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63B1 -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0363B1 KR101310363B1 KR1020110137839A KR20110137839A KR101310363B1 KR 101310363 B1 KR101310363 B1 KR 101310363B1 KR 1020110137839 A KR1020110137839 A KR 1020110137839A KR 20110137839 A KR20110137839 A KR 20110137839A KR 101310363 B1 KR101310363 B1 KR 1013103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housing
- rail
- semiconductor optical
- optical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 유닛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제1 유닛이 왕복 승강하되, 제3 유닛은 제1 유닛의 왕복 범위를 제한하고, 제1 유닛에는 광학부재가 장착되며, 광학부재와 대응되는 발광모듈은 히트싱크에 형성되며 하우징은 히트싱크에 형성된 실시예로부터 광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배향 각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unit is reciprocated up and down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unit, and the third unit limits the reciprocating range of the first unit, and the first unit is equipped with an optical member, and corresponds to the optical member.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formed in the heat sink and the housing is related to the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device that can change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ing device based on the optical semiconductor from the embodiment formed in the heat sink with a simple ope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배향 각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device that can change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ing device based on the optical semiconductor with a simple operation.
엘이디 또는 엘디 등과 같은 광 반도체는 백열등과 형광등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적으면서도 사용 수명이 길며 내구성도 뛰어남은 물론 훨씬 높은 휘도로 인하여 최근 조명용으로 널리 각광받고 있는 부품 중의 하나이다.Optical semiconductor such as LED or ELD has a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an incandescent lamp and a fluorescent lamp, has a long service life,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is one of components widely used for lighting in recent years due to its much higher luminance.
전술한 광 반도체는 최근 할로겐 램프 또는 백열등과 같이 기존의 소켓 연결부에 결합되어 조명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the above-described optical semiconductor has been introduced to produce a lighting function by being coupled to the existing socket connection, such as halogen lamps or incandescent lamps.
즉, 전술한 광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장치는 할로겐 램프 또는 백열등과 동일한 형상의 소켓 베이스에 히트 싱크 등이 구비된 하우징에 광원으로서의 광 반도체를 어레이하고, 하우징에 렌즈가 탑재된 구조로 된 것이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lighting device based on the optical semicondu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ptical semiconductor as a light source is arrayed in a housing provided with a heat sink and the like in a socket base having the same shape as a halogen lamp or an incandescent lamp, and a lens is mounted in the housing. have.
그러나, 이러한 광 반도체 기반의 조명장치는 하우징에 렌즈 및 광 반도체가 고정된 상태로 출고되는 것이므로, 설치되는 조명 환경에 따른 배광 특성을 감안하여 설치하는 것이 힘든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is shipped with the lens and the optical semiconductor fixed to the housing,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consideration of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ighting environment to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광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배향 각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device that can change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ing device based on the optical semiconductor with a simple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광소자가 형성된 발광모듈과, 반도체 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가 형성된 광학부재; 일단부에 발광 모듈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전원 연결부가 구비된 히트싱크와, 히트싱크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광학부재와 결합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출입하면서 반도체 광소자로부터 렌즈까지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제1 유닛; 하우징과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고, 정, 역회전 운동을 제1 유닛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 유닛; 하우징의 내측과 제2 유닛의 외측에 형성되고, 반도체 광소자로부터의 조사되는 빛의 배향(配向)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2 유닛의 정, 역회전 범위를 제1 유닛의 왕복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emitting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and an optical member having a len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A heat sink having a light emitting module at one end and a power connection at the other end, and a housing formed along an edge of one end of the heat sink and having an inner space; A first unit coupled to the optical member to vary the distance from the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to the lens while entering and exiting from the housing; A second unit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and convert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unit; I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unit, and restrict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unit to within the reciprocating range of the first unit so that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can be adjusted. It can provide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third unit.
여기서, 렌즈는 제2 유닛이 정, 역회전하면 반도체 광소자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lens has a structure that is spaced apart from or close to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when the second unit rotates forward and reverse.
이때, 제1 유닛은 상측에 광학부재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하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유닛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unit may include an embodiment including a cylindrical first body having an optical member mounted thereon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corresponding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unit. Can be.
