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3440B1 -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440B1
KR101313440B1 KR1020070021464A KR20070021464A KR101313440B1 KR 101313440 B1 KR101313440 B1 KR 101313440B1 KR 1020070021464 A KR1020070021464 A KR 1020070021464A KR 20070021464 A KR20070021464 A KR 20070021464A KR 101313440 B1 KR101313440 B1 KR 10131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supply
vessel
identification mark
ultrasonic transduc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462A (ko
Inventor
김종환
윤주환
이영현
유동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440B1/ko
Priority to EP07119101.9A priority patent/EP1921427B1/en
Priority to US11/924,332 priority patent/US7690403B2/en
Publication of KR2008008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4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8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liquid level in vessels to be filled, e.g. using ultrasonic waves, optical reflexion,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안내부가 취부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일면이 개방된 용기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이 제공된 급수기와; 상기 급수기에 제공된 용기 안내부와; 상기 용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와; 상기 용기 및 수위 검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기의 노즐을 통한 급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급수할 용기를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 제공은 물론 급수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자동 급수기, 용기 안내부, 식별 마크, 초음파

Description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Automatic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급수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안내부가 취부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 및 수위 검출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및 수위 검출부와 용기 안내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서 모듈과 용기 안내부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급수기 211 : 용기 안착부
213 : 노즐 215 : 수조
217 : 유로 개폐기 219 : 유로
230 : 용기 안내부 231 : 식별 마크
233 : 광원
250 : 용기 및 수위 검출부 251 : 인쇄회로기판
253 : 송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
255, 257, 259 :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
270 : 제어부
V : 용기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급수할 용기의 정상 안착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안내부를 구비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기는 냉장고, 정수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액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냉장고에 설치된 급수기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않고도 냉장고 외부에 설치된 급수기를 통하여, 냉장고 내부의 액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수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냉장고(100)의 도어(110)의 전면에는 급수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기(120)는 용기 안착부(130)가 구비되어 있고, 물을 투출시키는 투출키(도시 안됨)가 급수기(120)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냉장고(100)의 도어(110)의 전면에 설치된 급수기(120)의 용기 안착부(130)에 용기(140)를 삽입하고, 투출키를 눌러서 액체 투출키가 눌린 시간 동안만 물을 용기(140)에 투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급수기가 냉장고에 설치된 경우 도어를 열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냉장고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냉장고에 보관중인 식품들의 신선도를 더 길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현재의 급수기는 사용자가 급수 완료시점까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자동으로 구현되는 급수기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자동 급수기는 사용자의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자동 급수기의 경우 사용자의 주의 여부에 따라 물이 용기 외부로 누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시 용기를 정상적으로 안착시켜 급수시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용기 안내부를 구비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이 개방된 용기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 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이 제공된 급수기와; 상기 급수기에 제공된 용기 안내부와; 상기 용기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에 초음파를 발신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와; 상기 용기 및 수위 검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기의 노즐을 통한 급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용기 안내부를 구비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용기 안내부는 상기 급수기의 바닥면에 제공된 식별 마크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 마크는 육안 식별이 가능한 방수성 재질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안내부는 상기 식별 마크의 내측 하부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제공된 복수 개의 광원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용기 및 수위 검출부는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식별 마크의 면적은 상기 노즐, 상기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상기 수위 수신 트랜스듀서의 전체 배치 공간의 사영 면적보다 크며, 상기 배치 공간의 사영면이 내부에 위치되고, 스펙에 의해 제시되는 용기 중 최소 크기의 바닥면적보다는 작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안내부가 취부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 및 수위 검출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및 수위 검출부와 용기 안내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안내부를 구비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는 급수기(210), 용기 안내부(230),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수기(210)는 냉장고(도시 안됨)의 전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용기(V)가 안착되는 용기 안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안착부(211)는 냉장고의 전면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용기(V)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편한 수평면이 내측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이다.
급수기(210)는 물이 담겨져 있는 수조(215)와 유로(219)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며, 용기 안착부(211)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주입구인 노즐(213)이 제공되어 있다.
