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039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396B1
KR101310396B1 KR1020110146980A KR20110146980A KR101310396B1 KR 101310396 B1 KR101310396 B1 KR 101310396B1 KR 1020110146980 A KR1020110146980 A KR 1020110146980A KR 20110146980 A KR20110146980 A KR 20110146980A KR 101310396 B1 KR101310396 B1 KR 10131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plug
guide shell
contact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183A (ko
Inventor
손호원
Original Assignee
손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호원 filed Critical 손호원
Priority to KR102011014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접점 단자 및 인슐레이터에 이탈 방지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이 상호 삽입 체결되는 과정 및 체결 완료된 상태에서 각 구성 요소의 슬립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의 끝단부에 탄성 유지부 및 탄성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가이드 쉘 및 플러그 접점 단자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위치 고정 홀더를 삽입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 홀더를 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각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 고정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위치 고정 홀더를 제작 납품 단계에서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어 분실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의 체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접점 단자 및 인슐레이터에 이탈 방지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이 상호 삽입 체결되는 과정 및 체결 완료된 상태에서 각 구성 요소의 슬립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의 끝단부에 탄성 유지부 및 탄성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가이드 쉘 및 플러그 접점 단자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위치 고정 홀더를 삽입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 홀더를 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각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 고정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위치 고정 홀더를 제작 납품 단계에서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어 분실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의 체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커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으로,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 또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BNC형, TNC형, SMA형, SMB형, SMC형 등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커넥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 커넥터의 종류 및 형태마다 전기적인 특성과 임피던스가 다르므로 적용시 그 성능과 용도에 맞추어 설계 고안하여 적용하게 된다.
N형 커넥터는 중간 정도 굵기의 동축 케이블용으로 사용되며, 나사 조임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고, N-J 안테나 커넥터로 많이 이용된다. BNC형 커넥터는 가는 케이블용으로 소형이면서 경량이고 신속 착탈이 가능한 Bayonet 조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PCB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TNC형 커넥터는 무선 이동 통신 기기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소형의 나사 조임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SMA형 커넥터는 나사 조임 방식의 커넥터이고, SMB형 커넥터는 가는 케이블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푸시 온(push-on) 방식(Q)과 나사 조임 방식(S)으로 나뉜다.
이러한 커넥터는 연결 대상 케이블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체결되는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로 구성되는데, 플러그 모듈이 잭 모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 특히 SMB형 커넥터는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이 서로 삽입 체결이 용이하도록 결합 부위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등의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삽입 체결은 용이하지만 상대적으로 그 분리 또한 쉽게 이루어지므로, 진동이 심한 환경에 사용되는 경우 커넥터의 플러그 모듈과 잭 모듈이 분리되어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접점 단자 및 인슐레이터에 이탈 방지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이 상호 삽입 체결되는 과정 및 체결 완료된 상태에서 각 구성 요소의 슬립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이룰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의 끝단부에 탄성 유지부 및 탄성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가이드 쉘 및 플러그 접점 단자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적 연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위치 고정 홀더를 삽입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 홀더를 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각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 고정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위치 고정 홀더를 제작 납품 단계에서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어 분실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의 체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 완료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잭 하우징, 잭 가이드 쉘, 잭 인슐레이터 및 잭 접점 단자를 포함하는 잭 모듈과, 상기 잭 모듈에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잭 모듈에 대응되는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가이드 쉘,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플러그 접점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가 상기 잭 접점 단자에 삽입 접촉되도록 상기 플러그 모듈과 상기 잭 모듈이 서로 삽입 체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 및 잭 접점 단자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 및 잭 접점 단자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잭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맞물림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및 잭 가이드 쉘에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잭 인슐레이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내주면에 상기 인슐레이터 및 잭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잭 가이드 쉘에는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을 향한 끝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는 탄성 유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유지부는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잭 가이드 쉘에는 상기 탄성 유지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별도의 탄성 고정링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 고정링은 일측이 개방된 "C"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잭 접점 