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178B1 - Camera lens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lens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4178B1 KR101314178B1 KR1020120085890A KR20120085890A KR101314178B1 KR 101314178 B1 KR101314178 B1 KR 101314178B1 KR 1020120085890 A KR1020120085890 A KR 1020120085890A KR 20120085890 A KR20120085890 A KR 20120085890A KR 101314178 B1 KR101314178 B1 KR 101314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lens housing
- lens
- module
- assemb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72 electroless pl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코일이 탑재되는 측면기판을 타부재에 일체화하여 구성부품수를 줄이고 모듈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lens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lens module that integrates a side board on which a coil is mounted to another membe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easily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dule board. .
최근의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단말기' 이라 함)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젼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멀티 컨버젼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요소 중의 하나가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MODULE)이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s') are being used not only for simple phone functions but also for multi-convergence with music, movies, TV, and games. One of the driving factors for the development is the camera lens module (CAMERA MODULE).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은 최근, 사용자 요구에 의한 고화소 및 고기능 중심으로의 변화에 부합하기 위해 자동 초점 기능(AUTO FOCUS : 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춘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The camera lens module mounted in the terminal has recently been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n auto focus function (AUTO FOCUS: AF), an optical zoom, etc. in order to meet the change of the high pixel and the high function centered on user's request. It is changing.
자동 초점 기술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광학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촬상 이미지의 해상도를 최적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자동 초점 기술의 구현을 위해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초점 조절을 위한 자동 초점 조절 엑츄에이터(Auto Fous Actuator, AFA)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Autofocus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maintains the optimal resolution of the captured image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ocus of the optical lens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mera lens module. In order to implement such an auto focusing technology, a camera module mounted in a terminal generally adopts an auto focusing actuator (AFA) for focusing.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동 초점 조절 엑츄에이터(AFA)는,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 작용 원리를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타입과 센서에 의해 자동 위치 조절 기능을 가진 엔코딩 타입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Generally known auto focusing actuators (AFA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 voice coil motor (VCM) type using a principle of interaction between a magnetic field and an electric field, and an encoding type having an automatic positioning function by a sensor.
이와 같은 VCM과 엔코딩 타입은 구조, 제어의 관점에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Such VCM and encoding type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e and control.
즉, 엔코딩 타입은 자체에 일체로 장착된 센서와 제어부에 의해 확인된 위치 값을 기반으로 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가짐에 따라 구동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센서 및 제어부와 같은 고가의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제작단가가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합리적인 가격을 추구하는 시장 상황을 감안했을 때 원가성 측면에서 VCM 타입에 비해 불리하다.In other words, the encoding type has the advantage of high driving accuracy as it has an operating mechanism based on th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integrally mounted on its own, and requires expensive components such as the sensor and the controller.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Therefore, in view of the market situation that seeks a reasonable price, it is disadvantageous compared to the VCM type in terms of cost.
VCM 타입은 비교적 우수한 구동 정밀도를 가지면서도 상기 엔코딩 타입에 비하여 제작단가가 낮은 관계로 보다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지만 최근 스마트폰이 800만화소 이상의 고화소로 기술이 발전되면서 위치제어 정밀도, 포커싱 조정 수율, 단품의 고 정밀도 취약 등으로 점점 채택율이 저하되고 있다.The VCM type has been widely adopted due to the low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encoding type while having a relatively good driving accuracy. However, as the smart phone is developed to a high pixel of 8 million pixels or more recently, the position control precision, the focusing adjustment yield, and the unit separately The adoption rate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high precision and weakness.
이러한 VCM 타입 엑츄에이터에는 다양한 유형의 제품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성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과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자동 초점 기능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그 원리는 대동소이하다. These VCM type actuators have various types of products, but basically, the principle is that the auto focus function is realized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interaction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y the coil. Soy.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026023호(2009.03.11)에는 렌즈 하우징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고, 조립시 이물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26023 (2009.03.11) discloses a camera lens module that can easily move a lens housing and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being mixed during assembly.
