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44B1 - Digital door lock to lock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ing two ratio frequency - Google Patents
Digital door lock to lock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ing two ratio frequenc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1444B1 KR101311444B1 KR1020120033310A KR20120033310A KR101311444B1 KR 101311444 B1 KR101311444 B1 KR 101311444B1 KR 1020120033310 A KR1020120033310 A KR 1020120033310A KR 20120033310 A KR20120033310 A KR 20120033310A KR 101311444 B1 KR101311444 B1 KR 101311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 remote controller
- mpu
- unique number
-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모콘의 문 열림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리모콘을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록과 연결된 출입문 밖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록을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고 문열림 스위치를 구비한 리모콘 및 리모콘과의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디지털 도어록의 문열림을 제어하며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 데이터를 외부 입력하는 문열림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 제어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리모콘은, 무선 제어부의 제1주파수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번호를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 제1주파수 수신부를 통해 무선 제어부로부터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가 수신시 슬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어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둔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무시하고 동일하면 제3전원 제어부를 구동시켜 제2주파수 송신부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리모콘의 문 열림 스위치가 누렸을 때 제3전원 제어부와 제4전원 제어부를 구동시켜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와 문 열림데이터를 제2주파수 송신부로 출력하는 MPU; 및 제2주파수 송신부는 MPU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증폭부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신부로 구성되고, 무선 제어부는, 리모콘 고유의 문의 번호를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신부;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 조작에 의해 무선 제어부에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데이터가 입력시 제1전원 제어부를 구동시켜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로 출력하고, 제2전원 제어부가 ON 되었을 때 제2주파수 수신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데이터 입력시 메모리에 미리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비교하여 맞으면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도어록으로 외부 출력 문 열림 데이터를 전달하는 보조 MPU; 보조 MPU의 제어로 제1주파수 송신부와 제2주파수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2전원 제어부; 리모콘의 제2주파수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보조 MPU에 공급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a digital door lock utilizing two kinds of radio frequency, and to operate the door opening switch of the remote control or to operate the specific switch outside the door connected to the door lock while carrying the remote control to lock the door lock. And release i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ortable between the user and the remote control having a door open switch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wo kinds of radio frequencies with the remote control is performed to control the door opening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he first frequency by a specific switch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A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wireless control unit having a door open switch for externally inputting command data for transmission,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ing: a first frequency receiving unit receiving a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inquiry number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of the wireless control unit; When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inquiry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ntrol unit through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s in a normal state from the sleep state. The signal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Drive the controller to output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door open data to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and when the door open switch of the remote controller is pressed, drive the third power controller and the fourth power controller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query signal and door open data. An MPU for outputting the second frequency to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And a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 data output from the MPU through the amplifier and the antenna, and the wireless controller wirelessly transmits the inquiry number unique to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antenna. A first frequency transmitter; When command data for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is input to the wireless control unit by a specific switch operation of the digital door lock,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is driven to output a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inquiry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is turned on.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frequency receiving unit when the data input by comparing the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ing data pre-input in the memory when the auxiliary MPU to deliver the external output door opening data to the digital door lock not shown; First and second power controllers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er and the second frequency receiver under control of the auxiliary MPU; And a second frequency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door open data transmitted from a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of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an antenna and supply the auxiliary MPU to the auxiliary MPU.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의 문 열림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리모콘을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록과 연결된 출입문 밖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록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a digital door lock utilizing two kinds of radio frequencies, and more particularly, to operate a door opening switch of a remote control or a specific switch outside a door connected to the door lock while carrying a remote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a digital door lock using two kinds of radio frequencies to release the door lock.
일반적으로, 실내외를 출입하도록 안내하는 출입문의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록이 설치된다.In general, door lock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door for guiding the indoor and outdoor doors to rotate in one direction.
이러한 도어록에는 불특정인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키 실린더가 설치되고, 특정 키에 의해서만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된 기계식이 대부분이다. In such door locks, a key cylinder is installed to prevent an unspecified person from entering the room, and most of the mechanical locks are configured to rotate freely only by a specific key.
그러나, 이러한 키와 실린더로 이루어진 기계식 도어록은 키 휴대의 불편성, 분실의 위험성, 조작상의 번거로움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전자식 도어록 또는 디지털 도어록이 개발되고 있다.However, mechanical door locks made of such keys and cylinder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with electronic door locks or digital door locks due to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of carrying keys, risk of loss, and troublesome operation.
