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3112B1 - 새들 분수전 - Google Patents

새들 분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112B1
KR101313112B1 KR1020110020808A KR20110020808A KR101313112B1 KR 101313112 B1 KR101313112 B1 KR 101313112B1 KR 1020110020808 A KR1020110020808 A KR 1020110020808A KR 20110020808 A KR20110020808 A KR 20110020808A KR 101313112 B1 KR101313112 B1 KR 10131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saddle
screw portion
pipe
out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916A (ko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진원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원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원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11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1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9/00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29/002Joints with fluid cut-off means joints with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a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메인 상수도관에서 새들 분수전을 통해 지관을 연결시킬 때 연결되는 지관의 종류에 상관없이, 각각의 지관을 연결시키는 유니언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모든 지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새들 분수전이 개시된다. 개시된 새들 분수전은 상부 및 하부 새들로 이루어진 새들이 메인 상수도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메인 상수도관에 천공을 하기 위해 천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메인 상수도관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가 마련된 바디부가 상기 새들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바디에 볼밸브가 내장되는 새들 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되는 개폐캡이 더 마련되되, 상기 개폐캡은 내면에 상기 투입구의 수나사부에 치합되어 체결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배출구의 암나사부에 치합되어 체결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새들 분수전{SADDLE FOR WATER WORKS}
본 발명은 새들 분수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상수도관에서 새들 분수전을 통해 지관을 연결시킬 때 연결되는 지관의 종류에 상관없이, 각각의 지관을 연결시키는 유니언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모든 지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새들 분수전에 관한 것이다.
새들 분수전은 메인 상수도관으로부터 가정이나 건물 등에 수도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메인 상수도관에 지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즉 새들 분수전은 메인 상수도관에서 스테인레스관, 강관, 동관, PE관으로 이루어진 지관(수도관)의 분기 작업 시 수도물의 단수 없이 분기작업을 행할 때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새들 분수전(1)은 상부 새들(11), 하부 새들(12), 바디부(13), 캡부(14), 지관부(15) 및 밸브부(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 새들(11) 및 하부 새들(12)은 플랜지에 의해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상수도관(P)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새들(11)의 상부로는 바디부(13)에 의해 밸브부(16)와 상부 새들(11)이 연결되는데, 상기 바디부(13)의 내부에는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수도관(P)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지관(15)으로 유출되는 통로를 갖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부(14)은 상기 밸브부(16)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관(15)은 상기 밸브부(16)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16)는 상기 바디부(13)의 상부로 형성되어 있는데, 내부에는 볼밸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부새들(11) 및 하부 새들(12)을 상수도관(P)에 고정한 후 캡부(14)와 밸브부(16)를 열어, 상기 바디부(13) 내부로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수도관(P)에 천공기로 천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후 캡(14)으로 마감하여 수도관의 분기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수도관을 천공한 다음에는 상기 새들 분수전의 지관부에 스테인레스관, 강관, 동관, PE관, PVC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관이 연결되는 데, 이러한 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기커플링(C)을 통해 연결기(SUS)를 새들 분수전의 지관부(15)에 연결한 다음, 상기 연결기에 각종 유니온(U)을 통해 스테인레스관, 강관, 동관, PE관, PVC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관을 연결하거나, 별도의 레듀사를 통해 지관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도2a와 같이 지관에 연결된 연결기(SUS)와 스테인레스관으로 이루어지는 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소켓을 사용하고, 도2b와 같이 지관에 연결된 연결기(SUS)와 PE관 및 PVC관으로 이루어지는 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답터을 사용하며, 도2c와 같이 직경이 다른 지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레듀샤를 사용한다.
