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6897B1 -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897B1
KR101316897B1 KR1020070105151A KR20070105151A KR101316897B1 KR 101316897 B1 KR101316897 B1 KR 101316897B1 KR 1020070105151 A KR1020070105151 A KR 1020070105151A KR 20070105151 A KR20070105151 A KR 20070105151A KR 101316897 B1 KR101316897 B1 KR 10131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ver
vehicle
cushion
deploy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478A (ko
Inventor
손유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8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89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에어백 쿠션과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로 구성되는 조합체인 에어백 모듈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쉽게 찢고 나오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시트 커버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이 봉재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에어백 커버 자체에 전개 방향과 전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외측에 돌출된 연장부재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알맞은 전개 각도와 최단시간 내에 부풀려져 빨리 승객을 보호하는 이점이 있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연장부재, 걸림부, 갈고리, 걸림턱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Guide structure of curtain air-bag unfold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 나오는 에어백 커버에 연장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방향을 상기 에어백 커버의 절개부로 유도하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일정 크기 이상의 충돌사고 발생 시 에어백을 풍선처럼 부풀게 함으로써 에어백의 쿠션 작용에 의해 승객의 충격을 완화하고 승객의 상체 및 머리 부위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정면 충돌 시 앞좌석 승객을 보호하는 운전석 에어백 및 조수석 에어백과 측면 충돌 시 승객의 옆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및 커튼 에어백 등이 있다.
보통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 내부 측면에 장착된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의 재봉선을 뜯고 전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재봉을 하는 재봉사의 강도까지도 조절한다. 말하자면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에어백쿠션 이 터져 나오도록 고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내피제를 삭제하고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었을 때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을 감싸고 있는 커버는 섬유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에어백 커버(2)의 외곽형태를 일정하게 잡아주어, 상기 에어백 커버(2) 자체의 외관을 좋게 해 줄뿐만 아니라, 시트 형상에 맞도록 설계되어 시트 외관의 품질을 높인다. 특히, 차량의 충돌 시 인플레이터(3)에서 공급하는 가스로 에어백 쿠션(1)은 알맞은 전개 각도와 최단시간 내에 부풀려져, 빨리 승객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에어백 커버(2)에 늘어나는 비율이 낮은 소재로 내피재(4)를 한 겹 더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1)이 단기간 내에 시트(미도시)를 찢고 상기 에어백 쿠션(1)이 나올 수 있도록 절개부(6)가형성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1)와 상기 내피재(4)를 함께 상기 절개부(6)에 봉재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었다. 또한, 시트의 내부에 차량이 충돌하여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내피재(4)와 상기 에어백 커버(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피재(4)와 상기 에어백커버(2)의 끝부분인 연결부(3)를 프레임(5)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에 내피재를 설치하면 원가가 비싸고, 설치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많이 들어 내피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에어백 커버의 전개 각도 조절 및 에어백 쿠션의 안내가 없어 전개 방향이 일정치 않고, 단시간 내에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커버 자체에 에어백 쿠션의 전개 방향과 각도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시간을 축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는 가스를 공급하여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 에어백 모듈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쉽게 찢고 나오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시트 커버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이 봉재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외측에 돌출 되어 구비된 연장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긴 자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방향을 안내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 전개 방향이 에어백 커버의 절개부 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벌어지는 외측에 배치되고, 한 쪽 끝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일정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백 커버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단 모두에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필요 이상으로 열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걸리게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일정부분 열린 후 걸림턱에 걸리게 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에어백 쿠션과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로 구성되는 조합체인 에어백 모듈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쉽게 찢고 나오도록 차량의 시트 커버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이 봉재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에어백 커버 자체에 전개 방향과 전개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외측에 돌출된 연장부재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알맞은 전개 각도와 최단시간 내에 부풀려져 빨리 승객을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을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a의 A부분에 도시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와 걸림턱의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전(도 6a)과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후(도 6b)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46)의 내부에 배치된 에어백 쿠션(42)과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42)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44)로 구성되는 조합체인 에어백 모듈(40)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백 쿠션(42)이 쉽게 찢고 나오도록 차량의 시트 커버(50)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이 봉재된 절개부(30)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42)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40)의 외측에 돌출 되어 배치된 연장부재(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는(10) 긴 자루 형태이고, 상기 연장부재(10)는 상기 에어백 쿠션(42)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42)의 전개방향을 안내하는 구조이며, 상 기 연장부재(10)는 전개 방향이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상기 절개부(30) 방향으로 위치해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42)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벌어지는 외측에 배치되고, 한 쪽 끝은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외측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42)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일정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단 모두에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 쿠션(42)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필요 이상으로 열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20)가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외측에 걸리게 상기 걸림부(20)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25)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20)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일정부분 열린 후 걸림턱(25)에 걸리게 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25)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42)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에어백 모듈(40)의 외측에 돌출된 긴자루 형태의 연장부재(10)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재(10)의 입구는 상기 에어백 모듈(40)보다 길게 연장한다. 또한, 시트 패드(55)를 구비한 시트 커버(50)의 내부에 상기 연장부재(10)의 입구와 상기 시트 커버(50)에 상기 에어백 쿠션이 빨리 전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트 커버(50)의 일측을 절개한 절개부(30)를 같은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42)의 전개 방향을 상기 연장부재(10)의 입구로 유도함으로써, 차량의 사고 시 상기 시트 커버(50)에 배치된 상기 절개부(30)에 상기 에어백 쿠션(42)이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시트 커버(50)가 빨리 찢겨 단시간 내에 상기 에어백 쿠션(42)이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또는 상하단부 모두에 갈고리 모양의 걸림부(20)를 배치하고, 상기 걸림부(20)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걸림턱(25)을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외측에 형성시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필요이상 많이 열리는 것을 제어하고, 사이드 에어백이 설정한 각도로 전개되는 방향으로 계속 유지시켜줄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42)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필요 이상으로 열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20)가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외측에 걸리게 상기 걸림부(20)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46)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2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20)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46)가 일정부분 열린 후 걸림턱(25)에 걸리게 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25)과는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구조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는 연장부재와 상기 에어백 커버에 형성된 걸림부와 걸림턱을 이용하여 에어백 커버가 필요이상 많이 열리는 것을 제어하고, 에어백 쿠션이 설정한 각도로 전개되도록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내피제를 포함하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을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 쿠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a의 A부분에 도시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와 걸림턱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장부재 20 : 걸림부
25 : 걸림턱 30 : 절개부
40 : 에어백 모듈 42 : 에어백 쿠션
44 : 인플레이터 46 : 에어백 커버
50 : 시트 커버 55 : 시트 패드

