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653B1 - Apparatis for tilting seat - Google Patents
Apparatis for tilting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7653B1 KR101317653B1 KR1020120098739A KR20120098739A KR101317653B1 KR 101317653 B1 KR101317653 B1 KR 101317653B1 KR 1020120098739 A KR1020120098739 A KR 1020120098739A KR 20120098739 A KR20120098739 A KR 20120098739A KR 101317653 B1 KR101317653 B1 KR 101317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back
- link
- sides
- base bracket
- back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08000031074 Re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하단부가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회전링크; 시트백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링크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되며 시트백프레임을 전후로 틸팅하는 링크결합구;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설치되며 양측의 회전링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시트백 틸팅장치가 소개된다.A base bracket fixed to the vehicle body; Rotating links having lower ends are hinged on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and are rotated back and forth and formed with guide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thereof; A link coupler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a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rotary link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 and tilt the seat back frame back and forth;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links on both sid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백을 시트쿠션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각도 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트백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ack tilting device for a vehicle to tilt the vehicle back and forth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seat cushion.
차량의 시트백은 전석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유자재로 틸팅 또는 폴딩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후석의 경우는 일부 고급차량을 제외하고는 시트백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The seat back of the vehicle is generally tilted or folded freely in the case of all seats. However, in the case of rear seats, with the exception of some high-end cars, the seat back angle remains fixed.
최근 이러한 후석 시트백의 경우에도 틸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에 최적의 지지감을 주도록 하고 있는바, 이러한 시트백의 틸팅을 구성함에 있어 안전하게 시트백을 고정함과 동시에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such seat back seats can be tilted to provide optimal support to passengers. In constructing the tilting of these seat backs,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o secure the seat back and tilt at the same time.
도 1은 종래의 시트백 틸팅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종래에는 시트백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모터기구(20)를 통해 스크류를 승하강시키고 그에 따라 지지프레임(40)이 승하강되며, 그에 따라 후방링크(30)가 회전되고 후방링크(30)의 회전에 따라 2절로 구성된 전방링크(50,60)가 접혀지거나 펴짐으로써 전방링크(50,60)의 단부(52)에 연결된 시트백프레임(도면 미도시)이 틸팅하게 되는 구조였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back tilting device, conventionally lifting and lowering the screw through the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작동을 위해 전방링크(50,60)의 가이드홀은 다소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그 단부(52)는 다시 전방으로 꺾이며 개방된 구조를 가지고 있었는바, 차량의 전방충돌시 시트백프레임과의 연결고리가 상기 전방링크의 단부(52)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guide hole of the front link (50, 60) is formed to be slightly inclined to the rear for the operation of this structure, and the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브라켓(10)과 모터(20), 후방링크(30), 2절의 전방링크(50,60) 등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동모터(20)가 시트백프레임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시트백프레임의 전방충돌시 관성질량이 증대되어 안전에도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And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is composed of a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질량과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며 특히, 충돌시 시트백프레임이 전방으로 이탈되어 승객에게 2차 상해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drastically reduce the mass and the number of parts,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a second injury to the passenger due to the seatback frame moving forward in case of a collision.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질량과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며 특히, 충돌시 시트백프레임이 전방으로 이탈되어 승객에게 2차 상해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트백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provides a seatback tilting devic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ss and the number of parts, and in particular, the seatback frame is released in front of the collision to solve the problem of secondary injury to the passenger. The purpose 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틸팅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하단부가 힌지구조로 설치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회전링크; 시트백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링크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회전링크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되며 시트백프레임을 전후로 틸팅하는 링크결합구;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설치되며 양측의 회전링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Seat back til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bracket fixed to the vehicle body; Rotating links having lower ends are hinged on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and are rotated back and forth and formed with guide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thereof; A link coupler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a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rotary link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 and tilt the seat back frame back and forth;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at the base bracket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links at both sides.
상기 회전링크의 가이드홀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폐곡선으로써 차량의 전방충돌시 링크결합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guide hole of the rotary link is a closed curve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from the separation of the link coupler in front of the vehicle collision.
상기 베이스브라켓은 후면이 차체에 고정되고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절곡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는 각각 고정부에 힌지구조로 연결설치될 수 있다.The base bracket has a rear surface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ed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sides is formed, and the rotary link may be installed in a hinge structure, respectively.
상기 시트백프레임은 후석용 시트백프레임일 수 있다.The seat back frame may be a seat back frame for rear seats.
상기 링크결합구는 시트백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는 결합부,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회전링크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며 단부가 확장됨으로써 가이드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link coupler is a coupling part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of the rotary link and guided, and the end is extended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guide hole.
