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8645B1 -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645B1
KR101308645B1 KR1020120021146A KR20120021146A KR101308645B1 KR 101308645 B1 KR101308645 B1 KR 101308645B1 KR 1020120021146 A KR1020120021146 A KR 1020120021146A KR 20120021146 A KR20120021146 A KR 20120021146A KR 101308645 B1 KR101308645 B1 KR 10130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ind
sunlight
incident
dou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550A (ko
Inventor
이의준
강은철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21S19/005Combining sunlight and electric light sources for indoor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3/0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 F24S23/70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solar-rays for solar heat collectors with reflectors
    • F24S2023/87Reflectors layo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의 자연 채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고 집광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빛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건물에의 설치구조를 간소화하여 건물의 층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이 1차로 반사되어 일정 영역으로 집광되도록 입사면이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연통홀(221)이 형성된 오목 반사거울(220)과, 상기 오목 반사거울(220)에 반사되어 집광되는 태양광이 2차로 반사되어 상기 연통홀(221)을 통과하여 전송되도록 입사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볼록 반사거울(23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연통홀(221)에 연결되어 상기 변광부(200)를 통과한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Daylighting Apparatus with Dual Venetian Blind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inside Buildings such as Curtain Wall and Spandrel between the Floors}
본 발명은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의 자연 채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고 집광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빛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건물에의 설치구조를 간소화하여 건물의 층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남향으로 개방된 전통식 건물 구조는 태양광의 반사에 의한 간접적인 태양광이 건물 내부로 충분히 유입되므로 낮에는 건물 실내를 밝혀 주기 위한 조명 장치가 거의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식 건물 구조는 방범의 목적으로 폐쇄형 건물 구조를 취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반사 태양광이 감소되어 낮에도 어느 정도의 조명 기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특히 대형 고층 빌딩의 경우 건물들 간의 태양광 차단으로 태양광의 유입량이 감소되고, 건물의 미관을 위하여 광투과율이 낮은 유리로 창호를 구성하거나 블라인드를 사용함으로써 건물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이 적어서 일반적인 사무실의 경우 낮에도 상당히 많은 조명 기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건물 내에서 장시간 활동하는 사람들에게는 태양광을 쬘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건강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낮에 소비되는 조명용 전기 에너지의 소비량을 줄이고 건물 내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사량 보충을 위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자연 채광 방식의 조명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태양광 조명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일례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1990-12113호에는 다수개의 광학렌즈와 태양광을 전달하는 광도체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 태양광 조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태양광 조명 장치는 일반적으로 태양광의 집광을 위한 다수개의 렌즈가 사용되고, 보다 많은 태양광의 집광을 위해서는 집광부의 면적을 넓혀야 하기 때문에 집광 장치를 구성하는 렌즈의 무게가 과다하게 증가되고, 그 제작이 어렵고 제작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장치로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0384277호에는 프리즘 및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태양광 집광 조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태양광 집광 조명 장치는, 두 개의 부채꼴 형상이 대향하면서 상호 연결된 경량 알루미늄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의 두 원호상부에 부착되는 프레넬 렌즈(12)와, 상기 양측면의 두 부채꼴 형상부 프레임에 부착되는 측면 고반사 필름(13)으로 이루어진 집광부(10)와; 상기 프레넬 렌즈(12)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집광부(10)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넬 렌즈(12)의 초점 위치가 되는 상면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밴드 형상의 제1프리즘필름(21)이 위치하고, 저면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광 파이프(41)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제2프리즘필름(22)이 위치하는 박스형의 변광부(20)와; 상기 제2프리즘필름(22)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프리즘필름(22)을 통과한 빛이 광 파이프(41)로 적절히 전달되도록 진로 방향을 변화시켜 주는 삼각 단면 형상의 광 커넥터(30)와; 광 커넥터(30)를 통과해 온 태양광을 전달받아 실내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광 커넥터(30)와 일측단부가 연결되고, 타측단부 선단면 내부에는 거울(41c)이 구비되는 광 파이프(41)의 내부 상면에는 실내면 균일 조도를 위한 익스트랙터 필름(42)이, 내부 하면에는 실내 작업면 균일 확산 조도를 위한 확산 필름(43)이 부착되며, 내부 상하면에는 각각 익스트랙터 필름(42)과 확산 필름(43)이 부착된 광 파이프(41)의 내부 전체면에 빛을 길이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고반사 필름(44)이 적층, 부착되는 배광부(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태양광 집광 조명 장치는 경량화가 가능한 알루미늄 프레임과 프레넬 렌즈를 사용하여 태양광을 선형의 형태로 집광하고, 선형의 형태로 집광된 태양광의 형상과 반사각을 변화시켜 태양광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조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집광부(10)는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에 대응하여 프레넬 렌즈(12)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집광부(10)의 길이방향의 수평 이동과 원주방향의 회전 이동을 위하여 2자유도(길이방향 및 회전방향)를 갖는 태양 추적 장치를 구비함에 따라서 집광부(10)의 전체 부피가 커지고, 2자유도 운동을 구현하기 위한 기구의 