예컨데, 전자식 도어록 또는 디지털 도어록은 키 실린더와 맞물리는 키 대신 비밀번호나 반도체 칩, 스마트 카드,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도어록 시스템을 일컫는다. For example, an electronic door lock or a digital door lock refers to a door lock system that can recognize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a semiconductor chip, a smart card, a fingerprint or an iris, instead of a key engaged with a key cylinder.
이들은 입력된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솔레노이드나 전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데드 볼트가 전후진되면서 잠금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They are to release the lock only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therein. Typically, by driving the solenoid or the electric motor, the dead bolt is moved back and forth to lock and release the lock.
또한, 사용상의 편리성으로 인해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도어록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884045호(2009. 02. 19.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509799호(2005. 08. 24.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964458호(2010. 06. 16. 등록공고),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119541호(2009. 05. 27. 공개) 등에 이미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which is widely used due to the convenience of use is domestically registered patent No. 10-0884045 (2009. 02. 19. registered notification),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509799 (2005. 08. 24. Registration notice), domestic registration No. 10-0964458 (2010. 06. 16. registration announcement), domestic publication No. 10-2007-0119541 (2009. 05. 27. publication) and the like has already been disclosed.
먼저, 국내 등록특허 제10-0884045호(2009. 02. 19. 등록공고)의 '터치패드를 구비한 도어록 및 그의 제어방법'은 '데드볼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데드볼트 구동 유닛과; 터치패드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접촉 지점에 해당하는 접촉번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유닛과; 터치패드 유닛에 입력되는 사용자 번호와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사용자 인증의 결과에 따라 데드볼트 구동 유닛에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터치패드 유닛으로부터 제1접촉 번호가 입력된 후 소정의 기준 시간 이내에 제2접촉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접촉번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접촉번호를 사용자 번호 중 하나로 간주하고, 터치패드 유닛으로부터 제1접촉 번호가 입력된 후 소정의 기준 시간 이내에 제2접촉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접촉번호 및 제2접촉번호를 구분자의 입력인 것으로 판단하며, 사용자 번호가 입력되는 도중에 구분자 입력이 적어도 1회 이상 입력되고, 입력된 사용자 번호의 개수가 비밀번호의 개수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 인증을 행하여 데드볼트 구동 유닛에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door lock with a touch pad and its control method' of Korean Patent No. 10-0884045 (2009. 02. 19. registered notification) is a 'dead bolt drive unit for operating a dead bolt; A touch pad unit configured to detect a capacitance of the touch pad and output a contact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unlock signal to the dead bolt drive unit according to a result of user authentication comparing the user number input to the touch pad unit with a pre-stored password,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ontact number from the touch pad unit. If the second contact number is not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fter the input is entered, the user judges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the first contact number and regards the first contact number as one of the user numbers, When the second contact number is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fter the first contact number is input, the first contact number and the second contact number are determined to be a delimiter input, and the delimiter input is at least 1 while the user number is input. If the number of times entered is more than once and the number of the entered user number is equal to the number of passwords, Authenticating and outputting a unlocking signal to the dead bolt drive unit.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509799호(2005. 08. 24. 등록공고)의 '지능형 암호생성키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은 ' 근접식 카드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디지털도어록에 있어서, 공개되지 않은 소정의 홀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수에 의해 공동키 및 오일러 함수를 구하며, 도출된 함수와 서로소인 수를 선택하여 유클리드 호제법에 의해 소정의 키를 구한 후, 공동키와 서로소인 수를 공개키로 사용하고, 공동키와 유클리드 호제법에 의해 구한 소정의 키를 개인키로 사용하여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근접식카드 단말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oor Lock Using Intelligent Encryption Key'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09799 (registered notification on Aug. 24, 2005) is not disclosed in the digital door lock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proximity card. Choose odd number of, obtain joint key and Euler function by selected number, select derived function and mutual number and get predetermined key by Euclidean method, then use common key and mutual number as public key And a proximity card terminal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transmitting encrypted data generated using a predetermined key obtained by the common key and the Euclidean method.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964458호(2010. 06. 16. 등록공고)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도어잠금 및 그 방법'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로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도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도어 비밀번호를 이동 통신망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는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이동 통신망의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CDMA 모뎀; CDMA 모뎀을 통해 수신한 도어 비빌번호에 대한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의 어떤 키버튼 값이 전송되었는지를 해독하는 DTMF 수신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는 비밀번호 저장부; 도어의 잠금 또는 개방을 실행하는 모티스락; 구동 신호에 따라 모티스락을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시키는 모터 구동부; DTMF 수신부로부터 도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도어 비밀번호를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모터 구동부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모티스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장치 전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oor lock using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64458 (2010. 06. 16. registered notification) 'move to open and close the door using a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A door locking device using a terminal,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for wirelessly converting a door password into a frequency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door password for opening a door is input; A CDMA modem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frequency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 DTMF receiver which analyzes the frequency of the frequency signal with respect to the door password received through the CDMA modem and decodes which key button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is transmitted; Passwor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door as data; Mortis lock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 motor driver which opens the door by operating the mortise lock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When the door password is input from the DTMF receiv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lock state of the mortise lock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motor driving unit when the door password is matched with the password stored in the password storage unit. ;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s a whole.
