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1765B1 -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765B1
KR101311765B1 KR1020120086642A KR20120086642A KR101311765B1 KR 101311765 B1 KR101311765 B1 KR 101311765B1 KR 1020120086642 A KR1020120086642 A KR 1020120086642A KR 20120086642 A KR20120086642 A KR 20120086642A KR 101311765 B1 KR101311765 B1 KR 10131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ie
sheet
moving
thermal insulation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표
Original Assignee
(주)한성 하나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 하나론 filed Critical (주)한성 하나론
Priority to KR102012008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7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7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보온재 상에 형성된 홈이 길이 방향에서 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배관용 보온재를 단위크기로 절삭한 뒤 재접합함으로써 배관용 보온재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포개어지는 홈에 의해 찌그러지고 이로 인해 보온효과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DIRECTION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IPE LAGGING}
본 발명은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용 보온재 상에 형성된 홈이 길이 방향에서 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배관용 보온재를 단위크기로 절삭한 뒤 재접합함으로써 배관용 보온재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포개어지는 홈에 의해 찌그러지고 이로 인해 보온효과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 각종 공장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에는 각종 배관이 설치되어 기체, 액체, 분체 등의 물질들이 이동하는 경로로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배관의 재료, 지름, 두께 등은 사용되는 분야의 특수성, 수송 유체의 화학적 성질, 유량, 유속, 압력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배관은 내부에 흐르는 유체를 보온 및 단열시켜 열교환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거나, 동절기에 외부의 찬 기온이 전달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용도에 따라 외주연을 감싸는 보온재가 구비된다.
종래의 배관용 보온재는 일정간격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스레트 형상으로 제조되는데 배관에 권취시 이 홈이 연속적으로 포개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보온재 내경이 찌그러지는 등 변형이 쉽게 발생되어 보관의 어려움은 물론 상품성을 떨어짐은 물론 이 보온재로 배관의 외주연을 감쌀 때에도 보온재에 형성된 홈에 의해 보온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관용 보온재 상에 형성된 홈이 길이 방향에서 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배관용 보온재를 단위크기로 절삭한 뒤 재접합함으로써 배관용 보온재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포개어지는 홈에 의해 찌그러지고 이로 인해 보온효과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보온재시트가 전방을 향해 팽팽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베이스다이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최후방에 구비되며 전방을 향해 상기 보온재시트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롤러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이동롤러 전방에 위치되며 이동중인 상기 보온재시트의 양측 가장자리가 절삭되는 사이드 절삭수단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보온재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롤러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롤러 전방에 위치되며 왕복이동되는 제 2 절삭날을 통해 상기 보온재시트가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절삭수단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최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베이스다이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및 제 2 베이스다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 상기 보온재시트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 1 베이스다이 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과, 상기 제 2 베이스다이 상에 폭 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수단을 통해 방향전환 및 이동된 상기 전, 후방측 보온재시트의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 및 상기 제 2 베이스다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된 보온재시트를 상기 제 2 베이스다이 최전방 측으로 흡착 이동시키는 흡착이동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은, 상기 보온재시트의 이동방향을 상부에서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좌, 우측 양단 모서리에 장착되며 이동되는 상기 보온재시트의 좌, 우측 양단을 경사방향으로 커팅되도록 하는 제 1 절삭날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전환수단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최전방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절삭수단에 의해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최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1 이동벨트와, 상기 제 1 이동벨트 일측면으로부터 제 2 베이스다이 후방측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동벨트에 의해 제 1 베이스다이 최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보온재시트를 상기 접합수단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2 이동벨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합수단은, 상기 제 2 베이스다이 상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하부 양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 하 방향으로 수직이동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가압하는 제 2 가압프레임과, 상기 양측 제 2 가압프레임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시 상기 후방에 위치된 상기 보온재시트의 가장자리를 들어올려주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보온재시트의 가장자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부재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부재에 의해 가열된 후방측 보온재시트를 가압하여 상기 전방측 보온재시트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롤러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이동롤러의 전방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에 의해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편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이동벨트의 도입부 상에는 상기 보온재시트가 상기 제 1 이동벨트 상으로 유동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제 1 가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이동벨트의 도입부 상에는 상기 보온재시트가 상기 제 2 이동벨트 상으로 유동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제 2 가압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보온재시트가 이송되는 이송단계와, 이송중인 상기 보온재시트의 양측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연속 절삭되는 제 1 절삭단계와, 가장자리가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가 전방에서부터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제 2 절삭단계와, 단위크기로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는 방향전환단계와,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된 상기 전방의 보온재시트와 후방의 보온재시트 이음매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와, 접합된 상기 보온재시트의 홈이 폭 방향이 되도록 재권취되는 권취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에 따르면 배관용 보온재 상에 형성된 홈이 길이 방향에서 폭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배관용 보온재를 단위크기로 절삭한 뒤 재접합함으로써 배관용 보온재의 내경이 연속적으로 포개어지는 홈에 의해 찌그러지고 이로 인해 보온효과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뛰어난 상품성을 갖는 배관용 보온재가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사이드 커팅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접합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의 작동도.
