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209B1 -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10209B1 KR101310209B1 KR1020120001314A KR20120001314A KR101310209B1 KR 101310209 B1 KR101310209 B1 KR 101310209B1 KR 1020120001314 A KR1020120001314 A KR 1020120001314A KR 20120001314 A KR20120001314 A KR 20120001314A KR 101310209 B1 KR101310209 B1 KR 101310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member
- housing
- driven cam
- link member
- driv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62 Polyamide-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12 polyamide-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힌지장치는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다.Disclosed is a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which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operating noise. The hinge device includes a common drive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e cam profile at one end and a second drive cam profile at the other end, a first hous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nd a first drive cam profile. A first driven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en cam profile and received in a first housing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within the first housing, the first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approaching one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 a second housing, a second hous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a second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am profile, and linearly moving inside the second housing. A second driven cam member that is possibly accommodate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is receiv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ther end of the drive cam member; 1st and 2nd ho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flat wall, the second flat wall, the third flat wall, and the fourth flat wall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has a first through the periphery. A first flat surface, a second flat surface, a third flat surface, and a fourth flat surface tha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ourth flat wall are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device and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nge device and a personal handheld terminal ha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operating joints and improve safety and reliability. It is about.
최근에 와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personal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as conveniences that anyone can easily carry and use freely anywhere.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플립형(sliding-type) 개인휴대단말기, 폴더형(folder-type) 개인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sliding-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최근에는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한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Such personal portable terminals are generally bar-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flip-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folder-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and slide-type personal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appearance or operation. -type). In addition, recently, a tilt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second body can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아울러,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와 같이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폐 동작이 통상의 힌지모듈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 힌지모듈은 구동캠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어 구동캠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종동캠부재, 및 종동캠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하우징 내부에 모듈화되어 제공되며, 통상의 회전 개폐형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폐가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개폐력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terminal in which a second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in a rotational man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such as a fold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tilt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generally has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econd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be done in a semi-automatic manner. In general, the existing hinge module includes a drive cam member, a driven cam member provided to be accessible and spaced apart from the drive cam member to interact with the drive cam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driven cam member. Modularly provided therein, and is mounted on a conventional rotary opening and clos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body to the first body is made in a semi-automatic manner.
그러나, 기존에는 개폐 동작시 힌지모듈에서 이음(異音; allophon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힌지모듈의 작동시 하우징에 대해 종동캠이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종동캠에 비틀림이 발생함에 따라 종동캠과 하우징 간의 마찰에 의해 작동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lophones are generated in the hinge modul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particular, a phenomenon in which the driven cam is twis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joint is genera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driven cam and the housing as the torsion occurs in the driven cam.
한편, 기존 힌지모듈은 구조적인 특성상 일정 이상의 개폐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폐력이 작용되는 본체의 크기 및 무게가 일정 이상 커질 경우에는 복수개의 힌지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 예로, 기존에는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구비된 힌지부싱의 일측에 제1힌지모듈을 연결하고, 힌지부싱의 다른 일측에 제1힌지모듈과 직렬로 배치되도록 제2힌지모듈을 연결한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hinge module has a limit in providing a more than a certain opening force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hen the size and weight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is appli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is us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inge modules in series. For example, conventionally, the first hinge modu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inge bushing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nnected, and the second hinge module is arranged in series with the first hinge module at the other side of the hinge bushing.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hinge module has been presented.
그러나, 기존에는 본체부의 힌지부싱과 각 힌지모듈 간의 연결 부위를 정확히 밀착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개폐 동작시 힌지모듈에서 이음(異音; allophon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 힌지모듈은 현실적으로 매우 정밀한 치수정밀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에는 각 힌지모듈의 치수 오차에 따라 힌지부싱과 힌지모듈 간의 연결 부위 사이에 이음 개선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it is difficult to closely contact the hinge portion between the hing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each hinge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llophones are generated in the hinge modul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particular, since each hinge module is difficult to be formed to have a very precise dimensional accuracy in reality, according to the dimensional error of each hinge module, a separate part must be inserted to improve the joint between the hinge bushing and the hinge module.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보다 향상된 개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force, and provides a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operation joint (異 音).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provides a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또한, 본 발명은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and provides a hinge device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hat can extend the lif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장치는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device is a common drive cam member, a drive cam having a first drive cam profile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drive cam profile at the other end; A first driven cam member and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driving cam profil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ember and being accommodated linearly in the first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accommodated therein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driven cam member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one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 second hous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nd a second drive cam profile. A second driven cam member having a corresponding second driven cam profile,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to be linearly movable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Direction approached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o a sid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cludes a first flat wall, a second flat wall, a third flat wall, and a fourth flat wall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A first flat surface, a second flat surface, a third flat surface, and a fourth flat surface formed o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 flat surface is formed.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종동캠부재 간의 직선 접촉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각 하우징, 및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각 종동캠부재의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하우징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종동캠부재의 제1 내지 제4평탄면이 면접촉된다 함은, 제1 및 제2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제1 및 제2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제1평탄면은 제1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2평탄면은 제2평탄벽에 면접촉되며, 제3평탄면은 제3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4평탄면은 제4평탄벽에 면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linear contact se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driven cam member is configured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driven cam member relative to the housing. The shape of each housing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and each driven cam member including the first to fourth flat surface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first to fourth flat walls,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may be formed from the first to second housings. It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a fourth flat surface.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fla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 The first flat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flat wall, the second flat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flat wall while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are linearly moved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hird flat wall and the fourth flat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ourth flat wall.
