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032B1 - Toilet seat - Google Patents
Toilet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7032B1 KR101317032B1 KR1020120042011A KR20120042011A KR101317032B1 KR 101317032 B1 KR101317032 B1 KR 101317032B1 KR 1020120042011 A KR1020120042011 A KR 1020120042011A KR 20120042011 A KR20120042011 A KR 20120042011A KR 101317032 B1 KR101317032 B1 KR 101317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toilet
- base
- seat
- she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용 변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 등에서 수월하고 용이하게 옮겨 앉아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슬라이딩 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변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좌변기 보울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시트와, 이 슬라이더 시트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시트와, 베이스와 슬라이더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시트의 전후방향 위치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레일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for a toilet, in particular, to provide a toilet seat with a sliding function so that a person with a discomfort such a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etc. can easily and easily sit in a wheelchair and see a toilet in a comfortable posture. will b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the slider sea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guide sheet is rotat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slider sheet and The toilet seat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seat, and includes a slider rail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lider seat.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변기용 변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 등에서 한결 수월하고 용이하게 옮겨 앉아 편안히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슬라이딩 기능을 갖는 좌변기용 변좌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for a toilet seat, and more particularly, for a toilet seat having a sliding function so that a person with a discomfort such a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etc. can easily and easily move in a wheelchair and see a toilet comfortably. will be.
일반적으로 하반신마비 환자, 노약자,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하,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라고 총칭함)은 몸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으므로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대부분이 보호자, 간병인의 도움 또는 부축을 받거나 휠체어 따위의 이동보조수단을 타고 화장실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보호자나 간병인이 무리하게 이동시킬 경우 사용자는 통증이나 피로감을 호소하게 되고, 또 보호자나 간병인의 입장에서는 이 과정이 매우 조심스럽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In general, people with discomf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lower paraplegic patients, elderly people, disabled people can not move freely, so most of the time to see the stool or help or caregiver If the guardian or the caregiver moves excessively in the process, the user complains of pain or fatigue, and this process is very careful and difficult for the guardian or the caregiver. It must be work.
한편, 통상의 좌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배설물을 정화조로 배출하는 보울(11)과, 이 보울(11)의 후방에 설치되어 배설물을 세척 및 내려보내기 위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수조(17)와, 또 보울(11)에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시트(13) 및 이 시트(13)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15)를 포함하는 변좌(13)(15)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toile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oilet, the
그런데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특히 야외활동 중에 공중 화장실의 좌변기에서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휠체어를 타고 좌변기까지 이동한 후 스스로 휠체어에서 내려와 좌변기로 옮겨 앉아야 하며, 이와 반대로 용변을 본 후에는 좌변기에서 내려서 휠체어로 다시 옮겨 앉아야만 하는데, 이때 좌변기와 휠체어 좌판 간의 높이 차이로 인해 이동이 상당히 힘들고 불편한 데다 무리하게 이동할 경우 자칫 부상을 당하거나 심한 체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등 구조적으로 편의성에 한계가 있게 마련이다.
However, in order to see the toilet on the toilet in a public restroom, a user who is inconvenient to move has to move from the wheelchair to the toilet and sit down from the wheelchair and move to the toilet. In this cas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wheelchair seat is very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move, and if you move excessively, you may injure yourself or cause severe physical deterioration.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혼자서도 휠체어 등에서 수월하고 용이하게 옮겨 앉아 용변을 볼 수 있는 좌변기용 변좌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focused on solving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problems, and researches to develop a toilet seat for a user who is inconvenient to move such a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etc. can easily and easily sit in a wheelchair and view a toilet. Invented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혼자서도 휠체어 등에서 쉽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좌변기용 변좌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seat for the user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easily and safely in a wheelchair or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좌변기 보울(Bowl)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시트와, 이 슬라이더 시트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시트와, 베이스와 슬라이더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시트의 전후방향 위치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레일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Bowl), a slider shee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is slider sheet Provides a toilet seat for a toilet seat including a guide sheet which is rotatab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and a slider rail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sheet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lider sheet.
