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791B1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 Google Patents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4791B1 KR101314791B1 KR1020130067987A KR20130067987A KR101314791B1 KR 101314791 B1 KR101314791 B1 KR 101314791B1 KR 1020130067987 A KR1020130067987 A KR 1020130067987A KR 20130067987 A KR20130067987 A KR 20130067987A KR 101314791 B1 KR101314791 B1 KR 101314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ross
- steel pipe
- shift
- b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양단에 위치하는 교대 및 상기 교대 상단과 양단이 강결합되는 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 강성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변단면 강관 거더를 합성형 라멘에 적용하여 경제성과 미관을 향상시킨 변단면 합성 라멘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단면 합성 라멘교는 교량의 양단에 위치하는 교대 및 상기 교대 상단과 양단이 강결합되는 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더는 단면 형상이 원형 강관으로 거더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는 변단면이고, 상기 교대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하부 교대, 하부 교대 상부에 결합되어 거더의 단부를 지지하는 거더 거치구,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하부 교대 상부에 상기 거더 거치구 및 거더의 단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교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멘트가 큰 거더 단부에 헌치를 위치시키거나 별도의 보강 거더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아울러 외력에 대한 단면력의 응력 변화가 완만하여 구조적으로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including shifts located at both ends of a bridge and a girder strong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ift,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ctional rigid pipe girder for efficient use of cross-sectional rigidity. Is applied to synthetic ramen, which is a composite cross-sectioned ramen bridge with improved economics and aesthetics.
The cross-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bridge including an alternating posit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and a girder which is strong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lternating cross section, wherein the girder has a circular steel pipe in a cross-sectional shape at the girder end. The diameter of the round steel pipe becomes smaller toward the center, the shift is a lower shift consisting of concrete, a girder through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hift to support the end of the girder, consisting of concrete and the girder above the lower shift End of the cradle and the gir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upper portion formed to be embe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lace a haunch at the end of the girder having a large moment or add a separate reinforcement girder, so that construction is easy and air shortening is possible. In addition, the stress change of the cross-sectional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is gentle, not only structurally easy, but also economical and aesthetic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양단에 위치하는 교대 및 상기 교대 상단과 양단이 강결합되는 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 강성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변단면 강관 거더를 합성형 라멘에 적용하여 경제성과 미관을 향상시킨 변단면 합성 라멘교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 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including shifts located at both ends of a bridge and a girder strong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hift,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ctional rigid pipe girder for efficient use of cross-sectional rigidity. Is applied to synthetic ramen, which is a composite cross-sectioned ramen bridge with improved economics and aesthetics.
교량은 상부 구조 형식에 따라 거더교, 단순교, 연속교, 트러스교, 아치교, 라멘교 등으로 나뉠 수 있다. Bridges can be divided into girder bridges, simple bridges, continuous bridges, truss bridges, arch bridges, and ramen bridges, depending on the type of superstructure.
이 중 라멘교는 거더와 교대를 일체로 하여 강결(剛結)한 것으로, 거더의 휨모멘트를 경감시켜 교대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내진 구조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형교(桁橋)에 비하여 형(桁)의 높이를 낮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인하여 입체교차부분(立體交叉部分) 등을 비롯한 다양한 곳에 이용되고 있다. Among these, the ramen bridge is rigidly formed by combining girder and alternator, which can reduce the bending moment of the girder and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shift. It is not only excellent in seismic structure, but also ordinary girder bridge. Due to the advantage that the mold height can be set lower than that of), it is use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three-dimensional cross sections.
종래 합성 라멘교의 거더는 단부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등록특허 제10-0964067호(발명의 명칭: 교량용 강관 합성거더 및 그 제조방법)에서와 같이 거더 단부에 헌치를 위치시키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양단부에 별도의 경사진 거더를 추가하여 거더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단면을 보강하였다.Since the girder of the conven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has a large end moment, as shown in Korean Patent No. 10-0964067 (name of the invention: a steel pipe composite girder for bridg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haunch is placed at the end of the girder, or shown in FIG. 1. As described above, the section was reinforced by adding a separate inclined girder to both ends of the bridge to increase the girder cross-sectional area.