아울러, 힌지장치는 공용 구동캠부재, 제1종동캠부재, 제2종동캠부재, 및 제1 및 제2하우징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용 구동캠부재, 제1종동캠부재, 제2종동캠부재, 및 제1 및 제2하우징은 샤프트와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nge device may include a common drive cam member, a first driven cam member, a second driven cam member, and a shaf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 common. The driven cam member,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may be provided modularly with the shaft.
또한, 제1종동캠부재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는 종동캠부재 및 샤프트가이드부를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샤프트가이드부를 통해 샤프트에 접촉되는 직선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샤프트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ollower cam member and the second follower cam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haft guide part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and the shaft may be disposed to simultaneously pass through the follower cam member and the shaft guide part. Such a structure increases the straight sec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haft through the shaft guide por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restrain the torsion and flow of the driven cam member relative to the shaft while the driven cam member moves linearly.
한편, 힌지장치는 가이드브라켓과 같은 피대상체에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피대상체에는 제1 및 제2하우징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피대상체에는 제1 및 제2하우징을 덮도록 커버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device may be provided modularized to the target object such as a guide bracket. Receiving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object to accommodate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the cover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object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커버브라켓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브라켓은 피대상체에 대한 제1 및 제2하우징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브라켓의 일단은 걸림 방식으로 피대상체에 구속될 수 있고, 타단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피대상체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커버브라켓에는 피대상체과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결합홀은 전술한 수용홈에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스크류 체결시 커버브라켓에 작용하는 구속력에 의해 커버브라켓이 제1 및 제2하우징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버브라켓과 제1 및 제2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e cover bracket can be coupled to the guide brack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Preferably, the cover bracket may be combined in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strict the flow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the object. For example,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may be constrained to the target object by a locking method,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target object by a screw fastening method, and the cover bracket may be formed with a screw coupling hole for screw fastening to the target object. The screw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enter the aforementioned accommodation groove. Such a structure enables the cover bracke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by a restraining force acting on the cover bracket when screwing, thereby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cover bracket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be.
또한, 공용 구동캠부재는 피대상체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공용 구동캠부재에는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에는 피대상체와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driving cam member may be screwed to the target object, for this purpos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common drive cam member, and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screw fastening hole for screwing the object. Can be.
아울러, 제1링크부재에는 위치확인홈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에는 위치확인홈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에 대한 체결부의 정위치시 위치확인돌기는 위치확인홈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부재에 대한 체결부의 정위치라 함은, 좌측용 및 우측용 두개의 공용 구동캠부재가 사용될 경우, 우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우측에 배치되고, 좌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a positio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link member, and a position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at the fasten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member. Can be accommodated in the confirmation groove. Here,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link member means that when two common driving cam members for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used, the common driving cam member for the right side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the common driving cam member for the left side is lef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disposed in.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은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일단은 제1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일단은 제1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부재,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a first main body, a second main body disposed to be overlapped with the first main body,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body. The first link member is connected,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other end Is a connecting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a common driving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be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 first driven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a first housing and a first driving cam profile, the first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to be linearly movable inside the first housing, the first driven cam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Cam member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ne end of the copper cam member, a second hous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a second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am profile; A second driven cam member accommodated linearly in the second housing,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ther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 second elastic memb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has a first flat wall, a second flat wall, a third flat wall, and a fourth flat wall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At least one of the two driven cam members is provided with a first flat surface, a second flat surface, a third flat surface, and a fourth flat surface that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along the circumference.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al portable device is referred to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handheld PC, a laptop, a tablet computer,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or the like.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which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and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By doing so, it can be used as a concept of collectively a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computing power.
또한, 본 발명에서 제1본체 및 제2본체라 함은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하우징(또는 케이스) 자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본체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에 결합되는 각종 연결 요소(예를 들어, 각종 플레이트, 프레임 등)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understood as a housing (or case)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a general personal handheld terminal. Alternatively, various connections are made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It can be understood as an element (eg, various plates, frames, etc.).
아울러, 제2본체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1본체의 노출면에는 인터페이스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통상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다이얼,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소자,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페이스부로서 여타 다른 통상의 부가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n interface may be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body exposed when the second body is opened.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ventional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 button, a switch, a dial, a pointing device, and a touch pad,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a light emitting device, and a speaker. In addition, other conventional additional devices may be used as the interface por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terface portion.
각 링크부재의 위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제2본체의 닫힘시 각 링크부재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사이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각 링크부재가 제2본체의 닫힘시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한다.The position, number and spacing of each link member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when the second main body is closed, each link member is disposed substantially parallel betwee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 Of course,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hat each link member is arranged to be incli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n the second body is clos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각 링크부재가 대응되는 다른 링크부재 또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함은, 회전핀, 회전돌기 및 회전축과 같은 통상의 축 수단을 매개로 링크부재가 대응되는 다른 링크부재 및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link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other link member or body.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the other link member and the corresponding link member via a common shaft means such as a rotation pin, It can be understood as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제2본체의 배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의 타단 및 제2링크부재의 타단은 가이드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링크부재의 각 타단이 제2본체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 및 제2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만 가이드 플레이트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제2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 guide plate can b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can be modularized together with the guide plate b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plate.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Alternatively,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through a separate member such as a guide plate, As shown in FIG.