마지막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7-0119541호(2009. 05. 27. 공개)의 '숙박시설용 무선 리모콘 키 시스템'은 '제1접속신호 및 개폐신호를 송신하는 제1근거리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콘키; 제1접속신호 및 개폐신호를 수신하고, 개폐신호에 따라 객실의 도어록 장치를 개폐시키며, 제2접속신호 및 전원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2근거리무선통신부; 및 제2접속신호 및 전원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객실의 전원 라인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3근거리무선통신부'로 구성되어 있다.Finally, the 'wireless remote control key system for accommodation facilitie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9541 (published on May 27, 2009) includes a first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first access signal and an opening / closing signal. A remote control key; A seco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first access signal and the open / close signal, opens and closes the door lock device of the room according to the open / close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access signal and the power control signal; And a third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second connection signal and the power control signal and supplies or cuts power to the power line of the cabin.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은 출입문을 해제시키는 방법으로서 비밀번호, 카드, 반도체 키, 리모콘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불편함이 있는데, 즉 비밀번호의 경우 비밀번호를 기억해야 하고 4자리수 이상을 입력해야 하며 카드, 반도체 키, 리모콘 등도 지갑 또는 호주머니에서 꺼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The prior art including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ses a password, a card, a semiconductor key, a remote control and the like as a method of releasing the door. However, this method is inconvenient, that is, in the case of a password, you need to remember the password, enter more than four digits, cards, semiconductor keys, remote control, etc. are also inconvenient to take out from the wallet or pocket.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리모콘이나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디지털 도어록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n object to enable the user to release the digital door lock by operating a specific switch of the remote control or digital door lock that the user carri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고 문열림 스위치를 구비한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과의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디지털 도어록의 문열림을 제어하며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 데이터를 외부 입력받고 데이터 분석결과를 외부출력하는 무선 제어부로 구비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무선 제어부의 제1주파수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를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를 통해 무선 제어부로부터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가 수신시 슬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어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 둔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무시하고 동일하면 제3전원 제어부를 구동시켜 제2주파수 송신부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문 열림 스위치가 눌렸을 때 제3전원 제어부와 제4전원 제어부를 구동시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 열림데이터를 제2주파수 송신부로 출력하는 MPU; 및 상기 MPU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증폭부와 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신부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제어부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안테나(22)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신부; 상기 무선 제어부는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데이터가 입력시 제1전원 제어부를 구동시켜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로 출력하고, 제2전원 제어부가 ON 되었을 때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데이터 입력시 메모리에 미리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비교하여 맞으면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도어록으로 외부 출력 문 열림 데이터를 전달하는 보조 MPU; 상기 보조 MPU의 제어로 상기 제1주파수 송신부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제1,2전원 제어부; 상기 리모콘의 제2주파수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보조 MPU에 공급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로 구성되고, 상기 MPU는 다수의 제1주파수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후 분석하여 제2주파수 송신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MPU는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를 통해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의 문의 신호가 메모리에 미리 입력된 신호와 동일하면 불규칙한 난수를 발생시켜 상기 제3전원 제어부의 제어 시작시간을 시간차를 두고 제어하고, 상기 리모콘의 문열림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제3전원 