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06347B1 -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347B1
KR101306347B1 KR1020110131609A KR20110131609A KR101306347B1 KR 101306347 B1 KR101306347 B1 KR 101306347B1 KR 1020110131609 A KR1020110131609 A KR 1020110131609A KR 20110131609 A KR20110131609 A KR 20110131609A KR 101306347 B1 KR101306347 B1 KR 10130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panel
wall
fixing
distribut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961A (ko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 디지털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지털파워 filed Critical (주) 디지털파워
Priority to KR102011013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3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 고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이 빈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전반의 함체 배면 중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는 전면과 벽체에 대면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마련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게 신장되어 분전반의 함체 측면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FIXED CASE FOR LOAD CENTER AND EARTHQUAKE-PROOF LOAD CENTER}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진 기능을 지원하며 습기나 결로에 강한 특성을 지원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 및 배전반은 각종 차단기 및 개폐기를 함체 내에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끌어 배분하는 동시에 전력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분전반은 선로가 외부에 노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전 및 각종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함체를 포함한다. 특히 분전반 및 배전반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주 전원을 각 전기 부하로 분산 공급하는 과정에서 과부하 발생 시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을 달성하기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다. 이 차단기는 주 입력 터미널에 연결되는 주 차단기와 전기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분전반 및 배전반은 건물의 벽체 내에 매설되는 내장형과 앵커 볼트 등을 통해 벽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외장형이 있다. 그런데 분전반 중 외장형의 경우 분전반을 벽체에 고정 설치할 때 분전반의 케이스 내측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결착되는 볼트 구조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분전반의 배면이 벽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분전반이 벽체에 완전 밀착되기 때문에 언뜻 보기에 안정된 구조로 보일 수 있으나 진동이나 습기 등에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분전반이 벽체에 볼트 구조물을 통하여 밀착 고정되기 때문에 벽체를 통하여 진동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진동이 벽체에 고정된 볼트 구조물을 통하여 분전반 내부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분전반 내부 구조물에 진동이 전달되어 다양한 회로 장치들을 고정한 나사들이나 기타 구조물들이 정위치를 이탈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분전반이 벽체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벽체를 통하여 전달된 습기 등이 분전반에 쉽게 진입하여 분전반 내부 구조물에 피해를 주거나 벽체와의 온도 차이로 인한 결로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결로 발생이나 습기 진입 등은 결과적으로 분전반 내부 구조물들 간에 전기적 단락을 발생시켜 전기 안전사고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반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강하며 습기나 결로 등에도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이 빈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전반의 함체 배면 중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는 전면과 벽체에 대면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마련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게 신장되어 분전반의 함체 측면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는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서 바닥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신장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측으로 배치되데 일부가 상기 파이프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 충진체, 상기 탄성 충진체가 배치된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신장된 방향으로 탄성 충진체의 돌출된 영역보다 길게 배치되는 앵커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충진체는 내측이 빈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는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 기둥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돌부와 상기 기둥부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돌부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하측돌부를 관통하는 통형의 빈 영역을 가지는 탄성 지지체, 상기 통형의 빈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타측 일부가 상기 상측돌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앵커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는 상기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과 상기 바닥부를 체결하는 볼트,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탄성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나사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벽체, 중앙이 빈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전반의 함체 배면 중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는 전4면과 벽체에 대면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마련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게 신장되어 분전반의 함체 측면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에 안착 고정되는 분전반을 포함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분전반 고정 시스템은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의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서 바닥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신장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측으로 배치되데 일부가 상기 파이프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 충진체, 상기 탄성 충진체가 배치된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신장된 방향으로 탄성 충진체의 돌출된 영역보다 길게 배치되는 앵커 볼트, 상기 탄성 충진체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분전반에 형상되는 연결홀, 상기 분전반의 함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앵커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전반 