구조가 복잡하여 그 제작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태양광의 집광을 위해 상기 집광부가 건물의 외부에 돌출되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므로 건물의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의 자연 채광의 집광 효율을 높이고 집광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빛을 조명할 수 있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건물의 층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이 1차로 반사되어 일정 영역으로 집광되도록 입사면이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연통홀(221)이 형성된 오목 반사거울(220)과, 상기 오목 반사거울(220)에 반사되어 집광되는 태양광이 2차로 반사되어 상기 연통홀(221)을 통과하여 전송되도록 입사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볼록 반사거울(23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연통홀(221)에 연결되어 상기 변광부(200)를 통과한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집광부(10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 반사거울(220)은 상기 한 쌍의 집광부(100)의 후방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볼록 반사거울(230)은 상기 한 쌍의 집광부(100) 사이의 연결부(130)에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40)과, 상기 제1반사거울(24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5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5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프리즘 필름(253)이 부착된 전송덕트(250)와, 상기 전송덕트(250)의 후단부(252)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덕트(25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2반사거울(26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제2반사거울(26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송덕트(25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70)과, 상기 제1반사거울(27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8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8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부(281)와 후단부(282)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281)와 후단부(282) 사이 영역은 그 단면이 팔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프리즘 필름(285)이 부착된 전송덕트(280)와, 상기 전송덕트(280)의 후단부(282)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덕트(28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2반사거울(29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제2반사거울(29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송덕트(280)는, 상기 선단부(281)의 일변과 상기 후단부(282)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제1반사면(283)과, 상기 선단부(281)의 일모서리와 상기 후단부(282)의 일변을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제2반사면(284)이 순차로 연결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반사거울(270)과 전송덕트(280) 및 제2반사거울(29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반사거울(270a)과 전송덕트(280a) 및 제2반사거울(290a)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반사거울(270,270a)은 양측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반사거울(290,290a)은 내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광 파이프(310)는, 내부 상면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되고, 내부 하면 전체에는 확산 필름(312)이 부착되며, 상기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내부 상면의 나머지 부분과 내부 양측면에는 전반사 필름(313)이 부착되고, 상기 광 파이프(310)의 내측에는 엘이디 램프(3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는,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건물의 상층 바닥면과 하층 천장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층간공간(S)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집광부(100)는 건물의 실외로 노출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배광부(300)는 하층 실내(R)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광부(100)는 상기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건물의 외벽면과 나란하게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광부(100)와 변광부(200)는 상기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광부(100)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 의하면, 태양광의 고도 및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일정한 평행광으로 출력하는 이중 블라인드로 이루어진 집광부와, 2개의 전반사 거울 및 전송덕트를 포함하는 변광부 및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태양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배광부를 구비함으로써 태양광의 효율적인 집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의 집광을 위한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에 의하면, 이중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를 건물에 설치하는 구조를 간소화하여 건물의 층간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태양광 집광 자연 채광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서 빛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이중 블라인드의 사시도로서, 도 4a는 고도 보정을 위한 제1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4b는 방위각 보정을 위한 제2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광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서 빛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변광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서 빛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서 빛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이 1차로 반사되어 일정 영역으로 집광되도록 입사면이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연통홀(221)이 형성된 오목 반사거울(220)과, 상기 오목 반사거울(220)에 반사되어 집광되는 태양광이 2차로 반사되어 상기 연통홀(221)을 통과하여 전송되도록 입사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볼록 반사거울(23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200-1); 및 상기 연통홀(221)에 연결되어 상기 변광부(200)를 통과한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이중 블라인드의 사시도로서, 도 4a는 고도 보정을 위한 제1블라인드의 사시도, 도 4b는 방위각 보정을 위한 제2블라인드의 사시도이다.
