 사용한 구조물 단면 증설 공법 | |
KR20100125504A (ko) | 압축력이 작용하는 상하부에만 선택적으로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5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