고정 시스템은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 기둥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돌부와 상기 기둥부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돌부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하측돌부를 관통하는 통형의 빈 영역을 가지는 탄성 지지체, 상기 통형의 빈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타측 일부가 상기 상측돌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앵커 볼트, 상기 탄성 지지체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분전반에 형상되는 연결홀, 상기 분전반의 함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앵커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분전반 고정 시스템은 상기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과 상기 바닥부를 체결하는 볼트,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탄성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나사관통홀, 상기 분전반의 함체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홈, 상기 나사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 상기 분전반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관통홀을 관통한 나사와 체결되는 나사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진동, 결로나 습기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분전반 이용을 지원할 수 있으며, 분전반 설치와 보수, 이용에 보다 편리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절단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절단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B-B` 절단선에 따른 절단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분전반 고정 케이스만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탄성 지지체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의 C-C` 절단선에 따른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100)은 분전반(120),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 벽체(130) 및 이들의 결합을 위한 결합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100)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를 벽체(130)에 우선적으로 고정시키고,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와 벽체(130)를 고정시키는 결합 구조물을 분전반(120) 함체(121)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100)은 분전반(120)을 벽체(13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를 사이에 두어 분전반(120)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으며, 설치 완료 후에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와 분전반(120) 사이에 마련된 탄성 충진체(114)를 기반으로 방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 및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의 바닥부(111)로부터 돌출된 파이프(113) 및 탄성 충진체(114)의 높이만큼 벽체(130)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됨으로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100)은 벽체(130)에서 발생하는 습기 등의 침습을 방지하고 벽체(130)에 흐르는 물기 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분전반(120)은 내부에 차단기 등을 배치시키기 위한 일정 공간을 가지는 박스 형상의 함체(121)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배치된 차단기 등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위해 함체(121)의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영역을 여닫을 수 있도록 개폐문(12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문(122)은 함체(121)의 개구된 영역 일측 가장자리에 경첩 결합을 통하여 연결되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일측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문(122)의 측부에는 개폐문(122)의 잠금을 위하여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전반(120)은 함체(121) 및 개폐문(122)이 철제나 알루미늄 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강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120)은 벽체(130)를 기준으로 외장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분전반(120)은 실시 예에 따라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를 사이에 두고 일정 체결 구조물을 이용하여 벽체(130)에 체결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체결 구조물 없이 벽체(130)에 마련된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에 결합하는 결합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분전반(120)의 형태가 사각 박스 형태를 기준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는 설계자의 자유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분전반(120)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의 형태 또한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분전반(120)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형태에 대하여 실시 예 설명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사각틀로 구성된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신장된 측벽들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1)에는 분전반(110)의 배면 중 일부가 안착되면 가이드부(112)에는 분전반(120)의 하측부들 중 적어도 일부가 안착된다. 여기서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바닥부(111)의 관통 영역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관통 영역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의 무게를 저감시키기 위한 목적을 수반하며 또한 분전반(120)에 연결되는 전선들의 배치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부(111)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를 벽체(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영역만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의 가이드부(112)의 각 모서리 영역에 인접된 일정 영역에만 바닥부(111)가 마련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바닥부(111)에는 벽체(130)에 형성되는 벽체홈(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파이프(113)가 바닥부(111)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13) 내측으로는 탄성 충진체(11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충진체(114)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벽체홈(131)까지 진입하여 벽체홈(131)과 체결하는 앵커 볼트(116)가 마련될 수 있다.
파이프(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의 모서리 영역에서 바닥부(111)의 전면으로부터 가이드부(112)가 신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신장되어 형성되며 내부는 바닥부(111)를 포함하여 관통하는 공동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파이프(113)는 바닥부(1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파이프(113)는 바닥부(111)와 별개로 성형되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바닥부(111)에 결속될 수 있다.
