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130B1 -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headliner ski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headliner ski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130B1 KR101309130B1 KR1020110036900A KR20110036900A KR101309130B1 KR 101309130 B1 KR101309130 B1 KR 101309130B1 KR 1020110036900 A KR1020110036900 A KR 1020110036900A KR 20110036900 A KR20110036900 A KR 20110036900A KR 101309130 B1 KR101309130 B1 KR 101309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am
- reducing material
- headliner
- coc
- redu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2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onsisting of at least two parts of chemically or physically different materials, e.g. having different densi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저감재를 첨가하여 발포함으로써 VOC를 탈취하여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정화할 수 있는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헤드라이너 표피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 제조공정에서 발포액과 분말상태의 저감재를 1 ~ 10%의 배합비율 범위로 첨가하거나 또는 액상상태의 저감재를1 ~ 5%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VOC 저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헤드라이너 표피층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am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COC reducing material capable of deodorizing the COC to purify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by adding and reducing foam to the foam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headliner manufactured thereby. Provide an epidermal lay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am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eadliner skin layer by adding the foaming liquid and powder reducing agent in the mixing ratio of 1 to 10% or by adding the liquid reducing agent in the mixing ratio of 1 to 5% Provided are a method for producing a foam comprising a COC reducing material capable of increasing the COC reduction efficiency, and a headliner skin layer produced thereby.
Description
본 발명은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헤드라이너 표피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저감재를 첨가한 후 발포하여 VOC를 탈취 및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정화할 수 있는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헤드라이너 표피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a COC reducing material and a headliner skin layer produced by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foam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fter adding the reducing material to the foam to deodorize the COC. And a COC reducing material capable of purifying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by reduc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foam, and a headliner skin layer produced thereby.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는데, 이러한 실내의 대기환경은 입자상 오염물질, 화학적 오염물질, 생물학적 오염물질, 중금속, 방사성 물질 등의 여러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실내 공기 오염은 거주자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대기질 제어는 매우 중요한 환경문제가 되고 있다. Modern people live more than 90% of their daily lives indoors, which are often contaminated by various pollutants such as particulate pollutants, chemical pollutants, biological pollutants, heavy metals and radioactive materials. Since indoor air pollution can seriously threaten the health of residents, indoor air quality control is a very important environmental problem.
최근에는 특히 새로 지어진 건물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 휘발성유기화합물)와 포름알데히드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있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 신축 건물의 내장재에서 방출되는 VOC와 포름알데히드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 SBS)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호흡기 및 눈 자극, 호흡 문제, 코 및 목 질환, 피부 질환, 두통, 기억력 감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new buildings are contaminated with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Sustained exposure to COC and formaldehyde released from new building interior materials can cause sick building syndrome (SBS), which includes respiratory and eye irritation, breathing problems, nose and throat diseases, skin diseases, headaches, It can cause memory loss.
또한, 카페트에서 발생하는 VOC는 쥐들의 신경장애, 심각한 호흡 곤란과 더불어 최악의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에 따라 VOC의 저감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등 실내 공간에서의 VOC 농도 제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COC from carpets can lead to neuropathy in rats, severe breathing difficulties, and even death in the worst case. Accordingly, there is a great deal of interest in the control of COC concentration in an indoor space, such as active research on a method of reducing COC.
최근 차량 내부의 VOC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차량의 경우에도 내장재에서 각종 VOC가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In recent years,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inside of a vehicle because various types of COC may be emitted from interior materials even in a vehicle.
전술한 바와 같은 시대적 요구에 따라 현재 차량 제작사는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하여 각 제조사별 규정 수립 및 수립 예정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인 차량 실내 공기질에 대한 규정 및 각 해당 부품에 대한 VOC 기준은 수립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vehicle manufacturer has plans to establish and establish regulations for each manufacturer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nd the overall air condition for the vehicle and the BOC standard for each corresponding part are established.