제어부와 상기 제4전원 제어부는 상기 MPU의 제어로 상기 제2주파수 송신부와 상기 증폭부에 공급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 MPU는 상기 제2전원 제어부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하고, 상기 보조 MPU는 상기 제2주파수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의 분석이 완료될때까지 상기 제2전원 제어부의 전원을 ON상태로 유지하다가 분석 완료 후 다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the digital door lock using two kinds of radio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ser is a remote control having a door opening switch; And a wireless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wo types of radio frequencies with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of the digital door lock, externally receiving command data for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from the digital door lock, and externally outputting the data analysis result. As configured, the remote control includes: a first frequenc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query transmitted wirelessly from a first frequency transmitting unit of the wireless control unit; When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que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ntrol unit through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and is operated in a normal state in a sleep state,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query signal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a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 driving the power control unit to output the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ing data to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and when the door opening switch is pressed to drive the third power control unit and the fourth power control unit to display the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and door opening data An MPU output to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And a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door open data output from the MPU through an amplifier and an antenna, wherein the wireless controller wirelessly transmits a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query signal through a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리모콘이나 디지털 도어록을 구성하는 특정 스위치의 조작으로 무선 제어부를 통해 디지털 도어록을 작동시켜 문열림을 제어함으로써 호주머니나 지갑 등에 넣고 다니는 리모콘을 꺼내지 않고도 문을 열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oor opening by operating the digital door lock through the wireless control unit by the operation of a specific switch constituting the remote control or digital door lock can open the door without taking out the remote control carried in the pocket or wallet, etc. will b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2 및 도3은 리모콘이나 출입문 밖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문 열림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a digital door lock using two types of radio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igital door lock by operating a specific switch of the remote control or the door lock outside the door.
이하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Applicant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a digital door lock using two types of radio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고 문열림 스위치(SW)를 구비한 리모콘(1)과, 상기 리모콘(1)과의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디지털 도어록의 문열림을 제어하며 디지털 도어록에 부착된 특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 데이터를 외부 입력받는 무선 제어부(2)로 구성된다. 1, a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a digital door lock utilizing two kinds of radio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는 리모콘(1)을 휴대한 사용자가 조작이 용이하도록 출입문 밖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specific switch of the digital door lock is installed outside the door so that the user carrying the
상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리모콘(1)은 제1주파수 수신부(11), MPU(10), 메모리(13), 전원부(14), 제3전원 제어부(16), 제4전원 제어부(17), 제2주파수 송신부(15), 증폭부(18), 안테나(19)로 구성된다.The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11)는 무선 제어부(2)의 제1주파수 송신부(21)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를 수신한다.The
상기 MPU(10)는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무선 제어부(2)로부터 리모콘 고유의 문의 번호가 수신시 슬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어 입력된 리모콘 고유의 문의 신호를 분석하여 메모리(13)에 미리 저장해 둔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무시하고 동일하면 제3전원 제어부(16)를 구동시키고,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출력한다.The