아울러, 제2링크부재의 일단은 제1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제1본체에는 제2링크부재의 일단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본체에는 가이드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이 가이드브라켓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레일이 제1본체에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slidabl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To this end, a guide rail is formed in the first main body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is slidably and rotatably received . For example, a guide bracke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a guide rail may be formed on the guide bracket. In some cases, the guide rail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first main body.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는 구간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제2본체의 개폐 구간 중 일부 구간(예를 들어,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이 완료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한 구간)에서만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본체의 전체 개폐 구간에 걸쳐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ction in which the damping force by the damping section act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damping force by the damping portion may act only in some sections of the opening / closing 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for example, a section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positions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main body is completed) , And in some cases, the damping force by the damping portion may act over the entire opening / closing 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댐핑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다양한 댐핑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부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댐핑부는 마찰저항, 유체저항 및 스프링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the damping portion, various conventional damping devic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mping portion. For example, the damp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damping force using at least one of frictional resistance, fluid resistance, and spring resistance.
아울러, 댐핑부는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동되며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댐핑부는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댐핑돌기, 제1본체에 제공되는 댐핑하우징, 댐핑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댐핑돌기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댐핑로드, 및 댐핑로드가 댐핑돌기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핑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프레임(또는 제2링크프레임)에 댐핑하우징을 장착하고, 제1본체에 댐핑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damp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and mechanically linked by rota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Damping force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damping portion may include a damping protrusion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a damping housing provided in the first body, a damping housing provided linearly movably to the damping housing, A damping rod, and a damping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esiliently contact the damping rod with the damping projection. In some cases, the damping housing may be mounted on the first link frame (or the second link frame), and the damp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first body.
댐핑돌기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링크부재의 일단에는 제1본체와 축 결합을 위한 축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댐핑돌기는 축결합부를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댐핑돌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갖는 대략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의 길이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돌기가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댐핑로드의 단부에는 댐핑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댐핑로드는 댐핑가이드를 매개로 댐핑돌기에 접촉될 수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damping protrusion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For example, an axial coupling portion for axial coupling with the first body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damping projection may be formed by partially removing the axial coupling portion. For example, the damp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having an opening on a side surface. The length and the shape of the opening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in some cases, the damp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Further, the end of the damping rod may be provided with a damping guide, and the damping rod may be in contact with the damping projection via the damping guide.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평탄면 및 평탄벽 구조가 단일 종동캠프로파일로 이루어진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며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이 형성된 하우징, 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 종동캠부재, 및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In some cases, the above-described flat surface and flat wall structures may be applied to a hinge device composed of a single driven cam profile. That i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am member having a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one end thereof,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lat wall, the second flat wall, and the third flat wall The first flat surface having a housing, a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am profil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along the circumference. A driven cam member having a second flat surface, a third flat surface, and a fourth flat surface, and an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driven cam memb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one end of the drive cam member.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hinge device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perating noise, and to improve safety and relia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장치의 작동시 하우징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비정상적인 유동이 구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유동에 따른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이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동캠부재가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비정상적인 유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isting and abnormal flow of the driven cam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can be restrai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operation noise due to the twisting and the flow of the driven cam member. .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first to fourth flat walls, and the first to fourth flat surfaces in which the driven cam membe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of the housing. By form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cluding a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wist and abnormal flow of the driven cam member to the housing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브라켓의 수용홈에 수용된 하우징이 커버브라켓에 의해 구속되되, 커버브라켓에는 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커버브라켓과 하우징 사이의 간극없이 하우징의 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커버브라켓과 하우징 사이의 간극이 발생됨에 따른 작동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guide bracket is constrained by the cover bracket, the cover bracket by forming a screw coupling ho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enters, the gap between the cover bracket and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stably fix the arrangement of the housing, and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joint due to the gap between the cover bracket and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동캠부재에 샤프트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샤프트가이드부를 통해 샤프트에 접촉되는 직선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샤프트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haft guide portion in the driven cam member, and increasing the linear section in contact with the shaft through the shaft guide portion, the twisting and flow of the driven cam member relative to the shaft dur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en cam member You can restrain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종동캠부재가 하나의 공용 구동캠부재를 매개로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수 오차에 따른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arranged in series to simultaneously interact through one common driving cam member, the occurrence of operation noise due to dimensional error is prevented in advance.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 하나의 공용 구동캠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공용 구동캠부재는 스크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해체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one common drive cam member is used, the structure and assembly process can be simplified. Moreover, since the common drive cam member can be coupled by screw fastening, it can be selectively disassembl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and rep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xtend the lif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링크부재의 회전시 연결링크부재의 의해 제2링크부재와 제1링크부재 간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 내에서 제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본체가 제1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및 틸팅 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개폐 조작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slides on the first body by all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ink member and the first link member to be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connecting link member when the first link member is rotated. The movement and the tilting movement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made simp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시, 연결링크부재에 의한 제2링크부재 일단의 당김 및 밀림에 의해,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시 제2본체의 하단부가 제1본체의 상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본체의 개폐시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들뜸 현상(제2본체의 하단부와 제1본체의 상면 간의 이격 간격)이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작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by pulling and pushing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by