이러한 카메라 렌즈모듈(1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01)을 광축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102)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하면서 렌즈 하우징과 결합하는 지지부(103)와, 상기 메인 프레임(102)과 결합하여 렌즈 하우징(101)을 메인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부(104) 및 상기 커버부(104)와 결합하여 지지부(103)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조절 부재(105)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부재(105)는 지지부(103)와 함께 상기 렌즈 하우징(101)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8, the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일측면에는 영구자석인 자성체(107)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103)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성체(107)와 대응하는 코일(106)을 갖는 내부기판(109)을 구비함으로써 자성체(107)의 자기장과 코일(106)의 전기장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 하우징(101)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an
상기 지지부(103)는 상기 렌즈 하우징(101)에 형성된 안내홈(113)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133)를 상단 좌우양측에 돌출형성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2)에 돌출형성된 조립돌기(122)와 대응결합되는 조립홈(132)을 좌우양측면에 형성하여 이에 대응조립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2)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함과 동시에 렌즈 하우징(101)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The
상기 메인 프레임(102)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121)를 탑재한 모듈기판(123)을 배치하고, 상기 모듈기판(123)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123a)는 상기 내부기판(109)의 하부단에 형성된 접속단자(109a)와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측면기판(135)의 하부단에 형성된 접속단자(135)와 상기 모듈기판(123)의 접속단자(12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100)에서 상기 지지부(103)에 측면기판(135)을 위치고정하도록 조립하는 작업이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103)의 하부단으로 노출된 측면기판(135)의 접속단자(135)를 모듈기판(123)의 접속단자(123a)에 대응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ssembly of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코일이 탑재되는 측면기판을 타부재에 일체화하여 구성부품수를 줄이고 모듈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integrate the side board on which the coil is mounted to the other member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camera lens that can easily perform the electrical connection work with the module board We want to provide a modu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는 안내지지부 ;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의 일측 외벽 내부면에 노출되는 패턴회로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housing having at least one lens; A main frame accommodating the lens housing in an inner space; A cover part having an exposure hole for exposing the lens housing and assembled at an open side of the main frame; A module substrate mounted on the other open side of the main frame by mounting an imag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lens housing; A guide support unit assembled to the main frame to guide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by an interaction between a magnetic force of a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and an electric field of a co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It includes, wherein the coil provides a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pattern circuit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main fram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양측 수직안내홈과 대응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외벽상단에 절개형성된 절개부에 배치되면서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guide support is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jaw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pair of left and right pairs are disposed on the cutout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It includes a connecting rod connecting between the vertical guide jaw.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회로는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의 외벽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내부면에 외부노출되는 전도성 도체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pattern circuit is made of a conductive conductor that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to be injection molded and exposed to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회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벽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듈기판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된다. Preferably, the pattern circu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exposed to a lower end of an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a module substrate assembled to the main frame. Correspondence is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개구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안내지지부 ;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ens housing comprising at least one lens; A main frame accommodating the lens housing in an inner space; A cover part having an exposure hole for exposing the lens housing and assembled at an open side of the main frame; A module substrate mounted on the other open side of the main frame by mounting an imag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lens housing; A guide support unit assembled to cover the open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while guiding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by an interaction between a magnetic force of a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and an electric field of a co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Including,
상기 코일은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안내지지부의 내부면에 노출되는 패턴회로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The coil provides a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pattern circuit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양측 수직안내홈과 대응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과, 상기 수직안내턱을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내부면 좌우양측에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개구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형성된 조립턱에 좌우양단이 조립되는 수직벽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guide support part is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jaw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the vertical guide jaw integr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ens housing And vertical walls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assembly jaw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to cover and seal the one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회로는 사출성형되는 안내지지부의 수직벽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1차로 형성한 다음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2차로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pattern circuit is formed of a conductive pattern which is first formed by using a laser on the vertical wall of the guide support to be injection-molded selectively, and then secondarily by electroless plating.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회로는 상기 안내지지부의 수직벽의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듈기판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된다.
Preferably, the pattern circu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of the guide suppor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the module substrate assembled to the main frame.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is made to be 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렌즈 하우징이 수용되는 메인프레임의 일측 외벽에 코일이 탑재되고 모듈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코일이 탑재되는 기판을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의 전체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모듈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1) Since the coil is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main frame in which the lens housing is accommodated and the pattern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board is integrated, the board on which the coil is mounted can be integrally provided in the main fram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productivity of work can be improved by easily performing electrical connection work with the module board.