또한 리모콘(1)의 문 열림 스위치(SW)가 인위적으로 누렸을 때 MPU(10)는 제3전원 제어부(16)와 제4전원 제어부(17)를 구동시키고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 열림데이터를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open switch SW of the
상기 제2주파수 송신부(15)는 MPU(10)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증폭부(18)와 안테나(19)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The
또한 MPU(10)는 다수의 제1주파수 송신부(21)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의 문의 번호를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수신한 후 분석하여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다수의 리모콘(1)이 동시에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구동시켜 각각의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동시에 송출하면 무선주파수의 충돌이 있을 수 있으므로 리모콘(1)의 MPU(10)는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입력된 리모콘 고유의 문의 번호가 MPU(10) 메모리(13)에 미리 입력된 신호와 동일하면 불규칙한 난수를 발생시켜 제3전원 제어부(16)의 제어 시작시간을 시간차를 두고 제어하여 다수의 리모콘(1)에 의한 무선주파수 충돌우려를 없앨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상기 제3전원 제어부(16)와 상기 제4전원 제어부(17)는 MPU(10)의 제어로 제2주파수 송신부(15)와 증폭부(18)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The
상기 출입문 밖에 디지털 도어록과 연동되는 무선 제어부(2)는 제1주파수 송신부(21), 보조 MPU(20), 제2주파수 수신부(25), 전원부(24), 제1전원 제어부(23), 제2전원 제어부(27)로 구성된다.The wireless control unit 2 which is interlocked with the digital door lock outside the door includes a
상기 제1주파수 송신부(21)는 보조 MPU(20)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 고유의 문의 번호를 안테나(22)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The
상기 보조 MPU(20)는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 조작시 무선 제어부(2)의 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데이터가 입력시 제1전원 제어부(23)를 구동시키고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21)로 출력한다.The auxiliary MPU 20 drives the first
또한 보조 MPU(20)는 제2전원 제어부(27)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PU 20 turns on / off the second
즉 제2전원 제어부(27)가 ON 되었을 때 제2주파수 수신부(25)에 전원이 공급되어 보조 MPU(20)로 수신데이터가 입력되므로 보조 MPU(20)는 메모리(26)에 미리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비교하여 맞으면 제2주파수 데이터 분석결과를 외부 입출력 단자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도어록으로 외부 출력 문 열림 데이터를 전달한다. That is, when the second
이때 제2전원 제어부(27)를 주기적으로 ON/OFF하는 보조 MPU(20)는 제2주파수 송신부(15)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의 분석이 완료될때까지 ON상태를 유지하다가 분석 완료 후 다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한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MPU 20 periodically turning on / off the second
상기 제1전원 제어부(23)와 상기 제2전원 제어부(27)는 보조 MPU(20)의 제어로 상기 무선 제어부(2)가 건전지나 배터리 등을 사용하므로 전원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제1주파수 송신부(21)와 제2주파수 수신부(25)에 공급되는 전원을 필요한 시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The first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25)는 상기 리모콘(1)의 제2주파수 송신부(15)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안테나(28)를 통해 수신하여 보조 MPU(20)에 공급한다.The
또한 무선 제어부(2)에서도 다수의 리모콘에 의한 무선 주파수 충돌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주파수 수신부(25)를 통해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가 수신시 상기 보조 MPU(20)는 무선 주파수 충돌로 인해 판단하기 어려울 때 메모리(26)에 미리 입력된 다수의 리모콘 고유번호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첫번째 리모콘 고유번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21)를 통해 무선 송출하고, 리모콘(1)의 MPC(10)는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리모콘 고유번호를 분석한 후 메모리에 저장된 자신의 고유번호와 동일하면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통해 무선주파수를 송출하고, 제2주파수 수신부(25)를 통해 무선주파수를 수신한 무선 제어부(2)의 보조 MPU(20)는 이를 분석하여 미리 메모리(26)에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와 비교분석하여 맞으면 외부 출력, 즉 디지털 도어록으로 문열림신호를 출력하고, 틀리면 두번째 고유번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21)를 출력한다.In addition, since there may be a radio frequency collision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in the wireless controller 2, the auxiliary MPU 20 is wireless when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 data are received through the
위와 같은 동작이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므로 무선 제어부(2)에서의 무선 주파수 충돌을 피할 수 있다.Since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sequentially, radio frequency collision in the radio controller 2 can be avoided.
도2 및 도3은 리모콘이나 출입문 밖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여 디지털 도어록의 문 열림을 제어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digital door lock by operating a specific switch of the remote control or the door lock outside the door.