the connecting link member, when the second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of the second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when the second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Can be minimized, and operation st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의 개폐시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들뜸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조작에 필요한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개방 조작시 힘을 가하는 방향이 대략 직선 형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하는 방향을 중간에 변경하거나 힘의 세기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lifting of the second body relative to the first body can be minimized when the second body is opened and closed, the force necessary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For exampl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can be substantially linear, it can be opened by a simple operation without the hass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in the middle or changing the strength of the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동작시 우수한 미관을 창출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개폐 동작시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의 이격 간격이 클수록 미관상 좋지 않고, 개폐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의 이격 간격을 최소화한 상태로 틸팅 동작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의 편리함과 함께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lifting of the second body relative to the first body can be minimized, a superior aesthetic appearance can be creat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nd convenience in use can be provided.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is larger in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the aesthetics are not goo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ilting operation can be realized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nvenient appearance with a convenient opening and closing.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가 제1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틸팅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해서, 제2본체가 제1본체에 대해 미세하게 띄워진 상태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본체와 제1본체 간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본체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채용해야할 필요가 없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main body can slide and m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simultaneously with the tilting movement, in other words, the second main body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minute spac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first main body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re is no need to employ a separate structure for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main bodi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의 개폐시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에 의해 제2본체의 이동 속도가 감속될 수 있으며, 제2본체의 개방 또는 닫힘이 완료되는 순간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본체의 개폐 동작이 충격 없이 부드럽게 구현될 수 있으며, 충격력에 의한 제품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body can be reduced by the damping force of the damping part when the second body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impact force can be buffered instantaneously when the second body is opened or closed.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econd body can be implemented smoothly without impact, and the damage and breakage of the product due to the impact force can be prevented, and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링크부재의 일단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간이 제1본체의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될 필요없이 특정 구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본체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1본체의 노출 영역(예를 들어, 키패드 영역)이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으며, 태블릿 컴퓨터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slides can be formed only in a specific section without needing to be formed over the entire section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body is exposed when the second body is opened. The exposure area (eg, keypad area) of the main body can be more secured, and the space utilization and design freedom of the tablet comput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의 개방시 제1본체의 상면에 노출되는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거치대 또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face unit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can be used when the second main unit is opened, various input and output functions can be performed and the angle of the display unit can be uniform .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to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 above-mentioned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to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inge devic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s 5 to 7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hing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와 같이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폐 동작이 힌지장치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개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슬라이드 이동 및 틸팅 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개폐될 수 있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의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또는 다른 구조를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reference,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terminal in which a second main body is opened and closed in a rotating manner with respect to the first main body, such as a fold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tilting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opening and closing force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main body is performed in a semi-automatic manner by the hinge device. Hereinafter, the hin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applied to a tablet comput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the second body continuously performs a slide movement and a tilting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In some cases,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foldabl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ving another struc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type and struc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10), 제2본체(20),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연결링크부재(400),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하우징(740), 제1종동캠부재(720), 제1탄성부재(730), 제2하우징(770), 제2종동캠부재(750), 및 제2탄성부재(7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7,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라 함은 통상의 태블릿 컴퓨터를 구성하는 본체의 하우징(또는 케이스) 자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본체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에 결합되는 각종 연결 요소(예를 들어, 각종 플레이트, 프레임 등)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일 예로, 상기 제1본체(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가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참고로, 상기 인터페이스부(12)는 통상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다이얼,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소자,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페이스부(12)로서 여타 다른 통상의 부가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2)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서 제1본체의 전면에는 영문 표준 자판인 쿼티(QWERTY) 배열을 갖는 쿼티식 키패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숫자 배열을 갖는 키패드 또는 게임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게임용 키패드 및 터치패드 등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상기 제2본체(2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본체(20)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아울러, 상기 제2본체(20)는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를 매개로 제1본체(10)에 대해 소정 궤적을 그리며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이하에서는 상기 제1본체(10)(또는 제2본체)의 양측부에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00)(또는 제2링크부재)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링크부재(400)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부재, 제2링크부재 및 연결링크부재가 각각 하나씩만 제공되거나, 제1링크부재, 제2링크부재 및 연결링크부재가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링크부재(200,300,400)의 위치, 개수 및 이격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ach of the
상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은 제1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재(2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링크부재(200)는 소정 크기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부재가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아울러,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시 제1링크부재(200)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의 사이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200)가 평행하게 배치되기 위한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측면 투영시 제1링크부재(200)의 우측 단부에는 제1본체(10)와 회전 결합을 위한 제1축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링크부재(200)의 좌측 단부에는 제2본체(20)와의 회전 결합을 위한 제2축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축결합부(210)는 제1링크부재(2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또는) 제2축결합부가 제1링크부재에 대해 낮은(또는 높은) 회전 중심을 가질 필요없이, 제1링크부재의 일단 및(또는) 타단 자체가 중앙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꺽여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제1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2링크부재(300)가 제1링크부재(2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링크부재(300) 역시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또한,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시 제2링크부재(300)는 제1링크부재(200)와 함께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의 사이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링크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제2링크부재(300)는 축결합부의 회전 중심을 적절히 변경하거나, 제2링크부재의 양 단부의 높이 자체를 다르게 함으로써 닫힘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가 제2본체의 닫힘시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태블릿 컴퓨터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도록 제2본체의 닫힘시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betwee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t the time of closing the second main body, but the space occupied by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are arranged in parallel when the second body is closed so that the tablet computer can be made slimmer.