단자에는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를 향한 끝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는 탄성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모듈 및 잭 모듈은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및 잭 가이드 쉘이 각각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 및 잭 하우징에 각각 단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 홀더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 또는 잭 하우징에 삽입되며, 끝단부에는 고정 돌기가 삽입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부; 및 상기 삽입 가이드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 또는 잭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또는 잭 가이드 쉘과 맞물림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및 잭 가이드 쉘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가이드부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고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모듈은 하나의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플러그 접점 단자가 각각 2개씩 장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잭 모듈은 하나의 상기 잭 하우징 내부에 상기 잭 가이드 쉘, 잭 인슐레이터 및 잭 접점 단자가 각각 2개씩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접점 단자 및 인슐레이터에 이탈 방지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이 상호 삽입 체결되는 과정 및 체결 완료된 상태에서 각 구성 요소의 슬립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의 끝단부에 탄성 유지부 및 탄성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잭 가이드 쉘 및 잭 접점 단자에 삽입되는 플러그 가이드 쉘 및 플러그 접점 단자에 대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적 연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위치 고정 홀더를 삽입함과 동시에 위치 고정 홀더를 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각 가이드 쉘에 대한 위치 고정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위치 고정 홀더를 제작 납품 단계에서 하우징에 결합시킬 수 있어 분실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잭 모듈과 플러그 모듈의 체결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플러그 모듈과 잭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플러그 모듈과 잭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잭 가이드 쉘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잭 접점 단자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 가이드 쉘의 내부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위치 고정 홀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위치 고정 홀더의 작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이탈 방지 홀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플러그 모듈과 잭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플러그 모듈과 잭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 상태에 대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모듈(10a)과 잭 모듈(10b)을 포함하고, 플러그 모듈(10a)이 잭 모듈(10b)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모듈(10a)과 잭 모듈(10b)은 서로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가지며, 각 구성요소는 플러그 모듈(10a)이 잭 모듈(10b)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플러그 모듈(1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0a), 플러그 가이드 쉘(200a),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 및 플러그 접점 단자(30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잭 모듈(10b)은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잭 하우징(100b), 잭 가이드 쉘(200b), 잭 인슐레이터(400b) 및 잭 접점 단자(3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하우징(100a) 내부에는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이 삽입 결합되고,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내부에는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배치되는데, 이때, 플러그 접점 단자(300a)의 절연을 위해 플러그 접점 단자(300a)와 플러그 가이드 쉘(200a) 사이 공간에는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가 삽입 개재된다.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일측단에는 별도의 슬리브(600)가 결합되며, 연결 대상인 케이블은 이러한 슬리브(600)를 통해 가이드되며 플러그 가이드 쉘(200a) 내부의 플러그 접점 단자(300a)와 연결 결합된다.
잭 하우징(100b)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잭 가이드 쉘(200b)이 삽입 결합되고, 잭 가이드 쉘(200b)의 내부에는 잭 인슐레이터(400b)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잭 접점 단자(300b)가 배치된다. 잭 가이드 쉘(200b)의 일측단에도 별도의 슬리브(600)가 결합되어 또 다른 케이블이 이를 통해 잭 접점 단자(300b)와 연결 결합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모듈(10a)과 잭 모듈(10b)이 구성된 상태에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100a)이 잭 하우징(100b)에 삽입 체결되면,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이 잭 가이드 쉘(200b)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잭 접점 단자(300b)에 삽입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플러그 하우징(100a)의 외주면에는 일측에 가이드 돌기(110)가 형성되고, 잭 하우징(100b)의 내주면에는 이러한 가이드 돌기(110)가 삽입 가이드되도록 가이드 홈(120)이 삽입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 하우징(100a)과 잭 하우징(100b)은 이러한 가이드 돌기(110) 및 가이드 홈(120)을 통해 삽입 경로가 가이드되며 안정적으로 체결된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00a)의 일측에는 결합 후크(130)가 돌출 형성되고, 잭 하우징(100b)의 일측에는 이러한 결합 후크(130)가 맞물림되는 결합 홈(141)이 형성되며, 또한, 결합 후크(130)가 결합 홈(141)에 맞물림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결합 후크(130)를 가압할 수 있는 해제 버튼부(140)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이 플러그 모듈(10a)과 잭 모듈(10b)이 삽입 체결된 후, 플러그 하우징(100a) 내부에서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을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위치 고정 홀더(500)가 플러그 하우징(100a)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잭 하우징(100b) 내부에서 잭 가이드 쉘(200b)을 위치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 홀더(500)가 잭 하우징(100b)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모듈(10a)과 잭 모듈(10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에 각각 하나씩의 가이드 쉘, 인슐레이터 및 접점 단자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에 각각 2개씩의 가이드 쉘, 인슐레이터 및 접점 단자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하우징에 3개, 4개씩 등 다수개의 가이드 쉘, 인슐레이터 및 접점 단자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플러그 모듈(10a)은 하나의 플러그 하우징(100a) 내부에 2개의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 가이드 쉘(200a) 내부에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 및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잭 모듈(10b)은 하나의 잭 하우징(100b) 내부에 2개의 잭 가이드 