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7149B1 - 광케이블 단자함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149B1
KR101317149B1 KR1020120002063A KR20120002063A KR101317149B1 KR 101317149 B1 KR101317149 B1 KR 101317149B1 KR 1020120002063 A KR1020120002063 A KR 1020120002063A KR 20120002063 A KR20120002063 A KR 20120002063A KR 101317149 B1 KR101317149 B1 KR 10131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x
optical
guide groove
bra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087A (ko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2000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149B1/ko
Priority to PCT/KR2012/011369 priority patent/WO2013103206A1/en
Publication of KR2013008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1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8Patch-cords; Connector arrangements in the system or in the bo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7Installation in buildings
    • G02B6/477Wall sock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자함 본체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여, 작업을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광어댑터에 설치하거나 수리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 단자함{A fiber optic cable connecting terminal box}
본 발명은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단자함 본체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단자함(일명:FTTH용 광단자함)은 광섬유의 접속, 분기 및 정리를 위한 것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지 않고 통상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며, 광어댑터, 커넥터, 케이블 등이 내장되어 광케이블의 융착접속, 기계식접속 또는 커넥터접속과 같은 접속기능과 접속부 보호기능 및 인입/인출기능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되는 함체(1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함체(10) 측면에는 광케이블(C1)이 끼워지도록 광케이블 인입구(11)가 형성되고, 이 광케이블 인입구(11)의 맞은편에는 최종가입자와 접속되어 있는 광옥외선(C2)이 끼워지는 복수의 광옥외선 인입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전면에는 커버(20)가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함체(10)의 배면에는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편(13)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13)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광케이블 단자함은 커버(20)가 전면을 향하도록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함체(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13)의 체결공(14)으로 체결볼트를 결합시켜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체(10)의 내부에는 광어댑터 패널(30)이 설치된다. 이 광어댑터 패널(30)에는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와 출력단자(31b)가 양측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광어댑터(31)가 설치된다.
따라서, 함체(10)를 전신주나 옥내/외의 벽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에 광케이블(C1)을 끼워 함체(10)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인입된 광케이블(C1)의 외부피복을 벗겨 다수의 광섬유 클러스터(이하 "광섬유"라 함)로 분기시키고 이를 다시 스플리터(S)를 이용하여 8가닥의 광섬유 단위로 재분기하고, 분기된 각각의 광섬유를 커넥터(32a)를 이용하여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에 각각 결합시키면 광케이블(C1)의 연결이 완료된다.
이후, 함체(10)에 형성된 광옥외선 인입구(12)에 광옥외선(C2)을 각각 끼운 후 상기 광옥외선(C2)을 커넥터(32b)를 이용하여 광어댑터 출력단자(31b)에 각각 결합시키면 광케이블(C1)과 광옥외선(C2)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함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광케이블 인입구(11)를 통해 함체(10) 내부로 인입된 광케이블(C1)이 광섬유들로 분기되어 상기 광섬유들이 광어댑터 입력단자(31a)에 각각 연결되기까지의 과정에서 상기 광섬유들이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어댑터패널(30)의 일측에 분기된 광섬유들이 지지되는 정리부재(40)가 설치된다.
종래의 이러한 광케이블 단자함은 여러개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광어댑터 패널(30)이 상기 함체(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서 수리 및 교체 등의 작업이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업공간이 협소한 한정된 공간인 단자함 내부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 및 광 아답타등의 설치 및 광 분배 장치의 설치를 원활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광케이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와,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케이블 단자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여, 작업을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광어댑터에 설치하거나 수리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브라켓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작업시 광어댑터 패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단자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이 전봇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볼트 체결부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결합 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에 광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케이블 단자함 작업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케이블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100)와, 상기 단자함 본체(100)에 형성되는 브라켓(200)과, 상기 브라켓(2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3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본체(100)는 속이 빈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110)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전방이 개방될 수 있다.
단자함 본체(100)는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10)는 일측부가 힌지부(160)를 통해 단자함 본체(100)에 연결된다.
또한, 도어(110)는 타측부에 로킹부(140)가 형성되어 도어(110)는 닫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로킹부(140)를 통해 작업자가 필요시에만 단자함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로킹부(140)는 볼트 등으로 구비되어 도어(110)의 로킹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어(110)의 타측부에 로킹부(14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걸림돌기(15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50)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돌기가 형성되어, 단자함 본체(100)에 형성된 돌출턱(19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150) 및 돌출턱(190)이 구비되어, 도어(110)의 로킹 작업시 일차적으로 걸림돌기(150)를 돌출턱(190)에 걸리도록 해 놓으면 도어(110)가 전방으로 개방되지 않게 되어 작업이 용이해진다.