탄성 충진체(114)는 파이프(113) 내측에 마련된 공동 영역에 충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탄성 충진체(1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빈 공간을 가지지 않고 일정한 밀도와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마련된 후 파이프(113)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후에 앵커 볼트(116)가 탄성 충진체(114)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파이프(113) 내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 본 발명의 탄성 충진체(114)는 앵커 볼트(116)가 탄성 충진체(114)가 배치된 파이프(113)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밀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탄성 충진체(11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이 빈 형상으로 마련되어 앵커 볼트(116)의 삽입을 보다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탄성 충진체(114)는 전체 길이가 파이프(113)의 돌출 길이 및 바닥부(111)의 단면 길이의 합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앵커 볼트(116)가 삽입된 이후에도 적어도 일부 영역이 파이프(113)의 끝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파이프(113)의 끝단부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는 탄성 충진체(114)는 분전반(120)의 결합 과정에서 분전반(120)의 함체(121) 배면과 접촉되면서 분전반(120)을 지지하여 분전반(120)의 방진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충진체(114)는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등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앵커 볼트(116)는 벽체홈(131)에 고정되는 부분, 탄성 충진체(114)와 파이프(113)에 가이드 되는 부분, 분전반(120)에 형성된 연결홀(123)을 관통하고 너트(124)와 결합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 볼트(116)는 탄성 충진체(114)가 파이프(113)에 삽입된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를 벽체홈(131)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이용된다. 앵커 볼트(1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충진체(114)의 돌출된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분전반(120)의 함체(121) 결합을 지원할 수 있다. 앵커 볼트(116)의 끝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분전반(120)의 함체(121)를 관통한 이후 작업자에 의하여 너트(124)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너트(124)의 단면 넓이는 함체(121)에 형성된 연결홀(123)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너트(124)와 앵커 볼트(116)의 결합을 통하여 함체(121)가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의 체결 구조물들 즉 파이프(113), 탄성 충진체(114), 앵커 볼트(116)로 인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100)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를 우선적으로 벽체(130)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분전반(120)을 벽체(130)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100)은 체결 구조물들을 이용하여 분전반(120)을 분전반 고정 케이스(110) 내측에 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체결 후 벽체(130)와의 일정 이격 유지 및 탄성 충진체(114)를 이용한 방진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를 독립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탄성 지지체의 형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C-C` 절단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200)은 분전반(220)과,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 및 체결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전반(2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역할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는 중앙이 빈 띠 형상의 바닥부(211)와, 바닥부(211)의 가장자리에서 바닥부(211)에 수직하게 신장되는 측벽들로 구성된 가이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닥부(211) 일측에는 분전반(220)이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217)이 마련되며, 고정홀(217)에는 탄성 지지체(214)가 체결될 수 있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가이드부(212)는 고정되는 분전반(220)의 크기와 무게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 무게를 최소화하면서 분전반(220)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와 강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바닥부(211) 중앙에 형성된 관통 영역은 이러한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무게를 저감하면서 분전반(220)과 연결이 필요한 전선들의 배치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바닥부(211)는 분전반(220)의 배면 일정 부분과 대면되며, 고정홀(217)에 체결되는 탄성 지지체(214)에 의하여 분전반(220)과 일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가이드부(212)는 분전반(220)의 측면부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217)은 탄성 지지체(214)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일정 크기로 구성되며, 벽체(230)에 형성된 벽체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홀(217)은 바닥부(211)의 적어도 2곳 이상의 지점에 마련될 수 있으며 분전반(220)이 고정된 후 일정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바닥부(211) 4곳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홀(217)에 삽입 고정되는 탄성 지지체(2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배치되는 기둥부(41)와, 기둥부(41) 상측에 형성된 상측돌부(43) 및 기둥부(41) 하측에 형성된 하측돌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41)는 일정 직경을 가지며 중앙이 빈 원통형의 형상을 마련될 수 있다. 기둥부(41)의 직경은 고정홀(217)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측돌부(43)는 기둥부(41) 상단에 형성되며 기둥부(4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형성되다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버섯의 머리 모양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측돌부(45)는 기둥부(41) 하단에 형성되며 상측돌부(43)에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측돌부(43)와 하측돌부(45)의 중앙은 비어 있는 형상으로 기둥부(41)의 중앙에 형성된 빈 영역(47)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탄성 지지체(214)는 상측돌부(43)와 기둥부(41) 및 하측돌부(45)를 관통하는 통형의 빈 영역(47)이 마련될 수 있다. 이 통형의 빈 영역(47)은 체결 구조물 중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탄성 지지체(214)는 고무 재질, 강화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등 다양한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 지지체(214)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가 마련된 이후 고정홀(217)에 삽입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기둥부(41)가 고정홀(217)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탄성 지지체(214)의 하측돌부(45)는 바닥부(211)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측돌부(43)는 바닥부(211)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분전반(220) 고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지지체(214)가 배치되면 탄성 지지체(214)의 중앙 통형의 빈 영역(47)으로 앵커 볼트(216)를 삽입하고 지속적으로 삽입 작업을 수행하여 벽체(230)에 형성된 벽체홈에 앵커 볼트(216)가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도록 작업한다. 여기서 벽체홈에는 앵커 볼트(216) 삽입 후 앵커 볼트(216)가 벽체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홈에 피스(232)를 배치하고, 피스(232) 내측으로 앵커 볼트(216)가 삽입될 수도 있다.