상기 집광부(100)를 구성하는 제1블라인드(110)는 태양의 고도 보정을 위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11)에 좌우 양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 간격을 두고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1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라인드(110)의 제1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는 태양의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의 고도가 0°가 되도록 보정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광부(110)를 구성하는 제2블라인드(120)는 태양의 방위각 보정을 위한 것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프레임(121)에 상단과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제2블라인드날개(122,122a,122b,122n)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블라인드(120)의 제2블라인드날개(122,122a,122b,122n)는 태양의 방위각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제1블라인드(11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의 방위각이 0°가 되도록 보정하기 위하여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블라인드(110)와 제2블라인드(120)는 태양광의 입사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블라인드(110)가 전방에 배치되고 제2블라인드(120)는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그 전후방의 배치 순서를 달리 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1블라인드(110)의 제1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와 제2블라인드(120)의 제2블라인드날개(122,122a,122b,122n)의 치수와 이들 간의 간격은 입사되는 태양광의 집광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그 치수와 간격이 설계되며, 각 블라인드 날개(112,112a,112b,112n,122,122a,122b,122n)의 길이방향 너비는 이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되며, 다음 공식이 적용된다.
Figure 112012016925077-pat00001
상기 수학식 1은 입사되는 태양광은 항상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122,122a,122b,122n)에서 반사되는 태양광 또한 평행하며, 출력되는 태양광은 변광부(200)의 입구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도출된 것이다.
상기 제1블라인드(110)의 경우, 태양의 고도는 제1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면을 기준으로 -30°~ +30°의 범위 내에서 변화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블라인드(120)는 0°의 고도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상기 제1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의 간격과 길이방향 폭은 0°~ 30°범위에서 계산하면 된다. 이 경우 고도 0°에서 태양광의 세기가 최대가 되고, 고도 30°에서는 태양광의 세기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이 범위의 중간값인 15°를 기준으로 하여 제1블라인드날개(112,112a,112b,112n)의 간격과 길이방향 폭에 대한 최적화된 규격을 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블라인드(120)의 경우, 입사되는 태양광의 방위각은 제2블라인드날개(122,122a,122b,122n)면을 기준으로 -45°~ +45°의 범위 내에서 변화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2블라인드(120)는 0°의 방위각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상기 제2블라인드날개(122,122a,122b,122n)의 간격과 길이방향 폭은 0°~ 45°범위에서 계산하면 된다. 이 경우 방위각 0°에서 태양광의 세기가 최대가 되고, 방위각 45°에서는 태양광의 세기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이 범위의 대략 중간값인 25°를 기준으로 하여 제2블라인드날개(122,122a,122b,122n)의 간격과 길이방향 폭에 대한 최적화된 규격을 산출하게 되며, 이 경우 방위각 0°~ 45°범위에 걸쳐 선형적인 출력광의 세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블라인드(110)와 제2블라인드(120)로 구성된 집광부(100)를 통과한 태양광이 평행광으로 출력되어 변광부(200)로 입사된다. 상기 집광부(100)는 케이스(210)의 전면에 부착되고,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변광부(200)를 구성하는 오목 반사거울(220)이 장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광부(200;200-1)는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고도와 방위각이 보정된 후 집광되어 출력되는 평행광을 배광부(300)까지 광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집광부(10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오목 반사거울(220)은 상기 한 쌍의 집광부(100)의 후방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볼록 반사거울(230)은 상기 한 쌍의 집광부(100)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인 연결부(130)에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집광부(100)를 통과한 평행광은 그 후방에 위치한 오목 반사거울(220) 면에서 1차로 반사되어 연결부(130)에 구비된 볼록 반사거울(230) 면에 집중되어 입사된 후에 2차로 반사되어 연통홀(221)을 통과하여 배광부(300)의 입구부로 유입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광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광부(300)는 변광부(200-1)를 거쳐서 연통홀(221)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광 파이프(310)는, 내부 상면 중간부에는 실내면 균일 조도를 위한 익스트랙터 필름(311, Extractor film)이 광 파이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고, 