그러나 거더 단부에 헌치를 위치시키는 방법은 헌치에서의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헌치를 경계로 하여 단면 응력이 급변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method of placing the haunch at the end of the girder is not easy to reinforce the reinforcement and formwork in the haun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ross-sectional stress is likely to change rapidly with the haunch boundary.
또한, 교량 양단부에서 별도의 경사진 거더를 추가하는 방법은 교량 양단부에서 교량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에서는 적용하기 곤란하고, 헌치를 위치시키는 방법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사진 거더의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adding a separate inclined girder at both ends of the bridge is difficult to apply in narrow places because the width of the bridge increases at both ends of the bridg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inclined girder is complicated as in the method of placing the haunches.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멘트가 큰 거더 단부에 헌치를 위치시키거나 별도의 보강 거더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 단축을 할 수 있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place a haunch at the end of the girder having a large moment or add a separate reinforcement girder, thereby providing a cross-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that is easy to construct and shortens the air. I would like to.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대한 단면력의 응력 변화가 완만하여 구조적으로 용이한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oss-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structurally easy to change the stress of the cross-sectional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교량의 양단에 위치하는 교대 및 상기 교대 상단과 양단이 강결합되는 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더는 단면 형상이 원형 강관으로 거더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는 변단면이고, 상기 교대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하부 교대, 하부 교대 상부에 결합되어 거더의 단부를 지지하는 거더 거치구,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하부 교대 상부에 상기 거더 거치구 및 거더의 단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교대로 구성되되, 상기 거더 거치구는 하부 교대 상단에 결합되는 철골 부재 및 상기 철골 부재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의 원형 강관 단부 하단에는 상기 철골 부재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결합 볼트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 거치구의 철골 부재 및 결합 볼트가 거더의 단부에 삽입되어 거더가 거더 거치구에 거치되며, 상기 결합 볼트의 상단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를 거더 거치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ramen bridge comprising an alternating posit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and the girder is strongly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the end of the bridge, the girder has a cross-sectional shape The circular steel pipe is a cross section of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from the end of the girder toward the center, and the shift is composed of a lower shift consisting of concrete, a girder mounting hol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hift to support the end of the girder, and concrete The girder holder and the upper end of the girder is formed to be buri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hift, the girder holder is composed of a steel member and a coupling bolt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teel member,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steel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steel pipe end of the girder, A secon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bolt is inserted is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the steel member and the coupling bolt of the girder holder are inserted into an end of the girder, and the girder is mounted on the girder holder, and a nu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oupling bolt. It provides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girder is fixed to the girder holder.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더의 원형 강관 내측에는 거더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폐다이어프램이 구비되고, 거더 단부로부터 상기 폐다이어프램까지 원형 강관 내에 상부 교대와 일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sed diaphragm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girder end inside a circular steel pipe of the girder, and concrete is poured integrally with an upper shift in a circular steel pipe from a girder end to the closed diaphragm. A cross 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is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더의 원형 강관 내측에는 거더 거치구가 삽입되는 위치와 폐다이어프램의 사이에 다이어프램이 구비되되, 상기 다이어프램은 중앙에 콘크리트 유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girder holder is inserted and the closed diaphragm inside the circular steel pipe of the girder, wherein the diaphragm has a concrete inlet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Provide a synthetic ramen bridg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철골 부재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교대 상부에 매립되는 정착철근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하여 거더 거치구를 하부 교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plate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frame member, and a girder holder is coupled to a lower shift by coupling a fixing bar embed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hift to the base plate. Provide cross-sec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철골 부재의 일측에는 원형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용 빔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cross-sec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beam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eel frame memb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더의 원형 강관 단부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리브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ib plates ar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end of the gird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더의 원형 강관 상부 일측에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한 전단 연결재가 복수 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cross-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on material for the integration with the bridge top plate concrete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ircular steel pipe of the gird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더는 거더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되, 거더 중앙부의 일정 길이는 원형 강관의 지름이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girder i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from the end of the girder toward the center, a certain length of the girder center cross section synthetic rame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Provide teaching.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거더는 거더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되, 원형 강관의 상부 레벨은 일정하고, 하부 레벨이 거더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as the girder goes from the end of the girder to the center, the upper level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constant, and the lower level rises toward the center from the girder end. Provide cross-sec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다이어프램의 전면에는 철골 부재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late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teel member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aphrag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모멘트가 큰 거더 단부에 헌치를 위치시키거나 별도의 보강 거더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First, since there is no need to place the haunch at the end of the girders with large moments or add a separate reinforcement girders, construction is easy and air shortening is possible.