먼저, 무선 제어부(2)의 경우 디지털 도어록이 배터리나 건전지를 사용하므로 배터리나 건전지 소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제1주파수 송신부(21)와 제2주파수 수신부(25)에 공급되는 전원을 필요한 시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First, in the case of the wireless control unit 2, the digital door lock uses a battery or a battery,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특정 스위치 등의 조작으로 인하여 외부 입력으로 제1주파수 송신을 송출하라는 명령 데이터가 입력(S31)(S32)되면, 보조 MPU(20)는 제1전원 제어부(23)를 구동시켜(S33) 메모리에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21)와 안테나(22)를 무선 송출한다(S34).When command data for transmitting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to the external input is input (S31) (S32) due to a specific switch or the like, the auxiliary MPU 20 drives the first power control unit 23 (S33) to the memory. The first
무선 송출된 리모콘 고유의 문의 신호가 리모콘(1)의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거쳐 MPU(10)의 인터럽트 단자로 입력되면, MPU(10)는 슬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어 입력된 신호를 분석(S23)하여 메모리(13)에 미리 저장해 둔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무시하고 동일하면 제3전원 제어부(16)를 구동시켜(S26) 제2주파수 송신부(15)에 전원을 인가하고,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입력하여 안테나(19)를 통해 무선 송출(S28)한다. 이때 제4전원 제어부(17)는 구동시키지 않는다.When the inquiry signal unique to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is input to the interrupt terminal of the
제2주파수 송신부(15)에서 송출된 신호는 제2주파수 수신부(25)의 안테나(28)를 통해 입력되어 보조 MPU(20)로 입력된다. 이때 보조 MPU(20)는 제2전원 제어부(27)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한다. 제2전원 제어부(27)가 ON 되었을 때(S36) 제2주파수 수신부(25)에 전원이 공급되어 보조 MPU(20)로 데이터를 입력되므로 보조 MPU(20)는 메모리(26)에 미리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비교(S37)하여 맞으면(S38) 외부 문열림 데이터를 디지털 도어록에 전달한다(S39). 이때 주기적으로 ON/OFF하는 보조 MPU(20)는 제2주파수 송신부(15)에서 송출된 신호의 분석이 끝날 때까지 ON상태로 되고 분석 후 다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한다.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또한 리모콘(1)의 문열림 스위치(SW)가 누렸을 때(S24) MPU(10)는 문 열림데이터를 입력받고 제3전원 제어부(16)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제4전원 제어부(17)를 구동시킨 후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출력하는데, 이때 무선신호는 증폭부(18)에 의해 증폭되어 안테나(19)를 통해 무선 방출된다. In addition, when the door open switch SW of the
리모콘(1)의 경우 다수의 제1주파수 송신부(21)의 신호를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받은 MPU(10)는 입력신호를 분석하여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리모콘(1)이 동시에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구동시켜 각각의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동시에 무선 송출하면 무선주파수의 충돌이 있을 수 있으므로 리모콘 MPU(10)는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MPU(10) 메모리(13)에 미리 입력된 신호와 동일하면 불규칙한 난수를 발생시켜 제3전원 제어부(16)의 제어 시작시간을 시간차를 두고 제어하여 다수의 리모콘(1)에 의한 무선주파수 충돌우려를 없앤다.In the case of the
또한 무선 제어부(2)에서도 다수의 리모콘(1)에 의한 무선 주파수 충돌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주파수 수신부(2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무선 주파수 충돌로 인해 보조 MPU(20)가 판단하기 어려울 때 보조 MPU(20)는 미리 메모리(26)에 입력된 다수의 리모콘 고유번호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첫번째 고유번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21)를 입력하여 무선 주파수와 함께 송출하고, 이는 리모콘(1)의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MPU(10)에 수신되어 분석된 후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통해 무선주파수를 송출한다.In addition, since there may be a radio frequency collision by the plurality of
또한 무선 제어부(2)의 제2주파수 수신부(25)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보조 MPU(20)는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메모리(26)에 입력된 고유번호와 비교분석하여 맞으면 외부 출력으로 문열림 데이터를 디지털 도어록으로 출력하고 틀리면 두번째 고유번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a signal is input through the
위와 같은 동작이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이루어지므로 무선 제어부(2)에서의 무선 주파수 충돌을 피할 수 있다.Since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sequentially, radio frequency collision in the radio controller 2 can be avoided.