내부 하면에는 실내면 균일 확산 조도를 위한 확산 필름(312, Diffuser film)이 부착되며, 상기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광 파이프(310)의 내부 상면의 나머지 부분과 내부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익스트랙터 필름(311)과 확산 필름(312)이 부착된 광 파이프(310)의 내부 전체면에 빛을 길이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반사 필름(313, Reflector film)이 부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프(310)의 내측에는 기상 조건이나 시간에 따라 태양광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인공광원으로서 엘이디 램프(3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서의 집광부(100)와 배광부(300)의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 의하면,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을 추적하여 회전되는 제1블라인드(110)와 제2블라인드(120)로 구성된 이중 블라인드 구조의 집광부(100)에서 태양광을 집광하여 평행광을 출력하고, 출력된 평행광을 전반사하는 오목 반사거울(220)과 볼록 반사거울(230)을 포함하는 변광부(200-1)에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태양광을 배광부(300) 측으로 유도하고, 배광부(300)에서는 실내에 균일한 조도의 태양광을 전달하여 조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서 빛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40)과, 상기 제1반사거울(24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5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5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프리즘 필름(253)이 부착된 전송덕트(250)와, 상기 전송덕트(250)의 후단부(252)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덕트(25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2반사거울(26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200-2); 및 상기 제2반사거울(26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집광부(100)와 배광부(300)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변광부(200-2)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광부(200-2)는 전송덕트(250)의 선단부(251)와 후단부(252)에 빛을 반사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배치된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40)과 제2반사거울(260)이 배치되며, 상기 제1반사거울(240)과 제2반사거울(260)은 전송덕트(250)의 선단부(251)와 후단부(252)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송덕트(250)는 선단부(251)로부터 후단부(252)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에는 빛의 손실을 줄이면서 반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프리즘 필름(253)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이중의 블라인드 구조로 이루어진 집광부(100)에서 집광되어 출력되는 평행광이 제1반사거울(240)에서 반사되어 전송덕트(250)의 선단부(251)로 유입되고, 빛의 입사방향을 따라 점차 축관되는 전송덕트(25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전송덕트(250)의 내측면에 부착된 프리즘 필름(253)에 반사되어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전송덕트(250)의 후단부(252)로 빛의 전송이 가능해지며, 전송덕트(250)의 후단부(252)로 전송된 태양광은 전송덕트(250)의 후단부(252)에 구비된 제2반사거울(260)에서 반사되어 배광부(300)를 통해 실내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송덕트(250)의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빛의 경로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전송덕트(25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송덕트(250)의 내측면에 프리즘 필름(253)이 부착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외에 전반사 거울 또는 전반사 필름이 부착된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사거울(240)의 기울기는 그 전방에 위치하는 집광부(110)의 배치 각도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반사거울(260)의 기울기는 그 후방에 위치하는 배광부(300)의 배치 각도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변광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자연 채광 조명 장치에서 빛의 반사 경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70)과, 상기 제1반사거울(27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8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8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부(281)와 후단부(282)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281)와 후단부(282) 사이 영역은 그 단면이 팔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프리즘 필름(285)이 부착된 전송덕트(280)와, 상기 전송덕트(280)의 후단부(282)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덕트(28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2반사거울(29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200-3); 및 상기 제2반사거울(29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두번째 실시예와 비교하여, 집광부(100)와 배광부(300)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변광부(200-3)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광부(200-3)의 