이로써 본 발명은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여 혼자서도 좌변기에 수월하고 용이하게 옮겨 앉아 용변을 볼 수 있고, 또 용변을 본 후에는 좌변기에서 쉽게 휠체어로 옮겨 앉을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who is inconvenient to move, such a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can move easily in a wheelchair, sit on the toilet easily and easily, and see the toilet.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슬라이더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아우터멤버와, 상기 아우터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슬라이더 시트에 고정되는 인너멤버와, 상기 인너멤버에 장착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r rail, the outer member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inner member is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is fixed to the slider seat, and the inner memb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to be mounted to make a smooth sli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슬라이더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아우터멤버와, 상기 아우터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슬라이더 시트에 고정되는 인너멤버와, 상기 아우터멤버와 인너멤버의 사이에 구비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베어링과, 상기 볼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아우터멤버와 인너멤버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der rail may include an outer member fixed to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 inner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member, and an upper surface fixed to the slider sheet, and the outer member. A ball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inn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for smooth sliding, a retainer for preventing the ball bearing from being separated, and stopper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respectively, to prevent separation from each other.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베이스와 슬라이더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 시트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sheet to maintain the state that the slider sheet is restrained relative to the ba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잠금수단은, 상기 인너멤버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와 선택적인 걸림에 의해 접촉간섭을 일으키면서 상기 인너멤버가 상기 베이스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가 상기 걸림후크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힌지 이음으로 장착되고 상기 홀더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그 와이어를 당겨서 홀더를 이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홀더가 상기 걸림후크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레버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hook hook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moves toward the front of the base while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by the catch hook and the selective hook. A holder for preventing the hold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base and a hinged joint mounted on the base to release the state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and connected with the holder by a wire to move the holder by pulling the wire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And a first spring providing an elastic return force so as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 causes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hook, and a second spring providing an elastic return force so that the lever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Can be configured.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휠체어 등에서 좌변기로 옮겨 앉거나 용변을 본 후 휠체어로 다시 옮겨 앉을 경우 슬라이더 시트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좌변기 보울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 시트의 전방에 장착된 가이드 시트가 좌변기 보울의 설치 바닥면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접촉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마치 미끄럼틀과 같이 자연스러운 이동을 안내 및 유도하기 때문에 사용자 혼자서도 쉽고 안전하게 좌변기에 걸터앉거나 그로부터 편안하게 내려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nd configuration, a user who has a discomfort such as a patient, a disabled person, an elderly person, or the like moves from the wheelchair to the left toilet seat to see a toilet, or moves to the wheelchair seat after seeing the toilet seat.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of the toilet bowl slidingly moved forward, at the same time the guide seat mounted in front of the slider seat is naturally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bottom of the toilet bowl to minimize contact interference and guide the natural movement like a slide Because it induces, the user can easily and safely sit on the toilet or descend comfortably from himself.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좌변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의 슬라이더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의 슬라이더 레일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의 작동 상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의 슬라이더 레일을 나타낸 구성도 및 확대 단면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oi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oilet seat for a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toilet seat for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r seat of the toilet seat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d forward,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er rail of the toilet seat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eat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lider rail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ar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preted in a way that is commonly or generally recognized in the technical field.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clarit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actual size.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구성 중 좌변기의 보울이 위치하는 쪽을 전방으로, 수조와 마주하는 쪽을 후방 후방으로 정의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side where the bowl of the left toilet is located in front, and the side facing the water tank is defined as rear rear.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의 슬라이더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1)는 크게 베이스(10), 슬라이더 시트(20), 가이드 시트(30), 슬라이더 레일(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and 3 illustrate a toilet seat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r seat of the toilet seat for the toi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d forward, as shown The
베이스(10)는 좌변기 보울(미도시)의 상면에 설치되며, 가운데 부분에 보울의 개구부와 대응하도록 타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 사용자의 배설물이 보울의 내부로 떨어져 들어가게 된다.The
그리고 베이스(10)의 후방에는 보울에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11)가 연장 형성되고, 이에 의해 보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t the back of the
즉, 베이스(10)는 고정부(11)에 의해 보울과 힌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보지 않거나 비사용 시 등의 경우 보울의 상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둘 수 있고,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경우에는 보울의 상면 개구부 테두리 상에 하면이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눕힐 수 있다.
