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908B1 - 미세 압전 진동자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발전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압전 진동자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발전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8908B1 KR101308908B1 KR1020120133814A KR20120133814A KR101308908B1 KR 101308908 B1 KR101308908 B1 KR 101308908B1 KR 1020120133814 A KR1020120133814 A KR 1020120133814A KR 20120133814 A KR20120133814 A KR 20120133814A KR 101308908 B1 KR101308908 B1 KR 1013089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zoelectric vibrator
- substrate
- pad
- electrode
- power gene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22—Methods relating to manufacturing, e.g. assembling, calibrat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전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전 소자의 패드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조 방법에 따른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전 소자의 패드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조 방법에 따른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120: 미세 압전 진동자
130: 상부 패드
111: 베이스 기판
131: 기판
112: 하부 전극
132: 상부 전극
113, 133: 관통 구멍
Claims (9)
- 베이스 기판;
하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기판의 일면에 전도성 금속을 증착한 하부 전극이 형성된 하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의 하부 전극 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와, 하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또 다른 기판의 일면에 전도성 금속을 증착한 상부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극이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 패드의 하부 전극과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위치한 상부 패드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 소자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다수 개가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패드 또는 상기 상부 패드는,
상기 기판의 일면 중 일부 영역의 테두리에 절연체를 소정 두께로 증착한 후, 상기 테두리 내부에 전도성 금속을 증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소자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소정의 일부 면적 상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드 또는 상기 상부 패드는,
상기 기판의 일면 중 일부 영역을 소정 두께로 에칭한 후, 상기 에칭된 영역 위에 전도성 금속을 증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또는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하부 패드 및 상기 상부 패드에 증착되는 전도성 금속으로 금(Au)을 사용하여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의 시드(seed)층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압전 진동자는,
산화아연(ZnO) 또는 PZT 중 하나를 압전 재료로 하고, 상기 압전 재료를 수열합성법으로 성장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드는,
상기 상부 전극 위에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기판의 일면 중 일부 영역을 소정 두께로 에칭하는 제1 단계;
상기 기판을 도체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코팅하는 제2 단계;
상기 기판의 에칭된 영역 내부에 관통 구멍을 뚫고 가공하는 제3 단계;
상기 기판의 에칭된 영역 위에 전도성 금속을 증착시켜 전극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극 위에 압전 재료를 수직 방향으로 성장시켜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를 제조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발전 소자를 다수의 적층 구조로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 기판을 도체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코팅하는 제1 단계;
상기 기판의 일면 중 일부 영역의 테두리에 절연체를 소정 두께로 증착하는 제2 단계;
상기 절연체가 증착된 테두리 내부에 관통 구멍을 뚫고 가공하는 제3 단계;
상기 절연체가 증착된 테두리 내부에 전도성 금속을 증착시켜 전극을 형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전극 위에 압전 재료를 수직 방향으로 성장시켜 다수의 미세 압전 진동자를 제조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발전 소자를 다수의 적층 구조로 형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814A KR101308908B1 (ko) | 2012-11-23 | 2012-11-23 | 미세 압전 진동자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발전 소자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3814A KR101308908B1 (ko) | 2012-11-23 | 2012-11-23 | 미세 압전 진동자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발전 소자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8908B1 true KR101308908B1 (ko) | 2013-10-14 |
Family
ID=4963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3814A Active KR101308908B1 (ko) | 2012-11-23 | 2012-11-23 | 미세 압전 진동자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발전 소자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890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1668A (ko) * | 2014-10-08 | 2016-04-18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공 구조의 압전부재들을 구비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
KR20180071872A (ko) | 2016-12-20 | 2018-06-28 | 상명건설 주식회사 | 멤스 압전센서, 멤스 압전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73972A (ko) * | 2008-12-22 | 2010-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077637A (ko) * | 2009-12-30 | 2011-07-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햅틱 디바이스 구동용 압전 액추에이터 |
KR20120092466A (ko) * | 2011-02-11 | 2012-08-21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종이 기반 나노전력발전소자 |
-
2012
- 2012-11-23 KR KR1020120133814A patent/KR10130890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73972A (ko) * | 2008-12-22 | 2010-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110077637A (ko) * | 2009-12-30 | 2011-07-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햅틱 디바이스 구동용 압전 액추에이터 |
KR20120092466A (ko) * | 2011-02-11 | 2012-08-21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종이 기반 나노전력발전소자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1668A (ko) * | 2014-10-08 | 2016-04-18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공 구조의 압전부재들을 구비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
KR101616060B1 (ko) | 2014-10-08 | 2016-04-27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중공 구조의 압전부재들을 구비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
KR20180071872A (ko) | 2016-12-20 | 2018-06-28 | 상명건설 주식회사 | 멤스 압전센서, 멤스 압전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50035B2 (ja) | 電気エネルギー発生素子及びその駆動方法 | |
KR101539670B1 (ko) |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 |
KR101562060B1 (ko) |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8549715B2 (en) | Piezoelectric microspeak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9293689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ezoelectric micro energy harvester | |
CN102728534B (zh) | 机电换能器及其制造方法 | |
KR101903420B1 (ko) | 마이크로폰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4767369B1 (ja) | 圧電発電素子および圧電発電素子を用いた発電方法 | |
KR101769459B1 (ko) | 나노 발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US8661635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piezoelectronic device | |
CN103346694A (zh) | 基于环状叉指电极的压电微型能量采集器及其制备方法 | |
KR20100032175A (ko) | 에너지 변환 장치 및 방법 | |
WO2013181952A1 (zh) | 压电和摩擦电混合纳米发电机 | |
KR20150129658A (ko) | 대칭 이중 압전 스택 마이크로일렉트로미캐니컬 압전 캔틸레버 에너지 하베스터 | |
US10714675B2 (en) | Piez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JP2016517684A (ja) | 停止部構造を有する圧電エネルギー回収器デバイス | |
CN107947633B (zh) | 压电-电磁复合式振动能量收集器及其制备方法 | |
CN106252501A (zh) | 一种基于柔性衬底上的压电厚膜及其制备方法 | |
KR101308908B1 (ko) | 미세 압전 진동자로 구성되는 발전 소자를 이용한 적층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및 발전 소자의 제조 방법 | |
KR101361824B1 (ko) | 미세 압전 진동자를 이용한 발전 소자와 그 패드 제조 방법 | |
KR20180071872A (ko) | 멤스 압전센서, 멤스 압전센서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 |
US20210265556A1 (en) |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Vyas | On-chip electrochemical capacitors an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s for self-powering sensor nodes | |
KR20130063365A (ko) | 에너지 수확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100948575B1 (ko) | 실리콘 습식 식각을 이용한 금속-절연체-금속 캐패시터 및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