아울러, 상기 제2본체(20)의 배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200) 타단 및 제2링크부재(300)의 타단은 가이드 플레이트(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24)와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대응되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함은, 회전핀, 회전돌기 및 회전축과 같은 통상의 축 수단을 매개로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대응되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연결링크부재(400)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링크부재(400)는 제1링크부재(200)와 제2링크부재(30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시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이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함으로써, 개폐시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들뜸 현상(제2본체의 하단부와 제1본체의 상면 간의 이격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링크부재(4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링크부재(4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각도로 꺾여지거나 원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 연결링크부재(400)의 일단이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링크부재(400)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이 동일한 축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링크부재의 타단이 제2링크부재의 일단과 서로 다른 회전 중심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제1본체(10)의 상면에는 수용부(222)를 갖는 가이드케이스(2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는 수용부(212)에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시,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해 당겨지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시,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해 밀려나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한 제2링크부재(300) 일단의 당김 및 밀림에 의해 제2본체(20)의 하단부가 제1본체(10)의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제2본체(20)가 제1본체(10)에 대해 개폐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econd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하우징(740), 제1종동캠부재(720), 제1탄성부재(730), 제2하우징(770), 제2종동캠부재(750), 및 제2탄성부재(760)를 포함하는 힌지장치(700)는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폐가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힌지장치(700)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대한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의 회전시, 상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힌지장치(700)가 제1본체(10)에 대한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시 제1링크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mon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일단에는 제1구동캠프로파일(712)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A first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712) 및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712) 및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은 축선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는 골부와 산부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와 제1링크부재(200)의 연결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는 제1링크부재(200)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측면 일측에는 체결부(7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716)에는 제1링크부재(200)와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71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용 구동캠부재(710)는 스크류 체결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mmon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200)에는 위치확인홈(2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716)에는 위치확인홈(230)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716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200)에 대한 체결부(716)의 정위치시 위치확인돌기(716b)는 위치확인홈(23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부재(200)에 대한 체결부(716)의 정위치라 함은 우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우측에 배치되고, 좌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확인홈(230) 및 위치확인돌기(716b)는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두개의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측용 공용 구동캠부재(710)가 우측에 배치(또는 좌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좌측에 배치)될 시에만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716b)가 위치확인홈(230)에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상기 제1하우징(740)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일단에 제공되며, 후술할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1탄성부재(730)는 제1하우징(7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740)은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도 5의 774a 참조), 제2평탄벽(도 5의 774b 참조), 제3평탄벽(도 5의 774c 참조), 및 제4평탄벽(도 5의 774d 참조)이 형성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740)이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상기 제1종동캠부재(720)는 제1구동캠프로파일(712)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722)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740)의 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712)에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종동캠부재(720)의 둘레를 따라서는 제1하우징(74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도 5의 754a 참조), 제2평탄면(도 5의 754b 참조), 제3평탄면(도 5의 754c 참조), 및 제4평탄면(도 5의 754d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종동캠부재(750)가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하우징(74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제1종동캠부재(720)의 제1 내지 제4평탄면이 면접촉된다 함은, 제1하우징(740)의 내부를 따라 제1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제1평탄면은 제1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2평탄면은 제2평탄벽에 면접촉되며, 제3평탄면은 제3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4평탄면은 제4평탄벽에 면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flat surfaces of the first driven
참고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 및 제1종동캠부재가 정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하우징 및 제1종동캠부재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driven cam member are formed in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s described, but in some cases,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driven cam member are rectangular. It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제1탄성부재(730)는 제1하우징(74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720)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730)의 구조 및 종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탄성부재(730)로서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로서는 단 하나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탄성부재로서 서로 다른 권선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irst
상기 제1탄성부재(730)의 탄성력에 의한 제1종동캠부재(720) 및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제1구동캠프로파일(712)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종동캠부재(720)의 직선 운동이 탄성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driven
상기 제2하우징(770)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타단에 제공되며, 후술할 제2종동캠부재(750) 및 제2탄성부재(760)는 제2하우징(77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하우징(770)은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774a), 제2평탄벽(774b), 제3평탄벽(774c), 및 제4평탄벽(774d)이 형성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770)이 제1 내지 제4평탄벽(774a~774d)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상기 제2종동캠부재(750)는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752)을 구비하며, 전술한 제1종동캠부재(720)와 직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770)의 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에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종동캠부재(750)의 둘레를 따라서는 제2하우징(77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774a~774d)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754a)면, 제2평탄면(754b), 제3평탄면(754c), 및 제4평탄면(754d)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종동캠부재(750)가 제1 내지 제4평탄면(754a~754d)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second driven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2하우징(77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774a~774d)에 대응하여 제2종동캠부재(750)의 제1 내지 제4평탄면(754a~754d)이 면접촉된다 함은, 제2하우징(770)의 내부를 따라 제2종동캠부재(750)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제1평탄면(754a)은 제1평탄벽(774a)에 면접촉되고, 제2평탄면(754b)은 제2평탄벽(774b)에 면접촉되며, 제3평탄면(754c)은 제3평탄벽(774c)에 면접촉되고, 제4평탄면(754d)은 제4평탄벽(774d)에 면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참고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하우징 및 제2종동캠부재가 정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하우징 및 제2종동캠부재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are formed in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s described, but in some cases,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are rectangular. It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제2탄성부재(760)는 제2하우징(77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750)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760)의 구조 및 종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탄성부재(760)로서는 전술한 제1탄성부재(730)와 같이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로서는 단 하나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탄성부재로서 서로 다른 권선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상기 제2탄성부재(760)의 탄성력에 의한 제2종동캠부재(750) 및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제2구동캠프로파일(714)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종동캠부재(750)의 직선 운동이 탄성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driven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회전시 공용 구동캠부재(710)에 대해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가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first drive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탄성부재(730) 및 제2탄성부재(760)로서 서로 동일한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에 각각 동일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가 서로 다른 종류의 스프링 또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1종동캠부재 및 제2종동캠부재에 각각 다른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il spring is used as the first