쉘(200b)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잭 가이드 쉘(200b) 내부에 잭 인슐레이터(400b) 및 잭 접점 단자(300b)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각각 2개의 케이블을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동시에 연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치 고정 홀더(500)는 각각의 하우징에 삽입되도록 하나씩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2개씩의 위치 고정 홀더(500)가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잭 가이드 쉘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잭 접점 단자에 대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 가이드 쉘의 내부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 접점 단자(300b)에는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잭 접점 단자(300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걸림 돌기(320)가 형성되고, 잭 접점 단자(300b)의 외주면을 감싸는 잭 인슐레이터(400b)의 내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320)가 맞물림되도록 걸림 홈(410)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 모듈(10a)이 잭 모듈(10b)에 삽입되어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잭 접점 단자(300b)에 접촉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해 플러그 접점 단자(300a)와 잭 접점 단자(300b)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잭 접점 단자(300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잭 접점 단자(300b)는 플러그 접점 단자(300a)와의 마찰에 의해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밀려 슬립 이동하며 정 위치를 벗어날 수 있는데, 잭 접점 단자(300b)의 외주면에 걸림 돌기(320)가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320)는 잭 접점 단자(300b)에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플러그 접점 단자(300a)의 외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마찬가지로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에도 걸림 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잭 가이드 쉘(200b)에는 잭 인슐레이터(400b)가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내주면에 가압 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가압 돌기(240)는 잭 가이드 쉘(200b) 이외에도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내주면에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돌기(240)에 의해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 및 잭 인슐레이터(400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가압되어 각각의 가이드 쉘(200a,200b)로부터 슬립되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 및 잭 인슐레이터(400b)는 가압 돌기(240)에 의해 플러그 가이드 쉘(200a) 및 잭 가이드 쉘(200b)로부터 각각 상대 이동 방지되며 이탈 방지되고, 이러한 플러그 인슐레이터(400a) 및 잭 인슐레이터(400b)에 의해 각각 감싸지는 플러그 접점 단자(300a) 및 잭 접점 단자(300b)는 각각의 인슐레이터(400a,400b)로부터 각각 상대 이동 방지되며 이탈 방지되므로, 각각의 가이드 쉘, 인슐레이터 및 접점 단자는 서로에 대한 상대 위치가 모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잭 가이드 쉘(200b)에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을 향한 끝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는 탄성 유지부(220)가 형성되고, 탄성 유지부(220)는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이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이 잭 가이드 쉘(20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잭 가이드 쉘(200b)의 탄성 유지부(220)가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기 때문에, 상호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더욱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유지부(22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 가이드 쉘(200b)의 끝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별도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간 부위가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유지부(2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 가이드 쉘(200b)이 끝단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절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잭 가이드 쉘(200b)에는 이러한 탄성 유지부(2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별도의 탄성 고정링(230)이 결합되고, 탄성 고정링(230)은 일측이 개방된 "C"자형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고정링(23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C"자 형상을 갖는 구조상 탄성 유지부(220)를 보완하여 탄성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장시간 사용 등에 따라 탄성 유지부(220)에 탄성력이 감소되더라도 탄성 고정링(230)이 이를 보완하여 계속적인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플러그 가이드 쉘(200a)과 잭 가이드 쉘(200b)과의 결합력이 양호하게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잭 접점 단자(300b)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접점 단자(300a)를 향한 끝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는 탄성 결합부(330)가 형성되고, 탄성 결합부(330)는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접점 단자(300a)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접점 단자(300a)가 잭 접점 단자(30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잭 접점 단자(300b)의 탄성 결합부(330)가 플러그 접점 단자(300a)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기 때문에, 상호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더욱 안정적인 접촉 결합 및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위치 고정 홀더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위치 고정 홀더의 작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이탈 방지 홀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모듈(10a) 및 잭 모듈(1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가이드 쉘(200a) 및 잭 가이드 쉘(200b)이 각각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플러그 하우징(100a) 및 잭 하우징(100b)에 위치 고정 홀더(500)가 삽입되는데, 이때, 위치 고정 홀더(500)는 각 하우징(100a,100b)에 각각 단계적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위치 고정 홀더(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510)와, 커버 플레이트(5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플러그 하우징(100a) 또는 잭 하우징(100b)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부(520)와, 삽입 가이드부(520)가 플러그 하우징(100a) 또는 잭 하우징(100b)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가이드 쉘(200a) 또는 잭 가이드 쉘(200b)과 맞물림되도록 커버 플레이트(51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삽입 가이드부(520)에는 끝단부에 고정 돌기(521)가 형성되는데, 고정 돌기(521)는 위치 고정 홀더(500)가 단계적으로 삽입되도록 삽입 가이드부(52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00a) 또는 잭 하우징(100b)에는 이러한 삽입 가이드부(52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50)이 형성되고, 삽입홀(150)의 내주면에는 삽입 가이드부(520)의 고정 돌기(521)가 맞물림되도록 걸림 돌기(151)가 형성된다.
