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1425B1 - 창호의 힌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창호의 힌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425B1
KR101311425B1 KR1020120086659A KR20120086659A KR101311425B1 KR 101311425 B1 KR101311425 B1 KR 101311425B1 KR 1020120086659 A KR1020120086659 A KR 1020120086659A KR 20120086659 A KR20120086659 A KR 20120086659A KR 101311425 B1 KR101311425 B1 KR 10131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link
coupled
coupling members
hinge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최홍기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진 filed Critical (주)명진
Priority to KR102012008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05D15/4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with pivoted arms and slid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15/5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the swinging axis laying in the slid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내측에 은폐되도록 구비되어 외관상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구비되어 안정적인 작동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프레임(F)에 개폐 가능하도록 창호(W)를 결합하도록 된 힌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 각각 결합되는 바아 형태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10,11)와;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장공 형태의 제1 및 제2 가이드공(12,13)과; 상기 결합부재(10,11)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X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14,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재(14,15)는 상기 각 가이드공(12,13)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양단에 가이드핀(16,16)이 구비된 제1 링크부재(14)와; 상기 제1 링크부재(14)에 면접되도록 링크축(17)에 의해 힌지결합되되, 양단에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18,18)이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창호의 힌지 구조물{Hinge device of doors and windows}
본 발명은 창호의 힌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내측에 은폐되도록 구비되어 외관상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구비되어 안정적인 작동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나 창문과 같은 창호은 그 개폐방식에 따라 문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미닫이 방식과 문틀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현관문의 경우에는 여닫이 형태로 구비되고, 창문의 경우에는 미닫이문 형태로 구비되나, 아파트 등의 대피창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여닫이 형태로 구비되어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 창문을 용이하게 열어 환기 또는 대피할 수 있는 탈출구로 활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대피창과 같은 여닫이 형태의 창문은 상단과 하단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된 힌지 구조물에 의해 개폐되는데, 종래의 힌지 구조물은 대개 창문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3절링크 형태로 된 다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힌지 구조물은 3개 이상의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며, 또한 일부에서는 힌지 구조물이 창호의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힌지 구조물은 3절링크에 의해 절첩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각 링크부재 간의 절첩 동작이나 힘의 전달 등이 원활하지 못해 작동상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힌지 구조물은 창문이 일정 위치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해 창문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환기 등을 위해 창문을 일부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워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으며, 또한 일부에서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창문의 개방각도를 조절장치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 및 작동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0382971호) 2003. 04. 2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창호의 내측에 은폐되도록 구비되어 외관상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창호프레임(F)에 개폐 가능하도록 창호(W)를 결합하도록 된 힌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 각각 결합되는 바아 형태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10,11)와;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장공 형태의 제1 및 제2 가이드공(12,13)과;
상기 결합부재(10,11)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X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14,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재(14,15)는 상기 각 가이드공(12,13)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양단에 가이드핀(16,16)이 구비된 제1 링크부재(14)와;
상기 제1 링크부재(14)에 면접되도록 링크축(17)에 의해 힌지결합되되, 양단에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18,18)이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는 상기 결합부재(10,11)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별체로 구비되어 상기 창호(W)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도록 된 개방제한수단(20)이 구비되되, 이 개방제한수단(20)은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 중의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고정핀(21)과, 상기 고정핀(21)에 대응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 중의 다른 하나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2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걸림편(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22)에는 상기 고정핀(21)이 가이드되는 장공(24) 및 이 장공(2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1)이 착탈 가능하도록 된 개구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X자 형태를 이루는 각 링크부재(14,15)의 양단이 각각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0,11)에 결합된 상태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14,15)는 상호 겹친 상태로 위치됨과 동시에 각 