전송덕트(280)는 제1반사거울(27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8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8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부(281)의 일변과 후단부(282)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제1반사면(283)과, 상기 선단부(281)의 일모서리와 후단부(282)의 일변을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제2반사면(284)이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순차로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전송덕트(280)에는 제1반사면(283)과 제2반사면(284)이 교대로 4개씩 구비되어 전송덕트(280)의 전체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덕트(280)의 단면 형상을 8각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전술한 두번째 실시예에서 전송덕트(250)의 단면 형상을 4각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송덕트(280)의 내측면에서 제1반사면(283)과 제2반사면(284)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부 사이의 각도를 둔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태양광의 전반사를 촉진시킬 수 있게 되어 태양광의 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고, 전송덕트(280)를 통과하는 빛의 경로가 설정된 경로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빛의 손실없이 태양광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작상의 정밀도를 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반사거울(270)과 전송덕트(280) 및 제2반사거울(29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반사거울(270a)과 전송덕트(280a) 및 제2반사거울(290a)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반사거울(270,270a)은 양측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반사거울(290,290a)은 내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광부(200-3)가 양측으로 대칭된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에 의하면, 태양광이 조사되는 집광부(100)의 면적을 넓게 확보하고 양측으로 배치된 변광부(200-3)에서 인접하게 배치된 제2반사거울(290,290a)에 태양광을 전송시켜 배광부(300)를 통해 실내에 빛을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변광부(200-3)가 단수로 설치된 경우에 비해 태양광의 조도를 배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건물의 상층 바닥면과 하층 천장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커튼월(Curtain Wall)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S; Spandrel Space)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제1블라인드(110)와 제2블라인드(120)로 이루어진 이중 블라인드 구조의 집광부(100)는 건물의 실외로 노출된 위치에 설치되고, 배광부(300)는 하층 실내 공간(R)에 노출된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집광부(100)를 통해 입사된 태양광은 배광부(200)와 변광부(300)를 통과하여 실내측으로 투사되어 실내 조명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집광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실외로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되되,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건물의 외벽면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태양광의 집광이 가능하면서도 건물 외관의 미감을 해치치 않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건물의 외벽체는 종래 일반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분리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최근 신공정 방식인 커튼 월(Curtain Wall)에 본 발명의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집광부(100)와 변광부(200)는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광부(100)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집광부(100)는 최대한 많은 양의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수직면을 기준으로 최고 고도각과 최저 고도각의 중간치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 11에 도시된 설치구조와 비교할 때 집광부(100)와 변광부(200)가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태양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이므로 보다 많은 양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실내 조명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집광부(100)를 구성하는 제1블라인드(110)와 제2블라인드(120)를 전후방으로 배치하고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집광부(100)를 통해 출력되는 평행광을 2개의 반사거울을 이용하여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변광부(200)를 통해 배광부(300)로 전송하여 실내에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기구의 전체 구성이 간단해지고 이로 인해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높임으로써 실내 공간 전체에 균일한 태양광을 조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집광부 20 : 변광부
30 : 광커넥터 40 : 배광부
100 : 집광부 110 : 제1블라인드
111 : 제1지지프레임 112 : 제1블라인드날개
120 : 제2블라인드 121 : 제2지지프레임
122 : 제2블라인드날개 130 : 연결부