차량 보급 증대로 인하여 현대인들은 차량 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되어 차량 실내공간이 거주공간의 일부로 자리 잡게 되면서 차량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가적으로 국토해양부는 "07년 신규제작차량의 실내 내장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인체 유해 물질"에 대하여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안전 운전을 도모하고 건강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하는 관리 기준을 발표하였다. 또한, 2009년 07월 01일 이후 "신규제작 차량 실내 공기질 관리기준" 공표에 따라 신차부터 VOC(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포름알데히드)를 규제치 이하로 유지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또한 세계 각국의 새차 실내공기질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 휘발성 유기화합물) 권고(규제) 기준을 설정, 적용하고 있다.Due to the increase in the supply of vehicles, modern people have increased their staying time in the vehicle, and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has become a part of the living space. In response,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nounced management standards aimed at promoting safe driving and protecting health by ensuring proper management of "human hazardous substances emitted from indoor interior parts of new vehicles produced in 2007". It was. In addition, since July 1, 2009, the new car interior air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have been announced, and new cars are recommended to keep OCC (benzene, toluene, xylene, styrene, and formaldehyde) below the regulation level. Is setting and applying the standards for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외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차량 내부 부품에서 방출되는 VOC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차량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필요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easures to reduce the COC emitted from the internal parts of the vehicle to cop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at home and abroad,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vehicle.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외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차량 내부 부품에서 방출되는 VOC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며, 차량 실내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필요성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easures to reduce the COC emitted from the internal parts of the vehicle to cop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at home and abroad,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of the vehicle.
또한, VOC 저감재 발포량 조절과 희석비율에 따라 VOC 효과는 달라지므로 보다 효과적인 VOC 저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시급한 실정이다.In addition, since the COC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COC foaming amount control and the dilution rati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COC reduction efficiency more effectively.
아울러, 문제 발생시 폴리프로필렌(PP) 파우더의 발포량 변동을 통한 최적 발포량을 확보하는 것과 원가절감을 통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it is necessary to secure an optimal foaming amount by varying the foaming amount of polypropylene (PP) powder and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cost reduc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저감재를 발포하여 VOC의 탈취 및 감소로 인해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정화할 수 있는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OC reducing material that can purify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by deodorizing and reducing the COC by foaming the reducing material on the foam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headliner skin lay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 제조공정에서 발포액과 분말 상태의 저감재를 1 ~ 10%의 배합비율 범위로 첨가하거나 또는 액상상태의 저감재를 1 ~ 5%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VOC 및 포름알데히드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 및 헤드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foaming liquid and powder reducing agent in the range of 1 to 10% compounding ratio in the foam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eadliner epidermal layer or to reduce the mixing ratio of 1 to 5% in the liqui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liner skin layer and a headliner including a reducing material capable of reducing the COC and formaldehyde in an automobile interior by adding a foam to produce a foa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은 (a) 분말 상태 또는 액상 상태의 저감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준비된 상기 저감재와 발포체를 배합하여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am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COC redu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ises the steps of (a) preparing a reducing material in a powder state or a liquid state; And (b) blending the prepared reducing material and the foamed foam.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저감재는 그라프(Graf), 박토스터 알렉신(Bactoster Alexin) 및 이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step (a), the redu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y one or more of Graf (Graf), Bactoster Alexin (Bactoster Alexin) and mixtures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토스터 알렉신은 프로폴리스에서 추출한 천연 살균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actoster alex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sterilized material extracted from propoli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감재는, 상기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상기 발포체 제조공정에서 상기 발포액과 상기 분말 상태의 상기 저감재를 1 ~ 10%의 배합비율로 또는 상기 액상 상태의 상기 저감재를 1 ~ 5%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상기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educing material is 1 to 10% of the foaming material and the reducing material in the powder state in the foam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eadliner skin layer, or the reducing material in the liquid state is 1 to 5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is prepared by adding the compounding ratio of%.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발포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저밀도 발포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step (b), the foam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low-density foam, such as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urethane) and polyethylene (Polyethylene).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15 ~ 90kg/m3이고, 발포비율은 15 ~ 60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hermoplastic foam has a density of 15 to 90 kg / m 3 and a foaming ratio of 15 to 60 times.
전술한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및 상기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킨;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am containing the reducing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foam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COC reducing material; And a skin positioned below the foam including the reducing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15 ~ 90kg/m3이고, 발포배율은 15 ~ 60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hermoplastic foam has a density of 15 to 90 kg / m 3 , and a foaming ratio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ange of 15 to 60 times.