That is, the
슬라이더 시트(20)는 베이스(1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가운데 부분에 베이스(10) 및 보울의 개구부와 대응하는 타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다.The
즉, 슬라이더 시트(20)의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의 배설물이 보울의 내부로 떨어지고, 그 상면 부분은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That is, the user's excrement falls through the opening of the
가이드 시트(30)는 슬라이더 시트(20)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이음으로 결합되며, 슬라이더 시트(20)와 함께 보울의 개구부 상면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즉, 가이드 시트(30)는 슬라이더 시트가 보울의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중 등과 같은 외력을 받을 경우 슬라이더 시트(20)와 연결하는 힌지축(31)을 중심으로 보울의 설치 바닥면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되면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좌변기에 않을 때나 용변을 본 후 좌변기에서 휠체어 등으로 옮겨 갈 때 마치 미끄럼틀과 같은 기능을 하여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안내 및 유도함과 동시에 슬라이더 시트(20)가 보울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변기에서 휠체어로 옮겨 않거나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옮겨 않을 때 발생하는 사용자와의 접촉간섭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게 된다.
That is, the
슬라이더 레일(40)은 베이스(10)와 슬라이더 시트(20) 사이에 외력을 받을 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10)에 대한 슬라이더 시트(20)의 전후방향 위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The
즉, 슬라이더 시트(20)는 슬라이더 레일(40)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미끄럼운동에 의해 베이스(10)의 일정 구간 범위 내에서 그로부터 이탈됨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이러한 슬라이더 레일(40)의 일실시 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아우터멤버(41)와, 이 아우터멤버(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슬라이더 시트(20)의 하면에 고정되는 인너멤버(42)와, 이 인너멤버(42)에 장착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안내 및 유도하는 다수의 롤러(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또한, 슬라이더 레일(40')의 다른 실시 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아우터멤버(41)와, 이 아우터멤버(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슬라이더 시트(20)의 하면에 고정되는 인너멤버(42)와, 이 아우터멤버(41)와 인너멤버(42)의 사이에 구비되어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베어링(44)과, 이 볼베어링(44)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45)와, 아우터멤버(41)와 인너멤버(4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11 and 12, an
한편, 베이스(10)와 슬라이더 시트(20) 사이 좌우 양측에는 슬라이더 시트(20)가 베이스(10)에 대한 위치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locking means may be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between the
이러한 잠금수단으로는 인너멤버(42)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가 호형으로 형성된 걸림후크(51)와, 이 걸림후크(51)와 선택적인 걸림에 의해 접촉간섭을 일으키면서 인너멤버(42)가 베이스(10)의 전방 즉, 보울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걸림후크(51)와 대향하는 테두리 면이 그와 대응하는 호형으로 형성된 홀더(52)와, 이 홀더(52)가 걸림후크(51)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도록 베이스(10) 상에 양측이 힌지 이음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홀더(52)와 와이어(53)로 연결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그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53)를 당김으로써 홀더(52)를 걸림후크(51)와 접촉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레버(54)와, 홀더(52)가 걸림후크(51)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uch locking means includes a
그리고 베이스(10)와 레버(54)의 사이에는 레버(54)의 조작 시 원래의 위치를 신속하게 복귀 및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56)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여기서 잠금수단은 도면상에서 베이스(10)와 슬라이더 시트(20)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베이스(10)와 슬라이더 시트(20)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locking means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또한, 제1 및 제2스프링(55)(56)은 도면상에 코일스프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좌변기용 변좌(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seat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을 별도로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걸림후크(51)가 홀더(52)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도 특별한 불편함이나 무리 없이 사용할 수도 있음 물론이다.First, as shown in FIG. 6, when the locking means is not operated separately, th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54)를 강하게 눌려 하강시키면, 이와 와이어(53)로 유연하게 연결된 홀더(52)가 걸림후크(51)와 마주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51)와 홀더(52)의 접촉간섭 상태는 자연스럽게 해제되어 슬라이더 레일의 인너멤버(42)가 아우터멤버(41)의 내측 바닥면에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43)에 의해 구속 없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user pushes down the
이때, 사용자가 레버(54)를 누르는 힘을 제거 및 해제하면, 제1 및 제2스프링(55)(56)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레버(54)와 홀더(52)는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removes and releases the force for pressing the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옮겨 앉을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시트(20)를 보울의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더 시트(20)가 보울의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더 시트(20)와 힌지축(31)에 의해 연결된 가이드 시트(30)는 보울의 상면과 접촉간섭이 없는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 바닥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접촉간섭을 최소화하는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게 슬라이더 시트(20) 상에 앉을 수 있게 된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8,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wheelchair to the toilet seat to view the toilet, as shown in FIG. 9, when the