하지만, 종래의 새들 분수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새들 분수전의 지관부에 각종 지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지관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유니언이 필요로 했기 때문에, 그 연결작업이 매우 번거로웠을 뿐만 아니라, 해당하는 지관에 따른 유니온을 모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 상수도관에서 새들 분수전을 통해 지관을 연결시킬 때 연결되는 지관의 종류에 구애 받지않고, 각각의 지관을 연결시키는 유니언의 필요로하지 않으면서 모든 지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새들 분수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은, 상부 및 하부 새들로 이루어진 새들이 메인 상수도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메인 상수도관에 천공을 하기 위해 천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메인 상수도관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가 마련된 바디부가 상기 새들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바디에 볼밸브가 내장되는 새들 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되는 개폐캡이 더 마련되되, 상기 개폐캡은 내면에 상기 투입구의 수나사부에 치합되어 체결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배출구의 암나사부에 치합되어 체결결합되는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은 메인 상수도관에서 새들 분수전을 통해 지관을 연결시킬 때 연결되는 지관의 종류에 구애 받지않고, 각각의 지관을 연결시키는 유니언의 필요로하지 않으면서 모든 지관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새들 분수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새들 분수전에 지관을 연결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상부 및 하부 새들(111,112)로 이루어진 새들(110)이 메인 상수도관(1)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메인 상수도관(1)에 천공을 하기 위해 천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1), 메인 상수도관(1)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122) 및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123)가 마련된 바디부(120)가 상기 새들(110)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1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바디부(120)에 볼밸브(131)가 내장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투입구(121)의 외면에는 수나사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3)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23a)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121) 또는 상기 배출구(123)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되는 개폐캡(140)이 더 마련되되, 상기 개폐캡(140)은 내면에 상기 투입구의 수나사부(121a)에 치합되어 체결 결합되는 암나사부(141a)가 형성되는 캡부(141)와, 상기 캡부(141)의 상면에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배출구(123)의 암나사부(123a)에 치합되어 체결결합되는 수나사부(142a)가 형성되는 돌기부(142)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새들(100)은 상부새들(111)과 하부새들(112)로 이루어져, 상수도관(1)의 외주연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며, 이 상부 및 하부새들(111)(112)의 각 양측에는 플랜지부(111a)(112a)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새들(111)에는 상수도관(1)의 내부로 이송되는 수도물이 지나가도록 관통공(111c)이 천공되며, 이 관통공(111c)에는 새들실링(S)이 끼워져 상수도관(1)의 내부로 이송되는 상수가 누수되지 않고 관통공(111)으로 기밀히 지나갈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20)는 새들 분수전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바디부(120)의 상부에는 상수도관(1)에 천공을 하기 위해 천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바디부(120)의 중앙 하부에는 상수도관(1)의 내부로 이송되는 수도물이 유입되도록, 유입구(122)가 형성되어 상부새들(111)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 유입구(122)로 유입된 상수를 배출시키도록 바디부(120)의 일측에는 배출구(123)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23)는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3)에는 가정이나 건물 등에 수도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지관(2)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수도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121)의 외면에는 수나사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3)의 내면에는 암나사부(123a)가 형성되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120)의 투입구(121) 또는 배출구(123)에는 개폐캡(140)이 선택적으로 나사결합으로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캡(140)은 내면에 상기 투입구의 수나사부(121a)에 치합되어 체결 결합되는 암나사부(141a)가 형성되는 캡부(141)와, 상기 캡부(141)의 상면에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배출구의 암나사부(123a)에 치합되어 체결결합되도록 수나사부(142a)가 형성된 돌기부(1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캡(140)은 캡부(141)와 돌기부(142)로 구성되어 캡부의 암나사부(141a)는 투입구의 수나사부(121a)에 치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돌기부의 수나사부(142a)는 배출구의 암나사부(123a)에 치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3)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3a)에는 일단부 외면에 수나사부(2a)가 형성된 지관(2)이 체결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배출구(123)의 내면이 암나사부(123a)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지관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유니언이 필요로 하지 않고, 지관(2)의 일단부 외면에 용이하게 수나사부(2a)를 형성한 다음, 배출구의 암나사부(123a)에 체결하여 결합하면 되기 때문에, 새들 분수전의 배출구(123)에 지관(2)을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23)에는 연결구(2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200)는 일측은 상기 배출구의 암나사부(123a)에 치합결합되도록 수나사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일단부 외면에 수나사부(2a)가 형성된 지관(2)이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2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구(200)를 통해 별도의 유니온을 필요하지 않고 배출구보다 직경이 큰 지관을 배출관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122)와 배출구(123) 사이에는 내부에 개방공 및 차단면이 형성된 볼밸브(131)가 설치되는데, 이 볼밸브(131)는 유입구(122)로 유입되어 배출구(123)로 배출되는 수도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볼밸브(123)는 개폐노브(132)가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볼밸브(13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상수도관에서 새들 분수전을 통해 지관의 연결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개방공(131a)은 바디부의 유입구(122) 및 배출구(123)에 