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798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980B1
KR101317980B1 KR1020117009247A KR20117009247A KR101317980B1 KR 101317980 B1 KR101317980 B1 KR 101317980B1 KR 1020117009247 A KR1020117009247 A KR 1020117009247A KR 20117009247 A KR20117009247 A KR 20117009247A KR 101317980 B1 KR101317980 B1 KR 10131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capability
upper limit
control means
limit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542A (ko
Inventor
아키요시 스기야마
요시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9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1On-off valves controlled by pulse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정한 설정 온도를 변경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실내기(Y1, Y2)의 적어도 한쪽에 능력 제한 모드가 설정되면, 실내기(Y1, Y2)에서의 설정 온도(Ts)를 사용자가 설정한 값 그대로 변경하지 않고, 압축기(1)를 통상 보다 낮은 능력으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로 이루어진 멀티 타입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절약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세이브 운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 세이브 운전 스위치가 온되면, 사용자가 정한 실내의 설정 온도를, 냉방 운전 중 및 드라이 운전 중에는 소정의 온도 폭만큼 상승시키고, 또한 난방 운전 시에는 소정의 온도 폭만큼 낮아지도록 제어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미리 설정 온도의 상한, 하한을 결정해두고, 난방 시에는 높게, 또한 냉방 시에는 낮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945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75980호
세이브 운전 스위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및, 설정 온도 범위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가변 설정하는 공기조화기 모두,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온도(표시되는 설정 온도)와는 다른 설정 온도가 선정되게 된다.
따라서, 냉방 운전이나 드라이 운전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실내 온도가 저하하지 않는 가운데 운전이 중단된다. 또한, 난방 운전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실내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 가운데 운전이 중단되는 이른바 조기 서머오프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정한 설정 온도를 변경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능력 가변형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와, 실내 열교환기 및 유량 조절 밸브를 구비한 복수의 실내기와,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각 실내기마다의 공조 부하에 따른 요구 능력을 상기 실외기에 알리는 제1 제어수단과,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각 실내기의 요구 능력의 총합에 따라서 상기 능력 가변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능력 억제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과,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수단으로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된 실내기의 공조 부하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을 설정하는 제3 제어수단과,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각 실내기로부터의 요구 능력에 따라서 상기 각 실내기의 상기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산출하는 밸브 개도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한 설정 온도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예 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각 실시예의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요구 능력 결정 조건에 대해 설정되는 상한값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요구 능력 결정 조건에 대해 설정되는 복수의 상한값을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실시예 3의 수치의 지정과 상한값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사방 밸브(2)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3)로 공급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를 거친 냉매가 팽창 밸브(4), 팩드 밸브(5, 21) 및 유량 조정 밸브(PMV: 펄스 모터 밸브)(22)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23)로 흐른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3)를 거친 냉매가 팽창 밸브(4), 팩드 밸브(5, 31) 및 유량 조정 밸브(32)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33)로 흐른다. 실내 열교환기(23)를 거친 냉매는 팩드 밸브(24, 6) 및 사방 밸브(2)를 통해 압축기(1)로 흡입된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33)를 거친 냉매는 팩드 밸브(34, 6) 및 사방 밸브(2)를 통해 압축기(1)로 흡입된다.
상술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냉매의 흐름은 냉방 운전 시 및 드라이 운전 시의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3)가 응축기, 실내 열교환기(23, 33)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난방 운전 시에는 사방 밸브(2)가 전환됨으로써 냉매가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고, 실내 열교환기(23, 33)가 응축기, 실외 열교환기(3)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압축기(1)는 모터(1M)를 구비하고, 인버터(7)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압의 주파수(F)를 따라서 회전 수가 변화하는 능력 가변형 압축기를 사용하고 있다. 실외 열교환기(3)의 근방에는 실외 팬(8)이 설치되어 있다. 인버터(7) 및 실외 팬(8)은 실외 제어부(1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이들 압축기(1), 사방 밸브(2), 실외 열교환기(3), 팽창 밸브(4), 인버터(7), 실외 팬(8), 실외 제어부(10) 및 냉매 배관 등에 의해 실외기(X)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의 근방에 실내 팬(25) 및 실내 온도 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25)은 실내 제어부(27)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실내 온도 센서(26)는 실내 온도(Ta)를 검지하고, 그 검지 온도(Ta)가 실내 제어부(27)에서 감시된다.