한편, 플러그 가이드 쉘(200a) 및 잭 가이드 쉘(200b)의 외주면에는 위치 고정 홀더(500)가 플러그 하우징(100a) 또는 잭 하우징(100b)에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 홀더(500)의 고정 가이드부(530)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고정 돌출부(210)가 형성된다.
도 9를 중심으로 잭 하우징(100b)에 삽입되는 위치 고정 홀더(500)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잭 하우징(100b)에는 삽입홀(150)이 형성되고 삽입홀(150)의 내주면에 걸림 돌기(151)가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홀(150)에 삽입 가이드부(520)가 삽입되도록 위치 고정 홀더(500)가 잭 하우징(100b)에 삽입되는데, 삽입 가이드부(520)에는 고정 돌기(521)가 삽입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2개 형성되므로, 위치 고정 홀더(5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2개의 고정 돌기(521)가 각각 삽입홀(150)의 걸림 돌기(151)에 맞물림되며 2단계로 삽입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홀더(500)가 1단계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위치 고정 홀더(500)는 단순히 잭 하우징(100b)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뿐, 잭 가이드 쉘(200b)에 대한 위치 고정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이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홀더(500)의 고정 가이드부(530)와 잭 가이드 쉘(200b)의 고정 돌출부(210)가 맞물림 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고정 홀더(500)가 2단계로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는 위치 고정 홀더(500)의 고정 가이드부(530)가 잭 가이드 쉘(200b)의 고정 돌출부(210)와 맞물림 상태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잭 가이드 쉘(200b)은 위치 고정 홀더(500)에 의해 잭 하우징(100b)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잭 하우징(100b)에 삽입되는 위치 고정 홀더(500) 뿐만 아니라 플러그 하우징(100a)에 삽입되는 위치 고정 홀더(500)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조 및 원리로 작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중복 방지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위치 고정 홀더(500)를 통해 커넥터를 제작 납품하는 단계에서 플러그 하우징(100a) 및 잭 하우징(100b)에 위치 고정 홀더(500)를 1단계 삽입한 상태로 공급하며, 이후 커넥터 설치 현장에서 커넥터의 체결 작업이 완료된 이후 위치 고정 홀더(500)를 2단계 삽입하여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위치를 최종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잭 가이드 쉘(200b) 및 플러그 가이드 쉘(200a)의 위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위치 고정 홀더(500)와 달리 일체형 이탈 방지 홀더(500-1)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탈 방지 홀더(500-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 하우징(100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러그 하우징(100a)에도 마찬가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잭 하우징(100b)에 형성된 구조를 예로 들어 살펴보면, 이탈 방지 홀더(500-1)는 잭 하우징(1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태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부(501)와, 베이스부(501)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잭 가이드 쉘(200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잭 가이드 쉘(200b)과 맞물림되는 제 1 걸림 돌기(502) 및 제 2 걸림 돌기(5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걸림 돌기(502) 및 제 2 걸림 돌기(503)는 잭 하우징(1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잭 가이드 쉘(200b)의 삽입은 허용하되 이탈은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부(501)가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걸림 돌기(503)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어 사출 성형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잭 가이드 쉘(200b)이 잭 하우징(100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잭 가이드 쉘(200b)이 제 1 걸림 돌기(502) 및 제 2 걸림 돌기(503)에 의해 2단계 삽입되며 각각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위치 고정 홀더(500) 없이도 잭 가이드 쉘(200b)에 대한 위치 고정을 2단계로 고정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00a)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홀더(500-1) 또한 마찬가지 구조 및 원리로 작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a: 플러그 모듈 10b: 잭 모듈
100a: 플러그 하우징 100b: 잭 하우징
200a: 플러그 가이드 쉘 200b: 잭 가이드 쉘
210: 고정 돌출부 220: 탄성 유지부
230: 탄성 고정링 240: 가압 돌기
300a: 플러그 접점 단자 300b: 잭 접점 단자
320: 걸림 돌기 330: 탄성 결합부
400a: 플러그 인슐레이터 400b: 잭 인슐레이터
500: 위치 고정 홀더 510: 커버 플레이트
520: 삽입 가이드부 521: 고정 돌기
530: 고정 가이드부

Claims (9)

  1. 잭 하우징, 상기 잭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잭 가이드 쉘, 상기 잭 가이드 쉘 내부에 배치되는 잭 인슐레이터 및 상기 잭 인슐레이터에 의하여 절연된 상태로 상기 잭 가이드 쉘 내부에 배치되는 잭 접점 단자를 포함하는 잭 모듈과, 상기 잭 모듈에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잭 모듈에 대응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잭 가이드 쉘에 삽입 가능한 플러그 가이드 쉘,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내부에 배치되는 플러그 접점 단자 및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과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가 상기 잭 접점 단자에 삽입 접촉되도록 상기 플러그 모듈과 상기 잭 모듈이 서로 삽입 체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 및 잭 접점 단자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 및 잭 접점 단자의 외주면을 각각 감싸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잭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맞물림되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모듈 및 잭 모듈은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및 잭 가이드 쉘이 각각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 및 잭 하우징에 각각 단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고정 홀더는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 또는 잭 하우징에 삽입되며, 끝단부에는 고정 돌기가 삽입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부; 및