아울러, 상기 힌지장치(700)는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종동캠부재(720), 제2종동캠부재(750),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7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종동캠부재(720), 제2종동캠부재(750),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은 샤프트(780)와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샤프트(780)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종동캠부재(750)에 샤프트가이드부(756)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종동캠부재 뿐만 아니라 제1종동캠부재에도 샤프트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상기 샤프트가이드부(756)는 제2종동캠부재(75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제2종동캠부재(75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780)는 제2종동캠부재(750) 및 샤프트가이드부(756)를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780)는 제2종동캠부재(750) 및 샤프트가이드부(756)를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샤프트가이드부(756)를 통해 샤프트(780)에 접촉되는 직선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종동캠부재(750)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샤프트(780)에 대한 제2종동캠부재(750)의 비틀림 및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한다.As such, the
한편,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제1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제1본체(10)에는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에 구비된 링크핀(310)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기 위한 가이드레일(630)이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제1본체(10)에 가이드브라켓(6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30)이 가이드브라켓(600)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은 가이드브라켓(6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브라켓(600)과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a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600)에는 힌지장치(700)의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6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은 수용홈(602)에 수용된 상태로 가이드브라켓(600)과 함께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가이드브라켓(600)에는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을 덮도록 커버브라켓(6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의 배치상태는 커버브라켓(61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00)에 커버브라켓(61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종동캠부재(720,750)에 대한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회전은 보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커버브라켓(6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6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브라켓(610)은 가이드브라켓(600)에 대한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The
일 예로, 상기 커버브라켓(610)은 대략 "L"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걸림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600)에 구속될 수 있고, 타단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6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브라켓(600)의 후방 부위에는 걸림돌기(60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브라켓(61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604)가 구속되기 위한 걸림홈(6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브라켓(610)의 타단에는 가이드브라켓(600)과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616)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스크류결합홀(616)은 전술한 수용홈(602)에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물론, 스크류결합홀은 수용홈에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용홈에 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스크류결합홀에 스크류가 체결될 시 커버브라켓에 작용하는 구속력에 의해 커버브라켓 자체가 휘어지며, 커버브라켓과 각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간극은 힌지장치의 작동시 작동이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Of course, the screw coupling hol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enter the accommodation groove (for exampl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enters the accommodation groove). The cover bracket itself is bent due to the restraint force acting on the cover bracket when the screw is screwed into the screw coupling ho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cover bracket and each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류결합홀(616)이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이 수용홈(602)에 진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류 체결시 커버브라켓(610)의 타단부에 작용하는 구속력은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이 수용홈(602)에 진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커버브라켓의 타단부가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버브라켓(610)과 제1 및 제2하우징(740,77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제1본체(10)에 대해 제2본체(20)가 틸팅되는 구조에서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 간의 후방 연결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 간의 후방 연결부위가 제1링크부재(200)에 의해 덮혀질 수 있기 때문에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링크부재(200)는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 또는 면적을 갖도록 제공되며, 제2본체(20)의 개방시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는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제1링크부재(2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Meanwhil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는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폐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제2본체(2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부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has a damping force for reducing the moving speed of the
상기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는 구간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본체(20)의 개폐 구간 중 일부 구간(예를 들어,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이 완료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한 구간)에서만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본체의 전체 개폐 구간에 걸쳐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section in which the damping force by the damping section act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example in which the damping force acts only in a part of the opening / closing 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20 (for example, a section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ends of the second main body) . In some cases, the damping force by the damping section may be applied over the entire opening and closing 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상기 댐핑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다양한 댐핑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부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댐핑부는 마찰저항, 유체저항 및 스프링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유체저항을 이용한 댐핑력이라 함은 구리스, 실리콘 오일 등과 같은 통상의 작동유체 내부에서 댐핑부재가 이동 또는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점성저항에 의한 댐핑력을 포함할 수 있다.As the damping portion, various conventional damping devic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required conditions and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mping portion. In one example, the damp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damping force using at least one of frictional resistance, fluid resistance, and spring resistance. For reference, the damping force using the fluid resistance may include a damping force due to the viscous resistance generated as the damping member moves or rotates in a common working fluid such as grease or silicone oil.