그리고, 유량 조정 밸브(22), 실내 열교환기(23), 실내 팬(25), 실내 온도 센서(26), 실내 제어부(27) 및 냉매 배관 등에 의해 실내기(Y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33)의 근방에 실내 팬(35) 및 실내 온도 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 팬(35)은 실내 제어부(37)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실내 온도 센서(36)는 실내 온도(Ta)를 검지하고, 이 검지 온도(Ta)가 실내 제어부(37)에서 감시된다.
그리고, 유량 조정 밸브(32), 실내 열교환기(33), 실내 팬(35), 실내 온도 센서(36), 실내 제어부(37) 및 냉매 배관 등에 의해 실내기(Y2)가 구성된다.
즉, 실외기(X) 및 복수의 실내기(Y1, Y2)에 의해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기가 구성되고, 또한 이들 실외기(X) 및 실내기(Y1, Y2)에 히트 펌프식 냉동 사이클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실내 제어부(27, 37)에, 설정 온도(Ts)나 운전 모드 등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식 조작기로서, 리모콘 유닛(28, 38)이 각각 접속된다.
실내기(Y1)의 리모콘 유닛(28)은 액정 표시부(28a) 및 조작부를 구비하고, 그 조작부에 능력 억제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인 세이브 스위치(28b) 및 능력 억제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세이브 램프(발광 다이오드)(28c) 등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실내기(Y2)의 리모콘 유닛(38)은 액정 표시부(38a) 및 조작부를 구비하고, 그 조작부에 능력 억제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인 세이브 스위치(38b) 및 능력 억제 모드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리기 위한 세이브 램프(발광 다이오드)(38c)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실외기(X)의 실외 제어부(10)에 실내기(Y1, Y2)의 실내 제어부(27, 37)가 접속된다.
여기서 실내 제어부(27, 37)는 주요 기능으로서 하기 (1) 내지 (3)의 수단을 갖는다.
(1) 실내 온도 센서(26, 36)의 검출 온도(Ta)와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 유닛(28, 38)으로 정해지는 설정 온도(Ts)와의 차(ΔT)를 공조 부하로서 검출하는 검출 수단.
(2) 상기 검출 수단으로 검출되는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을 운전 주파수 지령(S0, S3, S5, ~SF 중 어느 하나)으로서 실외기(X)에 알리는 제어수단(제1 제어수단).
(3) 리모콘 유닛(28, 38)의 세이브 스위치(28b, 38b)가 온 조작되어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제3 제어수단).
또한, 실외 제어부(10)는 주요 기능으로서 하기 (11)의 수단을 갖는다.
(11) 실내기(Y1, Y2)의 요구 능력(운전 주파수 지령)의 총합에 따라서 압축기(1)의 능력(인버터(7)의 출력 주파수(F))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제2 제어수단).
계속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냉방 운전 시 또는 드라이 운전 시, 실내기(Y1, Y2)에서 실내 온도 센서(26, 36)의 검지 온도(Ta)와 리모콘 유닛(28, 38)으로 정해진 설정 온도(Ts)와의 차(ΔT=Ta-Ts)가 각각 공조 부하로서 검출된다(단계 101).
난방 운전 시는, 리모콘 유닛(28, 38)으로 정해진 설정 온도(Ts)와 실내 온도 센서(26, 36)의 검지 온도(Ta)와의 차(ΔT=Ts-Ta)가 각각 공조 부하로서 검출된다(단계 101).
검출된 공조 부하(ΔT)에 기초하여 실내 제어부(27, 37)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도 3의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이 참조되는 것에 의해,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으로서 운전 주파수 지령(S0, S3, S5, ~SF 중 어느 하나)이 결정된다(단계 102).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방 운전 시의 검지 온도(Ta)가 28.6℃, 그리고 설정 온도(Ts)가 27℃이면 공조 부하(ΔT)는 "+1.6℃"의 B구역이 되고, 요구 능력으로서 운전 주파수 지령(SD)이 결정된다.
또한, 냉방 운전 시의 검지 온도(Ta)가 28.3℃, 그리고 설정 온도(Ts)가 27℃이면 공조 부하(ΔT)는 "+1.3℃"의 C구역이 되고, 요구 능력으로서 운전 주파수 지령(SB)이 결정된다.