둘째, 단면 강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변단면 강관 거더를 합성 라멘교에 적용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단면력의 응력 변화가 완만하여 구조적으로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제성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cond, by applying the cross-sectional steel pipe girders that can effectively use the cross-sectional stiffness to the composite ramen bridge, the stress change of the cross-sectional for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is gentle, not only structurally easy, but also improve the economics and aesthetics.
셋째, 별도의 헌치가 불필요하므로, 형하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Third, it is advantageous to secure the space for the mold, because no additional haunting is necessary.
넷째, 거더 단부에서 변단면 강관 거더의 지름이 확대되므로, 교량 단부에서 교량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Fourth, since the diameter of the cross-section steel pipe girders at the girder end is enlarg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dth of the bridge at the bridge end.
다섯째, 교대의 거더 거치구가 거더 단부에 삽입되고 거더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교대와 일체화되므로, 교량의 모멘트를 교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Fifth, since the alternating girder mount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girder end an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girder to be integrated with the alternating portion, the moment of the bridge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alternating portion.
도 1은 종래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합성 라멘교의 시공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하부 교대에 거더 거치구를 설치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거더 거치구에 거더를 설치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부 교대 및 교량 상판에 콘크리트가 일체로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거더 거치구와 거더의 결합 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거더 거치구와 거더의 결합 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거더 거치구와 거더의 결합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거더 거치구와 거더의 결합 관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이드 플레이트가 부착된 다이어프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거더 사이에 철골부재가 더 구비된 교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oss-sec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of this invention.
3 to 5 are diagrams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installing a girder holder in the lower shif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installing the girder on the girder mounting hole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integrally poured on the upper shift and the bridge deck.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irder holder and the gird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girder holder and a girder.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irder holder and the girder.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girder holder and the girder.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aphragm with a guide plate attached thereto.
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n alternation further provided with a steel frame member between girders.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of this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양단에 위치하는 교대(10) 및 상기 교대(10) 상단과 양단이 강결합되는 거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더(20)는 단면 형상이 원형 강관으로 거더(20)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는 변단면이고, 상기 교대(10)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하부 교대(11), 하부 교대(11) 상부에 결합되어 거더(20)의 단부를 지지하는 거더 거치구(30),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하부 교대(11) 상부에 상기 거더 거치구(30) 및 거더(20)의 단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교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상기 교대(10)는 교량의 하부 구조로서 교량의 양단에 위치되며, 상부 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한다. The
상기 거더(20)는 원형 강관으로 구성하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는 변단면으로 구성한다. The
본 발명에서는 변단면 원형 강관을 거더(20)로 이용하기 때문에, 외력에 대한 단면력의 응력 변화가 완만하여 구조적으로 용이하며, 경제성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oss-sectional circular steel pipe is used as the
또한, 모멘트가 큰 라멘교의 거더(20) 단부에 큰 단면을 위치시킬 수 있어, 헌치 등 별도의 보강 거더가 불필요하며 형하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그리고 거더(20) 형상 자체가 단부에서 지름이 확대되므로 거더(20) 단부에서 교량 폭을 확대하는 등 교량 폭 조절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 large cross section can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아울러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거더(20)는 거더(20)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되, 원형 강관의 상부 레벨은 일정하고, 하부 레벨이 거더(20)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올라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2, the
이와 같이, 원형 강관의 상부 레벨을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는 교량 상판(40)의 상면이 수평면을 유지하기가 용이하다.