그리고, 제2 유닛은 하우징과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본체와, 제2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유닛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에 대응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제3 유닛은 제2 본체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 second unit is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to form a cylindrical second body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at least one inclin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to correspond to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irst unit. It includes a rail, and the third unit may be applied to an embodimen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여기서, 제2 유닛은 하우징과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본체와, 제2 본체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중앙에 광학부재가 출입하는 링 형상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제3 유닛은 제2 본체의 외면과 하우징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Here, the second unit is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and has a cylindrical second body that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extends along an upper edge of the second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s an optical member in the center. It includes a ring-shaped rotating body to go in and out, the third unit is also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이때, 제2 유닛은 제2 본체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본체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레일의 단부까지 연장된 연통부를 더 포함하며, 돌기는 연통부로부터 삽입되어 제2 본체의 정, 역회전에 따라 레일이 이동하면서 돌기를 승강시키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un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body to the end of the rail in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the projection is inserted from the communication portion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As the rail moves along, it can be seen that the protrusion is raised and lowered.
또한, 레일의 일단부에서 제2 본체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제1 직선과 레일의 타단부에서 제2 본체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한 가상의 제2 직선이 만나는 점으로부터 레일의 일단부까지의 거리는 제1 본체의 왕복 거리보다 길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oint where an imaginary first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rail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and an imaginary second straight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cond main body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meet each other.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rail to one end of the rail is preferably equal to or longer than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first body.
또한, 제2 유닛은 회전체의 저면에 함몰되어 하우징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unit preferably includes a seating recess recess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body to surround the upper edge of the housing.
한편, 제3 유닛은 제2 유닛의 외면 상측에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블럭과,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형성되어 랙 블럭의 골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을 단부에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unit includes at least one rack block that forms a pattern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sequentially rep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and a locking piece form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valley of the rack block.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hook provided in the can be applied.
여기서, 제3 유닛은 제2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본체의 외면 상측에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블럭과,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제3 본체와, 제3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랙 블럭측으로 돌출되어 골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을 단부에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Here, the third un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il which is inclined up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at least one rack block forming a pattern in which the peaks and valleys are sequentially rep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housing An embodiment including a cylindrical third body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hook having a end portion with a lock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body toward the rack block side and corresponding to the valley may be applied.
이때, 제3 유닛은 회전체 하측에 배치되고, 제2 본체의 외면 상측에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블럭과,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회전체 저면에 회전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함몰된 안착홈에 상단부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제3 본체와, 제3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랙 블럭측으로 돌출되어 골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을 단부에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third un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ody, at least one rack block forming a pattern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sequentially repe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mount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rotat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body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nd is seated in the recessed recess recessed along the entire forming direction, and a cylindrical shaped main body which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main body to the rack block side to correspond to the valleys.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hook provided at the end is also possible.
또한, 레일은 제2 본체에 복수로 형성되고, 랙 블럭은 레일과 인접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ails are formed in the second body, and the rack block is disposed between the rails and the adjacent rails.
또한, 제3 유닛은 제3 본체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되는 복수의 절결부와, 절결부와 인접한 절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3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하는 돌편을 더 포함하며, 후크는 절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제3 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산과 골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s cut out from an upper edge of the third body, and a protrusion piece disposed between the cutout portions adjacent to the cutout portions and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third body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hook is preferably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cutou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hird body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while sequentially contacting the hill and the valley.
아울러,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반도체 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 칩 등과 같은 광 반도체를 포함하거나 이용하는 소자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rm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means an element including or using an optical semiconductor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chip.
이러한 '반도체 광소자'는 전술한 발광다이오드 칩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광 반도체를 내부에 포함하는 패키지 레벨의 것이라 하겠다.