(2) 렌즈 하우징이 수용되는 메인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안내지지부의 수직벽에 코일이 탑재되고 모듈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코일이 탑재되는 기판을 안내지지부에 일체로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의 전체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모듈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2) The board on which the coil is mounted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attern circuit which is mounted on the vertical wall of the guide support part assembled on the open side of the main frame in which the lens housing is accommoda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substrate. Since it can be provided integrally, the total number of components of the module can be reduc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dule substrate can be easily performed to increase work productivity.
도 1a 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도시한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에 채용되는 메인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에 채용되는 메인 프레임의 패턴회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a 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도시한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에 채용되는 안내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에 채용되는 안내지지부의 패턴회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A and 1B are overal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ain frame employed in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etailed views illustrating the pattern circuit of the main frame employed in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guide support unit employed in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detailed views illustrating the pattern circuit of the guide support unit employed in the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1)은 도 1(a)(b) 내지 도 4(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0),메인 프레임(20), 커버부(30), 모듈기판(40), 안내지지부(50) 및 구동부(6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렌즈 하우징(10)은 내부공간에 광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대략 원통형의 경통 구조물이며, The
이러한 렌즈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렌즈를 노출시키는 렌즈공(12)을 관통형성하고, 일측면에는 일정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62)를 고정설치하도록 평면부(14)를 구비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안내지지부(50)와 대응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출턱(16,16)를 구비한다. Right and left sides of the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내부수용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의 상,하부는 각각 개방되고, 상기 안내지지부(50)와 대응하는 일측 외벽(22)은 부분적으로 개방되거나 완전개방될 수 있으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지지부(50)와 대응하는 외벽의 일부영역을 부분적으로 개방한 형태로 구비된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배치된 렌즈 하우징(10)의 렌즈공(1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공(32)을 대략 중앙영역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개방된 일측인 도명상 상부를 밀폐하도록 메인 프레임과 조립되는 덮개부재이다. The
이러한 커버부(30)와 렌즈 하우징(10)사이 그리고 상기 렌즈 하우징의 하부에는 광축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렌즈 하우징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배치할 수 있다. An elastic body such as a coil spr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상기 모듈기판(40)은 상기 렌즈 하우징(10)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42)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개방된 타측인 하부를 밀폐하도록 메인 프레임과 조립되는 기판부재이다. The
상기 안내지지부(50)는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조립되는 안내지지부재이다. The
이러한 안내지지부(50)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양측 수직안내홈(24)과 대응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54,54)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외벽(22)상단에 절개형성된 절개부(22a)에 배치되면서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54)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55)를 포함한다. The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외벽(22)상단에 절개형성된 절개부(22a)에 배치되는 연결대(55)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30)와 메인 프레임(20)간의 결합시 이들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폐하게 된다. It is formed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안내지지부(50)는 상기 렌즈 하우징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안내돌출턱(16,16)과 대응하는 수직안내턱(54,54)에 안내홈(54a,54a)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돌출턱(16,16)과 안내홈(54a,54a)사이에 강구와 같은 마찰저감부재(56)를 적어도 하나 배치함으로써 메인 프레임(2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인 안내지지부(50)에 대하여 이동부재인 렌즈 하우징(10)의 광축방향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저항 및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e
이때, 상기 안내지지부(50)는 마찰저감부재를 구비하여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하우징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안내턱으로 구비되거나 안내수직축에 조립되는 안내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자성체(62)의 자기력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외벽(22) 내부면에 구비된 코일(64)의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The driving
한편 상기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코일(64)은 상기 자성체(62)와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외벽(22)의 내부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패턴회로(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외벽(22)의 내부면 임의위치에 탑재되는 것이다. Meanwhile, the
상기 패턴회로(6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64)의 내측에는 렌즈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홀센서(68)와 구동드라이버(69)를 각각 상기 패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64)과 마찬가지로 상기 외벽(22)의 내부면 임의위치에 탑재되는 것이다. Inside the
여기서 상기 패턴회로(66)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20)의 외벽(22)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캐비티내에 배치되는 전도성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외벽의 외부면에는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65)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65)는 상기 메인 프레임(20)과 모듈기판(40)의 상호결합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조립되는 모듈기판(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외벽(22)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65)는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외벽에 관통형성되는 비아홀(66)을 매개로 상기 패턴회로(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외벽(22)에 형성되는 패턴회로(66)에 구동부(60)의 코일(64)과 더불어 홀센서(68) 및 구동드라이버(69)가 탑재되고, 상기 외벽(22)의 하부단에 형성되는 제1접속단자(65)와 모듈기판(40)의 제2접속단자(44)를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메인 프레임의 개구된 일측에 조립되는 지지부의 내측면에 별도의 측면기판을 조립하는 작업의 필요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조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1a)은 도 5(a)(b) 와 도 6(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렌즈 하우징(10), 메인 프레임(20), 커버부(30), 모듈기판(40), 안내지지부(50a) 및 구동부(60)를 포함한다.The camera lens module 1a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 (b) and 6 (a) (b) (c). The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제1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Here,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or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may also be omitted.