In this way, when the upper level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made constant,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에서 상기 교대(10)는 하부 교대(11), 거더 거치구(30) 및 상부 교대(12)로 구성되는데, 이들 구성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변단면 합성 라멘교의 시공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은 하부 교대(11)에 거더 거치구(30)를 설치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거더 거치구(30)에 거더(20)를 설치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상부 교대(12) 및 교량 상판(40)에 콘크리트(C)가 일체로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to 5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equence of the cross-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installing the
본 발명의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교대(11) 상면에 거더 거치구(30)를 시공한다. In order to construct the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상기 하부 교대(11)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거더 거치구(30) 및 상부 교대(12)의 시공 전에 미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교대(10)는 상부에서 누르는 하중 이외에 지진 등에 의한 수평 방향을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The
상기 거더 거치구(30)는 하부 교대(11) 상부에 결합되어 거더(20)의 단부를 지지한다. The
거더 거치구(30)를 설치한 후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더 거치구(30) 상부에 거더(20)를 설치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교대(12) 및 교량 상판(40)에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After the
이때, 교대(10)의 거더 거치구(30)는 거더(20) 단부 내측에 삽입되고, 거더(20) 내부에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교대(10)와 거더(20)가 일체화되므로, 모멘트를 교대(1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 6은 거더 거치구(30)와 거더(20)의 결합 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거더 거치구(30)와 거더(20)의 결합 관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본 발명에서 상기 거더 거치구(30)는 하부 교대(11) 상단에 결합되는 철골 부재(31) 및 상기 철골 부재(31)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 볼트(32)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단부 하단에는 상기 철골 부재(31)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결합 볼트(32)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 거치구(30)의 철골 부재(31) 및 결합 볼트(32)가 거더(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거더(20)가 거더 거치구(30)에 거치되며, 상기 결합 볼트(32)의 상단에는 너트(33)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20)를 거더 거치구(3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철골 부재(31)가 거더(20)의 제1삽입공(21)을 관통하고, 결합 볼트(32)가 거더(20)의 제2삽입공(22)을 관통함으로써, 거더 거치구(30)의 철골 부재(31)가 거더(20)의 단부에 삽입된다. 6 to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거더(20)의 제작시 거더(20) 단부의 하단 및 상단에 미리 제1삽입공(21) 및 제2삽입공(22)을 형성한다. 상기 제1삽입공(21)과 제2삽입공(22)은 설계되는 철골 부재(31) 및 결합 볼트(32)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부 교대(12)와의 일체화를 위하여 철골 부재(31) 외면에는 전단 연결재(27)를 결합하여 둘 수 있다. In order to integrate with the
도 6 내지 도 7에서는 철골 부재(31)로 H 형강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결합 볼트(32)는 철골 부재(31)의 웨브 측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용접 결합되었다.
6 to 7, H-shaped steel was used as the
본 발명은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내측에 거더(20)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폐다이어프램(23)이 구비되고, 거더(20) 단부로부터 상기 폐다이어프램(23)까지 원형 강관 내에 상부 교대(12)와 일체로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이로써, 원형 강관 단부의 소정 길이까지 타설되는 콘크리트(C)가 상부 교대(12) 및 교량 상판(40)과 일체로 타설되므로, 거더(20)의 모멘트를 교대(10)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the concrete C poured to the predetermined length of the round steel pipe end is cast integrally with the
상기 폐다이어프램(23)은 용접을 통하여 원형 강관 내주면에 결합 가능하다.
The
본 발명은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내측에 거더 거치구(30)가 삽입되는 위치와 폐다이어프램(23)의 사이에 다이어프램(24)이 구비되되, 상기 다이어프램(24)은 중앙에 콘크리트 유입공(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다이어프램(24)은 원형 강관 단부에 배치되어 강관의 전단력을 보강한다. 상기 다이어프램(24)에는 콘크리트가 폐다이어프램(23) 부분까지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콘크리트 유입공(241)이 형성된다. The
상기 다이어프램(24)은 용접을 통하여 원형 강관 내주면에 결합 가능하다.
The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철골 부재(31)의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34)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교대(11) 상부에 매립되는 정착철근(35)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에 결합하여 거더 거치구(30)를 하부 교대(11)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to 7, the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는 강판을 이용하며, 철골 부재(31)를 하부 교대(11) 상부에 결합하여 상부 구조로부터의 하중을 균등하게 하부 교대(11)에 전달한다.The
상기 정착철근(35)은 하부 교대(11)의 시공시 정착철근(35)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미리 매립하여 두는 매립형 방식이나, 스트롱 앵커나 케미털 앵커 등과 같이 하부 교대(11)의 시공 완료 후 하부 교대(11)의 상면을 천공하여 고정하는 앵커형 방식을 이용하여 하부 교대(11) 상부에 매립할 수 있다.