Such a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is a package level that includes various kinds of optical semiconductors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diode chip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제2 유닛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광학부재가 장착된 제1 유닛을 승강시키면서 배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제3 유닛에 의하여 제2 유닛의 미세한 회전 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기존의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렌즈와 광원까지의 거리를 조정함에 따른 배광 특성의 자유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orientation angle while elevating the first unit on which the optical member is mounted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unit, and of course, fin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unit can be adjusted by the third unit. As a resul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device, the degree of freedom of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an be greatly improved by the user directl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light source.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의 전기 배선 및 조명기구의 장착에 필요한 소켓 등의 설비를 대폭 교체하거나 재시공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조명 환경의 구현에 따른 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the need to significantly replace or re-install the existing equipment such as the socket for mounting the existing electrical wiring and lighting fixture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of the implementation of a new lighting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측면 개념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결합 상태 및 제2 유닛의 정, 역회전에 따른 제1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도 2의 A-A'선 단면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주요부인 광학부재의 렌즈와 발광모듈의 반도체 광소자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배향 각도 변화를 나타낸 측단면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side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which are main parts of an optical semiconductor based lighting apparatus, and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unit according to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diagram show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9 and 10 are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change in an orientation angle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a lens of an optical member, which is a main part of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and a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of a light emit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측면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optical semiconductor bas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side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optical semiconductor bas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2 유닛의 결합 상태 및 제2 유닛의 정, 역회전에 따른 제1 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to 7 illustrate an operation of the first unit according to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second unit, which are the main parts of the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tate.
여기서, 도 3 및 도 5는 각각 제2 유닛에 대하여 제1 유닛이 돌출되기 전과, 돌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며, 도 4 및 도 6은 각각 제2 유닛에 대하여 제1 유닛이 돌출되기 전과, 돌출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 유닛에 대하여 제1 유닛이 돌출되기 전과 후를 동시에 살펴보기 위하여 제1, 2 유닛의 하부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3 and 5 are side conceptual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the first unit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respectively, and FIGS. 4 and 6 show the first unit protrud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unit, respectively.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before and after protrus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the 1st, 2nd unit in order to see before and after a 1st unit protrudes with respect to a 2nd unit.
또한, 도 8은 도 2의 A-A'선 단면 개념도로서, 도면 이해의 편의상 중심부의 제1 유닛(100)과 광학부재(50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the illustration of the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200)의 정, 역회전에 의하여 제1 유닛(100)이 왕복 승강하되, 제3 유닛(300)은 제1 유닛(100)의 왕복 범위를 제한하고, 제1 유닛(100)에는 광학부재(500)가 장착되며, 광학부재(500)와 대응되는 발광모듈(400)은 히트싱크(600)에 형성되며 하우징(700)은 히트싱크(600)에 형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발광모듈(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광소자(401)가 형성된 것으로, 광학부재(500)는 반도체 광소자(401)와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501)가 형성된 것이며,The
여기서, 광학부재(5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반도체 광소자(401)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확산 또는 축소시키고 반도체 광소자(401)를 보호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는 것이다.Here, the
히트싱크(600)는 일단부에 발광모듈(400)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전원 연결부(601)가 구비된 것으로, 발광모듈(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하우징(700)은 히트싱크(60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제3 유닛(300)과 함께 제1, 2 유닛(200)이 장착될 공간 또한 제공한다.The
여기서, 하우징(700)은 히트싱크(600)와 별개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 바람직하게는 히트싱크(6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700)은 히트싱크(6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일체의 것이다.Here, the
한편, 제1 유닛(100)은 광학부재(500)와 결합되어 도 1의 좌, 우측 도면과 같이 하우징(700)으로부터 출입하면서 반도체 광소자(401)로부터 렌즈(501)까지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제2 유닛(200)은 하우징(700)과 제1 유닛(100) 사이에 장착되고, 정, 역회전 운동을 제1 유닛(10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제3 유닛(300)은 하우징(700)의 내측과 제2 유닛(200)의 외측에 형성되고, 반도체 광소자(401)로부터의 조사되는 빛의 배향(配向)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제2 유닛(200)의 정, 역회전 범위를 제1 유닛(100)의 왕복 범위 내로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즉,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의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배향 각도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우선, 제1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광소자(401)에 대하여 왕복 승강하면서 광학부재(500)의 렌즈(501)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제1 본체(110)와 돌기(1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First, as described above, the