상기 안내지지부(50a)는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면서 상기 렌즈 하우징(10)과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20)의 개방된 일측 개구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조립되는 안내지지부재이다.The
이러한 안내지지부(50a)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양측 수직안내홈(24)과 대응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54,54)과, 상기 수직안내턱(54,54)을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내부면 좌우양측에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개구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형성된 조립턱(24a)에 좌우양단이 조립되는 수직벽(51)을 포함한다. The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개구부에 조립되는 수직벽(51)에 의해서 상기 메인 프레임(20)는 수직한 외부벽체는 모두 밀폐되는 것이다. By the
여기서, 상기 안내지지부(50a)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렌즈 하우징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안내돌출턱(16,16)과 대응하는 수직안내턱(54,54)에 안내홈(54a,54a)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안내돌출턱(16,16)과 안내홈(54a,54a)사이에 강구와 같은 마찰저감부재(56)를 적어도 하나 배치함으로써 메인 프레임(2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인 안내지지부(50a)에 대하여 이동부재인 렌즈 하우징(10)의 광축방향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저항 및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e
이때, 상기 안내지지부(50a)는 마찰저감부재를 구비하여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렌즈 하우징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이동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안내턱으로 구비되거나 안내수직축에 조립되는 안내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구동부(6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된 자성체(62)의 자기력과 상기 안내지지부(50a)의 수직벽(51) 내부면에 구비된 코일(64)의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한편 상기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코일(64)은 상기 자성체(62)와 대응하는 안내지지부(50a)의 수직벽(51)의 내부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패턴회로(6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벽(51)의 내부면 임의위치에 탑재되는 것이다. Meanwhile, the
상기 패턴회로(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64)의 내측에는 렌즈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홀센서(68)와 구동드라이버(69)를 각각 상기 패턴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코일(64)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벽(51))의 내부면 임의위치에 탑재되는 것이다. Inside the
여기서 상기 패턴회로(63)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안내지지부의 수직벽(51)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1차로 형성한 다음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2차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공법으로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수직벽(51)의 외부면에는 상기 패턴회로(6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벽(51)의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67)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67)는 상기 메인 프레임(20)과 모듈기판(40)의 상호결합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조립되는 모듈기판(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된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수직벽(51)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패턴회로(63)와 상기 수직벽(51)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67)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64)과 모듈기판(4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일련의 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개방된 개구부에 조립되는 안내지지부(50a)의 수직벽(51)에 형성되는 패턴회로(63)에 구동부(60)의 코일(64)과 더불어 홀센서(68) 및 구동드라이버(69)가 탑재되고, 상기 수직벽(51)의 하부단에 형성되는 제1접속단자(67)와 모듈기판(40)의 제2접속단자(44)를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메인 프레임의 개구된 일측에 조립되는 지지부의 내측면에 별도의 측면기판을 조립하는 작업의 필요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조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hall sensor together wit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렌즈 하우징 20 : 메인 프레임
22 : 외벽 24 : 수직안내홈
24a : 조립턱 30 : 커버부
40 : 모듈기판 42 : 이미지센서
44 : 제2접속단자 50,50a : 안내지지부
51 : 수직벽 54 : 수직안내턱
55 : 연결대 60 : 구동부
63,66 : 패턴회로 65 : 제1접속단자
68 : 홀센서 69 : 구동드라이버10
22: outer wall 24: vertical guide groove
24a: Assembly jaw 30: Cover part
40: module substrate 42: image sensor
44:
51: vertical wall 54: vertical guide jaw
55: connecting rod 60: drive unit
63, 66: pattern circuit 65: first connection terminal
68: Hall sensor 69: drive driver
Claims (8)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는 안내지지부 ;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의 일측 외벽 내부면에 노출되는 패턴회로에 탑재되고,
상기 패턴회로는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의 외벽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내부면에 외부노출되는 전도성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A lens housing having at least one lens;
A main frame accommodating the lens housing in an inner space;
A cover part having an exposure hole for exposing the lens housing and assembled at an open side of the main frame;
A module substrate mounted on the other open side of the main frame by mounting an imag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lens housing;
A guide support unit assembled to the main frame to guide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by an interaction between a magnetic force of a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and an electric field of a co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Lt; / RTI >
The coil is mounted in a pattern circuit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The pattern circuit is a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ductive conductor that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to be injection-molded and externally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양측 수직안내홈과 대응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외벽상단에 절개형성된 절개부에 배치되면서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support part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vertical guide jaws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the left and right pair of vertical guide jaws are disposed on the cutout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Camera lens module comprising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between.
