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550B1 - Air cleane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4550B1 KR101314550B1 KR1020110124823A KR20110124823A KR101314550B1 KR 101314550 B1 KR101314550 B1 KR 101314550B1 KR 1020110124823 A KR1020110124823 A KR 1020110124823A KR 20110124823 A KR20110124823 A KR 20110124823A KR 101314550 B1 KR101314550 B1 KR 101314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cleaner
- opening
- fixing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F02M35/0202—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terials for air cleaner 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기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 개방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개방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에 상기 바디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개방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먼트를 고정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제공된다.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air cleaner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he air cleaner is such that the air inlet and the inlet air can be discharged to let the air in the interior An air outlet is formed and the bod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ed; An element installed to partitio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cover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is formed such that an opening is penetrated therethrough; A second cover part which is formed to seal the opening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with a faste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is provided a vehicle air clean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holding the element fix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리너의 내부에 설치되는 엘리먼트를 쉽고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in which an element installed inside the air cleaner can be easily and easily replaced.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하여 연소하면서 동력을 발생하게된다. 즉,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 행정을 반복하면서 작동하게 되면서 자동차가 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In general, a car generates power while mixing and burning fuel and air. That is,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of the vehicle passes through various fuel supply devices, is mixed with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jected into the cylinder of the engine, and the engine operates while repeating the intake, compression, explosion, and exhaust strokes. The car is powered up.
상기와 같이, 엔진을 운전하는 데는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공기의 공급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다. 즉, 차량 외부의 공기가 에어클리너 하우징으로 유입되며 상기 에어클리너 하우징에 연결된 에어 인테이크 호스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하여 엔진으로 공급된다.
As described above, a certain amount of air is required to operate the engine, and this supply of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of the vehicle. That is, air outside the vehicle flows into the air cleaner housing and moves to the intake manifold through the air intake hose connected to the air cleaner housing, and is supplied to the engine.
즉, 상기 흡기 매니폴드는 에어클리너의 필터를 사이에 두고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필터를 지나 반대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필터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불순물을 여과한 후 정화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여 연소 작동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That is, the intake manifold is formed so that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lter of the air cleaner between the filter and the other side passing through the filter to filter the dust and impurities contained in the air through the filter to clean the air To supply the air necessary for the combustion operation.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에어클리너(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클리너(1)는 일측에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되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된 커버(20)와, 상기 바디부(10)와 커버부(20) 사이에 개재되는 엘리먼트(30)로 이루어진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such a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에어클리너(1)는 바디부(10)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에어클리너(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엘리먼트(30)를 거쳐 불순물이 정화된 후 커버(20)에 형성된 배출구(22)를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In the
이러한, 에어클리너(1)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엘리먼트(30)에 다량의 불순물이 흡착됨으로, 여과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와 커버부(20)의 네 모서리를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를 제거한 후 상기 바디부(10) 내에 설치된 엘리먼트(30)를 제거한 후 새로운 엘리먼트(30)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여과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Such, the
즉, 일정시간 경과 후 엘리먼트(30)를 교체함으로써, 공기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에어클리너(1)는 엘리먼트(30)의 교체에 있어, 상기 바디부(10)와 커버부(20)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를 일일이 제거한 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교체 작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강구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e up with a vehicle air cleaner that can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상기 에어클리너 내에 설치되는 엘리먼트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체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을 간소화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and simply replace the elements installed in the air cleaner, to provide an air cleaner to simplify the work process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work and to reduce the work time do.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기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 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 개방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개방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에 상기 바디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개방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먼트를 고정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air cleaner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he air cleaner is such that the air inlet and the inlet air can be discharged to let the air in the interior An air outlet is formed and the bod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is opened; An element installed to partitio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cover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is formed such that an opening is penetrated therethrough; A second cover part which is formed to seal the opening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with a faste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is provided a vehicle air clean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for holding the element fixed.
또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측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ment i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the hand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에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와 결합되는 고정부의 일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ment is formed to protrude a fixing projection on one side to be fix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개방구의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to allow the fixing portion to be fitted.
또한, 상기 고정부는 일측면에 상기 끼움부와 결합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돌출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otrusion so a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n combined with the fitting portion on one side.