앵커 볼트(216)들이 각 고정홀(217)에 마련된 탄성 지지체(214)들을 관통하여 벽체(230)에 형성된 벽체홈에 고정되면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가 벽체홈에 탄성 지지체(214)의 하측돌부(45)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가지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탄성 지지체(214)의 상측돌부(43)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216)는 분전반(220)의 함체(221) 배면에 연결홀(223)들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앵커 볼트(216)는 너트(224)와 체결된다. 이때 너트(224)는 앵커 볼트(216)와 체결되면서 분전반(220)의 함체(221) 배면을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에 고정시키되 탄성 지지체(214)의 상측돌부(43)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을 가지며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200)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 일정 영역에 고정홀(217)을 마련하고 탄성 지지체(214)가 각각 기둥부를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형태로 배치시킴으로써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를 벽체(230)에 고정시키면서도 일정 폭만큼 이격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200)은 분전반(220)을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바닥부(211)에 고정시키면서도 일정 폭만큼 이격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와 벽체(230)와의 간격을 통하여 1차적으로 벽체(230)로부터의 진동을 제거하고 벽체(230)로부터의 습기나 물기 침습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전반(220)과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 간의 간격을 통하여 2차적으로 분전반(220)에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의 바닥부(211)가 띠 형상의 구조물로 마련되고 고정홀(217)의 배치가 각 띠 형상의 위치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벽체(2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분전반 고정 케이스(210)가 온전하게 흡수하여 뛰어난 진동 제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고정홀(217)에 사전 제작된 탄성 지지체(214)를 끼우고 앵커 볼트(216)를 탄성 지지체(214)를 관통시켜 벽체홈에 삽입시킨 후 앵커 볼트(216) 타측에 너트(224) 끼움 작업을 통하여 분전반(220)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분전반(320)과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및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고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를 벽체(330)에 고정시킨 이후 분전반(320)은 고정된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내측으로 삽입하는 작업만을 수행함으로써 분전반(320)의 설치와 고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가이드부(312) 내측으로 탄성 고정부(314)를 마련함으로써 분전반(32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도 진동 전달을 억제할 수 있고 체결 후크(313)를 마련하여 분전반(320)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체결 후크(313)의 위치 또는 가이드부(312)의 높이 조정을 통하여 분전반(320)의 배면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바닥부(31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벽체(330)와 분전반(320) 사이에 일정 이격이 발생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벽체(330)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진동이나 습기 또는 물기 등이 분전반(320)으로 침습되지 않도록 지원한다.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는 중앙에 관통 영역이 형성된 띠 형상의 바닥부(311)와, 바닥부(311) 가장자리에서 바닥부(311)에 수직하게 신장된 측벽들로 구성된 가이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311) 일측에는 적어도 두 곳의 위치에 고정홀(317)이 마련될 수 있으며,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를 벽체(330)에 견고하게 견착시키기 위하여 4 곳 이상의 위치에 고정홀(317)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홀(317)에는 볼트(315)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315)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바닥부(311)를 벽체홈(331)에 고정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볼트(315)의 헤드 부분은 고정홀(317)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볼트(315) 헤드 부분에 별도의 지지링이 삽입되어 볼트(315)가 벽체(33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바닥부(311)를 보다 견고하게 견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가이드부(312)는 내측으로 탄성 고정부(314)가 적어도 두 곳 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로 가이드부(312) 일정 영역에 분전반(320) 함체(321) 외관에 형성된 체결홈(323)과 체결되는 체결 후크(313)가 적어도 두 곳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탄성 고정부(314)가 가이드부(312)의 측벽마다 각각 두 개씩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탄성 고정부(314)들 사이에 체결 후크(313)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는 분전반(320)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고정부(314)가 분전반(320)의 측면부들과 접촉됨에 따라 분전반(320)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내측으로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삽입 이후 탄성 고정부(314)가 분전반(320)의 함체(321) 측면부들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함으로써 분전반(3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탄성 고정부(314)들은 탄성을 가짐으로 벽체(330)에서 발생한 진동이 분전반(32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방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체결 후크(313)는 분전반(320)에 형성된 체결홈(323)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바닥부(311)와 분전반(320)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분전반(320)의 체결홈(323)의 위치가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바닥부(311) 사이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작업자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를 벽체(330)에 고정시키는 일차 작업을 수행하고, 분전반(320)을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내측에 삽입시키되 체결 후크(313)와 체결홈(323)이 체결되는 위치까지 분전반(320)을 삽입시킬 수 있다. 