바람직하게는, 분말 상태의 저감재는, 1 ~ 10%의 배합비율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owder reducing agent has a blending ratio range of 1 to 10%.
바람직하게는, 액상 상태의 저감재는, 1 ~ 5%의 배합비율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ducing material in the liquid stat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blending ratio range of 1 to 5%.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저감재를 첨가하여 발포함으로써 VOC를 탈취하여 감소시켜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정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dding foaming material to the foam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foaming deodorizes and reduces the COC to purify the air quality inside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분말 상태의 저감재를 1 ~ 10%의 배합비율 범위로 첨가하거나 또는 액상상태의 저감재를 1 ~ 5%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차량 내부의 VOC 저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reducing agent in the powder state in the blending ratio range of 1 to 10% or by adding a liquid reducing agent in the blending ratio of 1 to 5% to produce a foam containing the reducing material in the vehicle interior The effect of raising the COC reduction efficiency of the cell occu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저감재를 배합하여 발포한 헤드라이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저감재를 첨가하여 발포하는 공정(b)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헤드라이너 기재층 및 표피층을 제조하는 과정을 (a), (b), (c) 및 (d)의 순서대로 나타낸 공정도,
도 4의 (a), (b)는 도 1의 헤드라이너의 기재층 및 표피층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및
도 5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VOC 테스트 결과비교표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liner foamed by blending a reducing material into a foam of a headliner skin layer including a redu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a step (b) of adding and reducing the foam to the foam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cluding the redu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headliner base layer and the skin layer of FIGS. 1 to 2 in the order of (a), (b), (c) and (d),
(A), (b) is a 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layer and the skin layer of the headliner of Figure 1, and
5 is a comparison table of the results of the JOC test of the headliner skin layer.
본 발명에 따른 VOC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am manufacturing method including the COC reduc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본 발명에서 '저감재'라는 용어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대기중이나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VOC를 탈취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여기서, 저감재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 공정 중에 발포체에 발포하는 것임에 유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감재는 분말 상태에서 1 ~ 10중량% 또는 액상 상태에서 1 ~ 5중량%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reducer" refers to a compound capable of deodorizing COC existing in the atmosphere or inside a vehicl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Note that the reducing material foams on the foam during the foaming process of the headliner skin layer. More specifically, the reducing material means adding 1 to 10% by weight in a powder state or 1 to 5% by weight in a liquid state to prepare a foam.
본 발명의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의 이해를 돕기 위해 헤드라이너의 기재층(1)을 우선적으로 설명한다.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기재층(1)은 천연섬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로 조합된 시트층(2) 및 시트층(2)와 시트층(2) 사이에 위치하는 발포체(11a)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천연섬유는 양마, 대마, 황마, 모시풀 섬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시트층(2)은 직사각형의 판재로, 천연섬유,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시트층(2)의 기술적 성능 지표 중 중량은 0.6 ~ 1.4kg/m2, 두께는 2 ~ 10mm, 난연성은 100mm/min. 이내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발포체(11a)는 열가소성 발포체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되는 발포체(11b)를 참조한다.