단자함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는 광케이블 등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인입출부(180)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자함은 단자함 본체(100)의 배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리부(120)를 포함한다.
고리부(120)는 양측의 수직부와 양측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은 회동축(12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수평부는 수직부보다 전후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리부(120)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고리부(120)의 강성되 향상시킬 수 있다.
고리부(120)가 접혀져 있을 때 고리부(120) 후방의 표면에는 원호형상으로 굴곡부(121)가 형성된다. 굴곡부(121)는 상기 수평부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공(123)이 여러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공(123)으로 인해 단자함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으며, 단자함을 벽에 설치할 경우 벽에 박혀진 못 등에 용이하게 걸어놓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단자함 본체(100)의 배면에는 고정밴드(B)가 삽입되는 관통공(13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가 형성된다.
돌출부(130)의 후방의 표면 중심부에는 제2굴곡부(132)가 형성된다. 제2굴곡부(132)는 굴곡부(121)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30) 양측의 전후두께는 고리부(120)의 수평부의 두께와 유사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단자함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130)의 하부 양측에는 고리부(120)의 회동축(122)이 삽입되는 축삽입홈(134)이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삽입홈(134) 내부에 배치되도록 축걸림돌기(135)가 형성된다.
고리부(120)의 회동축(122)을 돌출부(130) 축삽입홈(134)에 끼워넣으면 돌출부(130) 하부가 탄성변형되면서 축삽입홈(134)의 사이간격이 넓어져 회동축(122)이 축삽입홈(134)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고리부(120)는 돌출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리부(120)가 설치된 후에는 회동축(122)이 걸림돌기(135)에 의해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고리부(120) 및 돌출부(130)는 단자함 본체(100)의 배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실시예의 단자함은 전봇대에 설치할 경우에는 고리부(120)를 접은 상태에서 밴드(B)를 관통공(131)에 삽입하고, 굴곡부(121) 및 제2굴곡부(132)가 전봇대의 굴곡진 표면가 맞닿도록 한다. 이로 인해 단자함은 굴곡진 표면을 가진 전봇대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실시예의 단자함은 평평한 벽면(W)에 설치할 경우에는 고리부(120)를 회동시켜서 고리부(120)를 펼쳐서 벽면에 설치된 못 등에 걸어놓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자함은 평평한 표면을 가진 벽면(W)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자함은 별다른 조치 없이도 굴곡진 전봇대나 벽면(W)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130) 및 고리부(120)로 인해 단자함이 전봇대에 설치될 경우 단자함 본체(100)와 전봇대와의 접촉면적이 늘어나서 단자함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리부(130)의 설치도 용이해지고, 평평한 벽면(W)에 고리를 이용하여 설치될 경우에도 벽면(W)과 단자함과의 접촉면적이 늘어나서 단자함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단자함 본체(100) 배면에는 보조돌기(170)가 형성된다. 보조돌기(170)는 단자함 내부에 설치되는 볼트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돌기(170) 내부에는 너트(900)가 인서트 사출성형 될 수 있다.
너트(900)는 단자함 본체(10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둘러싸여서 부식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너트(90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고, 너트(90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 홈이 형성되어 쉽게 이탈되거나 헛돌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보조돌기(170)로 인해 단자함 본체(100)의 중량을 가볍게 유지하면서도 단자함 내부에 부품들을 볼트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단자함을 벽면(W)이나 전봇대에 설치할 경우 보조돌기(170)로 인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단자함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00)은 단자함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브라켓(20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거나, 이와 다르게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함 본체(100) 내부 일측에는 광섬유 또는 광케이블 등을 정리하는 정리부재(50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브라켓(200)이 배치된다.
단자함 본체(100) 내부 타측 하부에는 광케이블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고리(600)가 형성된다. 가이드고리(600)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광케이블 등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브라켓(200)은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판넬형상의 마운팅판넬(400)에 설치된다. 마운팅판넬(400)은 생략할 수도 있다.
브라켓(200)은 양측벽과 양측벽을 연결하는 상부벽과 마운팅판넬(400)과 맞닿는 배면을 포함한다.