그러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탄성 고정부(314)가 분전반(320)의 측면부들과 접촉 고정되면서 분전반(320)을 고정 지지함과 아울러 진동에 대한 방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보다 간단한 구조의 채용을 통하여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와 벽체(330)와의 고정 및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와 분전반(320)과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분전반(320)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와 체결된 이후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나사결합 구조물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결합 구조물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가이드부(312) 일측을 관통한 후 분전반(320)의 측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가이드부(312)를 구성하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의 측벽에는 나사가 쉽게 관통할 수 있는 나사관통홀(318)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구조를 통하여 분전반(320)이 임의적으로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분전반(320)은 함체(321)의 외관 일부만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서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320)의 함체(321) 외관 일측에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체결 후크(313)와 체결되는 체결홈(323)이 적어도 두 곳 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홈(323)은 분전반(320)이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체결 후크(313)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분전반(320)의 함체(321) 일측에는 나사결합홀(324)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나사결합홀(324)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 일측 측벽에 형성된 나사관통홀(318)을 관통하여 이입되는 나사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나사관통홀(318)과, 나사결합홀(324) 및 나사를 포함하는 나사 결합 구조물은 진동 억제를 위하여 제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 따른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를 벽체(33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보다 간편한 작업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분전반(320) 결합 시 분전반 고정 케이스(310)의 가이드부(312)에 분전반(320)의 함체(321) 일부를 임시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분전반(320)의 결합 과정을 수행하거나 별도의 결합 과정 없이 분전반(32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분전반 고정 시스템(300)은 분전반(320)의 고정을 손쉽게 하면서도 진동 억제, 습기나 물기의 침습 억제를 달성할 수 있으며, 분전반(320)의 관리와 유지 보수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200, 300 : 분전반 고정 시스템
110, 210, 310 : 분전반 고정 케이스
120, 220, 320 : 분전반
130, 230, 330 : 벽체

Claims (11)

  1. 중앙이 빈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전반의 함체 배면 중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는 전면과 벽체에 대면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마련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게 신장되어 분전반의 함체 측면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서 바닥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신장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측으로 배치되데 일부가 상기 파이프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 충진체;
    상기 탄성 충진체가 배치된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신장된 방향으로 탄성 충진체의 돌출된 영역보다 길게 배치되는 앵커 볼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충진체는
    내측이 빈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 기둥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돌부와 상기 기둥부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돌부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하측돌부를 관통하는 통형의 빈 영역을 가지는 탄성 지지체;
    상기 통형의 빈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타측 일부가 상기 상측돌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앵커 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과 상기 바닥부를 체결하는 볼트;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탄성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나사관통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7. 벽체;
    중앙이 빈 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전반의 함체 배면 중 적어도 일부와 대면되는 전4면과 벽체에 대면되는 후면을 포함하고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마련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닥부에 수직하게 신장되어 분전반의 함체 측면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 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분전반 고정 케이스;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에 안착 고정되는 분전반;
    을 포함하고,
    상기 분전반 고정 케이스의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서 바닥부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신장된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측으로 배치되데 일부가 상기 파이프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 충진체;
    상기 탄성 충진체가 배치된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부가 신장된 방향으로 탄성 충진체의 돌출된 영역보다 길게 배치되는 앵커 볼트;
    상기 탄성 충진체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분전반에 형상되는 연결홀;
    상기 분전반의 함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앵커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이 마련된 영역에 기둥부가 배치되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측돌부와 상기 기둥부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바닥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측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돌부와 상기 기둥부 및 상기 하측돌부를 관통하는 통형의 빈 영역을 가지는 탄성 지지체;
    상기 통형의 빈 영역을 관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타측 일부가 상기 상측돌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앵커 볼트;
    상기 탄성 지지체로부터 돌출된 앵커 볼트가 관통되며 상기 분전반에 형상되는 연결홀;
    상기 분전반의 함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홀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앵커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벽체에 마련된 벽체홈과 상기 바닥부를 체결하는 볼트;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일정 높이와 폭을 가지며 형성되는 탄성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내벽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는 체결 후크;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는 나사관통홀;
    상기 분전반의 함체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후크와 체결되는 체결홈;
    상기 나사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
    상기 분전반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관통홀을 관통한 나사와 체결되는 나사결합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고정 시스템.