The
이하, 전술한 기재층(1) 및 도시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은 전술한 기재층(1)의 하부에 위치하며, 표피층(10), 저감재를 포함한 발포체(30)를 포함한다.The
저감재를 포함한 발포체(30)는 발포체(11b)와 저감재(20)로 구성된다.The
발포체(11b)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발포체(Thermo Plastic Form) 또는 폴리우레탄 발포체(Poly-Urethane Foam)로 적용할 수 있다. The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아이소사이안산염화합물과 글리콜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을 구성재료로 하고, 구성성분인 아이소사이안산염과 가교 결합제로 쓰는 물과의 반응으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프레온과 같은 휘발성 용제를 발포체로 섞어서 만드는 발포 제품을 일컫는다. 폼의 겉보기 밀도(bulk density)를 오픈(Open)/클로즈 셀(Close Cell) 방식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어디에서나 발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폼은 연질·반경질(半硬質)·경질 등의 여러 가지 굳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0.032g/cc 이하를 연질, 0.08g/cc를 반경질, 0.144g/cc 이상을 경질이라고 한다. 여기서는 15 ~ 90kg/m3의 밀도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포배율은 15 ~ 60 배율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lyurethane foam is composed of polyurethane obtained by the reaction of isocyanate compound and glycol as a constituent material, and a volatile solvent such as carbon dioxide and freon produced by reaction of constituent isocyanate with water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is foamed. Refers to foamed products made by mixing. The bulk density of the foam can be freely controlled in an open / close cell fashion and foamed anywhere. Therefore, the foam made in this way has various rigidities, such as soft, semi-hard, and hard. Generally, 0.032 g / cc or less is called soft, 0.08 g / cc is called semi-hard and 0.144 g / cc or more is called hard. Here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density range of 15 ~ 90kg / m 3 , the foaming ratio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range of 15 ~ 60 magnification.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등의 저밀도 발포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특성에 재질별 특성을 감안하여 유사 적용하도록 한다. 전술한 성능 지표를 지님으로써 중량 및 두께는 최소화하면서 강도를 높여 생산비용 절감 실현 및 효과적인 VOC 탈취를 달성할 수 있다. 발포체(11b)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저밀도 발포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Preferably, low-density foam such as polyethylene is to be similarly applied to the properties of the polyurethane foam in consideration of material-specific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the above-mentioned performance indicators, the weight and thickness can be minimized to increase the strength,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achieving effective COC deodorization. In general, the
스킨(10)은 발포체(11b)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The
저감재(20)는 발포체(11b)를 발포하여 성형하는 공정에 배합하여 발포되는 첨가제이다. 보다 상세하게 저감재(20)는 그라프(Graf) 및 박토스터 알렉신(Bactoster Alexin)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제품으로 일본에서 특허 받은 그라프 성분과 프로폴리스에서 추출한 천연 살균소재인 박토스터 알렉신을 특수 가공하여 다공성 담체로 만든 포름알데히드 및 각종 휘발성 화합물 전용 제거용 살균 탈취제이다. 이러한 저감재(20)는 강력한 탈취 효과로 포름알데히드를 2시간 안에 98% 이상 제거한다. 또한, 흡착 공기에 포함된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하며, 다공성 담체에 담지함으로써 그 효과가 장기간(최소 6개월, 최대 5년) 지속시킬 수 있다.
The reducing
전술한 바와 같이 표피층은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발포체와 스킨(10)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스킨(10)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VOC 저감기술은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발포체에 적용하여 발포 기술을 접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헤드라이너 표피층에 적용되는 발포체의 발포액과 저감재의 배합비율은 1 ~ 10중량%의 범위로 분말 상태의 저감재를 적용하거나 또는 액상 상태의 저감재를 1 ~ 5중량%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발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은 도 1에서와 같이 저감재(20)가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30)에 포함되어 발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pidermal layer is generally composed of polyurethane foam and
이하, 도 2의 (a) ~ (d)를 참조하여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제조 공정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A to 2D,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s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cluding the reduc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우선, (a) 단계에서는 원료이송 및 배합을 하는 단계로 혼합 저장조에서 행해진다. (a)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은 이물질 침투방지하였는지, 액체의 온도 조절이 되었는지, 배합비율을 준수하였는지 등이 있다.First, in the step (a),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and blended in a mixed storage tank. The main items to be checked in step (a) include the prevention of foreign substance penetration,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liquid, and the compliance of the mixing ratio.