또한, 이렇게 앉은 자세로 사용자가 엉덩이를 이용해 슬라이더 시트(20)를 보울의 후방으로 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51)의 호형 테두리부와 이와 대응하는 형상의 홀더(52)의 테두리부가 자연스럽게 밀착되고, 그에 따른 접촉간섭에 의해 홀더(52)는 레버(54)의 방향으로 제1스프링(55)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다가 걸림후크(51)와의 접촉간섭이 해제될 때 제1스프링(55)을 탄성 복귀력에 의해 신속하게 원래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슬라이더 시트(20)가 보울과 고정된 상태의 베이스(10)에 대해 구속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더 시트(20)가 저절로 미끄러지는 불편함 없어 사용자는 편안한 자세로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즉, 사용자는 슬라이더 시트(20)의 슬라이딩에 의한 안내 및 유도에 따라 편안하게 용변을 볼 수 있는 위치로 수월하게 이동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한결 신속하고 용이하게 좌변기로 옮겨 않을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can easily move to a position where the toilet can be seen comfortably according to the guide and the guide by the sliding of the
이후,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좌변기에서 휠체어로 옮겨 앉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 시트(20)를 보울의 전방으로 밀면 슬라이더 레일(40)에 의해 자연스럽게 미끄러지고, 이때 가이드 시트(30)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마치 미끄럼틀과 같은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변기에서 휠체어로 쉽고 수월하게 옮겨 않을 수 있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user views the toilet and moves from the toilet seat to the wheelchair, when the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Variou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in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변좌 10: 베이스
20: 슬라이더 시트 30: 가이드 시트
40: 슬라이더 레일 41: 아우터멤버
42: 인너멤버 43: 롤러
44: 볼베어링 45: 리테이너
46: 스토퍼 51: 걸림후크
52: 홀더 53: 와이어
54: 레버 55: 제1스프링
56: 제2스프링1: toilet seat 10: base
20: slider sheet 30: guide sheet
40: slider rail 41: outer member
42: inner member 43: roller
44: ball bearing 45: retainer
46: stopper 51: jam hook
52: holder 53: wire
54: lever 55: first spring
56: second spring
Claims (6)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시트;
상기 슬라이더 시트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시트;
상기 베이스와 슬라이더 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한 슬라이더 시트의 전후방향 위치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레일;
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
A bas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oilet bowl;
A slider shee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o as to be mov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guide sheet which is rotatably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front of the slider sheet;
A slider rail install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seat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lider seat relative to the base;
Toilet seat comprising a toilet.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아우터멤버;
상기 아우터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슬라이더 시트에 고정되는 인너멤버;
상기 인너멤버에 장착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의 롤러;
를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ider rail,
An outer member fixed to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 inner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memb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ixed to the slider sheet;
A plurality of rollers mounted on the inner member for smooth sliding;
Toilet seat comprising a.
상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아우터멤버;
상기 아우터멤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이 상기 슬라이더 시트에 고정되는 인너멤버;
상기 아우터멤버와 인너멤버의 사이에 구비되어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베어링;
상기 볼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상기 아우터멤버와 인너멤버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lider rail,
An outer member fixed to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 inner member slidably coupled to the outer membe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ixed to the slider sheet;
A ball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to allow smooth sliding;
A retainer for preventing the ball bearing from being separated;
Stopper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respectively, to prevent them from being separated;
Toilet seat comprising a.
상기 베이스와 슬라이더 시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 시트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위치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lock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seat to maintain the slider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slider seat is restricted.
상기 인너멤버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
상기 걸림후크와 선택적인 걸림에 의해 접촉간섭을 일으키면서 상기 인너멤버가 상기 베이스의 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
상기 홀더가 상기 걸림후크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힌지 이음으로 장착되고 상기 홀더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그 와이어를 당겨서 홀더를 이동시키는 레버;
상기 홀더가 상기 걸림후크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을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king means,
A hook hook formed at a rear end of the inner member;
A holder which prevents the inner member from moving toward the front of the base while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by the locking hook and the selective locking;
A lever mounted on the base by a hinge joint to release the state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and connected to a wire with the holder to move the holder by pulling the wire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A first spring providing an elastic return force to maintain the holder in a state of causing contact interference with the hook hook;
Toilet seat comprising a toilet.