상기 댐핑부는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동되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부가 링크부재(200,300)의 회전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동된다 함은,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의 회전에 의한 접촉, 마찰 또는 간섭에 의해 댐핑부가 작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damp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이하에서는 댐핑부가 댐핑돌기(510), 댐핑하우징(520), 댐핑로드(530) 및 댐핑스프링(5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damping portion includes the damping
상기 댐핑돌기(510)는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댐핑돌기(510)가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후술할 댐핑로드(530)가 댐핑돌기(5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다.The damping
상기 댐핑돌기(510)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는 제1본체(10)와 축 결합을 위한 제1축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댐핑돌기(510)는 제1축결합부(210)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hape and size of the damping
이하에서는 상기 댐핑돌기(510)가 제1축결합부(210)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형성되되, 측면에 개구부(512)를 갖는 "C"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는 후술할 댐핑로드(530)의 단부가 개구부(5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댐핑로드(530)의 단부가 개구부(512)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댐핑로드(530)와 댐핑돌기(510) 간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댐핑로드(530)와 댐핑돌기(510) 간의 접촉이 해제된다 함은 댐핑로드(530)와 댐핑돌기(510) 간의 접촉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12)의 길이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개구부(512)의 길이에 따라 댐핑력이 작용하는 시점이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damp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댐핑돌기가 단 하나의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돌기가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개구부의 개수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have only one opening. However, in some cases, the damping protrusion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openings. Depending on the number and shape of the opening, But are not limited to.
상기 댐핑하우징(520)은 댐핑돌기(510)에 인접하게 제1본체(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댐핑로드(530)는 댐핑하우징(5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댐핑돌기(51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댐핑돌기(510)는 댐핑하우징(52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로드가 댐핑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damp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핑로드(530)가 소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댐핑로드(530)의 형상 및 구조는 댐핑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또한, 상기 댐핑로드(530)의 단부에는 댐핑가이드(54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댐핑로드(530)는 댐핑가이드(540)를 매개로 댐핑돌기(51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핑가이드는 댐핑돌기의 표면을 따라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가이드가 댐핑돌기의 표면을 따라 면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damping
상기 댐핑가이드(540)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amping
아울러, 전술한 가이드브라켓(600)에는 댐핑하우징(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6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댐핑하우징(520)은 가이드브라켓(600)과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The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링크프레임에 댐핑돌기가 형성되고 제1본체에 댐핑하우징 등이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제1링크프레임에 댐핑하우징을 장착하고, 제1본체에 댐핑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댐핑로드가 댐핑가이드를 매개로 댐핑돌기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로드의 단부가 댐핑돌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damp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first link frame and the damping housing or the like is mounted on the first body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ing housing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link frame And the damp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first body.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which the damping rod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damping protrusion via the damping guide, in some cases, the end of the damping rod may be configur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damping protrusion.
상기 댐핑스프링(550)은 댐핑로드(530)가 댐핑돌기(5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댐핑스프링(550)으로서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하우징(520)과 댐핑로드(530)의 사이에 개재되어 댐핑로드(5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damp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및 틸팅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sliding and tiltable tablet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or equivalent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과 같이, 초기 상태(닫힘 상태)에서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사이에서 서로 포개지듯이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본체(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2)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n the initial state (closed state), the
그 후, 제1본체(10)에 대해 제2본체(20)를 개방시킨 상태로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제2본체(20)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2본체(20)를 제1본체(10)에 대해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통상의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개방시키는 방식과 같이, 제2본체(20)의 하단을 밀어올리면, 제1본체(10)에 대해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회전함으로써, 제2본체(20)가 제1본체(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틸팅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본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본체(10)의 상면에 노출되는 인터페이스부(12)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Thereafter, in order to use the tablet computer with the second
아울러,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은 힌지장치(700)의 구동력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본체(20)의 개방시 제1링크부재와 함께 공용 구동캠부재(710)가 회전함에 따라 공용 구동캠부재(710)에 대해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가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또한, 상기 제2본체(20)의 개방이 일정 이상 진행되면, 댐핑부가 작동되며 제1링크(100)부재에 댐핑력이 작용함으로써, 제2본체(2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일정 이상 진행됨에 따라 댐핑돌기(510)가 댐핑로드(53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댐핑돌기(510)에 댐핑로드(530)가 탄성적으로 접촉됨에 따른 댐핑력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댐핑력에 의해 제2본체(20)의 개방 이동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 of the
전술한 개방시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본체(20)의 닫힘시에도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해 밀려나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닫힘시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들뜸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댐핑부에 의해 제2본체(20)의 닫힘 이동 속도 역시 감속될 수 있다.Even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 : 제1본체 20 : 제2본체
200 : 제1링크부재 300 : 제2링크부재
400 : 연결링크부재 600 : 가이드브라켓
610 : 커버브라켓 630 : 가이드레일
700 : 힌지장치 710 : 공용 구동캠부재
720 : 제1종동캠부재 730 : 제1탄성부재
740 : 제1하우징 750 : 제2종동캠부재
760 : 제2탄성부재 770 : 제2하우징
780 : 샤프트10: first body 20: second body
200: first link member 300: second link member
400: connecting link member 600: guide bracket
610: Cover Bracket 630: Guide Rail
700: hinge device 710: common driving cam member
720: first driven cam member 730: first elastic member
740: first housing 750: second driven cam member
760: second elastic member 770: second housing
780: shaft
Claims (11)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의 직선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의 비틀림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된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피대상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덮도록 상기 피대상체에 결합되는 커버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피대상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구속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브라켓의 타단에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대상체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In the hinge device mounted to the object,
A common driving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first hous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 first driven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cam profile, the first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linearly in the first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ne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 second hous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 second driven cam member having a second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am profile,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linearly in the second housing; An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to constrain the tors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when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move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housings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first flat wall, a second flat wall, a third flat wall, and a fourth flat wall ar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are provided. At least one of which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formed with a first flat surface, a second flat surface, a third flat surface, and a fourth flat surfac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
The subject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he cover bracket coupled to the subject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A locking groove is formed to restrain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target object, and a screw for fastening the screw to the target objec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enter the receiving groove 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bracket. Hin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shaf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mmon driving cam member, the first driven cam member,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 comm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follower cam member and the second follower cam member, wherein a shaft guide part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is formed integrally.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피대상체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mmon drive cam member,
The fastening unit is a hin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crew fastening hole for screw fastening is formed in the object.