상기 양측의 회전링크를 시트백프레임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연결바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회전링크를 회전시킬 수 있다.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bar for connecting the rotating links of both sides across the seat back frame, the drive unit may rotate the rotary link by pulling or pushing the connection bar.
상기 구동부는 하단이 힌지구조를 통해 베이스브라켓에 설치된 모터 및 모터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신장/수축되며 상단에 연결바가 조립된 스크류로 구성되어 연결바를 당기거나 밀어낼 수 있다.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rew that is extended / contracted upward from the motor and the motor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through the hinge structure and assembled with the connecting bar at the top thereof, and may pull or push the connecting ba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틸팅장치에 따르면, 질량과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며 특히, 충돌시 시트백프레임이 전방으로 이탈되어 승객에게 2차 상해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seatback tilting devic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ss and the number of part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a second injury to the passengers because the seatback frame is moved forwar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도 1은 종래의 시트백 틸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틸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백 틸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6은 2에 도시된 시트백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back tilting device.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ack til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eat back tilting apparatus shown in FIG.
4 to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back tilting apparatus shown in 2.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백 틸팅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seat back til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틸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백 틸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back til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eatback tilting apparatu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시트백 틸팅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브라켓(200);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의 양측에 각각 하단부가 힌지구조(340)로 설치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가이드홀(320)이 형성된 회전링크(300); 시트백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에 삽입되어 회전링크(30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되며 시트백프레임(100)을 전후로 틸팅하는 링크결합구(600);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에 설치되며 양측의 회전링크(3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한다.Seat back til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시트백 틸팅장치는 기본적으로 시트백프레임(100)이 아닌 차체에 베이스브라켓(200)과 구동부(400)가 설치된다. 특히 후석시트의 경우에는 트렁크룸의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시트백에 많은 부품을 설치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차체에 베이스브라켓(200)을 설치함으로써 설계공간이 확보되고 시트백의 관성질량을 낮추며 구동부는 차체와 시트백의 연결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방충돌시 시트백이 후방에 제대로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seatback til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후석시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차체에는 베이스브라켓(200)이 설치된다. 그 베이스브라켓(200)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링크(300)가 설치된다. 회전링크(300)는 하단부가 힌지구조(340)로 베이스브라켓(200)에 설치되어 고정점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되고,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홀(320)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시트백프레임(100)의 양측에는 각각 링크결합구(600)가 설치된다. 링크결합구(600)는 각각 대응되는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에 삽입되어 회전링크(30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된다. 그리고 동시에 시트백프레임(100)을 전후로 틸팅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구동부(400)는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에 설치되며 양측의 회전링크(300)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한다.And both sides of the
즉, 차체에 고정된 베이스브라켓(200)에는 구동부(400)가 설치되는데, 그 구동부(400)는 회전링크(30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링크(300)는 회전되며 링크결합구(600)를 움직이고 그에 따라 시트백프레임(100)이 틸팅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따라서, 차체에는 베이스브라켓(200)이 설치되고 시트백프레임(100)은 구동부(400)를 통해 차체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방충돌시 시트백의 관성이 줄고 고정력이 증대되어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은 막힌 구조를 가짐으로써 링크결합구(600)의 이탈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시트백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고, 부품수 역시 하나의 링크만을 이용함으로써 줄어들어 질량을 줄이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한편,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폐곡선으로써 차량의 전방충돌시 링크결합구(6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은 후면이 차체에 고정되고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절곡된 고정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300)는 각각 고정부(220)에 힌지구조(340)로 연결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브라켓(200)과 시트백프레임(100)간의 거리를 줄여 트렁크룸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링크결합구(600)는 시트백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결합부(610) 및 결합부(610)에서 연장되어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에 삽입되며 단부가 확장됨으로써 가이드홀(3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삽입부(620)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링크결합구(600)는 가이드홀(320)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으로도 이탈이 방지되고 가이드홀(320)에서 수직방향으로도 이탈이 방지되어 전 방향으로의 이탈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그에 따라 전방충돌시 후석승객의 거동을 확실히 잡아줄 수 있어 안전에 매우 유리한 구조인 것이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양측의 회전링크(300)에는 시트백프레임(100)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바(500)가 설치되고 구동부(400)는 연결바(500)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회전링크(300)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그리고 구체적으로, 구동부(400)는 하단이 힌지구조(422)를 통해 베이스브라켓(200)에 설치된 모터(420) 및 모터(42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신장/수축되며 상단에 연결바(500)가 조립된 스크류(440)로 구성되어 연결바(500)를 당기거나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틸팅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In detail, the