단, 리모콘 유닛(28)의 세이브 스위치(28b)가 온되어 있으면, 실내기(Y1)에서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D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어 있으면, "+0.5℃"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서는 모두 D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9)이 결정된다. 이 때, 리모콘 유닛(28)의 세이브 램프(28c)가 점등하고, 실내기(Y1)가 능력 억제 모드인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이와 같이, 실내기(Y1, Y2)에서 결정된 운전 주파수 지령은 실내기(Y1, Y2)의 각각 실내 마력(馬力) 정보(능력 순위라고도 함) 및 세이브 스위치(28b, 38b)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실외기(X)로 보내진다(단계 103).
실외기(X)에서는 실내기(Y1, Y2)로부터의 운전 주파수 지령 및 실내 마력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Y1, Y2)의 합계 요구 능력이 산출된다(단계 104). 이 산출 시에 상세하게는 실내 열교환기(23, 33)의 유입 냉매 온도·유출 냉매 온도 등에 따른 보정 연산이 가미된다.
그리고, 산출된 합계 요구 능력에 따라서 압축기(1)의 운전 주파수(인버터(7)의 출력 주파수)(F)가 결정되고, 그 운전 주파수(F)로 압축기(1)가 실제로 구동된다(단계 105).
또한, 실내기(Y1, Y2)로부터의 운전 주파수 지령 및 실내 마력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Y1, Y2)에 대한 냉매 분배 비율이 산출되고, 그 냉매 분배 비율에 대응하는 유량 조정 밸브(PWM)(22, 32)의 개도가 산출된다(단계 106).
이 개도 정보가 실내기(Y1, Y2)로 보내진다(단계 107). 실내기(Y1, Y2)에서는 실외기(X)로부터의 개도 정보에 따라서 유량 조정 밸브(22, 32)의 개도가 각각 제어된다(단계 108).
이와 같이 실내기(Y1, Y2)의 적어도 한쪽에서 능력 제한 모드가 설정되면 압축기(1)가 통상 보다 낮은 능력으로 운전되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실내기(Y1, Y2)의 설정 온도(Ts)에 대해서는 리모콘 유닛(28, 38)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값 그대로이고, 변경되지 않으므로 냉방 운전 시나 드라이 운전 시에 실내 온도가 충분히 저하되지 않는 가운데 운전이 중단되는 조기 서모오프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무더위 등의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난방 운전 시에는 실내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는 가운데 운전이 중단되는 조기 서모오프를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추위 등의 불쾌감을 주지도 않는다.
리모콘 유닛(28, 38)의 세이브 스위치(28b, 38b)가 오프되면 실내기(Y1, Y2)의 능력 억제 모드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상한값의 설정이 해제되어 압축기(1)가 통상의 능력으로 운전되고, 또한 세이브 램프(28c, 38c)가 소등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D구역을 상한값으로서 설정했지만, 그 설정 구역에 대해 한정은 없고, 실내 마력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다. 또한, 리모콘 유닛(28, 38)이 유선식인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와이어리스식이라도 좋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리모콘 유닛(28, 38)의 세이브 스위치(28b, 38b)에 의해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능력 억제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Y1, Y2)의 실내 제어부(27, 37)가 실시예 1의 (3)의 수단을 대신하여 하기 (3a)의 수단을 갖는다.
(3a) 리모콘 유닛(28, 38)의 세이브 스위치(28b, 38b)로 지정되는 능력 제어 모드에 따라서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을 설정하는 제어수단(제3 제어수단).
계속해서, 실시예 2의 작용을 설명한다.
세이브 스위치(28b) 또는 세이브 스위치(38b)로 제1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되면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Max1)이 설정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F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0.5℃"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F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5)이 결정된다.
또한, 제2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되면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Max2)이 설정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E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0℃"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E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7)이 결정된다.
또한, 제3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되면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Max3)이 설정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D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0.5℃"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D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9)이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4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되면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해 상한값(Max4)이 설정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C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1.0℃"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C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B)이 결정된다.
실외기(X)에서는, 실내기(Y1, Y2)로부터의 운전 주파수 지령 및 실내 마력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Y1, Y2)의 합계 요구 능력이 산출되고, 산출된 합계 요구 능력에 따라서 압축기(1)의 운전 주파수(F)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Y1, Y2)에 있어서 복수의 능력 억제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그 각 능력 억제 모드에 따라서 압축기(1)의 능력 저감 폭이 가변이 된다. 사용자는 능력의 억제 폭을 기호에 따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리모콘 유닛(28, 38)의 세이브 스위치(28a, 38)에 의해 능력 억제의 제한 비율을 "0%" 내지 "100%"까지의 수치로 지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Y1, Y2)의 실내 제어부(27, 37)가 실시예 1의 (3)의 수단을 대신하여 하기 (3b)의 수단을 갖는다.