도 5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사이드 커팅수단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도 1의 접합수단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a 내지 도 4d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1)는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보온재시트(400)가 전방을 향해 팽팽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0)와, 상기 가이드롤러(10)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베이스다이(20)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최후방에 구비되며 전방을 향해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롤러(30)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이동롤러(30) 전방에 위치되며 이동중인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절삭되는 사이드 절삭수단(40)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4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롤러(50)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롤러(50) 전방에 위치되며 왕복이동되는 제 2 절삭날(62)을 통해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절삭수단(60)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베이스다이(70)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및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80)과,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폭 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수단(80)을 통해 방향전환 및 이동된 상기 전, 후방측 보온재시트(400)의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90) 및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수단(9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접합수단(90)에 의해 접합된 보온재시트(400)를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최전방 측으로 흡착 이동시키는 흡착이동프레임(10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1)에 대한 각각의 구성부재 및 그 연동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구성부재가 작동하기 위해 베이스다이 상에서의 회전되고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는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을 밝혀둔다.
여기서 가이드롤러(10)는 후방에 위치되는 롤 형상으로 권취된 보온재시트(400)가 추후에 설명될 제 1 베이스다이(20) 측으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보온재시트(400)를 팽팽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후방측 가이드롤러(10)는 권취된 보온재시트(400)의 축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전방측 가이드롤러(10)는 권취된 보온재시트(400)의 축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롤러(10)는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 및 설치위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가이드롤러(10)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는 보온재시트(400)는 길이방향으로 홈(410)이 형성된 상태이다.
전술한 한 쌍의 가이드롤러(10) 전방에는 제 1 베이스다이(20)가 배치되는데, 이 제 1 베이스다이(20)는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이 진행되는 작업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베이스다이(20)는 구성부재들이 작동되는 과장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보온재시트(400)가 이동되며 전체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지지다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에는 제 1 이동롤러(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제 1 이동롤러(30)는 후방에서 가이드롤러(10)를 통해 인출되는 보온재시트(400)를 전방으로 이송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이동롤러(30)는 상, 하부에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며 보온재시트(400)는 이 상, 하부 롤러 사이를 지나 전방으로 이동되는데 추후에 설명될 제 2 이동롤러(50) 또한 동일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이동롤러(30)의 전방에는 사이드 절삭수단(40)이 설치되는데 이 사이드 절삭수단(40)은 보온재시트(400)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그 좌, 우 양단이 경사지게 절삭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이드 절삭수단(40)은 보온재시트(400)의 이동방향을 상부에서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41)와, 이 가이드플레이트(41)의 좌, 우측 양단 모서리에 장착되며 이동되는 보온재시트(400)의 좌, 우측 양단을 경사방향으로 커팅되도록 하는 제 1 절삭날(42)이 포함된다. 전술한 가이드플레이트(41)는 이동중인 보온재시트(400)가 제 1 절삭날(42)에 의해 자동 절삭되는 과정에서 그 이동방향이 변경되거나 상부로 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절삭날(42)은 보온재시트(40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그 절삭날이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되 서로 평행을 이루는 경사로 설치된다. 