유로 개폐기(217)의 본체는 수조(215)와 급수기(210)를 연통하는 유로(219)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유로(219)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액츄에이터이다.
용기 안내부(230)는 식별 마크(231)와 광원(2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안내부(230)의 식별 마크(231)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쉽게 용기(V)를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것으로 그 표면이 색상이나 홀로그램과 같이 번질거림이 있는 테이프 형태 또는 용기 안착부(211)의 바닥면과 구분되는 색상의 재료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별 마크(231)는 후술되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의 초음파 발신에 대응하여 양호한 반사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식별 마크(231)는 용기 안착부(211)에 취부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타입으로도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식별 마크(231)는 용기(V)가 상부면에 제공되는 원형 형상으로, 특히 누수될 수 있는 급수기(210)의 용기 안착부(211)에 취부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방수 재질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 안내부(230)는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명확하게 용기(V)의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식별 마크의 중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23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광원(233)은 통상 LED 램프가 바람직하여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한 식별이 용이한 경우라면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광원의 설치 위치 또한 한정할 필요가 없는 선택 사항이다.
도면에서는 식별 마크(231)와 광원(233)이 용기 안착부(2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으며 돌출된 것으로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함이며 실제로는 식별 마크(231)는 두께가 매우 얇고, 광원(233)은 용기 안착부(211)의 바닥면에 매몰되어 광이 바닥면에 투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는 인쇄회로기판(251)에 제공된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용 트랜스듀서(255,257,259)로 구성된 센서 모듈이다. 그리고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3)와 가장 인접된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5)의 사이에는 전술된 노즐(213)이 근접 위치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251)에 반호 형상의 노즐 설치용 홈(252)이 형성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251)의 일 실시예로는 스트립 형상이며, 제 2 및 제 3 수신용 트랜스듀서(257)(259)는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3)를 기준으로 제 1 수신용 트랜스듀서(255)와 대향된 위치에 각기 이격 설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에 트랜스듀서(253,255, 257,259)는 일렬로 제공된다. 그러나 초음파 트랜스듀서들의 배치 관계는 발신 초음파 트랜스듀서(253)와 수위 측정 초음파 트랜스듀서(255)는 노즐(213)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 고정되는 반면, 나머지 용기 높이 측정 전용 초음파 트랜스듀서들(257,259)의 배치는 수평 또는 수직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시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여기서, 용기(V)의 높이는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3)에서 초음파를 발신하고 발신된 초음파는 용기(V)에 반사되어 수신 초음파 트랜스듀서(255,257,259) 중에서 가장 먼저 수신된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부(270)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기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용기(V)에 급수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용기 안착부(211)에 용기(V)를 정상 안착시키고, 냉장고(200)에 제공된 자동 급수기용 기능키를 조작하면 기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설정값에 대응되도록 유로 개폐기(217)를 개방한다. 이와 함께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는 실시간적으로 용기(V)의 급수 수위를 제어부(270)로 송출한다.
제어부(270)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한 수위값이 사용자의 설정값이 동일 또는 그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유로 개폐기(217)를 제어하여 유로(219)를 폐쇄하게 되고, 사용자는 용기 안착부(211)로부터 급수가 완료된 용기(V)를 제거하면 급수 과정은 완료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안내부(230)와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의 설치된 트랜스듀서 상호간의 배치 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식별 마크(231)의 면적은 송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3)와 이에 가장 인접된 제 1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255)의 외연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최장 거리(L)로 이루어진 원의 면적(S)보다 더 넓어야 한다. 또한, 전술된 원으로 이루어진 사영면의 면적(S1)은 식별 마크(231)의 내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식별 마크(231)의 면적은 적용 가능하도록 사양에 의해 설정된 최소 용기(V)의 바닥 면적보다는 작아야 하며 전술된 초음파 트랜스듀서(253) (255)와의 배치 관계는 전술된 바와 같이 지켜져야 하는 필수 조건이다.