링크부재(14,15)의 양단이 결합부재(10,11)에 결합됨으로 인해 구성이 컴팩트하여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창호(W)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각 링크부재(14,15)는 가이드공(12,13)을 따라 슬라이드되거나 힌지축(18,18)에 의해 회동됨으로 인해 창호(W)의 초기동작이 원활하면서도 원활한 개폐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창호(W)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도록 된 개방제한수단(2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개방제한수단(20)에 의해 창호(W)의 개방각도를 일부 제한함으로 인해 환기 등을 목적으로 창호(W)를 일부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 구조물은 도어나 창문과 같은 창호(W)를 건물의 외부측으로 개방할 수 있는 여닫이 방식의 개폐구조를 갖는 것으로,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 각각 결합되는 바아 형태의 제1 결합부재(10)와 제2 결합부재(11)가 구비되고, 이 결합부재(10,11)에는 X자 형태의 링크부재(14,15)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는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제1 및 제2 가이드공(12,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가이드공(12)은 상기 제1 결합부재(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공(13)은 상기 제2 결합부재(11)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각 가이드공(12,13)은 상기 각 결합부재(10,11)가 상호 겹친 상태에서 위치를 달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링크부재(14,15)는 길이방향 일측이 링크축(17)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X자 형태를 이루는 제1 링크부재(14)와 제2 링크부재(15)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 링크부재(14)는 양단에 각각 상기 각 가이드공(12,1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핀(16,1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크부재(15)는 양단에 각각 힌지축(18,18)이 결합되어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 구조물은 창호프레임(F)과 창호(W)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창호(W)의 타측을 수동으로 밀거나 잡아당김으로 인해 개폐가 가능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각 링크부재(14,15)가 X자 형태로 겹친 상태로 상기 창호(W)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 링크부재(14,15)의 단부가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 각각 2개의 포인트에서 지지함으로 인해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링크부재(14)는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핀(16,16)이 상기 각 가이드공(12,13)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링크부재(15)는 양단이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힌지축(18,18)에 의해 회동됨으로 인해 창호(W)의 개폐시에 흔들림이 적을 뿐만 아니라 힘의 전달이 원활하여 개폐동작이 부드러우면서도 개폐초기의 작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힌지 구조물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공(12,13)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수록 상기 창호(W)의 개방각도를 더 넓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링크부재(14,15)가 상하로 일치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창호(W)가 완전하게 닫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링크부재(14,15)에는 길이방향 일측에 상호 대응된 절개부(14a,15a)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곡부(14b,15b)가 형성되어 창호(W)가 닫힐 때에 각 링크부재(14,15)의 일측이 간섭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힌지 구조물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14,15)가 상하로 상호 겹친 상태에서 창호프레임(F)과 창호(W)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외관상 깔끔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호(W)를 일부 개방한 상태로 개방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개방제한수단(20)이 구비되는데, 이 개방제한수단(20)은 상기 창호프레임(F)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핀(21)과 이 고정핀(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창호(W)에 결합되는 걸림편(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개방제한수단(20)은 상기 결합부재(10,11)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결합부재(10,11)와는 별체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림편(22)은 일단이 상기 창호(W) 측에 힌지축(26)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면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장공(2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1)이 가이드되도록 형성되며, 이 장공(24)의 단부측에는 상기 고정핀(21)이 착탈되도록 개방된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방제한수단(20)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10,11)에 별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핀(21)과 걸림편(22)를 각각 창호프레임(F) 또는 창호(W)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21a,22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축(26)에는 걸림편(22)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3)이 결합되어 상기 걸림편(22)이 고정핀(2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걸림편(22)의 일측에는 스토퍼(27)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22)이 고정핀(21) 측에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저지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걸림편(22)에는 상기 스토퍼(27)에 대응되도록 걸림턱(22b)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23)은 일정 높이로 권선되는 코일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걸림편(22)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창호(W)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재(14,15)가 상하로 겹침에 따라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 간의 높이차가 형성됨에 따른 상기 고정핀(21)과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각 결합부재(10,11)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바아(10a,11a)를 나타낸 것으로, 이 수직바아(10a,11a)는 상기 창호프레임(F) 또는 창호(W)의 수직방향 벽면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비된 것이며, 다른 부호는 상기 결합부재(10,11)에 형성된 체결공(10b,11b)으로, 이 체결공(10b,11b)에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10,11)를 창호프레임(F) 또는 창호(W)에 결합하게 된다.