이는 추후에 설명될 접합수단(90)에서 전방의 보온재시트(400) 후단과 후방의 보온재시트(400) 전단이 상호 접합 되는데 이때 그 경사면이 면접되게 접합 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제 1 절삭날(42)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터칼이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하며 그 경사각도 또한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사이드 절삭수단(40)의 전방에는 제 2 이동롤러(5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제 2 이동롤러(50)는 전술한 사이드 커팅수단에 의해 좌, 우 양단이 절삭된 보온재시트(400)를 전방으로 이송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이동롤러(50)의 전방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편(51)이 구비되어 있어 사이드 절삭수단(40)에 의해 절삭된 보온재시트(400)의 좌, 우측 양단을 제 1 베이스다이(20) 밖으로 가이드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편(51)은 전술한 제 1 절삭날(42)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제 1 절삭날(42)의 위치변화에 대응되어 위치변화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 2 이동롤러(50) 전방에는 절삭수단(60)이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절삭수단(60)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제 2 절삭날(62)을 통해 보온재시트(400)가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때 전술한 보온재시트(400)는 그 길이가 폭보다 길게 절삭된다. 또한 제 2 절삭날(62)은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서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 되고 그 상부에는 보온재시트(400)가 절삭되는 동안 유동되지 않게 가압하는 제 1 가압프레임(61)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20)의 최전방에는 제 2 베이스다이(70)가 수직방향으로 연결 구비되는데 이 제 2 베이스다이(70)는 제 1 베이스다이(2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제 1 베이스다이(20)를 따라 이동된 보온재시트(400)가 방향전환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베이스다이(70)는 제 1 베이스다이(20)와 마찬가지로 구성부재들이 작동되는 과장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방에서 전방으로 보온재시트(400)가 이동되며 전체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지지다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20) 및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는 방향전환수단(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방향전환수단(80)은 전술한 제 1 베이스다이(2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된 보온재시트(400)가 제 2 베이스다이(70) 측으로 방향전환되어 길이방향이 폭 방향이 되고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될 수 있도록 제 1 베이스다이(20) 측에서 제 2 베이스다이(70) 측으로 그 방향이 변경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전환수단(80)은 제 1 베이스다이의 최전방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절삭수단(60)에 의해 절삭된 보온재시트(400)를 제 1 베이스다이(20)의 최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1 이동벨트(81)와, 제 1 이동벨트(81) 일측면으로부터 제 2 베이스다이(70) 후방측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이동벨트(81)에 의해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접합수단(90)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2 이동벨트(82)가 포함된다.
전술한 제 1 이동벨트(81)는 제 1 베이스다이(20) 내에서 제 1 베이스다이(2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으로 벨트의 상부가 제 1 베이스다이(20) 상부면에 노출됨으로써 그 회전력을 통해 절삭된 보온재시트(400)를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 1 이동벨트(81)는 보온재시트(400)에 대해 마찰력이 발휘될 수 있는 합성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제 2 이동벨트(82)는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측으로 이동된 보온재시트(400)를 제 2 베이스다이(7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2 베이스다이(7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되 그 후방측은 제 1 이동벨트(81)의 일측면에 인접되도록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제 2 이동벨트(82)는 상부가 제 1 베이스다이(20) 및 제 2 베이스다이(70) 상부면에 노출됨으로써 그 회전력을 통해 절삭된 보온재시트(400)를 제 1 베이스다이(20)로부터 제 2 베이스다이(70)의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 2 이동벨트(82)는 제 1 이동벨트(81)와 마찬가지로 보온재시트(400)에 대해 마찰력이 발휘될 수 있는 합성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이동벨트(81)의 도입부와 제 2 이동벨트(82)의 도입부에는 각각 제 1 가압부재(200) 및 제 2 가압부재(300)가 설치되는데 이는 보온재시트(400)가 제 1 이동벨트(81) 및 제 2 이동벨트(82) 상으로 유동 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제 1 가압부재(200)는 절삭수단(6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 2 가압부재(300)는 제 2 베이스다이(70)양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제 2 이동벨트(82)의 전방에는 접합수단(90)이 구비되는데 이 접합수단(90)은 단위크기로 절삭되어 제 2 베이스다이(7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보온재시트(400)가 그 홈(410)이 폭 방향인 상태로 권취 될 수 있도록 접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폭 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접합수단(90)은,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재(91)와, 프레임부재(91)의 하부 양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 하 방향으로 수직이동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보온재시트(4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가압하는 제 2 가압프레임(92)과, 양측 제 2 가압프레임(92)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프레임(93)과, 설치프레임(93)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시 후방에 위치된 보온재시트(400)의 가장자리를 들어 올려주는 가이드부재(94)와, 설치프레임(93)에 설치되되 가이드부재(94)의 후방에 위치되고 가이드부재(94)에 의해 들어올려진 보온재시트(400)의 가장자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95)와, 설치프레임(93)에 설치되되 가열부재(95)의 후방에 위치되어 가열부재(95)에 의해 가열된 후방측 보온재시트(400)를 가압하여 전방측 보온재시트(400)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롤러부재(96)가 포함된다.