200,200-1,200-2,200-3 : 변광부 210 : 케이스
220 : 오목 반사거울 221 : 연통홀
230 : 볼록 반사거울 240 : 제1반사거울
250 : 전송덕트 251 : 선단부
252 : 후단부 253 : 프리즘 필름
260 : 제2반사거울 270,270a : 제1반사거울
280,280a : 전송덕트 281 : 선단부
282 : 후단부 283 : 제1반사면
284 : 제2반사면 285 : 프리즘 필름
290,290a : 제2반사거울 300 : 배광부
310 : 광 파이프 311 : 익스트랙터 필름
312 : 확산 필름 313 : 전반사 필름
320 : 엘이디 램프 R : 실내공간
S :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Claims (11)

  1.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이 1차로 반사되어 일정 영역으로 집광되도록 입사면이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연통홀(221)이 형성된 오목 반사거울(220)과, 상기 오목 반사거울(220)에 반사되어 집광되는 태양광이 2차로 반사되어 상기 연통홀(221)을 통과하여 전송되도록 입사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볼록 반사거울(23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연통홀(221)에 연결되어 상기 변광부(200)를 통과한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광 파이프(310)는, 내부 상면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되고, 내부 하면 전체에는 확산 필름(312)이 부착되며, 상기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내부 상면의 나머지 부분과 내부 양측면에는 전반사 필름(313)이 부착되고, 상기 광 파이프(310)의 내측에는 엘이디 램프(3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10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 반사거울(220)은 상기 한 쌍의 집광부(100)의 후방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볼록 반사거울(230)은 상기 한 쌍의 집광부(100) 사이의 연결부(13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3.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40)과, 상기 제1반사거울(24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5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5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프리즘 필름(253)이 부착된 전송덕트(250)와, 상기 전송덕트(250)의 후단부(252)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덕트(25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2반사거울(26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제2반사거울(26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광 파이프(310)는, 내부 상면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되고, 내부 하면 전체에는 확산 필름(312)이 부착되며, 상기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내부 상면의 나머지 부분과 내부 양측면에는 전반사 필름(313)이 부착되고, 상기 광 파이프(310)의 내측에는 엘이디 램프(3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덕트(250)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5.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의 변화에 대응하여 회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반사시켜 평행광을 출력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1블라인드날개(112)로 이루어진 제1블라인드(110)와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제2블라인드날개(122)로 이루어진 제2블라인드(120)가 태양광의 입사방향의 전후방에 배치된 집광부(100);
    상기 집광부(10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평행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1반사거울(270)과, 상기 제1반사거울(270)에 반사되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선단부(281)로부터 태양광이 출력되는 후단부(28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단부(281)와 후단부(282)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281)와 후단부(282) 사이 영역의 단면은 팔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에는 프리즘 필름(285)이 부착된 전송덕트(280)와, 상기 전송덕트(280)의 후단부(282)에 구비되어 상기 전송덕트(280)를 통과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평면형의 제2반사거울(290)로 이루어진 변광부(200); 및
    상기 제2반사거울(290)에 반사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전달하는 광 파이프(310)로 이루어진 배광부(300);
    를 포함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덕트(280)는, 상기 선단부(281)의 일변과 상기 후단부(282)의 일모서리를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제1반사면(283)과, 상기 선단부(281)의 일모서리와 상기 후단부(282)의 일변을 연결하는 삼각형상의 제2반사면(284)이 순차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거울(270)과 전송덕트(280) 및 제2반사거울(29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반사거울(270a)과 전송덕트(280a) 및 제2반사거울(290a)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반사거울(270,270a)은 양측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반사거울(290,290a)은 내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310)는, 내부 상면 중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되고, 내부 하면 전체에는 확산 필름(312)이 부착되며, 상기 익스트랙터 필름(311)이 부착된 부분을 제외한 내부 상면의 나머지 부분과 내부 양측면에는 전반사 필름(313)이 부착되고, 상기 광 파이프(310)의 내측에는 엘이디 램프(32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9. 