제1 본체(110)는 상측에 광학부재(500)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돌기(120)는 제1 본체(110)의 하측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제2 유닛(20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것이다.The
한편, 제2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 역방향의 회전운동을 제1 유닛(100)의 직선 왕복 승강 운동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제2 본체(210)와 레일(220) 및 회전체(2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참고로, 렌즈(501)는 제2 유닛(200)이 정, 역회전하면 반도체 광소자(401)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는 운동만 할 뿐 제2 유닛(20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지는 않는다.For reference, when the
우선, 제2 본체(210)는 하우징(700)과 제1 유닛(100) 사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First, the second
레일(220)은 제2 본체(210)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유닛(100)의 돌기(1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캠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The
회전체(230)는 제2 본체(21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하우징(70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중앙에 광학부재(500)가 출입하는 링 형상의 부재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다이얼을 돌리듯 파지하여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부재이다.The
여기서, 후술할 제3 유닛(300)은 제2 본체(210)의 외면과 하우징(700)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Here, the
이때, 제2 유닛(200)은 제2 본체(21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본체(210)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레일(220)의 단부까지 연장된 연통부(22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즉, 연통부(221)는 최초에 제1 유닛(100)을 제2 유닛(200)과 조립할 때 편의를 위하여 돌기(120)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돌기(120)는 연통부(221)로부터 삽입되어 제2 본체(210)의 정, 역회전에 따라 레일(220)이 이동하면서 돌기(120)를 승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1 유닛(100)에 장착된 광학부재(500) 또한 승강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도 3을 살펴보면 레일(220)의 일단부에서 제2 본체(21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제1 직선(L1)과 레일(220)의 타단부에서 제2 본체(21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한 가상의 제2 직선(L2)이 만나는 점(P)으로부터 레일(220)의 일단부까지의 거리(h')는 제1 본체(110)의 왕복 거리(h, 도 1 및 도 7 참고)보다 길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 a virtual first straight line L1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즉, 제1 본체(110)의 왕복 거리(h, 도 7에서 돌기(120)가 ①에서 ②사이를 왕복함에 대하여 제1 본체(110) 내측에 표시된 점선까지의 거리)는 레일(220)의 길이 및 레일(220)의 경사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That is, the reciprocating distance h of the first body 110 (the distance to the dotted line indicated inside the
그리고, 제1 본체(110)의 왕복 거리(h)는 후술할 제3 유닛(30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으며, 제3 유닛(300)의 의하여 레일(220)의 길이 내에서 제1 본체(110)의 미세한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distance h of the
또한, 제2 유닛(200)은 회전체(230)의 저면에 함몰되어 하우징(70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안착홈(23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안착홈(232)은 제2 유닛(200)이 요동없이 정확하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경로를 결정하고 하우징(700) 내측으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 또한 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The
한편, 제3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닛(200)의 미세한 회전 각도 조절과 제1 유닛(100)의 승강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랙 블럭(310)과 후크(3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랙 블럭(310)은 제2 본체(210)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220)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본체(210)의 외면 상측에 산(311)과 골(312)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At least one
후크(320)는 하우징(700)의 내측으로부터 형성되어 랙 블럭(310)의 골(312)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322)을 단부에 구비한 부재이다.The
즉, 후크(320)의 걸림편(322)과 랙 블럭(310)은 피니언과 랙 기어의 조합에 대비될 수 있는 구조라 하겠다.That is, the
여기서, 후크(320)는 하우징(70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제3 본체(330)에 형성되는 것이다.Here, the
제3 본체(33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700)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회전체(230) 저면에 회전체(2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함몰된 안착홈(232)에 상단부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하우징(70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In detail, the
후크(320)는 이러한 제3 본체(330)의 상측으로부터 랙 블럭(310)측으로 돌출되어 골(312)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322)을 단부에 구비한 것이다.The
이때, 레일(220)은 제2 본체(210)에 복수로 형성되고, 랙 블럭(310)은 레일(220)과 인접한 레일(220) 사이에 배치되며, 랙 블럭(310)이 형성된 범위 내에서 후크(320)의 걸림편(322)이 왕복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제3 유닛(300)에는 후크(320)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절결부(331)와 함께 하우징(700)의 내면에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를 위한 돌편(33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절결부(331)는 제3 본체(33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등간격으로 절개된 복수의 부분이며, 후크(320)는 절결부(331)의 일측으로부터 제3 본체(3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산(311)과 골(312)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게 된다.The
여기서, 돌편(333)은 절결부(331)와 인접한 절결부(331) 사이에 배치되며, 제3 본체(330)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하우징(700)의 내면에 접촉하는 구조이다.Here, the
따라서, 돌편(333)은 도 8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후크(320)가 산(311)과 골(312)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하게 될 때의 여유 공간을 감안한 기술적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즉, 하우징(700)과 제3 본체(330)는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본체(210)만 정, 역회전하면서 제1 유닛(100)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에 의하여 제2 유닛(200)이 정, 역회전함에 따라 제1 유닛(100)이 승강하면, 제1 유닛(100)에 장착된 광학부재(500)의 렌즈(501)는 반도체 광소자(401)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과 같이 근접 또는 이격되면서 반도체 광소자(401)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광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배향 각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as its basic technical idea to provide an optical semiconductor-based lighting apparatus that can change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ing apparatus based on the optical semiconductor with a simple oper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제1 유닛 200...제2 유닛
300...제3 유닛 400...발광모듈
500...광학부재 600...히트싱크
700...하우징100 ...