상기 레버가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좌변기용 변좌.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ocking means,
A second spring providing an elastic return force so that the lever maintains its original position;
Toilet seat comprising a further toile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011A KR101317032B1 (en) | 2012-04-23 | 2012-04-23 | Toilet seat |
PCT/KR2012/011761 WO2013162154A1 (en) | 2012-04-23 | 2012-12-28 | Toilet seat for water clo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2011A KR101317032B1 (en) | 2012-04-23 | 2012-04-23 | Toilet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7032B1 true KR101317032B1 (en) | 2013-10-11 |
Family
ID=4948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2011A Active KR101317032B1 (en) | 2012-04-23 | 2012-04-23 | Toilet sea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7032B1 (en) |
WO (1) | WO2013162154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49545A (en) * | 2020-06-05 | 2021-12-07 | 边方 | Anti-bacterial closestool |
KR20220086752A (en) * | 2020-12-16 | 2022-06-24 | 황현석 | Toilet seating aid for wheelchair occupan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8853Y1 (en) * | 1993-12-11 | 1999-04-01 | 전성원 | Car seat track |
JP2004358112A (en) | 2003-06-09 | 2004-12-24 | Kurio Corp:Kk | Toilet seat with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
JP2009285256A (en) | 2008-05-30 | 2009-12-10 | Alps Electric Co Ltd | Seat-type lavatory having motion aid function and control method of motion aid function |
JP2009297445A (en) | 2008-06-17 | 2009-12-24 | Toto Ltd | Toilet seat apparatus and toilet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9766B1 (en) * | 2002-07-24 | 2005-05-17 |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 The Low Bench Movement Positioning Bidet Chamber-Pot |
JP2007136107A (en) * | 2005-11-14 | 2007-06-07 | Keisuke Watanabe | Movable toilet seat |
JP2009118923A (en) * | 2007-11-12 | 2009-06-04 | Micron Engineering Co Ltd | Toilet seat for toilet bowl |
JP2009297459A (en) * | 2008-06-17 | 2009-12-24 | Toto Ltd |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apparatus |
-
2012
- 2012-04-23 KR KR1020120042011A patent/KR101317032B1/en active Active
- 2012-12-28 WO PCT/KR2012/011761 patent/WO201316215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8853Y1 (en) * | 1993-12-11 | 1999-04-01 | 전성원 | Car seat track |
JP2004358112A (en) | 2003-06-09 | 2004-12-24 | Kurio Corp:Kk | Toilet seat with position adjustment function |
JP2009285256A (en) | 2008-05-30 | 2009-12-10 | Alps Electric Co Ltd | Seat-type lavatory having motion aid function and control method of motion aid function |
JP2009297445A (en) | 2008-06-17 | 2009-12-24 | Toto Ltd | Toilet seat apparatus and toilet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749545A (en) * | 2020-06-05 | 2021-12-07 | 边方 | Anti-bacterial closestool |
KR20220086752A (en) * | 2020-12-16 | 2022-06-24 | 황현석 | Toilet seating aid for wheelchair occupants |
KR102530064B1 (en) * | 2020-12-16 | 2023-05-09 | 황현석 | Toilet seating aid for wheelchair occupa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162154A1 (en) | 2013-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7983B1 (en) | Bath chairs to assist the disabled and bathers in mobility | |
KR101352684B1 (en) | Bath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 |
JP5966161B1 (en) | Armrest lock mechanism and united bed having the same | |
KR100954226B1 (en) |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 |
US6418571B1 (en) | Chair with toilet sink | |
KR101317032B1 (en) | Toilet seat | |
KR101301874B1 (en) | Toilet stools with armrest | |
JP4509730B2 (en) | Western toilet with armrest | |
JP2017042503A (en) | Hand rail for toilet bowl | |
JP2012239482A (en) | Folding chair for bathroom | |
JP5043986B2 (en) | Folding chair and shower chair | |
JP7208775B2 (en) | chair massage machine | |
JP2018198945A (en) | Wheelchair fixing device | |
JP2014100348A (en) | Movement control device | |
JP4038738B1 (en) | Portable toilet | |
KR20190037797A (en) | Toilet bow seat | |
JP5858487B2 (en) | Portable toilet | |
JP6399670B2 (en) | Wheelchair fixing device | |
JP2008212217A (en) | Toilet | |
JP5105129B2 (en) | Nursing wheelchair | |
JP2008154764A (en) | Chair | |
JP5886399B1 (en) | Defecation assistance device for toilet | |
JP2020156640A (en) | Assist device and toilet | |
KR101853911B1 (en) | Joint chair protection | |
EP1958558A2 (en) | Shower s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