Claims (8)

  1.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에어백 쿠션과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로 구성되는 조합체인 에어백 모듈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쉽게 찢고 나오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시트 커버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이 봉재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외측에 돌출 되어 구비된 연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긴 자루 형태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방향을 안내하며,
    상기 연장부재의 전개 방향이 상기 에어백 커버의 상기 절개부 방향으로 향해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벌어지는 외측에 배치되고, 한 쪽 끝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고정되고, 다른 한 쪽 끝은 갈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일정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상,하단 모두에 배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필요 이상으로 열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걸리게 상기 걸림부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시 상기 에어백 커버가 일정부분 열린 후 걸림턱에 걸리게 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과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KR1020070105151A 2007-10-18 2007-10-18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Active KR10131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151A KR101316897B1 (ko) 2007-10-18 2007-10-18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151A KR101316897B1 (ko) 2007-10-18 2007-10-18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478A KR20090039478A (ko) 2009-04-22
KR101316897B1 true KR101316897B1 (ko) 2013-10-11

Family

ID=4076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151A Active KR101316897B1 (ko) 2007-10-18 2007-10-18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8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327A (ja) * 1995-09-26 1997-03-31 Mazda Motor Corp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KR19980087095A (ko) * 1997-05-16 1998-12-05 주르겐 헤르만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JP2006036209A (ja) * 1996-09-27 2006-02-09 Mazda Motor Corp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327A (ja) * 1995-09-26 1997-03-31 Mazda Motor Corp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2006036209A (ja) * 1996-09-27 2006-02-09 Mazda Motor Corp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KR19980087095A (ko) * 1997-05-16 1998-12-05 주르겐 헤르만 차량 탑승자용 측면 충격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478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39B2 (en) Airbag module with deployment control flap
JP4805914B2 (ja) 重なり合うチャンバを備えた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KR10101412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JP6183342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CN104507760B (zh) 侧面安全气囊的展开方向限制结构
US7878537B2 (en) Airbag cushion
US8684403B2 (en) Active airbag venting system
JP5330758B2 (ja) シートバック構造
JP4156121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6078504A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603614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48358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78934A (ko) 차량의 에어백
KR101875919B1 (ko) 에어백 장치
KR20150035801A (ko) 외부 디플렉터를 갖는 에어백 모듈
JP54913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316897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JP4922796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17997A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190057898A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에어백 전개 구조
KR101371621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JP3677607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0629348B1 (ko) 커튼 에어백
JP7536121B2 (ja) 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5410117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ストラップ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10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