상기 패턴회로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벽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듈기판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method of claim 1,
The pattern circu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exposed to a lower end of an outer wall of the main frame,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a module substrate assembled to the main frame.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 개구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안내지지부 ;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면에 구비된 코일의 전기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안내지지부의 내부면에 노출되는 패턴회로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A lens housing having at least one lens;
A main frame accommodating the lens housing in an inner space;
A cover part having an exposure hole for exposing the lens housing and assembled at an open side of the main frame;
A module substrate mounted on the other open side of the main frame by mounting an image sensor corresponding to the lens housing;
A guide support unit assembled to cover the open side opening of the main frame while guiding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ns housing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by an interaction between a magnetic force of a magnetic body provided in the lens housing and an electric field of a co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Lt; / RTI >
And the coil is mounted on a pattern circuit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양측 수직안내홈과 대응결합되는 좌우한쌍의 수직안내턱과, 상기 수직안내턱을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내부면 좌우양측에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개구부를 덮어 밀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형성된 조립턱에 좌우양단이 조립되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jaw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vertical guid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frame, the vertical guide jaw integr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ens housing, And a vertical wall on which left and right ends are assembled to assembly jaw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to cover and seal the opening of one side of the main frame.
상기 패턴회로는 사출성형되는 안내지지부의 수직벽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1차로 형성한 다음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2차로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method of claim 5,
The pattern circuit is a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vertical wall of the guide support to be injection-molded by using a laser to selectively form a predetermined pattern first, and then a conductive pattern formed by secondary using electroless plating .
상기 패턴회로는 상기 안내지지부의 수직벽의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듈기판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The method of claim 5,
The pattern circu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exposed to a lower end of a vertical wall of the guide support,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formed on a module substrate assembled to the main frame. Camera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890A KR101314178B1 (en) | 2012-08-06 | 2012-08-06 | Camera lens module |
PCT/KR2013/007004 WO2014025167A1 (en) | 2012-08-06 | 2013-08-02 | Camera lens module |
CN201380042084.9A CN104541199A (en) | 2012-08-06 | 2013-08-02 | Camera lens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5890A KR101314178B1 (en) | 2012-08-06 | 2012-08-06 | Camera lens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4178B1 true KR101314178B1 (en) | 2013-10-02 |
Family
ID=4963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589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4178B1 (en) | 2012-08-06 | 2012-08-06 | Camera lens modul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4178B1 (en) |
CN (1) | CN104541199A (en) |
WO (1) | WO2014025167A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4009A (en) * | 2014-03-04 | 2015-09-14 | (주)옵토라인 | Camera Module Lens Assembly |
KR20160138274A (en) * | 2014-04-15 | 2016-12-02 |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 Voice coil motor and focusing lens |
WO2016199965A1 (en) * | 2015-06-12 | 2016-12-15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Optical system comprising aperture board having non-circle shape and multi-aperture camera comprising same |
KR20180033811A (en) * | 2016-09-26 | 2018-04-04 | 주식회사 옵티맥 | Actuator for autofocus |
US10437006B2 (en) | 2015-05-21 | 2019-10-08 | Jahwa Electronics Co., Ltd. | Camera filter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68578B (en) * | 2014-03-05 | 2022-09-13 | Lg伊诺特有限公司 | Lens moving unit,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smart phone |
JP6297432B2 (en) * | 2014-06-30 | 2018-03-20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Lens drive device |