또 다른 부호는 상기 결합부재(11)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핀(16,16)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창호(W)와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된 이격재(11c)를 나타낸 것이고, 이에 관련하여 상기 상호프레임(F)에는 상기 가이드핀(16)에 대응된 가이드홈(G)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창호프레임(F)에 개폐 가능하도록 창호(W)를 결합하도록 된 힌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 각각 결합되는 바아 형태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10,11)와;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장공 형태의 제1 및 제2 가이드공(12,13)과;
    상기 결합부재(10,11)에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X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14,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부재(14,15)는 상기 각 가이드공(12,13)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양단에 가이드핀(16,16)이 구비된 제1 링크부재(14)와;
    상기 제1 링크부재(14)에 면접되도록 링크축(17)에 의해 힌지결합되되, 양단에 상기 각 결합부재(10,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축(18,18)이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에는 상기 결합부재(10,11)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별체로 구비되어 상기 창호(W)의 개방각도를 제한하도록 된 개방제한수단(20)이 구비되되, 이 개방제한수단(20)은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 중의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고정핀(21)과, 상기 고정핀(21)에 대응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F)과 창호(W) 중의 다른 하나에 위치되도록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2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걸림편(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편(22)에는 상기 고정핀(21)이 가이드되는 장공(24) 및 이 장공(2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21)이 착탈 가능하도록 된 개구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힌지 구조물.
KR1020120086659A 2012-08-08 2012-08-08 창호의 힌지 구조물 Active KR10131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659A KR101311425B1 (ko) 2012-08-08 2012-08-08 창호의 힌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659A KR101311425B1 (ko) 2012-08-08 2012-08-08 창호의 힌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425B1 true KR101311425B1 (ko) 2013-09-26

Family

ID=4945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659A Active KR101311425B1 (ko) 2012-08-08 2012-08-08 창호의 힌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4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555A (zh) * 2018-07-23 2018-11-06 佛山市颢进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窗户倾斜度的铰链结构
KR102086254B1 (ko) * 2018-10-22 2020-03-06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용 여닫이창
WO2020085724A1 (ko) * 2018-10-22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여닫창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20200092700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대송창호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KR20230122697A (ko) * 2022-02-15 2023-08-22 엠티코리아(주) 개폐가 용이한 선박 환기용 해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498A (ko) * 1985-06-28 1987-02-18 퍼시밸 데이비스 로날드 창문 스테이(stay)
KR20100007589U (ko) * 2009-01-19 2010-07-28 (주)명진 창호용 턴첵
KR20120027750A (ko) * 2010-09-13 2012-03-2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498A (ko) * 1985-06-28 1987-02-18 퍼시밸 데이비스 로날드 창문 스테이(stay)
KR20100007589U (ko) * 2009-01-19 2010-07-28 (주)명진 창호용 턴첵
KR20120027750A (ko) * 2010-09-13 2012-03-22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6555A (zh) * 2018-07-23 2018-11-06 佛山市颢进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窗户倾斜度的铰链结构
CN108756555B (zh) * 2018-07-23 2023-09-19 佛山市顺德区科能实业有限公司 一种可调节窗户倾斜度的铰链结构
KR102086254B1 (ko) * 2018-10-22 2020-03-06 (주)엘지하우시스 시스템 창호용 여닫이창
WO2020085724A1 (ko) * 2018-10-22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여닫창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102086253B1 (ko) * 2018-10-22 2020-05-22 (주)엘지하우시스 여닫창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KR20200092700A (ko) * 2019-01-25 2020-08-04 주식회사 대송창호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KR102206633B1 (ko) * 2019-01-25 2021-01-22 주식회사 대송창호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KR20230122697A (ko) * 2022-02-15 2023-08-22 엠티코리아(주) 개폐가 용이한 선박 환기용 해치 장치
KR102651148B1 (ko) * 2022-02-15 2024-03-26 엠티코리아(주) 개폐가 용이한 선박 환기용 해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425B1 (ko) 창호의 힌지 구조물
CN210370444U (zh) 门栏
US8528255B2 (en) Outward opening window unit
US20170167171A1 (en) Hinge
US20190323275A1 (en) Folding barn style door and hardware
KR101064541B1 (ko) 폴딩 도어
JP5101151B2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シャッター装置付き什器又は備品
KR20110114845A (ko) 접이문
KR20170065859A (ko) 창문 구조체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KR101819540B1 (ko)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방범문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KR20180067280A (ko) 3면 구조를 갖는 폴딩도어의 폴딩장치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JP4689880B2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KR200362926Y1 (ko) 여닫이창문용 스테이
KR20200139860A (ko) 환기창의 잠금장치
KR100865772B1 (ko) 윗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용 스테이 어셈블리
JP4469147B2 (ja) 引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KR20140002674U (ko) 접이식 도어용 힌지 브래킷
KR101151646B1 (ko)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JP200623245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73149B1 (ko) 건축단지용 방범창틀구조
JP2003064956A (ja) 折畳み引き違いサッシ
KR101834968B1 (ko) 정위치 복귀용 폴딩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