즉, 접합수단(90)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된 보온재시트(400)의 후단과 후방에 위치된 보온재시트(400)의 전단이 접합수단(90)에 의해 서로 접합 연결되는데, 이때 접합부위는 전술한 사이드 절삭수단(40)에 의해 상호 면접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절삭된 상태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 2 가압프레임(92)은 프레임부재(91)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 하강 되면서 전, 후방 보온재시트(400)의 접합부 주변을 가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설치프레임(93)은 양측 제 2 가압프레임(92) 내에서 왕복운동 되는데 이 설치프레임(93)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의 가이드부재(94), 그 후방의 가열부재(95) 그리고 그 후방의 롤러부재(96)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3에서는 나머지 구성부재의 도시를 위해 프레임부재(91) 일측과 한 쌍의 제 2 가압프레임(92) 중 하나만이 도시되었음을 밝혀둔다.
전방의 가이드부재(94)가 일측 보온재시트(400)를 들어올려주면 뒤 따라오는 가열부재(95)가 열을 가하고 마지막으로 뒤 따라오는 놀러부재가 가열부위를 눌러주면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접합수단(90)의 전방에는 흡착이동프레임(100)이 제 2 베이스다이(70)의 최전방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흡착이동프레임(100)은 접합수단(90)에 의해 접합완료된 보온재시트(400)를 제 2 베이스다이(70)의 최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합 완료된 후방의 보온재시트(400)가 뒤따라오는 또 다른 보온재시트(400)의 전단과 접합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흡착이동프레임(100)에 의해 제 2 베이스다이(70) 최전방으로 이동된 보온재시트(400)는 형성된 홈(410)이 폭 방향이 되도록 재권취 된다.
이하에는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1)의 전체적인 작동순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1)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은 길이방향으로 홈(410)이 형성된 보온재시트(400)가 이송되는 이송단계와, 이송중인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연속 절삭되는 제 1 절삭단계와, 가장자리가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전방에서부터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제 2 절삭단계와, 단위크기로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는 방향전환단계와,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된 상기 전방의 보온재시트(400)와 후방의 보온재시트(400) 이음매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와, 접합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홈(410)이 폭 방향이 되도록 재권취되는 권취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홈(410)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권취 된 보온재시트(400)가 가이드롤러(10)를 지나 제 1 베이스다이(20)로 인출되어 제 1 이동롤러(30)를 통과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이송단계가 진행된다. 그런 다음 제 1 이동롤러(30)를 지나 사이드 절삭수단(40)에 의해 그 좌, 우 양단이 경사지게 절삭되는 제 1 절삭단계가 진행되며, 절삭수단(60)에 의해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제 2 절삭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보온재시트(400)의 선단은 제 1 이동벨트(81)와 제 1 가압부재(200)의 도입부 내로 위치된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b 및 4c를 참조하면,
절삭수단(60)에 의해 단위크기로 절삭된 보온재시트(400)는 양측의 제 1 이동벨트(81)에 의해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은 제 2 베이스다이(70)의 길이방향 최후방이 되는바 보온재시트(400)는 현 위치에서부터 제 2 베이스다이(70) 최전방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전환단계가 진행된다. 그런 다음 제 1 이동벨트(81)의 회전이 종료되고 제 2 이동벨트(82)의 회전이 시작되면 보온재시트(400)의 이동이 시작되며, 그 선단이 접합수단(90)의 제 2 가압프레임(92) 사이에 위치되는데 여기서 앞서 접합 된 전방의 보온재시트(400) 후단과 만나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가 진행 된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접합이 종료된 보온재시트(400)는 흡착이동프레임(100)에 의해 흡착되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앞서 접합 된 전방의 보온재시트(400) 후단이 제 2 이동벨트(82)에 의해 접합수단(90) 측으로 재차 이동된 후방의 보온재시트(400)와 선단과 연속적으로 접합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합 된 보온재시트(400)는 제 2 베이스다이(70) 전방에서 홈(410)이 폭 방향이 되도록 재권취 되는 권취단계가 진행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10 : 가이드롤러
20 : 제 1 베이스다이 30 : 제 1 이동롤러
40 : 사이드 절삭수단 41 : 가이드플레이트
42 : 제 1 절삭날 50 : 제 2 이동롤러
51 : 가이드편 60 : 절삭수단
61 : 제 1 가압프레임 62 : 제 2 절삭날
70 : 제 2 베이스다이 80 : 방향전환수단
81 : 제 1 이동벨트 82 : 제 2 이동벨트
90 : 접합수단 91 : 프레임부재
92 : 제 2 가압프레임 93 : 설치프레임
94 : 가이드부재 95 : 가열부재
96 : 롤러부재 100 : 흡착이동프레임
200 : 제 1 가압부재 300 : 제 2 가압부재
400 : 보온재시트 410 : 홈

Claims (8)