즉, 모터(420)는 베이스프레임(200)에 그 하단이 힌지구조(422)를 통해 설치됨으로써 스크류(440)의 직선운동에도 불구하고 연결바(500)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바(500)의 회동에 따라 회전링크(300)는 회전되며 시트백프레임(100)을 링크결합구(600)를 통해 틸팅시키는 것이다. That is, the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크류(440)는 직선운동을 하지만 모터(420)의 하단부가 힌지구조(422)로 베이스프레임(200)에 설치되기 때문에 모터(420), 스크류(440), 연결바(500)는 모두 일체로써 모터(420) 하단의 힌지구조(422)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한편, 회전링크(300)는 베이스브라켓(200)에 의해 하단부가 차체에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바(500)의 회동에 의해 회전링크(300)는 고정점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시트백프레임(100)이 자연스럽게 회전하며 틸팅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도 4 내지 6은 2에 도시된 시트백 틸팅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는 시트백이 수직으로 선 상태이고 도 5는 시트백이 다소 전방으로 틸팅된 상태이다. 그리고 모터의 회전방향의 변경에 따라 도 4의 상태와 도 5의 상태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이러한 시트백(B)의 틸팅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시트백(B)은 시트쿠션(C)을 기준으로 전후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4 to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back tilt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eat back standing vertically, Figure 5 is a seat back tilted a little forward. In addition, the state of FIG. 4 and the state of FIG. 5 may be freely chang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6 shows the tilting of the seatback B, an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back B may be tilted back and forth based on the seat cushion C. Referring to FI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틸팅장치에 따르면, 질량과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며 특히, 충돌시 시트백프레임이 전방으로 이탈되어 승객에게 2차 상해를 가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atback tilting devic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mass and the number of part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a second injury to the passengers because the seatback frame is moved forwar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더욱이, 차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늘리고 시트백에 설치되는 구조는 줄임으로써 충돌시 시트백의 유동을 줄여 후석 승객을 최대한 구속할 수 있고 동시에 트렁크룸 등 시트 후방의 공간을 줄임으로써 설계자유도가 상승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structure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tructure installed in the seatback to reduce the flow of the seatba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can restrain the passengers in the rear seat as much as possibl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design freedom by reducing the space behind the seat, such as the trunk room.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시트백프레임 200 : 베이스브라켓
300 : 회전링크 320 : 가이드홀
400 : 구동부 420 : 모터
500 : 연결바 600 : 링크결합구100: seat back frame 200: base bracket
300: rotary link 320: guide hole
400: driving unit 420: motor
500: connection bar 600: link coupler
Claims (7)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의 양측에 각각 하단부가 힌지구조(340)로 설치되어 전후로 회전되고 중앙에 상하방향의 가이드홀(320)이 형성된 회전링크(300);
시트백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에 삽입되어 회전링크(30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되며 시트백프레임(100)을 전후로 틸팅하는 링크결합구(600);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에 설치되며 양측의 회전링크(3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를 포함하는 시트백 틸팅장치.A base bracket 200 fixed to the vehicle body;
Rotating links 300, the lower end portion of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bracket 200 as a hinge structure 340 is rotated back and forth and the guide hole 3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The link coupler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100 a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20 of the rotary link 300 and gui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link 300, and tilts the seat back frame 100 back and forth ( 600); And
And a driving unit (400)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200) and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rotary links (300) on both sides.
상기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의 폐곡선으로써 차량의 전방충돌시 링크결합구(60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틸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hole 320 of the rotary link 300 is a closed curve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at back til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link coupler 600 during the front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 베이스브라켓(200)은 후면이 차체에 고정되고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절곡된 고정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링크(300)는 각각 고정부(220)에 힌지구조(340)로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틸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bracket 200 has a rear portion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fixed portion 220 protruded forward from both sides is formed and the rotary link 3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xing portion 220 by a hinge structure 340 is installed Seat back til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시트백프레임(100)은 후석용 시트백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틸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back frame 100 is a seat back til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back frame for seats.
상기 링크결합구(600)는 시트백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되는 결합부(610) 및 결합부(610)에서 연장되어 회전링크(300)의 가이드홀(320)에 삽입되며 단부가 확장됨으로써 가이드홀(3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삽입부(6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틸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coupler 600 is extended from the coupling portion 610 and the coupling portion 610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at back frame 1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20 of the rotary link 300 and the end is expanded Seat back til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sertion portion 6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320).