브라켓(200)은 양측벽에 각각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21)과 제1가이드홈(221)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22)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양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측벽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아래에 보조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가이드홈도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231)과 제1가이드부(221)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232)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가이드홈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벽(23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벽 양측에는 절개부(210)가 전방으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광어댑터 패널(300)은 브라켓(20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광어댑터 패널(300)도 양쪽에 배치되는 측벽과 측벽의 전방 상부를 연결하는전방연결부와 측벽의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연결부를 포함한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양쪽의 측벽 내부에는 선반돌출부(34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일측 측벽의 전방에는 광어댑터(330)가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광어댑터(330)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측벽 외측 하부에는 타부품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너트가 인서트 사출성형될 수 있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일측 측벽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0)가 형성된다.
광어댑터 패널(300)의 일측 측벽의 외측에는 가이드돌기(3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보조돌기(32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돌기(320)에는 볼트(700)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삽입공(321) 내부에는 스프링(800)이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 브라켓(200)을 놓고, 브라켓(200)의 보조가이드홈에 광어댑터 패널(300)의 보조돌기(320)를 삽입한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700)를 볼트삽입공(321)에 삽입한 후에 보조돌기(170)에 설치된 너트(900)에 체결하여 브라켓(200) 및 광어댑터 패널(3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추후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시 볼트(700)를 조금만 풀어주면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볼트(700)가 튀어 나와서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800)을 이용한 구조는 도어(110)의 로킹부(14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00)의 상기 상부벽 양측에는 절개부(210)가 형성되어, 브라켓(200)의 양측벽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넓게 할 수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보조가이드홈에 가이드돌기(310)와 보조돌기(320)를 각각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함 사용시에는 광어댑터 패널(300)에는 다수의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추후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시에 단자함 본체(100) 내부에는 작업을 위한 공간이 너무 협소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추후 수리나 교체를 위한 작업시에는 광어댑터 패널(300)을 단자함 본체(100) 및 브라켓(20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작업을 넓은 공간에서 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을 광어댑터(330)에 설치하거나 수리하거나 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세하게는 볼트(700)를 풀어서 광어댑터 패널(300)이 슬라이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가이드돌기(310) 및 보조돌기(320)를 가이드홈 및 보조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킨 후에 하부로 슬라이딩시켜서 광어댑터 패널(300)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조로 작업시 광어댑터 패널(3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자함 본체 110 : 도어
120 : 고리 130 : 돌출부
140 : 로킹부 150 : 걸림돌기
160 : 힌지부 170 : 보조돌기
180 : 인입출부 200 : 브라켓
300 : 광어댑터 패널 400 : 마운팅판넬

Claims (2)

  1. 삭제
  2. 단자함 본체;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어댑터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어댑터 패널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과 상기 제1가이드홈에 연속되게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광어댑터 패널의 외측에는 보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삽입공 내부에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볼트는 상기 단자함 본체에 형성된 보조돌기에 설치된 너트에 체결되는 광케이블 단자함.
KR1020120002063A 2012-01-06 2012-01-06 광케이블 단자함 Active KR10131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63A KR101317149B1 (ko) 2012-01-06 2012-01-06 광케이블 단자함
PCT/KR2012/011369 WO2013103206A1 (en) 2012-01-06 2012-12-24 Optical cable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063A KR101317149B1 (ko) 2012-01-06 2012-01-06 광케이블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87A KR20130081087A (ko) 2013-07-16
KR101317149B1 true KR101317149B1 (ko) 2013-10-10

Family

ID=4874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063A Active KR101317149B1 (ko) 2012-01-06 2012-01-06 광케이블 단자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7149B1 (ko)
WO (1) WO20131032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77B1 (ko) * 2020-04-10 2021-02-19 (주)나이스에너지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00Y1 (ko) * 2014-12-24 2016-10-1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JP6469154B2 (ja) * 2017-03-21 2019-02-13 株式会社フジクラ 接続箱
US11300746B2 (en) 2017-06-28 2022-04-1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port module inse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U2017421287A1 (en) 2017-06-28 2020-01-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ompact fiber optic connectors having multiple connector footprints, along with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187859B2 (en) 2017-06-28 2021-11-30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359577B2 (en) 2017-06-28 2019-07-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s and optical connectors with rotationally discrete locking and keying features