  1. 상,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보온재시트(400)가 전방을 향해 팽팽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0);
    상기 가이드롤러(10)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베이스다이(2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최후방에 구비되며 전방을 향해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이동시키는 제 1 이동롤러(3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이동롤러(30) 전방에 위치되며 이동중인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절삭되는 사이드 절삭수단(4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4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롤러(5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롤러(50) 전방에 위치되며 왕복이동되는 제 2 절삭날(62)을 통해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절삭수단(6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베이스다이(70);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및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 측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80);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폭 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수단(80)을 통해 방향전환 및 이동된 상기 전, 후방측 보온재시트(400)의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접합수단(90); 및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접합수단(9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접합수단(90)에 의해 접합된 보온재시트(400)를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최전방 측으로 흡착 이동시키는 흡착이동프레임(10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40)은,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이동방향을 상부에서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41)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의 좌, 우측 양단 모서리에 장착되며 이동되는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좌, 우측 양단을 경사방향으로 커팅되도록 하는 제 1 절삭날(4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수단(80)은, 상기 제 1 베이스다이의 최전방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절삭수단(60)에 의해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상기 제 1 베이스다이(20)의 최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1 이동벨트(81)와, 상기 제 1 이동벨트(81) 일측면으로부터 제 2 베이스다이(70) 후방측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동벨트(81)에 의해 제 1 베이스다이(20) 최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보온재시트(400)를 상기 접합수단(90) 측으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2 이동벨트(8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수단(90)은, 상기 제 2 베이스다이(70) 상에 폭 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재(91)와, 상기 프레임부재(91)의 하부 양측에 상호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 하 방향으로 수직이동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가압하는 제 2 가압프레임(92)과, 상기 양측 제 2 가압프레임 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프레임(93)과, 상기 설치프레임(93)의 전방에 위치되고 이동시 상기 후방에 위치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가장자리를 들어올려주는 가이드부재(94)와, 상기 설치프레임(93)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부재(94)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94)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가장자리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95)와, 상기 설치프레임(93)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부재(95)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가열부재(95)에 의해 가열된 후방측 보온재시트(400)를 가압하여 상기 전방측 보온재시트(400)와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롤러부재(9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롤러(50)의 전방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사이드 절삭수단(40)에 의해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제거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편(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벨트(81)의 도입부 상에는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상기 제 1 이동벨트(81) 상으로 유동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제 1 가압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이동벨트(82)의 도입부 상에는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상기 제 2 이동벨트(82) 상으로 유동없이 안내되도록 하는 제 2 가압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홈(410)이 형성된 보온재시트(400)가 이송되는 이송단계;