다음, (b) 단계에서는 발포체(11b)에 발포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발포기에 발포체(11b)와 저감재(20)를 일정한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발포하며, 전체의 제조공정 중 본 발명의 VOC 저감재(20)가 적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저감재(20)는 발포체의 발포액과 분말 상태로는 1 ~ 10중량%의 범위로 첨가하거나 또는 액상상태로는 1 ~ 5중량%의 배합비율로 첨가하여 발포체(30)를 제조한다. (b) 단계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은 믹싱 헤드 회전수(Mixing head RPM)를 준수, 챔버의 압력설정, 펌프 토출량 설정, 콘베이어 속도 설정 등이 있으며, 이는 발포 처방전임에 유의한다.Next, in step (b), the
발포된 발포체(30)는 이송 컨베이어를 통하여 (c) 단계로 이송된다. (c) 단계에서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30)를 절단기를 통하여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다. 이때, 확인해야 할 사항은 절단길이를 관리하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컨베이어를 동기화하는 것이다.The foamed
다음, (d) 단계에서는 절단된 발포체(11b)를 블럭 창고에 숙성시킨다. 여기서, 숙성시간이 적절하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Next, in step (d), the
(d) 단계 이후의 후처리, 재단, 포장 및 적재 등의 제조공정들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과 크게 관련이 없는 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 are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post-treatment, cutting, packaging, and loading after step (d), bu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a part tha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의 (a), (b), (c) 및 (d)를 참조하여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이해를 돕기 위한 헤드라이너 기재층 및 표피층의 제조 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a), (b), (c) and (d) of FIG. 3,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eadliner base layer and the skin layer for clarity of the headliner skin layer including the reduc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in order. Is the same as
우선, 도 3의 (a), (b), (c) 및 (d)의 순서대로 헤드라이너 기재층(1) 및 표피층(10)을 이송하고 약 40~120 초 동안 약 190도의 온도로 헤드라이너 기재층(1) 및 표피층(10)을 예열하여 소재를 유연하게 만든다. 그 후 성형 금형에서 약 40~90초 동안 형상을 구현하며, 형상 구현시 사용되는 금형은 냉간 금형이다. 성형 후 트리밍 방법은 프레스를 이용한 트리밍, 워터제트(Waterjet)를 이용한 트리밍, 초음파 커터를 이용한 트리밍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방법들은 수요기업의 수량 및 요구사항에 따라 선정할 수 있는 사항임에 유의한다.
First, the
도 4a는 헤드라이너 기재층 및 표피층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헤드라이너 기재층 및 표피층의 사시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liner base layer and the skin layer, and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liner base layer and the skin layer.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의 종류는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PU : polyurethane),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 polyethyleneterephthalate)와 천연섬유(Natural fiber)의 혼합물, F10 및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등이 있으며, 그 방법 또한 재질에 따라 상이하다. 폴리우레탄과 폴리프로필렌 기재층의 제조방법은 발포 방법이고,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 polyethyleneterephthalate)와 천연섬유(Natural fiber)의 혼합물은 부직포 제조 공정이며, F10은 압출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type of the
도 5는 헤드라이너 표피층의 VOC 효과를 나타내는 VOC 결과 비교표로서, 탈취 전과 탈취 후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VOC 결과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FIG. 5 is a JOC result comparison table showing the COC effect of the headliner epidermal layer, and the change of the JOC result can be seen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deodorization.
보다 상세하게 차량 내부에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이 설치되지 않았을 때의 VOC 탈취 전과 차량 내부에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이 설치되었을 때의 VOC 탈취 후의 VOC 항목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compares the change of the BOC item before the deodorization of the COC when the
탈취 전과 탈취 후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VOC 결과는 155.2에서 94.2로 약 4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 m.p-자일렌(89%), 스티렌(87%), 톨루엔(60%)의 순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100)을 포함하는 헤드라이너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였을 경우 VOC 저감 효과를 알 수 있다.
When compared with before and after deodorization, the COC result showed a 40% decrease from 155.2 to 94.2, followed by mp-xylene (89%), styrene (87%), and toluene (60%). It can be seen that the decrease. As a result, when the headliner including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 : 기재층
2 : 시트층
10 : 스킨
11a : 발포체
11b : 발포체
20 : 저감재
30 :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100 : 저감재를 포함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1: substrate layer
2: sheet layer
10: skin
11a: foam
11b: foam
20: reducing material
30: foam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100: headliner skin layer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Claims (10)
(b) 상기 준비된 상기 저감재와 발포체를 배합하여 발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재는 박토스터 알렉신(Bactoster Alexin)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a) preparing a reducing agent in a powder state or a liquid state; And
(b) compounding and foaming the prepared reducing material and foam;
The reducing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Bactoster Alexin (Bactoster Alexin),
Foam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상기 박토스터 알렉신은 프로폴리스에서 추출한 천연 살균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toster alex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sterilized material extracted from propolis,
Foam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상기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의 저감재 비율은, 상기 저감재가 분말 상태인 경우 1~10중량%이며, 상기 저감재가 액상 상태인 경우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ducing material ratio of the foam containing the reducing material is 1 to 10% by weight when the reducing material is in a powder state, characterized in that 1 to 5% by weight when the reducing material is in a liquid state,
Foam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상기 (b) 단계에서, 열가소성 발포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발포체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발포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b),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thermoplastic foam, polyurethane (Polyurethane) foam and polyethylene (Polyethylene) foam,
Foam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상기 열가소성 발포체의 밀도는 15 ~ 90kg/m3이고, 발포비율은 15 ~ 60배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 제조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hermoplastic foam has a density of 15 to 90 kg / m 3 and a foaming ratio of 15 to 60 times.