상기 양측의 회전링크(300)를 시트백프레임(100)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바(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400)는 연결바(500)를 당기거나 밀어내어 회전링크(30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틸팅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nection bar 500 for connecting the rotating links 300 of the both sides across the seat back frame 100 further includes, The driving unit 400 is pulled or pushed by the connection bar 500, the rotary link 300 Seat back til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상기 구동부(400)는 하단이 힌지구조(422)를 통해 베이스브라켓(200)에 설치된 모터(420) 및 모터(42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신장/수축되며 상단에 연결바(500)가 조립된 스크류(440)로 구성되어 연결바(500)를 당기거나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틸팅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driving unit 400 extends upwardly from the motor 420 and the motor 420 installed in the base bracket 200 through the hinge structure 422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extends / contracts and the connecting bar 500 is assembled at the upper end thereof. The seatback til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440 is configured to pull or push the connection bar (5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8739A KR101317653B1 (en) | 2012-09-06 | 2012-09-06 | Apparatis for tilting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8739A KR101317653B1 (en) | 2012-09-06 | 2012-09-06 | Apparatis for tilting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7653B1 true KR101317653B1 (en) | 2013-10-15 |
Family
ID=4963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8739A Active KR101317653B1 (en) | 2012-09-06 | 2012-09-06 | Apparatis for tilting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765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645B1 (en) * | 2013-12-29 | 2015-05-07 | 현대다이모스(주) | Apparatus for Holding Rear Seat |
KR101724915B1 (en) * | 2015-10-02 | 2017-04-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KR102153216B1 (en) * | 2019-03-13 | 2020-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
KR102224068B1 (en) * | 2019-10-11 | 2021-03-08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Device for reclining seat back of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5107A (en) * | 1997-06-30 | 1999-01-25 | 양재신 | Seat of the car |
KR200205669Y1 (en) * | 1997-11-25 | 2000-12-01 | 정몽규 | Tilt structure of the backrest of automobile seat |
KR20100060282A (en) * | 2008-11-27 | 2010-06-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eat-back tray for vehicle |
-
2012
- 2012-09-06 KR KR1020120098739A patent/KR10131765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5107A (en) * | 1997-06-30 | 1999-01-25 | 양재신 | Seat of the car |
KR200205669Y1 (en) * | 1997-11-25 | 2000-12-01 | 정몽규 | Tilt structure of the backrest of automobile seat |
KR20100060282A (en) * | 2008-11-27 | 2010-06-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eat-back tray for vehicl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645B1 (en) * | 2013-12-29 | 2015-05-07 | 현대다이모스(주) | Apparatus for Holding Rear Seat |
KR101724915B1 (en) * | 2015-10-02 | 2017-04-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US9827882B2 (en) | 2015-10-02 | 2017-11-28 | Hyundai Motor Company | Apparatus for reclining rear seat for vehicle |
KR102153216B1 (en) * | 2019-03-13 | 2020-09-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ulti-position seat for vehicle |
KR102224068B1 (en) * | 2019-10-11 | 2021-03-08 |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 Device for reclining seat back of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95196B1 (en) | Child car safety seat | |
CN112203899B (en) | Display device and vehicle | |
US7604213B2 (en) | Height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 |
KR100992540B1 (en) | Car folding headrest device | |
JP5932011B2 (en) | Support device and child safety seat provided with support device | |
KR101317653B1 (en) | Apparatis for tilting seat | |
US7938471B2 (en) |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 |
CN104395141B (en) | Seat equipment for vehicles | |
JP2010524595A (en) | Connecting part for moving furniture | |
KR101219311B1 (en) | Headrest module for vehicle | |
CN119058500A (en) | Child car safety seat | |
JP2005053240A (en) | Tip-up slide type folding seat | |
KR102071504B1 (en) |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 |
JP2017197075A (en) | Vehicle seat | |
KR101252497B1 (en) | Apparatus for passenger convenience in a rear seat | |
JP2009241695A (en) | Retractable awning device of convertible | |
JP2005305117A (en) | Seat back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 |
CN211809211U (en) | Automobile safety seat for children | |
JP2013139199A (en) | Vehicle seat | |
KR102663948B1 (en) | Moving console box for automobile with armrest support device | |
JP4784802B2 (en) | Sliding folding sheet that can be raised | |
JP2007030583A (en) | Sheet | |
KR100716779B1 (en) | Active headrest | |
KR100521940B1 (en) | Reinforcing device of car sheet | |
KR102563450B1 (en) | Head Rest Moving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