The fix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철골 부재(31)의 일측에 원형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용 빔(36)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상기 거치용 빔(36)은 원형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철골 부재(31)의 측면에 결합된다. The mounting
도 6 내지 도 7에서 거치용 빔(36)은 단면이 ㄷ 형상으로, 철골 부재(31)의 양 플랜지 외측에 각각 볼트 결합되었다. 그리고 거치용 빔(36)의 일측 플랜지와 거더(20)의 하부를 결합하여 거더(20)를 거치용 빔(36) 상부에 고정하였다. 6 to 7, the mounting
상기 거치용 빔(36)은 각 철골 부재(31)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거치용 빔(36)이 복수의 철골 부재(31)에 동시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거더(20)의 수평을 맞추기 유리하다.
The mounting
도 8은 거더 거치구(30)와 거더(20)의 결합 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단부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리브 플레이트(2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8,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상기 리브 플레이트(26)는 원형 강관과 상부 교대(12)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확보하고, 교량에 토션 발생시 원형 강관 단부를 교대(10)에 확고하게 지지시킨다. 도 8에서 상기 리브 플레이트(26)는 원형 강관의 외주면을 따라 상호 일정 강격 이격되도록 다수 개 배치되었다.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상부 일측에는 교량 상판(40)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한 전단 연결재(27)가 복수 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lar steel pipe of the
상기 전단 연결재(27)는 교량 상판(40) 콘크리트와 거더(20)를 일체화하기 위하여 거더(20)의 원형 강관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교량 상판(40)과 거더(20) 사이의 수평 전단력에 저항하고 교량 상판(40)의 부상(浮上)을 방지한다. The
전단 연결재(27)로는 스터드, 철근, 형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전단 연결재(27)로 스터드를 거더(20) 상면에 용접 결합하였다. Studs, rebars, section steel, etc. may be used as the
상기 리브 플레이트(26)는 거더(20)의 원형 강관 단부에서 원형 강관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 강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 위치하는 데 비하여, 전단 연결재(27)는 거더(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더(2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원형 강관 상부에 위치한다.
The
도 9는 거더 거치구(30)와 거더(20)의 결합 관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가이드 플레이트(50)가 부착된 다이어프램(24)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4)의 전면에는 철골 부재(3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late of the
즉, 다이어프램(24)의 전면에 복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50)를 미리 결합하여, 제1삽입공(21)을 통하여 거더(20) 내부로 철골 부재(31)를 삽입할 때, 철골 부재(31)가 삽입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결합 볼트(32)를 제2삽입공(22)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다.That is, when the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는 다이어프램(24)의 상하부에 각각 2개소 결합되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50)는 철골 부재(31)의 단면을 고려하여 제작하며, 철골 부재(31)의 최소 2면 이상의 면에 면할 수 있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In FIG. 9 to FIG. 10, the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50)를 구성하는 각 플레이트 중 철골 부재(31)가 삽입되는 부위의 플레이트 하단부 또는 측면에는 모따기를 형성하여 철골 부재(3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chamfe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r side of the plate at which th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단면 합성 라멘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거더(20)는 거더(20)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되, 거더(20) 중앙부의 일정 길이는 원형 강관의 지름이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as the
즉, 거더(20) 중앙부의 단면이 지나치게 작아 처짐 발생이 커질 우려가 있는 경우, 원통 형상의 토막 강관을 변단면 원형 강관 사이에 개재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er part of the
또한 공장 제작된 변단면 원형 강관의 길이보다 긴 스팬에 적용하는 경우, 원통 형상의 토막 강관을 변단면 원형 강관 사이에 개재하여 거더(20)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pplied to a span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actory-produced cross-sectional circular steel pipe, the length of the
마지막으로 도 12는 거더 사이에 철골부재가 더 구비된 교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Lastly,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if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el member between the girders.
철골 부재(31)는 분리 타설되는 하부 교대(11)와 상부 교대(12)의 연결 부위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철골 부재(31)의 강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 사이에 철골 부재(31)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철골 부재(31)의 설치로 별도 이음 철근 없이 하부 교대(11)와 상부 교대(12)를 일체화할 수 있다.