300 ...
500 ...
700 ... Housing
Claims (13)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가 형성된 광학부재;
일단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전원 연결부가 구비된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광학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출입하면서 상기 반도체 광소자로부터 상기 렌즈까지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제1 유닛;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고, 정, 역회전 운동을 상기 제1 유닛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상기 제2 유닛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광소자로부터의 조사되는 빛의 배향(配向)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2 유닛의 정, 역회전 범위를 상기 제1 유닛의 왕복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에 대응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본체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A light emitting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is formed;
An optical member having a len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A heat sink having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 second end thereof having a power connection;
A housing formed along an edge of one end of the heat sink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first unit coupled to the optical member to vary a distance from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to the lens while entering and exiting from the housing;
A second unit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and conver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unit; And
I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unit,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unit to adjust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of the first unit A third unit limiting within the reciprocating range;
The second unit comprising:
A second cylindrical body which is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t least one inclination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includes a rail corresponding to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unit,
And the third unit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유닛이 정, 역회전하면 상기 반도체 광소자로부터 이격 또는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And the second unit is spaced apart from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when the second unit rotates forward and reverse.
상기 제1 유닛은,
상측에 상기 광학부재가 장착된 원통 형상의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의 하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유닛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nit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body having the optical member mounted thereon;
And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unit.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렌즈가 형성된 광학부재;
일단부에 상기 발광 모듈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전원 연결부가 구비된 히트싱크;
상기 히트싱크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광학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출입하면서 상기 반도체 광소자로부터 상기 렌즈까지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제1 유닛;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고, 정, 역회전 운동을 상기 제1 유닛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과 상기 제2 유닛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광소자로부터의 조사되는 빛의 배향(配向)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상기 제2 유닛의 정, 역회전 범위를 상기 제1 유닛의 왕복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유닛 사이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중앙에 상기 광학부재가 출입하는 링 형상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본체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A light emitting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is formed;
An optical member having a len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A heat sink having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a second end thereof having a power connection;
A housing formed along an edge of one end of the heat sink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first unit coupled to the optical member to vary a distance from th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to the lens while entering and exiting from the housing;
A second unit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and converting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first unit; And
I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unit,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unit to adjust the orientation angle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of the first unit A third unit limiting within the reciprocating range;
The second unit comprising:
A second cylindrical body which is moun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first unit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 ring-shaped rotating body extending along an upper edge of the second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the optical member in and out of the center;
And the third unit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respectively.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본체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본체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레일의 단부까지 연장된 연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연통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2 본체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레일이 이동하면서 상기 돌기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unit comprising: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dge of the second body to the end of the rail in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And the protrusion is inser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to lift and raise the protrusion while the rail moves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상기 레일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제1 직선과 상기 레일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2 본체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연장한 가상의 제2 직선이 만나는 점으로부터 상기 레일의 일단부까지의 거리는 상측에 상기 광학부재가 장착된 제1 본체의 왕복 거리보다 길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maginary first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rail along the vertic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and an imaginary second straight line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cond body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The distance from the point of meeting to the one end of the rai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ciprocating distance of the first body is equipped with the optical member on the upper side.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회전체의 저면에 함몰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안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unit comprising:
And a seating recess recess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o surround an upper edge of the housing.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유닛의 외면 상측에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블럭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랙 블럭의 골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을 단부에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unit,
At least one rack block forming a pattern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sequentially repe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And hook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having hooks at ends thereof, the hook piece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alleys of the rack blocks.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본체의 하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레일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본체의 외면 상측에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블럭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랙 블럭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골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을 단부에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unit,
At least one rack block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rail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from a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and forming a pattern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sequentially repe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 cylindrical third body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body to the rack block side and has a hook piece at an end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valley.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회전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외면 상측에 산과 골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 블럭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체 저면에 상기 회전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함몰된 안착홈에 상단부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제3 본체와,
상기 제3 본체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랙 블럭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골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편을 단부에 구비한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third unit,
At least one rack block disposed under the rotor and forming a pattern in which peaks and valleys are sequentially repe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 cylindrical third body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upper edge of which is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hook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body to the rack block side and has a hook piece at an end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valley.