(3b) 상한값을 세이브 스위치(28a, 38)로 지정되는 수치 "0%" 내지 "100%"에 맞춰 가변 설정하는 제어수단(제3 제어수단).
계속해서, 실시예 3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의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구역(H~A)에 대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치 "0%" 내지 "100%"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세이브 스위치(28b) 또는 세이브 스위치(38b)로 수치 "100%"가 설정되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A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2.0℃" 이상이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A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F)이 결정된다.
여기서, 세이브 스위치(28b) 또는 세이브 스위치(38b)에서 수치 "90%"가 설정되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C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1.0℃"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C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F)이 결정된다.
또한, 세이브 스위치(28b) 또는 세이브 스위치(38b)로 수치 "50%"가 설정되면 요구 능력 결정 조건의 운전 주파수 지령 중 F구역이 상한값으로서 설정되고, "-0.5℃" 이상의 공조 부하(ΔT)에 대해 모두 F구역의 운전 주파수 지령(S5)이 결정되게 된다.
실외기(X)에서는, 실내기(Y1, Y2)로부터의 운전 주파수 지령 및 실내 마력 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Y1, Y2)의 합계 요구 능력이 산출되고, 산출된 합계 요구 능력에 따라서 압축기(1)의 운전 주파수(F)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실내기(Y1, Y2)에 있어서 능력 억제의 비율을 연속적인 수치로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내 제어부(27, 37)가 실시예 1의 (1) 내지 (3)의 수단 뿐만 아니라 하기 (4)(5)의 수단을 갖는다.
(4) 실외기(X)가 능력 억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5)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3)의 제어수단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을 허용하고, 상기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에 (3)의 제어수단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제4 제어수단).
전원 투입 시, 실내 제어부(27, 37)로부터 실외 제어부(10)에 대해 능력 억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의 문의 신호가 보내진다. 이 문의 신호에 대한 실외 제어부(10)의 응답 신호가 실내 제어부(27, 37)로 보내지는 것에 의해 실외기(X)가 능력 억제를 받아들 수 있는 기종인지 여부가 실내 제어부(27, 37)에서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실외기(X)가 능력 억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 기종이라는 판단 하에, 또는 실외기(X)에서 능력 억제의 수용 체제가 설정되어 있다는 판단 하에 세이브 스위치(28b, 38b)의 조작에 의한 능력 제한 모드의 설정(즉, 공조 부하(ΔT)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한 상한값의 설정)이 허용된다.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는, 실외기(X)가 능력 억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 기종이 아니라는 판단 하에, 또는 실외기(X)에서 능력 억제의 수용 체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판단 하에 세이브 스위치(28b, 38b)의 조작에 의한 능력 제한 모드의 설정이 금지된다.
이 능력 제한 모드의 설정 금지 시에, 세이브 스위치(28b, 38b)가 조작되면 "능력 억제 기능은 없습니다"라는 문자가 리모콘 유닛(28, 38)의 액정 표시부(28a, 38a)에서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표시를 보고 능력 제한이 불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기(X)의 종류나 설정에 따라서 능력 제한 모드의 설정을 실내기(Y1, Y2)측에서 자동적으로 허용 또는 금지하므로 실내기(Y1, Y2)마다 조건 설정을 실시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현상(現狀)의 실외기(X)가 능력 억제의 수용이 불가능한 기종이라도 장래적으로 라인업될 예정인 능력 억제 가능한 에너지 절약 타입의 실외기(X)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실내 제어부(27, 37)가 실시예 1의 (1) 내지 (3)의 수단 뿐만 아니라 하기 (6)(7)의 수단을 갖는다.
(6) 세이브 스위치(28b, 38b)에 의한 지정을 유효하게 할지 무효로 할지의 유효/무효 정보를,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로드에 의해 내부 메모리에 기억해두는 기억 수단.
(7)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유효/무효 정보가 무효를 나타내는 경우에 세이브 스위치(28b, 38b)에 의한 지정에 관계없이 상기 제3 제어수단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제5 제어수단).