또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제2커버부 사이에는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씰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cov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to prevent air from flowing o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는 커버부에 제2커버부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클리너 내에 설치되는 엘리먼트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교체작업이 용이하고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econd cover portion in the cover portion to enable easy and simple replacement of the elements installed in the air cleaner, it is easy to replace work and save time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work Can b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체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고정부가 끼움부에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leaner.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schematically illustrate fasteners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xing part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part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itting par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분해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112) 및 흡입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한 공기배출구(114)가 형성되는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120)와, 상기 바디부(110) 및 커버부(120) 내에 설치되는 엘리먼트(130)를 포함하되, 특히, 상기 커버부(120)에 형성되며 상기 엘리먼트(130)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제2커버부(140) 및 상기 엘리먼트(130)를 상기 바디부(110) 및 커버부(120) 내에서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this,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의 바디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1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112)와 대향되는 부분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공기배출구(114)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부(110)와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엘리먼트(130)는 상기 바디부(110) 및 커버부(120) 내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공기흡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4)가 구획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여과지나 합성 섬유를 사용하는 건식, 엔진이나 물 등을 사용하는 습식 및 습식과 건식을 통합한 복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식을 사용하여 에어클리너(10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엔진의 부압에 의해 에어필터(120)를 거치면서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바디부(110), 커버부(120) 및 엘리먼트(130)의 구성은 이미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라 할 수 있는 상기 커버부(120)에 형성되는 제2커버부(140) 및 고정부(150)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커버부(120)는 상측에 상기 바디부(110)와 커버부(120)의 내측과 연통되게 상측에 개방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구(122)는 상기 바디부(110)와 커버부(120)의 내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하도록 한 엘리먼트(130)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부(110)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12)와 공기배출구(114)를 구획하도록 설치된 엘리먼트(130)를 상기 바디부(110)와 커버부(1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구(122)의 상측에는 개방구(122)를 택일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한 제2커버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커버부(140)는 상기 개방구(12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 끝단에는 체결부재(142)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상기 체결부재(142)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제2커버부(140)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힌지(1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바디부(110)에 형성되는 걸림구(116)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커버부(120)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한 걸림턱(142b)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astening
또한, 상기 개방구(122)의 내측에는 고정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10) 및 커버부(120) 내측에 설치되는 엘리먼트(130)를 고정지지하여 공기의 유동시 유동압력에 의해 상기 엘리먼트(1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바디부(110) 및 커버부(120) 내에서 공기가 유동되면 유동압력에 의해 상기 엘리먼트(130)가 흔들려 진동음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엘리먼트(130)를 고정지지하여 엘리먼트(1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상기 엘리먼트(1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편(152)이 형성되고, 타측면 상측에는 상기 개방구(122)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부(12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편(154)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및 도 6참조)
Therefore, the
이때, 상기 고정부(150)의 결합편(152)에는 상기 엘리먼트(1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관통공(152a)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먼트(130)에는 상기 관통공(152a)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5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고정돌기(15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엘리먼트(130)는 기존 엘리먼트와 달리 일측면에 한 쌍의 고정돌기(132)가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150)의 결합편(152)에 형성되는 관통공(152a)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개방구(122)에서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134)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rough
한편, 상기 안착편(154)이 형성되는 고정부(150)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부(124)와 결합시 상기 고정부(150)와 끼움부(124)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으로 인해 진동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력을 갖는 돌출돌기(156)가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제2커버부(140)와 커버부(120) 사이에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커버부(14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씰링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씰링부재(160)는 상기 개방구(122)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40)에 발생되는 간극을 통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개방구(122)로 유출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공명음을 미연에 방지할 있도록 설치된다.