상기 레일은 상기 제2 본체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랙 블럭은 상기 레일과 인접한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plurality of rails formed on the second body, and the rack block is disposed between the rails and adjacent rails.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3 본체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개되는 복수의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와 인접한 절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접촉하는 돌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는 상기 절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3 본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산과 골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The third unit,
A plurality of cutouts cut from an upper edge of the third body,
A protrusion piece disposed between the cutout portion and the adjacent cutout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third body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ook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cutout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hird body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while sequentially contacting the peaks and valley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7839A KR101310363B1 (en) | 2011-12-20 | 2011-12-20 |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7839A KR101310363B1 (en) | 2011-12-20 | 2011-12-20 |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0700A KR20130070700A (en) | 2013-06-28 |
KR101310363B1 true KR101310363B1 (en) | 2013-09-23 |
Family
ID=4886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78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0363B1 (en) | 2011-12-20 | 2011-12-20 |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036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0271B1 (en) | 2016-11-15 | 2017-10-26 | (주)포토닉스트레이드그룹 |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zoom fun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21042A (en) | 2003-01-13 | 2004-08-05 | Ccs Inc | Spot lighting device using power LED |
JP2007299679A (en) | 2006-05-01 | 2007-11-15 | Kokubu Denki Co Ltd | Lighting apparatus |
KR20100006034A (en) * | 2008-07-08 | 2010-01-18 | 주식회사 애화신 | Variable focusing semiconductor light source lamp |
KR20100124063A (en) * | 2009-05-18 | 2010-11-26 | (주)룩센터 | Lighting lens and light lamp with the same |
-
2011
- 2011-12-20 KR KR1020110137839A patent/KR1013103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21042A (en) | 2003-01-13 | 2004-08-05 | Ccs Inc | Spot lighting device using power LED |
JP2007299679A (en) | 2006-05-01 | 2007-11-15 | Kokubu Denki Co Ltd | Lighting apparatus |
KR20100006034A (en) * | 2008-07-08 | 2010-01-18 | 주식회사 애화신 | Variable focusing semiconductor light source lamp |
KR20100124063A (en) * | 2009-05-18 | 2010-11-26 | (주)룩센터 | Lighting lens and light lamp with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0271B1 (en) | 2016-11-15 | 2017-10-26 | (주)포토닉스트레이드그룹 |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zoom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0700A (en) | 2013-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5381B1 (en) | Lighting device | |
KR102114419B1 (en) | Lighting device | |
KR101181784B1 (en) | Lighting apparatus | |
JP2013038078A (en) | Led lighting lamp | |
KR101349843B1 (en) | Lighting apparatus | |
TW201035476A (en) | Light-emitting diode light bulb and application thereof | |
CN103791257B (en) | light emitting diode bulb | |
KR101055720B1 (en) | LED light lamp with anti-glare | |
JP7617517B2 (en) | Lighting fixtures | |
KR101310363B1 (en) |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 |
JP2017050187A (en) | Lighting fixture | |
KR101044047B1 (en) | Anion LED lamp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efficiency | |
TW201337142A (en) | Optical semiconductor based illuminating apparatus | |
KR20100100450A (en) | Led fluorescent lamp | |
KR102047686B1 (en) | Lighting apparatus | |
KR101676703B1 (en) | LED Shadowless Lamp Using Lens Direct Connecting Heat Sink | |
KR101678045B1 (en) | LED lighting module for medical treatment | |
TWI537522B (en) | Light-emitting device | |
JP2012146668A (en) | Lighting fixture | |
WO2010045763A1 (en) | Light collimating device | |
KR20200045594A (en) | Lighting device | |
JP6241599B2 (en) | Lighting device | |
KR20140142475A (en) | Industrial led lighting lamp | |
KR101502869B1 (en) | Lighting device | |
CN204268135U (en) | LED ligh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