즉, 세이브 스위치(28b, 38b)에 의한 지정을 유효하게 하는 유효/무효 정보가 실내 제어부(27, 37)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으면, 세이브 스위치(28b, 38b)의 조작에 의한 능력 억제 모드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대해, 세이브 스위치(28b, 38b)에 의한 지정을 무효로 하는 유효/무효 정보가 실내 제어부(27, 37)의 내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으면, 세이브 스위치(28b, 38b)를 아무리 조작해도 능력 억제 모드는 설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능력 억제를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를 사용자, 실내 환경, 설치 장소 등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다른 구성,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실내기가 2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2대에 한정되지 않고 3대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한 구성을 채용해도 좋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한 설정 온도를 변경할 수 없으므로 냉방 운전 시나 드라이 운전 시에는 실내 온도가 충분히 저하되지 않는 가운데 운전이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난방 운전 시에는 실내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지 않는 가운데 운전이 중단되지 않고, 따라서 어느 경우에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1 : 압축기 2 : 사방 밸브
3 : 실외 열교환기 4 : 팽창 밸브
7 : 인버터 10 : 실외 제어부
22, 32 : 유량 조정 밸브 23, 33 : 실내 열교환기
27, 37 : 실내 제어부 28, 38 : 리모콘 유닛
28a, 38a : 액정 표시부 28b, 38b : 세이브 스위치
28c, 38c : 세이브 램프

Claims (5)

  1. 능력 가변형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
    실내 열교환기 및 유량 조절 밸브를 구비한 복수의 실내기;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를 공조부하로서 검출하고, 이 공조부하에 따른 요구 능력을 상기 실외기에 알리는 제1 제어수단;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각 실내기의 요구 능력의 총합에 따라서 상기 능력 가변형 압축기의 능력을 제어하는 제2 제어수단;
    상기 각 실내기에 접속되는 리모트컨트롤식의 조작기에 설치되어, 능력 억제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 수단과;
    상기 조작 수단으로 능력 억제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설정온도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공조부하에 따른 요구 능력에 대하여 상한값을 설정하고, 이 상한값 이상의 요구 능력은 상기 상한값을 요구 능력으로 하는 제3 제어수단; 및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된 요구 능력에 따라서 상기 각 실내기의 상기 유량 조절 밸브의 개도를 산출하는 밸브 개도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복수의 능력 억제 모드를 선택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제어수단은 상기 상한값으로서 복수단의 상한값을 갖고, 이들 상한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조작 수단으로 지정되는 능력 억제 모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능력 억제의 제한 비율을 수치에 의해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제어수단은 상기 상한값을 상기 조작 수단으로 지정되는 수치에 맞춰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기가 능력 억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및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상기 제3 제어수단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을 허용하고,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에 상기 제3 제어수단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을 금지하는 제4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지정을 유효로 할지 무효로 할지의 유효/무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각 실내기에 설치되어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유효/무효 정보가 무효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조작 수단에 의한 지정에 관계없이 상기 제3 제어수단에 의한 상한값의 설정을 금지하는 제5 제어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17009247A 2008-09-24 2009-09-15 공기조화기 Active KR101317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4865 2008-09-24
JP2008244865A JP2010078191A (ja) 2008-09-24 2008-09-24 空気調和機
PCT/JP2009/004598 WO2010035424A2 (ja) 2008-09-24 2009-09-15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542A KR20110073542A (ko) 2011-06-29
KR101317980B1 true KR101317980B1 (ko) 2013-10-14

Family

ID=4206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247A Active KR101317980B1 (ko) 2008-09-24 2009-09-1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010137B2 (ko)
EP (1) EP2354693B1 (ko)
JP (1) JP2010078191A (ko)
KR (1) KR101317980B1 (ko)
CN (1) CN102177402B (ko)
BR (1) BRPI0919271B1 (ko)
RU (1) RU2471126C1 (ko)
TR (1) TR201815986T4 (ko)
WO (1) WO20100354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2757B2 (ja) * 2010-11-19 2013-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70284B2 (ja) * 2011-01-21 2014-04-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526070B2 (ja) * 2011-03-31 2014-06-1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779108B2 (ja) * 2012-01-14 2015-09-16 トミー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
JP2013204909A (ja) * 2012-03-28 2013-10-07 Sharp Corp 空気調和機
CN103388874B (zh) * 2012-05-09 2015-08-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类at指令形式的商用空调系统调试的控制方法
DE102013101684A1 (de) * 2013-02-20 2014-08-21 Oventrop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des Raumklimas