US12271040B2 (en) 2017-06-28 2025-04-0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extender ports,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68890B2 (en) 2017-06-28 2023-06-0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ecuring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641967B1 (en) * 2018-11-16 2020-05-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 modular adapter support array
US10768382B2 (en) 2018-11-29 2020-09-0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Multiport assemblies including access apertures and a release tool
HUE069765T2 (hu) 2018-12-28 2025-04-28 Corning Res & Dev Corp Multiport egység, ami tartalmaz szerelési elemeket vagy pordugókat
CA3139937A1 (en) 2019-05-31 2020-12-03 Thierry Luc Alain Dannoux Multiports and other devices having optical connection ports with sliding actuator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294133B2 (en) 2019-07-31 2022-04-05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networks using multiports and cable assemblies with cable-to-connector orientation
US11487073B2 (en) 2019-09-30 2022-11-01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able input devices having an integrated locking feature and assemblies using the cable input devices
EP3805827A1 (en) 2019-10-07 2021-04-1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and fiber optic networks having variable ratio couplers
US11650388B2 (en) 2019-11-14 2023-05-1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networks having a self-supporting optical terminal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optical terminal
US11536921B2 (en) 2020-02-11 2022-12-2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having one or more loopback assemblies
US11604320B2 (en) 2020-09-30 2023-03-14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ies for telecommunication enclosures
CN112327434B (zh) * 2020-10-28 2023-04-07 国网四川省电力公司南充供电公司 一种光纤终端盒
KR200496743Y1 (ko) 2020-11-12 2023-04-1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단자함 미세 정렬장치
KR102255089B1 (ko) * 2020-11-17 2021-05-21 구진모 광케이블용 광분배기
US11994722B2 (en) 2020-11-30 2024-05-28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n adapter housing and a locking housing
US11686913B2 (en) 2020-11-30 2023-06-27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connector assemblies having a crimp ring and crimp body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11927810B2 (en) 2020-11-30 2024-03-1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member
US11880076B2 (en) 2020-11-30 2024-01-23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adapter assemblies including a conversion housing and a release housing
US11947167B2 (en) 2021-05-26 2024-04-02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Fiber optic terminals and tool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split ratio of a fiber optic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39Y1 (ko) * 2004-02-10 2004-05-17 명성네트콤 (주)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의 슬라이딩 판넬 고정 구조
KR100584843B1 (ko) 2004-02-10 2006-05-30 명성네트콤 (주)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US20090148119A1 (en) * 2007-02-28 2009-06-11 Guy Castonguay 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KR101214847B1 (ko) 2011-04-13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975B2 (en) * 2001-11-30 2003-09-16 Corning Cable Systems Llc Distribution terminal for network access point
KR20090002595U (ko) * 2007-09-11 2009-03-16 명성네트콤 (주) 광접속분배함
KR20100060138A (ko) * 2008-11-27 2010-06-07 (주)모던테크 광분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39Y1 (ko) * 2004-02-10 2004-05-17 명성네트콤 (주)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의 슬라이딩 판넬 고정 구조
KR100584843B1 (ko) 2004-02-10 2006-05-30 명성네트콤 (주)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US20090148119A1 (en) * 2007-02-28 2009-06-11 Guy Castonguay 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KR101214847B1 (ko) 2011-04-13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677B1 (ko) * 2020-04-10 2021-02-19 (주)나이스에너지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3206A1 (en) 2013-07-11
KR20130081087A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149B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20230387669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with a separate mountable hinge
KR101406662B1 (ko) 아우트렛 장치
US20210239917A1 (en) Mechanical connection interface for a telecommunications component
US8886005B2 (en) Adapter retaining systems
US11007890B2 (en) Vehicle charge/discharge device with a reversible cable cover
US12276842B2 (en) Optical termination and derivation box
RU2562958C2 (ru) Передняя панель для розетки
WO2003027733A2 (en) Assembly including an optical fiber socket and an optical fiber plug
US10732372B2 (en) Shelf for communications rack or cabinet
KR101285334B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101837336B1 (ko) 기밀성이 향상된 광케이블 단자함
KR101366810B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101777272B1 (ko)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KR102403918B1 (ko) 모듈내장형 광케이블 단자함
JP4270255B2 (ja) 光ファイバー用コンセント
KR20030051678A (ko) 패치패널
KR102217677B1 (ko) 계단식 광어댑터 패널이 구비된 서랍형 광케이블 단자함
CN210041170U (zh) 新型面板理线结构
EP2783247B1 (en) Enclosure-less fiber optic terminals
KR100356709B1 (ko)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US10274690B2 (en) Enclosure with removable frame
KR200322654Y1 (ko) 인입 광케이블 여장함이 구비된 광분배함
KR20160140081A (ko) 중간분기형 광접속함체
KR20100032733A (ko) Fdf 광분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