The
10: 교대 11: 하부 교대
12: 상부 교대 20: 거더
21: 제1삽입공 22: 제2삽입공
23: 폐다이어프램 24: 다이어프램
241: 콘크리트 유입공 26: 리브 플레이트
27: 전단 연결재 30: 거더 거치구
31: 철골 부재 32: 결합 볼트
33: 너트 34: 베이스 플레이트
35: 정착철근 36: 거치용 빔
40: 교량 상판 50: 가이드 플레이트
C: 콘크리트10: shift 11: lower shift
12: upper shift 20: girder
21: first insertion hole 22: second insertion hole
23: closed diaphragm 24: diaphragm
241: concrete inlet hole 26: rib plate
27: shear connector 30: girder holder
31: steel member 32: coupling bolt
33: nut 34: base plate
35: anchoring bar 36: mounting beam
40: bridge top 50: guide plate
C: Concrete
Claims (11)
상기 거더(20)는 단면 형상이 원형 강관으로 거더(20)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는 변단면이고,
상기 교대(10)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하부 교대(11), 하부 교대(11) 상부에 결합되어 거더(20)의 단부를 지지하는 거더 거치구(30),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하부 교대(11) 상부에 상기 거더 거치구(30) 및 거더(20)의 단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는 상부 교대(12)로 구성되되,
상기 거더 거치구(30)는 하부 교대(11) 상단에 결합되는 철골 부재(31) 및 상기 철골 부재(31)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 볼트(32)로 구성되고,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단부 하단에는 상기 철골 부재(31)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2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결합 볼트(32)가 삽입되는 제2삽입공(22)이 형성되어,
상기 거더 거치구(30)의 철골 부재(31) 및 결합 볼트(32)가 거더(20)의 단부에 삽입되어 거더(20)가 거더 거치구(30)에 거치되며, 상기 결합 볼트(32)의 상단에는 너트(33)가 결합되어 상기 거더(20)를 거더 거치구(30)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It relates to a ramen bridge including a shift 1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ridge and a girder 20 which is strong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op of the shift 10,
The girder 20 is a cross-sectional shape i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ircular steel pipe,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toward the center from the end of the girder 20,
The shift 10 is a lower shift 11 made of concrete, the girder mounting hole 3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hift 11 to support the end of the girder 20, the lower shift 11 is composed of concrete Consists of the upper girder 12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girder mounting hole 30 and the girder 20 is embedded in the upper,
The girder mounting hole 30 is composed of a steel member 3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hift 11 and the coupling bolt 32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teel member 31,
The first insertion hole 21 into which the steel member 31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steel pipe end of the girder 2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22 into which the coupling bolt 32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Formed,
Steel member 31 and the coupling bolt 32 of the girder mounting hole 30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girder 20 so that the girder 20 is mounted on the girder mounting hole 30, the coupling bolt 32 A cross-sectional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 33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girder 20 to fix the girder mounting holes 30.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내측에는 거더(20)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폐다이어프램(23)이 구비되고, 거더(20) 단부로부터 상기 폐다이어프램(23)까지 원형 강관 내에 상부 교대(12)와 일체로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Inside the circular steel pipe of the girder 20, a closed diaphragm 23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girder 20 by an upper shift 12 in the circular steel pipe from the end of the girder 20 to the closed diaphragm 23.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C) is poured into a unit.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내측에는 거더 거치구(30)가 삽입되는 위치와 폐다이어프램(23)의 사이에 다이어프램(24)이 구비되되, 상기 다이어프램(24)은 중앙에 콘크리트 유입공(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3,
Inside the circular steel pipe of the girder 20, a diaphragm 24 is provided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girder holder 30 is inserted and the closed diaphragm 23, and the diaphragm 24 has a concrete inlet hole 241 at the center thereof. A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상기 철골 부재(31)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4)가 결합되고, 상기 하부 교대(11) 상부에 매립되는 정착철근(35)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에 결합하여 거더 거치구(30)를 하부 교대(11)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A base plate 34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frame member 31, and a girder holder 3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34 by a fixing rebar 35 embed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hift 11. Composite cross-section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lower alternating (11).
상기 철골 부재(31)의 일측에는 원형 강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용 빔(36)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steel member 31 is a cross-sectional composite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beam 36 for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coupled.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단부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리브 플레이트(26)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Composite cross-section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rib plate 26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end of the girder (20).