연결되도록,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131)의 우측 및 상부, 하부에 천공되어, 상수도관(1)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바디부의 유입구(122)를 지나, 볼밸브(131)의 개방공(131a)을 통해 배출구(123)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차단면(131b)은 개폐노브(132)의 작동에 따라 개방공(131a)으로 통과되는 수도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개폐노브(132)의 작동에 따라 바디부의 유입구(122)를 차단하기도 하고,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123)를 차단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새들 분수전의 설치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새들(110)을 상수도관(1)의 적절한 분기위치에 장착하고, 상부새들(111)에 바디부(120)를 순차적으로 나사결합한 후, 바디부(120)의 배출구(123)에 지관(2)을 연결하여 건물로 상수를 공급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이와 같이 새들(110)과 바디부(120)를 상수관에 결합한 다음, 먼저 도 4a에서와 같은 상태로 볼밸브(131)가 위치하면, 바디부의 유입구(122)를 차단면(131b)이 차단하여 수도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즉, 볼밸브(131)의 차단면(131b)이 유입구(122)를 차단하여, 상수도관(1)에서 이송되는 수도물이 바디부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개폐노브(132)를 오른쪽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131)가 바디부의 유입구(122)측으로 개방되고, 투입구(142)를 통해 천공기를 투입시켜 상수도관(1)을 천공한다. 이때, 개폐캡(140)은 배출구(123)측에 결합하여 배출구(123)측으로 수도물이 배출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개폐노브(132)를 다시 왼쪽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의 유입구(122)를 차단면(131b)이 차단하여 수도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이때, 개폐캡(140)을 투입구(121)에 체결하여 투입구(121)측으로 수도물이 배출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3)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23a)에 일단부 외면에 수나사부(2a)가 형성된 지관(2)이 체결 결합시켜 연결하면 지관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노브(132)를 오른쪽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배출구(123)측으로 수도물이 공급된다. 여기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200)를 통해 별도의 유니온을 필요하지 않고 배출구보다 직경이 큰 지관을 배출관에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Claims (3)

  1. 상부 및 하부 새들로 이루어진 새들이 메인 상수도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메인 상수도관에 천공을 하기 위해 천공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메인 상수도관에서 이송되는 상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수가 일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구가 마련된 바디부가 상기 새들에 연결되며,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바디에 볼밸브가 내장되는 새들 분수전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외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또는 상기 배출구에 선택적으로 체결 결합되는 개폐캡이 더 마련되되, 상기 개폐캡은 내면에 상기 투입구의 수나사부에 치합되어 체결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외면에 상기 배출구의 암나사부에 치합되어 체결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는 일단부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지관이 체결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연결구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는 일측은 상기 배출구의 암나사부에 치합결합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일단부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지관이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분수전.
KR1020110020808A 2011-03-09 2011-03-09 새들 분수전 Expired - Fee Related KR10131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08A KR101313112B1 (ko) 2011-03-09 2011-03-09 새들 분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08A KR101313112B1 (ko) 2011-03-09 2011-03-09 새들 분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916A KR20120102916A (ko) 2012-09-19
KR101313112B1 true KR101313112B1 (ko) 2013-09-30

Family

ID=4711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8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3112B1 (ko) 2011-03-09 2011-03-09 새들 분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28B1 (ko) 2015-12-21 2016-10-10 조규성 누수방지 및 지수전 기능을 갖는 새들붙이 분수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388A (en) 1973-07-25 1975-09-16 Carl Chiarelli Pipe tapping tool
KR20100035373A (ko) * 2008-09-26 2010-04-05 김태형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388A (en) 1973-07-25 1975-09-16 Carl Chiarelli Pipe tapping tool
KR20100035373A (ko) * 2008-09-26 2010-04-05 김태형 분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916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4839B (zh) 用于卫生设备的连接单元
US8286655B2 (en) Line stop adapter
RU2014104246A (ru) Прицеп с манифольдом с несколькими шарнирными компоновками отводов
ITMI20111020A1 (it) Connettore multiplo e sistema per la miscelazione-erogazione di acqua sanitaria e depurata comprendente tale connettore multiplo
KR101313112B1 (ko) 새들 분수전
ATE500389T1 (de) Feuerhydrant mit anschlüssvorrichtung
KR20120101845A (ko) 삼방 볼 밸브
KR100588329B1 (ko) 감압밸브와 수도미터기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이음관체
KR20170091846A (ko) 3방 밸브
AU2014202753B2 (en) Valve and method of purging a utilities pipe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20110010529A (ko) 역류방지 장치를 구비한 수도계량기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101449897B1 (ko) 엘보형 절수장치
KR100831560B1 (ko) 배관용 관이음 장치
CN205013770U (zh) 一种内置分水器的水龙头
KR200407194Y1 (ko)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수전밸브
CN203743681U (zh) 水龙头接管
CN205118265U (zh) 角阀
KR100873844B1 (ko) 새들 분수전의 결합구조
KR101449896B1 (ko) 니플형 절수장치
KR20110001113U (ko) 새들분수전 조합 상수도 이형관
CN210623684U (zh) 一种冷热水龙头
KR20060028446A (ko) 티이음쇠
RU2414591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пакера при отборе воды из нагнетательной скваж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