In addition, a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는 상기 커버부(120)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140)를 통해 상기 바디부(110) 및 커버부(120) 내에 설치되는 엘리먼트(130)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버부(140)를 통해 엘리먼트(130)를 교체함으로써, 교체작업이 간단한 동시에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replacing the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included to substantially equivalent scope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설명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100)의 기술은 매우 단순하나, 그 기술적 효과는 매우 크다는 점에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은 매우 명확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ology of the
100 : 에어클리너 110 : 바디부
112 : 공기흡입구 114 : 공기배출구
116 : 걸림구 120 : 커버부
122 : 개방구 124 : 끼움부
124a : 힌지 124b : 걸림턱
130 : 엘리먼트 132 : 고정돌기
134 : 손잡이부 140 : 제2커버부
142 : 체결부재 150 : 고정부
152 : 결합편 154 : 안착편
156 : 돌출돌기100: air cleaner 110:
112: air inlet 114: air outlet
116: latch 120: cover
122: opening 124: fitting
124a: Hinge 124b: Hanging Jaw
130: element 132: fixing protrusion
134: handle portion 140: second cover portion
142: fastening member 150: fixed part
152: coupling piece 154: seating piece
156: protrusion protrusion
Claims (6)
상기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것으로,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엘리먼트와;
상기 바디부의 개방된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 개방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개방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양 끝단에 상기 바디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체결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개방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먼트를 고정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는 상기 엘리먼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편이 형성되고, 타측면 상측에는 상기 개방구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안착편이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In the vehicle air cleaner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he air cleaner
An air inlet for allowing air to be introduced therein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air, the body part having an upper side open;
An element installed to partition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A cover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is formed such that an opening is penetrated therethrough;
A second cover part which is formed to seal the opening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with a faste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includes a fixing part for holding the element fixed,
The fixed portion
The vehicle air cleaner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the coupling piec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lement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The vehicle air cleaner of claim 1, wherein the element is inserted or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and a handle is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The vehicle air cleaner of claim 1, wherein the element is formed to protrude a fixing protrusion at one side thereof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coupled thereto.
The vehicle air cleaner of claim 1, wherein a fitt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to allow the fixing portion to be fitted.
The vehicle air cleaner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part protrudes from one side to protrude an protrus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en combined with the fitt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823A KR101314550B1 (en) | 2011-11-28 | 2011-11-28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4823A KR101314550B1 (en) | 2011-11-28 | 2011-11-28 | Air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848A KR20130058848A (en) | 2013-06-05 |
KR101314550B1 true KR101314550B1 (en) | 2013-10-07 |
Family
ID=488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4823A KR101314550B1 (en) | 2011-11-28 | 2011-11-28 |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45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6915B1 (en) * | 2018-06-08 | 2023-10-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ilter cover structure of drawer type air cleaner for automobiles, air cleaner, intake system and vehicle thereb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4547Y1 (en) * | 1995-11-28 | 1999-08-16 | 정몽규 | Air cleaner |
JP2008223485A (en) * | 2007-03-08 | 2008-09-25 | Toyota Boshoku Corp | Air cleaner |
KR20090047750A (en) * | 2007-11-08 | 2009-05-13 |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 Air cleaner box of car intake device |
-
2011
- 2011-11-28 KR KR1020110124823A patent/KR1013145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4547Y1 (en) * | 1995-11-28 | 1999-08-16 | 정몽규 | Air cleaner |
JP2008223485A (en) * | 2007-03-08 | 2008-09-25 | Toyota Boshoku Corp | Air cleaner |
KR20090047750A (en) * | 2007-11-08 | 2009-05-13 |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 Air cleaner box of car intak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8848A (en) | 2013-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6500B1 (en) | Air cleaner | |
US9255555B2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JP6382627B2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KR101400841B1 (en) | Automotive air cleaner | |
JP2017120076A (en) | Drawing type air cleaner with improved maintenance convenience and intake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intake system | |
KR101314550B1 (en) | Air cleaner | |
JP5897555B2 (en) | Intake device | |
KR101619900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KR200471422Y1 (en) | The air cleaner resonator detachable | |
KR101448484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s | |
JP2008150954A (en) | Air cleaner | |
KR101551663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s | |
KR101461600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s | |
KR101552576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s | |
KR200468893Y1 (en) | Aircleaner structure of a car | |
KR200460794Y1 (en) | Air cleaner | |
KR101624202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JP2013124658A (en) | Air intake device | |
KR20160115116A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KR101865080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KR20190005301A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KR101649150B1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
KR101611359B1 (en) | Air cleaner having resonator | |
KR20190128308A (en) | Element and air cleaner for vehicle using thereof | |
KR20190128774A (en) | Air clean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