1 : 리모콘 2 : 무선 제어부
10 : MPU 11 : 제1주파수 수신부
12, 19, 22, 28 : 안테나 13, 26 : 메모리
14, 24 : 전원부 15 : 제2주파수 송신부
16 : 제3전원 제어부 17 : 제4전원 제어부
18 : 증폭부 20 : 보조 MPU
21 : 제1주파수 송신부 23 : 제1전원 제어부
25 : 제2주파수 수신부 27 : 제2전원 제어부1: remote control 2: wireless control unit
10: MPU 11: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12, 19, 22, 28:
14, 24: power supply unit 15: second frequency transmission unit
16: third power control unit 17: fourth power control unit
18: amplifier 20: auxiliary MPU
21: first frequency transmitter 23: first power controller
25: second frequency receiver 27: second power control unit
Claims (7)
상기 리모콘(1)과의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디지털 도어록의 문열림을 제어하며 디지털 도어록으로부터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 데이터를 외부 입력받고 데이터 분석결과를 외부출력하는 무선 제어부(2)로 구비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리모콘(1)은,
상기 무선 제어부(2)의 제1주파수 송신부(21)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를 수신하는 제1주파수 수신부(11);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무선 제어부(2)로부터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가 수신시 슬립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동작되어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분석하여 메모리(13)에 미리 저장해 둔 데이터값과 비교하여 틀리면 무시하고 동일하면 제3전원 제어부(16)를 구동시켜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문 열림 스위치(SW)가 눌렸을 때 제3전원 제어부(16)와 제4전원 제어부(17)를 구동시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 열림데이터를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출력하는 MPU(10); 및
상기 MPU(10)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증폭부(18)와 안테나(19)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2주파수 송신부(15)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제어부(2)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안테나(22)를 통해 무선 송출하는 제1주파수 송신부(21);
상기 무선 제어부(2)는 디지털 도어록의 특정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제1주파수 송신을 위한 명령데이터가 입력시 제1전원 제어부(23)를 구동시켜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송신부(21)로 출력하고, 제2전원 제어부(27)가 ON 되었을 때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25)에 전원이 공급되어 데이터 입력시 메모리(26)에 미리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비교하여 맞으면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도어록으로 외부 출력 문 열림 데이터를 전달하는 보조 MPU(20);
상기 보조 MPU(20)의 제어로 상기 제1주파수 송신부(21)와 상기 제2주파수 수신부(25)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상기 제1,2전원 제어부(23)(27);
상기 리모콘(1)의 제2주파수 송신부(15)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를 안테나(28)를 통해 수신하여 보조 MPU(20)에 공급하는 제2주파수 수신부(25)로 구성되고,
상기 MPU(10)는 다수의 제1주파수 송신부(21)로부터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 문의 신호를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수신한 후 분석하여 제2주파수 송신부(15)를 구동시키며,
상기 MPU(10)는 상기 제1주파수 수신부(11)를 통해 입력된 리모콘 고유번호의 문의 신호가 메모리(13)에 미리 입력된 신호와 동일하면 불규칙한 난수를 발생시켜 상기 제3전원 제어부(16)의 제어 시작시간을 시간차를 두고 제어하고,
상기 리모콘(1)의 문열림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제3전원 제어부(16)와 상기 제4전원 제어부(17)는 상기 MPU(10)의 제어로 상기 제2주파수 송신부(15)와 상기 증폭부(18)에 공급되는 전원부(14)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조 MPU(20)는 상기 제2전원 제어부(27)를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하고, 상기 보조 MPU(20)는 상기 제2주파수 송신부(15)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리모콘 고유번호와 문열림 데이터의 분석이 완료될때까지 상기 제2전원 제어부(27)의 전원을 ON상태로 유지하다가 분석 완료 후 다시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종류의 무선주파수를 활용한 디지털 도어록의 리모콘 문열림 제어시스템.