AU2013390196B2 (en) * 2013-05-23 2016-09-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pump device, and air conditioner, heat pump water heater, refrigerator, and freezer comprising same
JP5910719B1 (ja) * 2014-12-15 2016-04-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WO2018062547A1 (ja) * 2016-09-30 2018-04-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9318681A (zh) * 2018-10-29 2019-02-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热管理方法、系统及车辆
JP2020094739A (ja) * 2018-12-12 2020-06-18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606755B (zh) * 2021-07-30 2022-08-30 浙江容大电力工程有限公司 基于需求响应的空调管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197A (ja) * 2004-12-09 2006-06-22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1843A (ja) * 1983-01-17 1984-07-28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S62102046A (ja) * 1985-10-28 1987-05-1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US4926653A (en) * 1988-06-17 1990-05-22 Sharp Kabushiki Kaisha Multi-room type air-conditioning equipment
JP3163121B2 (ja) 1991-06-28 2001-05-0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067411B2 (ja) * 1992-08-25 2000-07-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6294535A (ja) 1993-04-07 1994-10-21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CN2155519Y (zh) * 1993-06-30 1994-02-09 李敬茂 节能空调器
US6213404B1 (en) * 1993-07-08 2001-04-10 Dushane Steve Remote temperature sensing transmitting and programmable thermostat system
JPH0833224A (ja) 1994-07-14 1996-02-02 Toshiba Battery Co Ltd 二次電池の充電回路
JPH1047734A (ja) * 1996-07-26 1998-02-2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H10148377A (ja) * 1996-11-20 1998-06-02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3327158B2 (ja) * 1997-02-07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室形空気調和装置
JPH11108485A (ja) * 1997-09-30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及び冷媒加熱器出口温度の制御方法
JP4056146B2 (ja) * 1998-09-22 2008-03-05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6601397B2 (en) * 2001-03-16 2003-08-05 Copeland Corporation Digital scroll condensing unit controller
JP4043255B2 (ja) * 2002-02-28 2008-0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0465723B1 (ko) * 2002-12-20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 방법
RU2297577C2 (ru) * 2003-02-27 2007-04-20 Тосиба Кэрриер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с циклическим процессом охлаждения (варианты)
JP2004294029A (ja) * 2003-03-28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機のリモコン装置および空調機システム
JP3992195B2 (ja) * 2003-11-26 2007-10-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2008075979A (ja) * 2006-09-22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
JP2008075980A (ja) 2006-09-22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遠隔制御装置
KR100844326B1 (ko) * 2007-01-26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디맨드 제어시스템 및 디맨드 제어방법
WO2009088203A2 (en) * 2008-01-08 2009-07-1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197A (ja) * 2004-12-09 2006-06-22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77402A (zh) 2011-09-07
EP2354693B1 (en) 2018-10-17
TR201815986T4 (tr) 2018-11-21
BRPI0919271A2 (pt) 2020-05-26
EP2354693A4 (en) 2014-07-23
JP2010078191A (ja) 2010-04-08
EP2354693A2 (en) 2011-08-10
RU2471126C1 (ru) 2012-12-27
KR20110073542A (ko) 2011-06-29
WO2010035424A3 (ja) 2010-06-10
US9010137B2 (en) 2015-04-21
US20110257793A1 (en) 2011-10-20
CN102177402B (zh) 2013-07-17
WO2010035424A2 (ja) 2010-04-01
BRPI0919271B1 (pt)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980B1 (ko) 공기조화기
US8249751B2 (en) Power saving air-conditioning system
JP5695861B2 (ja) 外気処理空調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空調システム
JP6890727B1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3475014B2 (ja) 空気調和機
JP6019773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6159770A (ja) 空気調和機
JP5538029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5950897B2 (ja) 空気調和機
KR10161131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592600B2 (ja) 空気調和機
JP3481076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JP3377632B2 (ja) 空気調和機
JP3526393B2 (ja) 空気調和機
JP5967166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6795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504595B2 (ja) 圧縮式ヒ―トポンプ装置
JPH06341723A (ja) 空気調和機
JPH0222600Y2 (ko)
KR0140567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실내/외 팬 제어방법
JP5205742B2 (ja) 制御装置
JPH05149610A (ja) 空気調和機
JP2004163099A (ja) 空気調和機
KR2017007537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2317651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6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