상기 피대상체에는 위치확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피대상체에 대한 상기 체결부의 정위치시 상기 위치확인돌기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Positioning groove is formed in the object,
Th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groove,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are accommodated in the positioning grooves when the fastening portion is in the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arget object.
상기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은 상기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1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부재;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1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의 직선 이동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의 비틀림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된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덮도록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결합되는 커버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브라켓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구속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브라켓의 타단에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A first body;
A second body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body;
A first link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body;
A second link member having one end slidably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body;
A connecting link membe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A common driving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driving cam profi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 first hous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 first driven cam member having a first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cam profile, the first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linearly in the first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one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 second hous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rive cam member;
A second driven cam member having a second driven cam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am profile,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being accommodated linearly in the second housing;
A second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cam member; And
And a guide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having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rotatably coupled thereto.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to constrain the torsion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relative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when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move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housings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first flat wall, a second flat wall, a third flat wall, and a fourth flat wall are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riven cam members are provided. At least one of which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formed with a first flat surface, a second flat surface, a third flat surface, and a fourth flat surfac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first to fourth flat wal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
The guide bracket further includes a cover bracket for receiving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he cover bracket coupled to the guide bracket so as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at one end of the cover bracket. A locking groove is formed to restrain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bracket, and a screw for fastening the screw to the guide bracket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enter the receiving groove at the other end of the cover bracket.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is formed.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haf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mmon driving cam member, the first driven cam member, the second driven cam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in comm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ollower cam member and the second follower cam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is integrally formed.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mmon drive cam member,
The fastening part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screw fastening hole for screwing the first link member is formed.
상기 제1링크부재에는 위치확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한 상기 체결부의 정위치시 상기 위치확인돌기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0,
Position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link member,
Th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groove,
Personal position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projection is accommodated in the positioning groove when the fastening portion relative to the first link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314A KR101310209B1 (en) | 2012-01-05 | 2012-01-05 |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1314A KR101310209B1 (en) | 2012-01-05 | 2012-01-05 |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0496A KR20130080496A (en) | 2013-07-15 |
KR101310209B1 true KR101310209B1 (en) | 2013-09-24 |
Family
ID=4899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1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0209B1 (en) | 2012-01-05 | 2012-01-05 |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1020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647B1 (en) * | 2013-08-13 | 2020-08-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5923A (en) * | 2000-11-20 | 2002-05-31 | Mitsubishi Steel Mfg Co Ltd | Biaxial hinge having a plurality of torque generating parts |
KR101074860B1 (en) * | 2009-11-18 | 2011-10-1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
2012
- 2012-01-05 KR KR1020120001314A patent/KR1013102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5923A (en) * | 2000-11-20 | 2002-05-31 | Mitsubishi Steel Mfg Co Ltd | Biaxial hinge having a plurality of torque generating parts |
KR101074860B1 (en) * | 2009-11-18 | 2011-10-1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Sli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0496A (en) | 2013-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34065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949839B1 (en) |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 |
KR101139866B1 (en) | Hinge device of folding type mobile phone | |
KR101207203B1 (en) |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447249B1 (en) | Tablet computer capable of sliding and tilting | |
KR100902638B1 (en) | Sliding Personal Handheld Terminal | |
KR101310209B1 (en) |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090129647A (en) | Sliding device and slide type portable information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310210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tilting | |
KR101120087B1 (en) | Sliding and tilting hinge device | |
KR101089238B1 (en) | Tiltable Slide Hinge | |
KR101089232B1 (en) | Slide driv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terminal with same | |
KR100769035B1 (en) | Hinge device | |
KR101101331B1 (en) | Hinge device for personal mobile device | |
KR20080089832A (en) | Hinge device | |
KR101114987B1 (en) | Tilting hinge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359616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tilting | |
KR101264732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 |
KR101020934B1 (en) | Personal mobile terminal | |
KR101100852B1 (en) | Tilting slide type personal mobile device | |
KR101115001B1 (en) | Hinge devic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 |
KR101123069B1 (en) | Slide hinge device capable of tilting | |
KR101339798B1 (en) |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 |
KR20120004595A (en) | Dual open and close portable personal terminal | |
KR101081002B1 (en) |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slidable and tiltable pa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