또한, 전술된 배치 관계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250)가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초음파 트랜스듀서(253)(255)들은 수직 하방 또는 수직 상방으로 초음파가 발신되거나 수신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또한 전술된 거리(L)로 이루어진 원의 중심이 본 발명의 식별 마크(231)의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급수할 용기를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 제공은 물론 급수시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면이 개방되도록 냉장고 전면에 형성된 용기 안착부;
    상기 용기 안착부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이 마련되는 급수기;
    상기 용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식별 마크를 포함하는 용기 안내부;
    상기 용기 안내부의 상측에 안착된 용기에 초음파를 발신하는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는 용기 및 수위 검출부; 및
    상기 용기 및 수위 검출부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기의 노즐을 통한 급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마크는,
    육안 식별 가능한 방수성을 가지면서 홀로그램과 같이 번질거림이 있는 테이프 형태 또는 용기 안착부의 바닥면과 구분되는 색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마크의 중앙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멸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및 수위 검출부는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마크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식별 마크의 면적은 상기 노즐, 상기 발신용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상기 수위 수신 트랜스듀서의 전체 배치 공간의 사영 면적보다 크며, 상기 배치 공간의 사영면이 내부에 위치되고, 스펙에 의해 제시되는 용기 중 최소 크기의 바닥면적 보다는 작은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KR1020070021464A 2006-11-07 2007-03-05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Active KR10131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464A KR101313440B1 (ko) 2007-03-05 2007-03-05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EP07119101.9A EP1921427B1 (en) 2006-11-07 2007-10-23 Automatic liquid dispensers with liquid level detector
US11/924,332 US7690403B2 (en) 2006-11-07 2007-10-25 Automatic liquid dispenser and automatic liquid dispens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464A KR101313440B1 (ko) 2007-03-05 2007-03-05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62A KR20080081462A (ko) 2008-09-10
KR101313440B1 true KR101313440B1 (ko) 2013-10-01

Family

ID=4002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464A Active KR101313440B1 (ko) 2006-11-07 2007-03-05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96B1 (ko) * 2012-03-07 2019-02-14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101522893B1 (ko) * 2013-09-13 2015-05-2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급수장치
KR102388584B1 (ko) * 2019-12-27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531A (ja) * 1995-12-12 199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用自動飲料補充装置
KR20050007194A (ko) * 2003-07-09 2005-01-17 월풀코포레이션 냉장고 및 그를 위한 자동화된 액체 분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531A (ja) * 1995-12-12 199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用自動飲料補充装置
KR20050007194A (ko) * 2003-07-09 2005-01-17 월풀코포레이션 냉장고 및 그를 위한 자동화된 액체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62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3708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dispenser
KR100816149B1 (ko) 자동 액체 분배기
CN107750231A (zh) 用于设备控制的物体检测
KR101313440B1 (ko)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KR970047678A (ko) 냉장고의 자동음료보충장치
KR20160119133A (ko) 스탠드
KR102206005B1 (ko) 음료 공급 장치
KR100808138B1 (ko)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CN212205302U (zh) 自动供水装置及具有其的冰箱
KR19990006891A (ko) 취반기
KR100856952B1 (ko) 쌀 냉장고가 결합된 자동밥솥
US20220259031A1 (en) Auto-water shut-off for an external door water dispenser
JP4342333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220100374A (ko) 냉장고
KR20150073603A (ko)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0562483C (zh) 饮料机以及饮料机的警报发出装置
CN113116151A (zh) 饮水设备的水路系统和饮水设备
JP2010126174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349412B1 (ko) 자동 급수 시스템
KR20140087976A (ko) 용기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CN210582187U (zh) 一种具有防溢功能的饮水机
IE72185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hygiene of beer dispensing
KR102484326B1 (ko) 자동판매기의 제빙기 얼음 공급장치
KR101469274B1 (ko) 자동 급수부를 구비한 냉장고 시스템
CN220751301U (zh) 一种用于净饮机的液位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