WO2017029608A1 (en) * | 2015-08-19 | 2017-02-23 |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 Camera module having traces formed by laser direct structuring |
KR102356805B1 (en) * | 2015-09-18 | 2022-01-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
CN109870783A (en) * | 2017-12-01 | 2019-06-11 |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 Lens module |
US10809484B2 (en) | 2017-10-16 | 2020-10-20 |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 Lens module |
CN110058377B (en) * | 2018-01-19 | 2024-04-09 | 新思考电机有限公司 | Lens driv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CN108234850B (en) * | 2018-01-31 | 2024-04-0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camera fixing assembly and mounting method of camera fixing assembl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4961A (en) * | 2006-02-22 | 2007-08-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Package and VCM Actuators Used in the Package |
JP2008052281A (en) * | 2006-08-25 | 2008-03-06 | Fuzhu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 Camera moto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3403B1 (en) * | 2006-12-19 | 2008-07-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feeder |
KR101504350B1 (en) * | 2007-09-07 | 2015-03-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camera lens module |
KR100980407B1 (en) * | 2008-05-21 | 2010-09-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transfer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101860165B (en) * | 2009-04-07 | 2012-11-21 | 吉佳科技股份有限公司 | Voice coil motor with planar coil |
JP5594456B2 (en) * | 2009-09-16 | 2014-09-24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Lens driving device, camera unit, and camera |
KR101089926B1 (en) * | 2009-11-04 | 2011-1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Lens feeder |
-
2012
- 2012-08-06 KR KR1020120085890A patent/KR1013141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8-02 CN CN201380042084.9A patent/CN104541199A/en active Pending
- 2013-08-02 WO PCT/KR2013/007004 patent/WO201402516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84961A (en) * | 2006-02-22 | 2007-08-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Module Package and VCM Actuators Used in the Package |
JP2008052281A (en) * | 2006-08-25 | 2008-03-06 | Fuzhu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 Camera moto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4009A (en) * | 2014-03-04 | 2015-09-14 | (주)옵토라인 | Camera Module Lens Assembly |
KR101620566B1 (en) | 2014-03-04 | 2016-06-07 | (주)옵토라인 | Camera Module Lens Assembly |
KR20160138274A (en) * | 2014-04-15 | 2016-12-02 |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 Voice coil motor and focusing lens |
KR101981163B1 (en) * | 2014-04-15 | 2019-05-22 | 볼리미디어 홀딩즈 컴퍼니 리미티드 | Voice coil motor and focusing lens |
US10437006B2 (en) | 2015-05-21 | 2019-10-08 | Jahwa Electronics Co., Ltd. | Camera filter module |
US10768393B2 (en) | 2015-05-21 | 2020-09-08 | Jahwa Electronics Co., Ltd. | Camera lens module |
WO2016199965A1 (en) * | 2015-06-12 | 2016-12-15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Optical system comprising aperture board having non-circle shape and multi-aperture camera comprising same |
KR20180033811A (en) * | 2016-09-26 | 2018-04-04 | 주식회사 옵티맥 | Actuator for autofoc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541199A (en) | 2015-04-22 |
WO2014025167A1 (en) | 2014-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4178B1 (en) | Camera lens module | |
US11719997B2 (en) |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 |
KR20140036448A (en) | Camera lens module | |
KR101170714B1 (en) | Auto focus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ntaining the same | |
KR101221316B1 (en) | Camera module with function of autofocus | |
CN112369008A (en) |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 |
WO2014103457A1 (en) | Lens drive apparatus | |
KR20100032343A (en) | Lens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5880816B2 (en) | Lens drive device | |
US11650481B2 (en) | Driving mechanism for optical element | |
KR102525608B1 (en) |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 |
KR20180002077A (en) | Camera module | |
KR101620566B1 (en) | Camera Module Lens Assembly | |
EP4141537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
KR20100124135A (en) |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 |
KR20200059604A (en) | Camera module | |
KR101511065B1 (en) | Auto focus actuator and camera lens assembly containing the same | |
KR102541015B1 (en) |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device | |
JP2022541785A (en) | The camera module | |
US20230185164A1 (en) | Camera module | |
KR20160053465A (en) | Camera Module Lens Assembly | |
KR20150088044A (en) | Camera Lens Assembly | |
US20240388783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 |
US20220206364A1 (en) |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1236051B1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