Foam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a reducing material.
상기 저감재를 포함하는 발포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스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라이너 표피층.Foam comprising a reducing material produc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5 and 6;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kin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oam including the reducing material
Headliner epidermal lay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900A KR101309130B1 (en) | 2011-04-20 | 2011-04-20 |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headliner ski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900A KR101309130B1 (en) | 2011-04-20 | 2011-04-20 |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headliner ski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128A KR20120119128A (en) | 2012-10-30 |
KR101309130B1 true KR101309130B1 (en) | 2013-09-17 |
Family
ID=4728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6900A KR101309130B1 (en) | 2011-04-20 | 2011-04-20 |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headliner ski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91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5836B1 (en) * | 2012-11-30 | 2014-12-23 |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 Method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 compris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polyurethane foam prepared by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3812A (en) * | 1998-05-27 | 2001-05-25 | 그래햄 이. 테일러 | Vehicle headliner comprised of a thermoformable thermoplastic foam sheet |
JP2005336355A (en) * | 2004-05-27 | 2005-12-08 | Inoac Corp |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090071352A (en) * | 2007-12-27 | 2009-07-01 | 대한폴리텍(주) | Eco-Friendly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
-
2011
- 2011-04-20 KR KR1020110036900A patent/KR10130913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43812A (en) * | 1998-05-27 | 2001-05-25 | 그래햄 이. 테일러 | Vehicle headliner comprised of a thermoformable thermoplastic foam sheet |
JP2005336355A (en) * | 2004-05-27 | 2005-12-08 | Inoac Corp | Polyurethan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090071352A (en) * | 2007-12-27 | 2009-07-01 | 대한폴리텍(주) | Eco-Friendly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128A (en) | 2012-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421213B1 (en) | Method of making coextruded, crosslinked multilayer polyolefin foam structures from recycled crosslinked polyolefin foam material | |
CN1049440C (en) | Foam blowing ag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foams | |
Prasad et al. | Permeability control in polymeric systems: a review | |
MX336957B (en) | Porous carbon-containing compounds as water carriers and cell size controlling agents for polymeric foams. | |
AU2012345753B2 (en) | Method of foaming polyolefin using acrylated epoxidized fatty acid and foam produced therefrom | |
NZ577570A (en) | Spray-in latex foam for sealing and insulating | |
CN109370006A (en) | A kind of high apparent mass blow molding fretting map car duct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101309130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headliner skin fabric manufactured by the same | |
KR101941430B1 (en) | Car mat using polyolefin res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6496626A (en) | A kind of odorlessness foaming agent master batc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CN108314824A (en) | A kind of XPE expanded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2006265538A (en) | Functional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Petchwattana et al. | Influences of water absorption on the properties of foamed poly (vinyl chloride)/rice hull composites | |
KR101475836B1 (en) | Method for preparing polyurethane foam compris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and polyurethane foam prepared by same | |
KR101231244B1 (en) | Manufacturing proces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ion material including headliner and headliner manufactured by the same | |
CN106008915A (en) | Photocatalyst nanometer titanium oxide antimicrobial sponge and production technology thereof | |
KR101260961B1 (en) | Manufacturing proces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duction material including headliner substrate and headliner substrate manufactured by the same | |
WO2013072448A1 (en) | Gel bead production and incorporation in foam | |
KR20170084588A (en) | A foamed 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bioma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10169713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rosity pad with bio polyol | |
US20230389716A1 (en) | Circular foam for cushions and matrasses, cushion and matrass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oam | |
KR101624938B1 (en) | Coil injection car ma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8164977A (en) | A kind of TPU prefoam modified material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JP5576808B2 (en) | Polyurethane resin molded product | |
KR102106789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soundproofing sheets of vehicle interior and the vehicle interior with the sheets using the sam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