A remote controller 1 which is portable by a user and has a door open switch SW; And
A wireless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wo types of radio frequencies with the remote controller 1 and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of the digital door lock, externally receiving command data for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from the digital door lock, and outputting the data analysis result externally ( 2) as configured with,
The remote control 1,
A first frequency receiver (11)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query transmitted from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er (21) of the wireless controller (2);
When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quer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ntrol unit 2 through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11, the remote controller operates in a normal state in a sleep state, and analyzes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query signal and stores the data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3. Compared to the above, it is ignored, and if it is the same, the third power controller 16 is driven to output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 data to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and when the door open switch SW is pressed, An MPU 10 driving the power control unit 16 and the fourth power control unit 17 to output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 data to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And
And a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ing data output from the MPU 10 through the amplifier 18 and the antenna 19,
The wireless control unit 2,
A first frequency transmitter 21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query signal through an antenna 22;
The wireless control unit 2 drives the first power supply control unit 23 when the command data for the first frequency transmission is input by an operation of a specific switch of the digital door lock, and transmits a remote control unique number inquiry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er 21. When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27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 frequency receiving unit 25, and when the data is input,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previously input to the memory 26 is compared with the door opening data. An auxiliary MPU 20 for transmitting external output door opening data to a digital door lock (not shown);
First and second power controllers (23) (27)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first frequency transmitter (21) and the second frequency receiver (25) under control of the auxiliary MPU (20);
And a second frequency receiver 25 which receives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the door open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of the remote controller 1 through the antenna 28 and supplies it to the auxiliary MPU 20. ,
The MPU 10 receives and analyzes a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inquiry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first frequency transmitters 21 through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11 to drive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The MPU 10 generates an irregular random number when the inquiry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inputted through the first frequency receiver 11 is the same as a signal previously input to the memory 13 to generate the random power number 16. Control the start time of control with time difference,
When the door open switch of the remote controller 1 is pressed, the third power controller 16 and the fourth power controller 17 are controlled by the MPU 10 to control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and the amplification unit ( In the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of the digital door lock utilizing two kinds of radio frequencies,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4 supplied to 18),
The auxiliary MPU 20 periodically turns on / off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27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auxiliary MPU 20 opens a remote controller unique number and a door open wirelessly from the second frequency transmitter 15. Until the analysis of the data is completed, the power supply of the second power control unit 27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analysis, the digital door lock using two types of radio frequencies, characterized in tha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gain. Remote control door opening control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310A KR101311444B1 (en) | 2012-03-30 | 2012-03-30 | Digital door lock to lock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ing two ratio frequenc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3310A KR101311444B1 (en) | 2012-03-30 | 2012-03-30 | Digital door lock to lock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ing two ratio frequenc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11444B1 true KR101311444B1 (en) | 2013-09-25 |
Family
ID=4945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3310A Active KR101311444B1 (en) | 2012-03-30 | 2012-03-30 | Digital door lock to lock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ing two ratio frequenc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144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6723A (en) | 2016-01-18 | 2017-07-27 | (주)링크일렉트로닉스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proximity access controll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6062A (en) * | 2000-10-20 | 2001-03-05 | 강중길 | A door/starting control unit of a car using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card, and the control method |
KR20090020796A (en) * | 2007-08-24 | 2009-02-27 | 송계원 |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Control Method |
-
2012
- 2012-03-30 KR KR1020120033310A patent/KR1013114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16062A (en) * | 2000-10-20 | 2001-03-05 | 강중길 | A door/starting control unit of a car using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card, and the control method |
KR20090020796A (en) * | 2007-08-24 | 2009-02-27 | 송계원 |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Control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6723A (en) | 2016-01-18 | 2017-07-27 | (주)링크일렉트로닉스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proximity access controll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4714B2 (en) |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 |
US1023118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ally operable access devices using WI-FI and radio frequency technology | |
US200400365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 |
KR101866375B1 (en) |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proximity access controller | |
CN109695383B (en) | Key uni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 |
KR101767496B1 (en) | Digital Door-Lock having Automatic Unlock Funciton Using Smart 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503147B2 (en) | Near field communications activated door access panel | |
KR101311444B1 (en) | Digital door lock to lock and release device and method using two ratio frequency | |
JP7009181B2 (en) | Door control system | |
KR100649571B1 (en) | How to register and delete wireless transceiver in digital door lock, and digital door lock and wireless transceiver using the same | |
KR20200045905A (en) | Multi door lock system and its unlocking method | |
EP3467238A1 (en) | Electric lock system and electric lock device | |
KR100908473B1 (en) | Digital Door Lock System Us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2040779B1 (en) | Contactless lock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lock by using the same | |
KR101255733B1 (en) | Method of generating cyber key and system for the same | |
JP5679685B2 (en) | Electric lock system | |
JP5903601B2 (en) | Electric lock system and control unit | |
KR20190000536U (en) | Digital Door-Lock System | |
KR200361322Y1 (en) | Door rock control apparatus using mobile phone | |
US2019010870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tter | |
CN213904417U (en) | Key-free triggering device, entrance guard device and elevator control device | |
RU218052U1 (en) | RECEIVING MODULE FOR SECURE ENTRANCE CONTROL SYSTEM ALLOWING HAND-FREE ENTERING A CONTROLLED AREA | |
KR100634567B1 (en) | Recording medium recording door open / clos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 |
JP2597044B2 (en) | IC card | |
KR20180136784A (en) | Digital Door-Lock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