    상기 삽입 가이드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 또는 잭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또는 잭 가이드 쉘과 맞물림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및 잭 가이드 쉘에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잭 인슐레이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내주면에 상기 인슐레이터 및 잭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잭 가이드 쉘에는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을 향한 끝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는 탄성 유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유지부는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부는 별도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중간 부위가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잭 접점 단자에는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를 향한 끝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절개되는 탄성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접점 단자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및 잭 가이드 쉘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가이드부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모듈은 하나의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에 상기 플러그 가이드 쉘, 플러그 인슐레이터 및 플러그 접점 단자가 각각 2개씩 장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잭 모듈은 하나의 상기 잭 하우징 내부에 상기 잭 가이드 쉘, 잭 인슐레이터 및 잭 접점 단자가 각각 2개씩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146980A 2011-12-30 2011-12-30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310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80A KR101310396B1 (ko) 2011-12-30 2011-12-30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980A KR101310396B1 (ko) 2011-12-30 2011-12-30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183A KR20130078183A (ko) 2013-07-10
KR101310396B1 true KR101310396B1 (ko) 2013-09-17

Family

ID=4899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9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0396B1 (ko) 2011-12-30 2011-12-30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07Y1 (ko) * 2015-05-11 2017-02-02 주식회사 케이티 커넥터
KR101800275B1 (ko) * 2016-11-11 2017-12-21 케이유엠 유한회사 고주파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50944B1 (ko) * 2023-01-26 2023-07-04 한국프레틀(주) 커넥터 모듈
KR102770092B1 (ko) * 2023-03-20 2025-02-20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터미널의 체결 작업 안정성이 강화된 커넥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53A (ja) * 1994-03-07 1995-09-19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2075543A (ja) 2000-08-23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0052807A (ko) * 2004-05-06 2004-06-23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1097281B1 (ko) * 2010-11-17 2011-12-21 (주)에프알텍 고출력 알에프 푸쉬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53A (ja) * 1994-03-07 1995-09-19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2075543A (ja) 2000-08-23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040052807A (ko) * 2004-05-06 2004-06-23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1097281B1 (ko) * 2010-11-17 2011-12-21 (주)에프알텍 고출력 알에프 푸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183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479B1 (en) Coaxial cable magnetic connector
CN102077425B (zh) 具有弹簧装载的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件
JP5748111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A2801815C (en) Rotatable plug-type connector
CN107204537A (zh) 电连接设备、组装电缆的方法和组装的同轴电缆
US9438000B2 (en) Shield connector for a shield cable
US9673568B2 (en) Plug connector
CN108023250A (zh) 转接器、插座和连接器组合
CN111293494A (zh) 连接器
JP2012138243A (ja) 複合コネクタと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TWM551358U (zh) 連接器
JP6571787B2 (ja) 減衰要素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KR101310396B1 (ko) 커넥터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CN111919344B (zh) 包括末端成叉形以接纳互补连接器的接触引脚的扁平中心接触件和配置成引导接触引脚的固体绝缘结构的rf连接器
CN105684227A (zh) 具有密封基座的高速连接器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N102468550A (zh) 同轴连接器
KR101045383B1 (ko) 분리 방지용 초소형 동축케이블 커넥터
EP2973871B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US20150295369A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JP4144247B2 (ja) 電気コネクタ
EP3206266B1 (en) Push on connector
KR101651398B1 (ko)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JP2010123429A (ja) コネクタ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