상기 거더(20)의 원형 강관 상부 일측에는 교량 상판(40) 콘크리트와의 일체화를 위한 전단 연결재(27)가 복수 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ide of the circular steel pipe of the girder 20 bridge cross-section composite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hear connection material 27 is integrated for integration with the concrete.
상기 거더(20)는 거더(20)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되, 거더(20) 중앙부의 일정 길이는 원형 강관의 지름이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The girder 20 i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as the end from the end of the girder 20 toward the center, a certain length of the girder 20, the cross-section synthetic rame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Kyo.
상기 거더(20)는 거더(20)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원형 강관의 지름이 작아지되, 원형 강관의 상부 레벨은 일정하고, 하부 레벨이 거더(20)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
The method of claim 1,
The girder 20 i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teel pipe becomes smaller as it goes from the end of the girder 20 to the center, the upper level of the circular steel pipe is const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level rises toward the center from the end of the girder 20 Cross 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상기 다이어프램(24)의 전면에는 철골 부재(31)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단면 합성 라멘교.5. The method of claim 4,
Cross section synthetic ramen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plate of the diaphragm 24 is coupled to the guide plate 50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teel member (3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7987A KR101314791B1 (en) | 2013-06-13 | 2013-06-13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7987A KR101314791B1 (en) | 2013-06-13 | 2013-06-13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4791B1 true KR101314791B1 (en) | 2013-10-08 |
Family
ID=4963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7987A Active KR101314791B1 (en) | 2013-06-13 | 2013-06-13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479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441B1 (en) * | 2015-12-30 | 2016-10-27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Hinge joint of steel pipe truss structure, steel pipe truss structure therewith and the steel pipe tru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102038311B1 (en) * | 2019-03-26 | 2019-10-30 | 김효진 | Conner parts structure of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bridge |
KR102488318B1 (en) * | 2022-08-27 | 2023-01-12 | 전성호 | Bending member joint portion connection socket implemen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4067B1 (en) * | 2009-11-09 | 2010-06-16 | 한우물중공업(주) | Steel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259138B1 (en) * | 2013-02-07 | 2013-04-30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Rahmen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walls |
-
2013
- 2013-06-13 KR KR1020130067987A patent/KR1013147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4067B1 (en) * | 2009-11-09 | 2010-06-16 | 한우물중공업(주) | Steel girder for brid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259138B1 (en) * | 2013-02-07 | 2013-04-30 |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 Rahmen bridge with structure for joining beams and wall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441B1 (en) * | 2015-12-30 | 2016-10-27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Hinge joint of steel pipe truss structure, steel pipe truss structure therewith and the steel pipe tru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KR102038311B1 (en) * | 2019-03-26 | 2019-10-30 | 김효진 | Conner parts structure of steel composite rahmen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bridge |
KR102488318B1 (en) * | 2022-08-27 | 2023-01-12 | 전성호 | Bending member joint portion connection socket imple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7147B1 (en) | Composite concrete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97194B1 (en) | Concrete composite column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864220B1 (en) | Steel pipe girder for bridge | |
KR101186062B1 (en) | Connection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 and H-shaped steel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 |
JP4680803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viaduct structure | |
KR10119881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 |
JP2008121287A (en) |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 |
KR101663132B1 (en) |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 |
KR101104212B1 (en) | Prestressed liner fixing device | |
KR101228593B1 (en) | Composite girder using inner molding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with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90068536A (en) | 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 |
KR100812132B1 (en) | Concrete slab assembly | |
KR101011252B1 (en) | Frame of Reinforcement Ramen Structure for Parental Section and Ramen Structure Having the Same | |
KR20100066805A (en) | Steel-concrete composite crossbeam hav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638093B1 (en) | Rahmen using hinge type pc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314791B1 (en) | Composite rigid-frame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 |
KR20160097888A (en) | End Continuing Structure for Truss Decks | |
KR101591224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Assembly Plate And Fixing Channel | |
KR101942567B1 (en) | Rigid joint structures using end face of beam as mold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1150369B1 (en) | Complex girder for building | |
KR20180026286A (en) | Gri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20100042448A (en) |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2433621B1 (en) | Unidirectional structure of wide double composite girder in which steel members is placed in the lower section thereof | |
KR101704291B1 (en) | Aassembled precast girder for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