    이송중인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연속 절삭되는 제 1 절삭단계;
    가장자리가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전방에서부터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제 2 절삭단계;
    단위크기로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는 방향전환단계;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된 상기 전방의 보온재시트(400)와 후방의 보온재시트(400) 이음매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 및
    접합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홈(410)이 폭 방향이 되도록 재권취되는 권취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8. 청구항 6에 의한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홈(410)이 형성된 보온재시트(400)가 이송되는 이송단계;
    이송중인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양측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연속 절삭되는 제 1 절삭단계;
    가장자리가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가 전방에서부터 단위크기로 폭 방향 절삭되는 제 2 절삭단계;
    단위크기로 절삭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폭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되는 방향전환단계;
    순차적으로 방향전환된 상기 전방의 보온재시트(400)와 후방의 보온재시트(400) 이음매가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계; 및
    접합된 상기 보온재시트(400)의 홈(410)이 폭 방향이 되도록 재권취되는 권취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KR1020120086642A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Active KR101311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642A KR101311765B1 (ko)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642A KR101311765B1 (ko)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765B1 true KR101311765B1 (ko) 2013-09-26

Family

ID=494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642A Active KR101311765B1 (ko) 2012-08-08 2012-08-08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7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452B1 (ko) * 1989-03-08 1994-10-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쉬트이송장치
KR100453565B1 (ko) 2002-02-27 2004-10-20 동보케미칼산업(주) 비닐 시트의 접합 및 절단장치
KR100948392B1 (ko) 2009-08-31 2010-03-19 (주)월암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KR100957848B1 (ko) 2009-09-18 2010-05-14 (주)월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452B1 (ko) * 1989-03-08 1994-10-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쉬트이송장치
KR100453565B1 (ko) 2002-02-27 2004-10-20 동보케미칼산업(주) 비닐 시트의 접합 및 절단장치
KR100948392B1 (ko) 2009-08-31 2010-03-19 (주)월암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KR100957848B1 (ko) 2009-09-18 2010-05-14 (주)월암 배관보수용 원단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89474B (zh) 一种换热器用的弯管装置
CN113458531B (zh) 一种空调生产用铜管辅助焊接装置
CN107275682A (zh) 一种锂电池电芯外膜热熔机构
CN104818854A (zh) 一种新型钢筋绑扎器
CN105691774B (zh) 瑜伽垫套管式自动弯卷包装设备
CN119058111B (zh) 一种三防帆布封边套环机
CN107985652B (zh) 一种极群自动化连续式包膜工艺
KR101311765B1 (ko) 배관용 보온재의 방향전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전환방법
CN110027933A (zh) 自动接料机构
KR101192847B1 (ko) 롤 테이프 자동절단기
KR20130058115A (ko)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과 이 전열판의 제조 적층장치 및 방법
CN210257308U (zh) 一种卷材与板材热压复合系统
CN220217393U (zh) 一种穿管机
CN108127046A (zh) 工件冲孔用夹紧装置
US683796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ing pieces of thermoplastic material to form cellular blocks
CN103934657B (zh) Ptc发热芯自动装配机的ptc元件提取机构结构
JP3633910B2 (ja) 超音波溶着装置
CN117047845A (zh) 一种剪纸工艺品制作用裁剪装置
CN207825673U (zh) 一种smt双面接料带装置
US20240000176A1 (en)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bonding device
CN106299028A (zh) 柔性电池卷二极管焊接生产线
TWM513845U (zh) 夾鏈封合壓合機構
KR20160000254A (ko) 제대 통필름 실링장치
KR200226840Y1 (ko) 원단포장기의 포장비닐 융착부 절단장치
CN111070795B (zh) 蜂窝纸芯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