KR1020110131609A 2011-12-09 2011-12-09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KR10130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609A KR101306347B1 (ko) 2011-12-09 2011-12-09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609A KR101306347B1 (ko) 2011-12-09 2011-12-09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61A KR20130064961A (ko) 2013-06-19
KR101306347B1 true KR101306347B1 (ko) 2013-09-09

Family

ID=4886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609A KR101306347B1 (ko) 2011-12-09 2011-12-09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3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422B1 (ko) 2014-06-10 2015-02-03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20150003871U (ko) * 2014-04-14 2015-10-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593174B1 (ko) 2015-02-25 2016-02-12 (주)원테크 수배전반
US10526826B2 (en) 2015-07-14 2020-01-07 Lsis Co., Ltd. Interlock device of ring main unit
KR102110896B1 (ko) * 2019-06-27 2020-05-15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내진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전기 안정장치
KR102389022B1 (ko) * 2021-06-15 2022-04-20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단자함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992B1 (ko) * 2013-10-23 2014-01-10 로지시스템(주) 무진동 자동 제어패널
CN108180509A (zh) * 2018-03-12 2018-06-19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燃气灶具
KR102147037B1 (ko) * 2019-07-10 2020-08-21 주식회사 한국안전기술단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
KR102129208B1 (ko) * 2019-07-29 2020-07-01 (주)미래이앤지 공동주택용 전기분전함
KR102428909B1 (ko) * 2021-09-13 2022-08-03 유한회사 이엔엠이엔씨 매립형 배전박스 케이스
KR102596141B1 (ko) * 2023-05-30 2023-10-31 주식회사 형진이앤씨 설계가 강화된 공동주택 전기의 배전반 시스템
KR102562694B1 (ko) * 2023-06-01 2023-08-02 (주)한결기전 용접 구조체 용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107U (ja) * 1992-02-19 1993-09-21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電盤の取付構造
JPH09308025A (ja) * 1996-05-17 1997-11-28 Kawamura Electric Inc 住宅用分電盤の半埋込み用化粧枠
JP2007159232A (ja) * 2005-12-02 2007-06-21 Tempearl Ind Co Ltd 住宅用分電盤用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107U (ja) * 1992-02-19 1993-09-21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分電盤の取付構造
JPH09308025A (ja) * 1996-05-17 1997-11-28 Kawamura Electric Inc 住宅用分電盤の半埋込み用化粧枠
JP2007159232A (ja) * 2005-12-02 2007-06-21 Tempearl Ind Co Ltd 住宅用分電盤用アタッチメン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71U (ko) * 2014-04-14 2015-10-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200486925Y1 (ko) * 2014-04-14 2018-07-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방진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488422B1 (ko) 2014-06-10 2015-02-03 주식회사 일렉콤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101593174B1 (ko) 2015-02-25 2016-02-12 (주)원테크 수배전반
US10526826B2 (en) 2015-07-14 2020-01-07 Lsis Co., Ltd. Interlock device of ring main unit
KR102110896B1 (ko) * 2019-06-27 2020-05-15 주식회사 건창기술단 내진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전기 안정장치
KR102389022B1 (ko) * 2021-06-15 2022-04-20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통신단자함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961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347B1 (ko)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KR101829126B1 (ko) 방진 수단을 구비한 분전반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KR101681111B1 (ko) 내진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1818920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0778017B1 (ko) 방진 및 방습기능을 갖는 분전반
KR102030959B1 (ko) 전기 제어 함체용 내진 장치
KR101708339B1 (ko) 내진부재를 구비한 내진형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mcc반, 분전반)
KR101642579B1 (ko) 수전반 및 배전반의 설치 구조
KR101488422B1 (ko) 내진수단이 구비된 분전반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US8913778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a fall of a speaker device from a main appliance
JP6275475B2 (ja) 電気接続箱
JP5584590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キャビネット
KR20130137276A (ko) 투명 배전함
KR101964219B1 (ko) 수변전 설비용 내진장치
KR20180120956A (ko) 설치가 간편한 분전반
RU141890U1 (ru) Закрепляющий и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щита
KR100796000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100817887B1 (ko) 부스바 케이스
KR100679308B1 (ko) 방재형 분전반
JP7049896B2 (ja) 分電盤
KR101571557B1 (ko) 방진장치 하우징이 구비된 내진 배전반
KR200460382Y1 (ko) 원터치 체결가능한 광케이블 분배접속구가 구비된 광케이블 단자함
KR200214270Y1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4