제1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연 채광 조명 장치는 건물의 상층 바닥면과 하층 천장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층간공간(S)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집광부(100)는 건물의 실외로 노출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배광부(300)는 하층 실내(R)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100)는 상기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건물의 외벽면과 나란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100)와 변광부(200)는 상기 건물의 외벽면에서 실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집광부(100)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KR1020120021146A 2012-02-29 2012-02-29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Active KR10130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46A KR101308645B1 (ko) 2012-02-29 2012-02-29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146A KR101308645B1 (ko) 2012-02-29 2012-02-29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50A KR20130099550A (ko) 2013-09-06
KR101308645B1 true KR101308645B1 (ko) 2013-09-23

Family

ID=4945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146A Active KR101308645B1 (ko) 2012-02-29 2012-02-29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1286A (zh) 2016-11-03 2019-06-14 巴斯夫欧洲公司 日光照明系统
CN110016991B (zh) * 2019-04-16 2021-07-06 临沂鲁地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智能建筑工程专用高强度板
CN111608337A (zh) * 2020-05-13 2020-09-01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可多角度调节的整体式铝合金遮阳百叶
CN118309205B (zh) * 2024-05-28 2024-09-13 杭州国磊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型玻璃幕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17A (ja) * 2001-01-12 2002-08-02 Yuu Denshi:Kk 太陽光集光伝送装置
JP2002371773A (ja) * 2001-06-19 2002-12-26 Tokyo Shindo Kk ブラインド
JP2011003534A (ja) * 2009-05-20 2011-01-06 Toray Ind Inc 光ダクトシステム
KR101093773B1 (ko) 2009-08-31 2011-12-19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태양광 집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6517A (ja) * 2001-01-12 2002-08-02 Yuu Denshi:Kk 太陽光集光伝送装置
JP2002371773A (ja) * 2001-06-19 2002-12-26 Tokyo Shindo Kk ブラインド
JP2011003534A (ja) * 2009-05-20 2011-01-06 Toray Ind Inc 光ダクトシステム
KR101093773B1 (ko) 2009-08-31 2011-12-19 한국방진방음 주식회사 태양광 집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550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296B2 (en) Light redirection device
US8837048B2 (en) Daylight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US8339709B1 (en) Low numerical aperture (low-NA) solar lighting system
US20040118447A1 (en) Hybrid solar lighting systems and components
US20040187908A1 (en) Hybrid solar lighting distribution systems and components
US9322525B2 (en) Daylight sensing arrangement for a hybrid luminaire
KR101308645B1 (ko) 이중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구비한 자연 채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커튼월 및 층간 스팬드럴 공간 설치구조
Malet-Damour et al. Technological review of tubular daylight guide system from 1982 to 2020
US10794557B2 (en) Daylighting panel
KR20140040901A (ko) 태양광 장치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연 채광 시스템
US8611011B2 (en) Dual-stage sunlight redirection system
KR100384277B1 (ko) 프레넬 및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태양광 집광 자연 채광조명 장치
JP2001060407A (ja) 昼光利用システム
CN201526896U (zh) 一种太阳光采集及传输装置
KR101164532B1 (ko) 이중 블라인드를 구비한 태양광 집광 조명 장치 및 그 장치의 건물 내 설치구조
KR20170075460A (ko) 자연채광 조명시스템
JP6140949B2 (ja) 建物の採光構造
JP2011140810A (ja) モニター屋根およびモニター屋根内部の反射光路形成方法
KR200249385Y1 (ko) 프레넬 및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태양광 집광 자연 채광조명 장치
TWI838151B (zh) 導光裝置及具有導光裝置的百葉窗
JPH11149809A (ja) 採光装置
WO2024161389A1 (en) Solar collector buildings
Singh et al. Various Daylighting Systems for Energy Conservation: A Review
US20180209151A1 (en) Skylight
KR20140037478A (ko) 광섬유와 단색광 장치를 이용한 실내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